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846A -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846A
KR20120033846A KR1020100095576A KR20100095576A KR20120033846A KR 20120033846 A KR20120033846 A KR 20120033846A KR 1020100095576 A KR1020100095576 A KR 1020100095576A KR 20100095576 A KR20100095576 A KR 20100095576A KR 20120033846 A KR20120033846 A KR 2012003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object
terminal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288B1 (ko
Inventor
김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95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288B1/ko
Priority to US13/197,483 priority patent/US20120081393A1/en
Publication of KR2012003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 가능한 단말에서의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가상 객체 선택 정보 및 이동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상기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Virtual Object}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말한다.
증강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 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 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증강 현실 서비스에서는 가상 객체와의 인터랙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여러 사용자들과의 통신 상황이 배제되어 있는 증강 현실 상황에서만 제안되었다. 즉, 단말들 간의 쌍방향 통신시 가능한 가상 객체와의 인터랙션 서비스에 대해서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또한 증강 현실상에 로딩되어진 가상 객체의 동적인 변화를 고려한 증강 현실 서비스에 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상 객체를 이용하여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객체를 이용하여 단말들간의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 현실상에 로딩된 가상 객체의 동적인 변화를 고려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 가능한 단말에서의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가상 객체 선택 정보 및 이동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상기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접속되는 서버에서의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으로, 단말로부터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가상 객체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서버와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통신부와,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이동되도록 설정되는 가상 객체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상기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접속하여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통신부와,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저장하는 실시간 영상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 객체 정보 저장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단말로부터 특정 장소의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실시간 영상 저장부를 통해 특정 장소의 영상을 검출하여 해당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로부터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상기 가상 객체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가상 객체를 이용하여 단말들간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객체를 사용자가 지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가 부재한 상황에서도 이동 경로를 따라 가상 객체가 다른 사용자와의 만남을 목적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서버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서 가상 객체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 선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 이동 설정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서 가상 객체를 이용한 단말들간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가 오버랩된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단말간 통신 서비스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을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단말 장치(이하 “단말”이라 칭함)(110)와, 단말(110)에 증강 현실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정보 제공 서버 장치(이하 “서버”라 칭함)(130)가 유/무선 통신망 통해 접속되어 있는 형태를 갖는다.
단말(110)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와 가상 객체를 등록하고, 가상 객체를 실세계 영상 화면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이다.
영상 획득부(210)는 현실 세계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여 제어부(260)에 출력하는 것으로, 예컨대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210)는 영상 촬영시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거나,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 가능한 카메라일 수 있다. 표시부(2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240)을 통해 획득된 특정 장소의 실제 모습을 촬영한 영상, 가상 객체 설정 화면, SNS(Social Network Servic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인 조작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일 예로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정보를 발생하는 키입력부나, 터치 센서,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조작부(230)를 통해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 요청 신호, 가상 객체 설정 정보, 다른 사용자의 가상 객체와의 통신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2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60)에 출력하고, 제어부(260)로부터의 내부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메모리(250)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240)를 통해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영상 정보와, 증강 현실 제공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2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이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60)는 표시 모듈(261), 서비스 모듈(262), 이동 경로 처리 모듈(263) 및 증강 현실 객체 처리 모듈(264)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261)은 가상 객체와 결합된 카메라 프리뷰 화면을 표시부(220)에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 처리부이다. 서비스 모듈(262)는 타사용자와 연결되었을 경우 실행되는 예컨대, 채팅, 메시징 등을 프로세싱 처리한다. 이동 경로 처리 모듈(263)은 사용자가 로딩한 가상 객체의 이동 경로 설정 및 데이터 전송을 처리한다. 증강 현실 객체 처리 모듈(264)은 실시간 카메라 촬영 영상에 가상 객체가 오버랩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260)의 동작 설명은 후술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도이다.
통신부(3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240)에 출력하고, 제어부(340)로부터의 내부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주지된 구성이다.
장소 영상 저장부(320)는 각 장소의 모습을 촬영한 실시간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현장의 공공 장소에 부착된 카메라 실시간 화면을 저장한다. 제어부(340)는 통신망을 통해 각 장소의 카메라 촬영 화면을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장소 영상 저장부(320)를 업데이트한다.
가상 객체 정보 저장부(330)는 사용자가 등록한 객체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데, 일 예로, 가상 객체를 등록한 단말의 식별 정보, 가상 객체 이동 경로 정보, 가상 객체 이동 속도 정보, 가상 객체 관련 SNS 서비스 정보, 가상 객체 관련 출력 문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34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이 하드웨어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 될 수 있다. 제어부(340)의 동작 설명은 후술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서 가상 객체 설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기에서는 단말 제어부(260)를 단말로, 서버의 제어부(340)를 서버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단말은 410 단계에서 조작부(230)를 통해 영상 획득부(210)을 구동시켜 획득된 실시간 영상을 표시부(220)에 출력한다.
