KR20120036082A -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082A
KR20120036082A KR1020100097761A KR20100097761A KR20120036082A KR 20120036082 A KR20120036082 A KR 20120036082A KR 1020100097761 A KR1020100097761 A KR 1020100097761A KR 20100097761 A KR20100097761 A KR 20100097761A KR 20120036082 A KR20120036082 A KR 2012003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ji
writing
writing instrument
manufacturing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순
Original Assignee
이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순 filed Critical 이창순
Priority to KR102010009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6082A/ko
Publication of KR2012003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7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advert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한지의 고유한 질감과 다양한 색감을 연출할 수 있어서 한국적인 멋을 낼 수 있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이 필기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구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되어 볼펜심(1)이 수납되며 일단부에 볼펜심(1)의 선단이 노출되는 노출공(11)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10)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는 통 형상의 제2몸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한지(30)가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도록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Writing utensil using korean paper and manufacturing ma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지의 고유한 질감과 다양한 색감을 연출할 수 있어서 한국적인 멋을 낼 수 있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이 필기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에는 연필, 샤프펜슬, 볼펜 및 만년필 등이 있는데, 그 중 볼펜이나 만년필은 대부분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의 몸체 내부에 볼펜심이나 만년필심이 구비된다. 그리고, 볼펜은 하나의 몸체에 볼펜심이 일체로 부착되어 볼펜심을 교체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볼펜심을 교체할 수 있도록 몸체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한편, 소비자들은 볼펜을 구입할 때 볼펜의 필기성능 이외에도 독특한 디자인과 색상 등을 고려하며, 근래에는 필기성능이 거의 평준화되면서 오히려 디자인과 색상이 볼펜 구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몸체가 하나로 이루어진 볼펜의 경우에는 색상에 의한 디자인 구현이 쉽지 않고 형태적인 독특함을 구현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볼펜심과 몸체가 일체로 구비되어 몸체의 직경이 작아지며 그에 따라 그립감이 떨어지고 일회용이어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몸체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볼펜 중에서도, 합성수지재의 몸체에 0.7㎜볼펜심이 내장되며 검은색, 빨강색 등의 하부캡이 결합된 볼펜이 있으나, 이는 고급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강도가 약하여 쉽게 부러질 수 있으며 형상 및 색상이 단조로워서 디자인적으로도 미려하지 못하다. 반면, 금속관에 합성수지가 사출된 몸체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볼펜이 있는데, 이는 강도가 보다 보강되었으며 디자인적으로도 상기 볼펜들보다는 나아졌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볼펜들은 금속관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재가 입혀지도록 성형하게 되므로, 별도의 성형금형이 요구되는 등 초기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볼펜들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각각에 맞는 금형이 요구되어 비용이 증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률적으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함에 따라 볼펜의 외형도 일률적이어서 나만의 독특한 필기구를 갖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해소하기에는 역시 부족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지의 고유한 질감과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여 한국적인 멋을 연출함으로써 한국적인 상품인 한지로 된 부채나 기타 상품과 함께 내외국인들에게 관광상품 세트로 판매될 수 있도록 한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필기구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되어 볼펜심(1)의 일부가 수납되며 일단부에 볼펜심(1)의 선단이 노출되는 노출공(11)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10)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어 볼펜심(1)의 일부가 수납되는 통 형상의 제2몸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한지(30)가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도록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공이 형성되어 볼펜심(1)의 일부가 수납되며 일단부에 볼펜심(1)의 선단이 노출되는 노출공(11)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10)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어 볼펜심(1)의 일부가 수납되는 통 형상의 제2몸체(20)를 포함하는 필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지(30)를 준비하고 이 한지(30)에 풀을 먹이는 과정과,
상기 한지(30)가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도록 한지(30)를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에 권취시키는 과정과,
상기 권취된 한지(30)의 최외측면을 연마하는 과정과,
상기 연마된 한지(30)의 외주면에 수지층(32)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몸체(20)에 감겨져서 외부로 노출된 한지(30)의 외주면에 문자, 도형, 무늬 또는 캐릭터와 같은 도안(31)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볼펜심(1)이 내장되는 몸체가 제1 및 제2몸체(10, 20)로 이루어진 필기구에서, 상기 제1 및 제2몸체(10, 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도록 한지(30)를 감고, 노출된 한지(30)의 외주면 등을 연마 등의 마감처리 및 수지층(32)을 형성함으로써, 한지(30)의 고풍스러움과 멋스러움을 살려서 독특하고 신선한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지(30)를 이용하여 제작된 부채나 그 밖의 상품들과 함께 관광상품으로서 내외국인들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기구의 일부에 매우 독특한 포인트를 줄 수 있어서 디자인적으로 미려함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한지가 감긴 형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인 필기구를 제조하는 제조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한지가 감긴 형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실시예인 필기구의 제조공정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기구는 중공이 형성되어 볼펜심(1)이 수납되며 일단부에 볼펜심(1)의 선단이 노출되는 노출공(11)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10)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어 볼펜심(1)을 은폐시키는 통 형상의 제2몸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몸체(20)의 외주면에 한지(30)가 감겨진 것이다. 이때, 상기 볼펜심(1)은 볼펜, 만년필 기타 필기구들의 심재를 통칭하며, 제1 및 제2몸체(10, 20)가 결합될 때 형성되는 중공에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볼펜심(1)이 제1몸체(10)에만 수납될 수 있으며, 제2몸체(20)에는 회전에 따라 볼펜심(1)이 상기 노출공(11)을 통해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가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에는 상기 볼펜심(1)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노출공(11)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개방된 형상이다.
상기 제2몸체(20)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만 개방된 형상으로 이 일단부가 상기 제1몸체(10)의 개방된 타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20)의 직경은 제1몸체(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후술할 한지(30)가 제2몸체(20)에 감겨짐으로써 제1몸체(10)의 직경과 유사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10, 20)의 외주면에는 한지(30)가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도록 감겨지는데, 상기 한지(30)는 상기 제2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녹말풀이나 쌀풀을 먹인 것이 사용된다. 한편, 제2몸체(20)의 외주면에 감겨진 한지(30)의 최외측면에는 문자, 도형, 무늬 또는 캐릭터 등과 같은 도안(31)이 새겨져서 장식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지(30)를 준비하는데, 한지(30)가 제2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지만, 적어도 한지(30)의 폭이 제2몸체(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한지(30)에 풀을 먹이는데, 여기서 풀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딱풀이나 녹말풀, 쌀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한지(3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한지(30)를 감아서 복수개의 층이 형성될 때 각 층끼리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풀을 먹인 한지(3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를 제2몸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시키는데(a과정), 이때, 접착제를 이용하여 좀 더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단부가 고정된 한지(30)를 제2몸체(2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감게 되는데(b과정), 도 2의 확대도시된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한지(30)가 감겨지면서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며, 이 층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제2몸체(20)의 확장된 직경이 커지게 된다. 상기 한지(30)가 감겨져서 이루어진 층의 개수는 상기 제1몸체(10)의 직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한지(30)가 감겨진 후, 만약 한지(30)의 폭이 제2몸체(20)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는 한지(30)의 폭이 제2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한지(30)의 폭방향의 양단부 또는 일단부를 절단한다(e과정).
그리고, 감겨져서 외부로 노출된 한지(3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 및 제2몸체(20)에 감겨져서 최외측면을 형성하는 한지(30)의 외주면을 보다 매끄럽게 연마하게 되는데(c과정), 사포와 같은 기재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한지(30)의 폭방향을 따라 한지(30)의 층이 균일한 두께를 형성하게 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디자인적인 미감 또는 그립감 등을 고려하여 한지(30)의 폭방향을 따라 곡면이 형성되도록 한지(30)의 최외측면의 형상을 가공할 수도 있다. 즉, 한지(30)의 층이 한지(3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가 형성되도록, 선반과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필기구를 회전시키면서 한지(30)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30)의 최외측면에 문자, 숫자, 그림, 도형, 무늬 또는 캐릭터 등과 같은 도안(31)을 인쇄할 수도 있으며(f과정), 이에 따라 좀 더 미려함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한지(30)의 최외측면에 아크릴과 같은 수지로 도장처리를 하여 수지층(32)을 형성하는데(d과정), 이는 한지(30)에 광택을 줄 뿐만 아니라 한지(30)를 물과 같은 액체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종래 합성수지로 사출되거나 금속으로 성형되어 일률적인 디자인을 갖는 몸체가 두 부분으로 나뉜 필기구보다 한지(30)의 멋스러움과 고풍스러움을 포인트로 줄 수 있어서 보다 미려한 디자인의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필기구의 제1 및 제2몸체(10, 20)에 모두 한지(30)가 감겨진 것이다. 이때, 제1 및 제2몸체(10, 20)에 동일 색상 또는 각각 다른 색상을 부여할 수 있어서 좀 더 다양한 형태의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아토피와 같은 질환에 도움이 되는 한지(30)의 우수한 고유특성과 고유의 질감 및 다양한 색상을 살린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어서, 호흡기 및 피부와 접촉횟수가 잦은 손가락으로 필기구의 한지(30) 부분을 파지하게 되므로, 건강에도 유익하면서도 멋스러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는 부채보다 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필기구에 한지를 부여함으로써, 외국인들에게 한국 전통의 멋을 좀 더 알릴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 합성수지나 금속을 금형을 통해 성형함에 따라 금형제작 등 초기 제조비용이 많이 들던 것에 비해 초기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편, 한지(30)에 여러 가지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신선하고 독특한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