상기 실시간 영상은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실세계 영상일 수도 있고, 서버(130)로부터 획득된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일 수도 있다. 즉, 서버(130)는 장소의 현장의 공공 장소에 부착된 카메라의 실시간 프리뷰 영상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단말은 420 단계에서 표시부(220)에 출력되는 영상에 포함시킬 가상 객체를 설정한다.
이러한 가상 객체를 설정하는 일 예로, 가상 객체 설정 요청에 따라,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가상 객체 업로드 요청 신호 입력에 따라, 가상 객체 설정 메뉴 화면을 출력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 선택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가상 객체 설정 메뉴 화면에는 “가상 객체 선택”항목 (510)과, “이동 모드”항목(520), “이용 목적” 항목(530)이 포함된다.
가상 객체 선택 항목(510)을 선택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단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 리스트(511)을 표시부(220)에 출력시켜,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객체 리스트(511)에 포함된 가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를 선택받는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가상 객체 리스트(511)에 포함되지 않은 사용자가 별도로 지정한 가상 객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동 모드 항목(520)은 상기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업로딩될 가상 객체의 이동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 모드 항목(520)이 선택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설정 편의를 위하여 실시간 영상에 상응하는 지도가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화면의 우측 하단에 시작점, 목적지, 이동 경로, 이동 속도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은 조작부(230)를 통해 시작점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지도에서 시작점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마우스의 커서를 특정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클릭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550)가 시작점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230)를 통해 목적지 항목이 선택됨에 따라, 마우스 커서(570)를 특정 위치에 놓은 상태에서 클릭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560)이 목적지로 표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말은 사용자의 정보 입력의 편의를 위해 가상 객체 리스트(511)와 같이 목적지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목적지 정보가 입력될 경우, 단말은 해당 목적지가 서비스 가능한 장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서비스 가능하지 않은 장소일 경우 목적지 정보 수정 요청을 할 수 있다. 즉, 실시간 장소 영상이 획득되지 않는 오지나 산간 장소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불가능한 장소를 선별해내기 위함이다.
또한, 단말은 목적지까지의 경유하게 되는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커서(570)를 시작점(550)으로부터 목적지(560)까지의 드래그 신호를 통해 이동 경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이동 경로 정보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경로를 이동 경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동 속도 정보도 설정할 수 있는데, 이동 속도는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로부터 조작부(230)를 통해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 모드 설정에 따라, 단말은 가상 객체의 이동 위치를 실시간으로 맵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정해진 경로를 기준으로 설정 속도로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이동 모드 항목(520)에 대한 정보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단말은 특정 장소 영상에 업로딩된 가상 객체를 이동 모드 관련 입력 정보에 따라 목적지로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용 목적 항목(530)은 가상 객체의 이용 목적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항목이다. 이러한, 이용 목적으로는, 예컨대, 특정 제품의 광고, 가상 모임, 데이터 수집 기능, 친구 찾기, 여행 채팅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 목적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단말은 상기 이용 목적에 따라 가상 객체를 변형하거나, 부가 정보를 추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30 단계에서 상기 설정된 가상 객체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업로딩한다. 예컨대, 특정 조작부(230)로부터 가상 객체 선택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가상 객체를 표시부(220)에 출력되어 있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오버랩되도록 업로딩한다. 업로딩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가상 객체를 드래그하여 “+” 표시된 영역(512)에 위치시키거나, 가상 객체 선택 정보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440 단계에서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그러면, 서버는 450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가상 객체 저장부(340)에 저장하고, 특정 장소 영상에 업로딩되도록 설정하여, 동일한 SNS 멤버 또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다른 단말의 특정 장소 영상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설정된 가상 객체를 포함시킨 특정 장소 영상을 다른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서 가상 객체를 이용한 단말들간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말은 610 단계에서 조작부(230)를 통해 영상 획득부(210)을 구동시켜 획득된 실시간 영상을 표시부(220)에 출력한다.
상기 실시간 영상은 단말이 위치한 지역의 실세계 영상일 수도 있고, 서버(130)로부터 획득된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일 수도 있다. 즉, 서버(130)는 장소의 현장의 공공 장소에 부착된 카메라의 실시간 프리뷰 영상을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상기 실시간 영상에 가상 객체가 존재할 수 있는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가 오버랩된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객체(710)가 도시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이동 방향(720) 및 목적지 정보(730)가 더 도시되어 있다.
제 1 단말은 620 단계에서 표시부(220)를 통해 출력되는 실시간 영상에 존재하는 가상 객체와의 연결 요청이 조작부(230)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630 단계에서 가상 객체와의 연결 요청 신호를 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서버는 640 단계에서 제 1 단말이 연결 요청한 가상 객체를 등록한 제 2 단말 정보를 검출하고, 650 단계에서 검출된 정보에 따라 제 2 단말로 제 1 단말이 통신 연결 요청한다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 2 단말은 수신된 통신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표시부(220) 또는 음향 출력부(220)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 요청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그런 후, 사용자로부터 연결 수락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제 2 단말은 660 단계에서 연결 수락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670 단계에서 연결 수락 메시지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제 1 단말로 전송하게 되고,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은 680 단계에서 관련 서비스 모듈을 구동시켜 690 단계에서 SNS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상 객체를 이용한 단말간 통신 서비스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단말 및 제 2 단말간의 채팅 창(82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 2 단말의 가상 객체(810)는 현재 채팅중임을 알리는 메시지(830)가 더 도시되어, 제 1 단말이 아닌 또 다른 사용자가 도 8에 해당하는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수신함에 따라, 제 2 단말이 현재 채팅중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9)

  1.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 가능한 단말에서의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가상 객체 선택 정보 및 이동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상기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가상 객체 리스트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선택에 따라 상기 출력된 가상 객체 리스트에서 하나 이상의 로딩될 가상 객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설정 정보는
    목적지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이동 속도 정보 및 시간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객체의 이용 목적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된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존재하는 가상 객체를 등록한 단말과의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서버에 상기 가상 객체를 등록한 단말과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연결 수락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관련 서비스 모듈을 가동시켜 상기 가상 객체를 등록한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다른 단말로부터의 통신 연결 요청 알림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의 연결 수락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연결 수락 신호가 입력될 경우, 연결 수락 메시지를 다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관련 서비스 모듈을 가동시켜 다른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8.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접속되는 서버에서의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에 따라 가상 객체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로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설정 정보는
    상기 가상 객체의 모양 정보와, 가상 객체의 이용 목적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객체 설정 정보는
    이동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설정 정보는 목적지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이동 속도 정보 및 시간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특정 장소의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특정 장소의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특정 장소의 영상을 해당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단말이 요청한 특정 장소에 로딩될 가상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 결과, 가상 객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객체가 로딩된 특정 지역의 실시간 영상을 해당 단말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
  12.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서버와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통신부와,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사용자로부터의 키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가상 객체 선택 정보 및 이동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객체 설정 정보가 입력됨에 따라,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상기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를 통해 가상 객체 리스트에 포함되는 가상 객체 선택에 따라, 해당 선택 신호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가상 객체를 로딩될 가상 객체로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동 설정 정보로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 이동 경로 정보, 이동 속도 정보 및 시간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조작부로부터 상기 출력된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존재하는 가상 객체를 등록한 단말과의 연결 요청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서버에 상기 가상 객체를 등록한 단말과의 연결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연결 수락 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관련 서비스 모듈을 가동시켜 상기 가상 객체를 등록한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단말로부터의 통신 연결 요청 알림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의 연결 수락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로부터 연결 수락 신호가 입력될 경우, 연결 수락 메시지를 다른 단말에 전송하고, 관련 서비스 모듈을 가동시켜 다른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영상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18.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과 접속하여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가상 객체 정보 저장부와,
    단말로부터 특정 장소의 실시간 영상에 가상 객체가 로딩되도록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된 가상 객체 설정 정보를 상기 가상 객체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특정 장소의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특정 장소의 영상을 해당 단말에 전송하되, 단말이 요청한 특정 장소에 로딩될 가상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가상 객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가상 객체가 로딩된 특정 지역의 실시간 영상을 해당 단말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KR1020100095576A 2010-09-30 2010-09-30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06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576A KR101306288B1 (ko) 2010-09-30 2010-09-30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3/197,483 US20120081393A1 (en) 2010-09-30 2011-08-0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virtual obje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576A KR101306288B1 (ko) 2010-09-30 2010-09-30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846A true KR20120033846A (ko) 2012-04-09
KR101306288B1 KR101306288B1 (ko) 2013-09-09

Family

ID=4588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576A KR101306288B1 (ko) 2010-09-30 2010-09-30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81393A1 (ko)
KR (1) KR1013062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744A (ko) * 2014-05-16 2015-11-25 네이버 주식회사 공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20180000867U (ko) * 2018-03-12 2018-03-2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가상 요소를 중개하기 위한 중개 서버 및 시스템