  1. 필기구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되어 볼펜심(1)이 수납되며 일단부에 볼펜심(1)의 선단이 노출되는 노출공(11)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10)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는 통 형상의 제2몸체(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10)와 제2몸체(20)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길이와 대응되는 폭을 갖는 띠 형상의 한지(30)가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도록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되어 볼펜심(1)의 일부가 수납되며 일단부에 볼펜심(1)의 선단이 노출되는 노출공(11)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10)와,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10)에 결합되어 볼펜심(1)의 일부가 수납되는 통 형상의 제2몸체(20)를 포함하는 필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지(30)를 준비하고 이 한지(30)에 풀을 먹이는 과정과,
    상기 한지(30)가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도록 한지(30)를 제1몸체(10) 또는 제2몸체(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권취시키는 과정과,
    상기 권취된 한지(30)의 최외측면을 연마하는 과정과,
    상기 연마된 한지(30)의 외주면에 수지층(32)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20)에 감겨져서 외부로 노출된 한지(30)의 외주면에 문자, 도형, 무늬 또는 캐릭터와 같은 도안(32)을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의 제조방법.
KR1020100097761A 2010-10-07 2010-10-07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6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61A KR20120036082A (ko) 2010-10-07 2010-10-07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761A KR20120036082A (ko) 2010-10-07 2010-10-07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082A true KR20120036082A (ko) 2012-04-17

Family

ID=4613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761A KR20120036082A (ko) 2010-10-07 2010-10-07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60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926A (ko) 2014-02-07 2016-10-06 사까이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육각 판상 산화아연 입자, 그 제조 방법, 화장료, 필러, 수지 조성물, 적외선 반사재 및 도료 조성물
CN114174074A (zh) * 2019-07-19 2022-03-11 三菱铅笔株式会社 涂布工具用液体收纳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926A (ko) 2014-02-07 2016-10-06 사까이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육각 판상 산화아연 입자, 그 제조 방법, 화장료, 필러, 수지 조성물, 적외선 반사재 및 도료 조성물
CN114174074A (zh) * 2019-07-19 2022-03-11 三菱铅笔株式会社 涂布工具用液体收纳构件
CN114174074B (zh) * 2019-07-19 2023-09-29 三菱铅笔株式会社 涂布工具用液体收纳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6082A (ko) 한지를 이용한 필기구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16798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embedded decorative elements
CN201941361U (zh) 时尚手镯笔
US7784518B2 (en) Tool for making an illustrated card with paillettes
CN201592581U (zh) 一种可以套在手上的笔
CN201841703U (zh) 具组合变化的瓦楞纸结构
JP3237280U (ja) 筆記具
CN203559214U (zh) 手工编织针
US20040028463A1 (en) Writing instrument ink cartridge
CN201432535Y (zh) 一种笔筒
JP3143542U (ja) 彩色装飾線材
US20130051895A1 (en) Tip of writing implement
CN201176071Y (zh) 笔筷结构
KR200434260Y1 (ko) 장식 문양이 형성된 장식 볼펜
JP5566789B2 (ja) 箸の模様付け加工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模様付けされた箸
JP3100918U (ja) 自由に造形可能なペン
JP5566788B2 (ja) 箸の模様付け方法と、その模様付けをした箸
CN2385893Y (zh) 用金属装饰与加固的玉质笔杆
CN208211642U (zh) 一种可自制文字或图案的个性化装饰物
JPS6245022Y2 (ko)
CN201521803U (zh) 一种新型手电筒
JP3196970U (ja) 筆記具
CN201941357U (zh) 带绣球的笔
CN201086506Y (zh) 一种多用贮水芯
KR200190743Y1 (ko) 내부 장식구가 투영되는 볼링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