KR20180041000A (ko) * 2016-10-13 2018-04-23 에이케이엔코리아 주식회사 사용자간 통신을 위한 가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52836B1 (ko) * 2018-08-22 2019-12-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밀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서버와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20210084658A (ko) * 2017-03-06 2021-07-07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가상 비전 시스템
WO2022119022A1 (ko) * 2020-12-02 2022-06-0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저지연 콘텐츠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콘텐츠 서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6992B2 (en) * 2011-09-30 2017-03-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ersonal audio/visual apparatus providing resource management
EP2795936B1 (en) * 2011-12-20 2019-06-26 Intel Corporation User-to-user communication enhancement with augmented reality
WO2013119221A1 (en) * 2012-02-08 2013-08-15 Intel Corporation Augmented reality creation using a real scene
US20150170616A1 (en) * 2012-04-27 2015-06-18 Google Inc. Local data quality heatmap
US20140015858A1 (en) * 2012-07-13 2014-01-16 ClearWorld Media Augmented reality system
US9429912B2 (en) * 2012-08-17 2016-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xed reality holographic object development
US10109075B2 (en) * 2013-03-15 2018-10-23 Elwha Llc Temporal element restoration in augmented reality systems
US10038740B2 (en) * 2013-08-19 2018-07-31 Nant Holdings Ip, Llc Camera-to-camera interactions, systems and methods
US9552060B2 (en) * 2014-01-28 2017-0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al selection by vestibulo-ocular reflex fixation
CN104899080A (zh) * 2014-03-05 2015-09-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即时通讯切换实时画面的方法和装置
US10799792B2 (en) * 2015-07-23 2020-10-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ordinating multiple virtual environments
CN106097258A (zh) * 2016-05-31 2016-11-09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影像处理方法及增强现实设备
KR101916380B1 (ko) * 2017-04-05 2019-01-30 주식회사 에스큐그리고 영상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스피커를 재생하기 위한 음원 재생 장치
KR101967072B1 (ko) * 2017-12-14 2019-04-08 김민철 사용자 활동 기반 가상 객체 관리 방법, 이를 수행하는 가상 객체 관리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19127349A1 (zh) * 2017-12-29 2019-07-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分享的方法、相关装置及系统
KR20190101620A (ko) *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무빙 트릭아트 구현 방법
US10885715B2 (en) * 2019-01-14 2021-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ractive carry
US10897564B1 (en) 2019-06-17 2021-01-19 Snap Inc. Shared control of camera device by multiple devices
US11340857B1 (en) 2019-07-19 2022-05-24 Snap Inc. Shared control of a virtual object by multiple devices
US11985175B2 (en) 2020-03-25 2024-05-14 Snap Inc. Virtual interaction session to facilitate time limited augmented reality based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users
US11593997B2 (en) * 2020-03-31 2023-02-28 Snap Inc. Context based augmented reality communication
CN113973177A (zh) * 2021-10-22 2022-01-25 云景文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的旅游中虚拟人物拍摄处理方法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0748D0 (en) * 2002-09-06 2002-10-16 Saw You Com Ltd Improved communication using avatars
KR100912369B1 (ko) 2007-12-13 2009-08-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현장 체험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52805B1 (ko) * 2008-07-31 2011-07-29 (주)지아트 증강 현실 환경에서의 3차원 모델 객체 저작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744A (ko) * 2014-05-16 2015-11-25 네이버 주식회사 공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증강 현실 제공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및 파일 배포 시스템
KR20180041000A (ko) * 2016-10-13 2018-04-23 에이케이엔코리아 주식회사 사용자간 통신을 위한 가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의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210084658A (ko) * 2017-03-06 2021-07-07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가상 비전 시스템
US11670057B2 (en) 2017-03-06 2023-06-06 Snap Inc. Virtual vision system
US11961196B2 (en) 2017-03-06 2024-04-16 Snap Inc. Virtual vision system
KR20180000867U (ko) * 2018-03-12 2018-03-2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가상 요소를 중개하기 위한 중개 서버 및 시스템
KR102052836B1 (ko) * 2018-08-22 2019-12-0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비밀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서버와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비밀 메시지 송수신 방법
WO2022119022A1 (ko) * 2020-12-02 2022-06-0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저지연 콘텐츠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콘텐츠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1393A1 (en) 2012-04-05
KR101306288B1 (ko) 201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288B1 (ko) 가상 객체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US10097792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messenger-based video call service
US10868923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298881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476290B1 (ko) 파일 공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CN104508699B (zh) 内容传输方法和使用该方法的系统、装置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0114543B2 (en) Gestures for sharing data between devices in close physical proximity
US1009101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788143B2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80781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83260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EP3076588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arrier means
US1139475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data
US9729826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JP2017054507A (ja) 通信セッション上でイメージを利用して位置情報を提供する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763552B (zh) 远程控制中的传输方法、装置及系统
US20120296979A1 (en) Conference system, conference management apparatus, method for conference management, and recording medium
US202202637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vatar usage rights
KR20120010041A (ko) 이동 단말 환경에서 증강 현실 콘텐츠를 저작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799925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nd screen sharing method
EP3125493A1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carrier means
CN111130985A (zh) 关联关系建立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EP3185508A1 (en) Shared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7476548B2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3623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sharing image data with counterpart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