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820A -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820A
KR20120033820A KR1020100095544A KR20100095544A KR20120033820A KR 20120033820 A KR20120033820 A KR 20120033820A KR 1020100095544 A KR1020100095544 A KR 1020100095544A KR 20100095544 A KR20100095544 A KR 20100095544A KR 20120033820 A KR20120033820 A KR 20120033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user terminal
service
program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691B1 (ko
Inventor
김선학
이남걸
이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91B1/ko
Priority to AU2011308192A priority patent/AU2011308192B2/en
Priority to PCT/KR2011/007144 priority patent/WO2012044064A2/en
Priority to US13/876,977 priority patent/US20130204982A1/en
Priority to CA2808066A priority patent/CA2808066A1/en
Priority to GB201304035A priority patent/GB2496359B/en
Publication of KR2012003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63Application servers providing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허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를 일괄 제공 및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SERVER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단체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서비스 허브를 제공하여, 복수의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우수한 IT 기술을 바탕으로 한 최첨단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첨단 사용자 단말 장치에 부합하는 다양하고 편리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노력도 가속화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장치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외에 보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와 같은 외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휴대형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많아 짐에 따라, 기업체나 학교, 병원, 공공 기관 등과 같은 다양한 규모의 단체에서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들은 그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그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류가 많은 경우에는, 일일이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다운로드받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단체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 서버 측으로부터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용이하게 다운로드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단체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서비스 허브를 제공하여, 복수의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허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단체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유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 저장된 기기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서버에 대해 허브 서비스를 요청한 단체에 의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기기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상기 인증 결과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방법은,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제1 리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한 제2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일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요청 또는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제공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속한 그룹 또는 사용자 레벨에 대해서 제공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리스트 및 상기 제2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상기 단체, 상기 그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면 재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방법은, 특정 사용자 단위에서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방법은, 특정 서비스에 대해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제공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백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백업 정보를 공유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체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체크 요청에 따라 신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유효 지역, 상기 사용 불능 상태가 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효 지역은 복수 개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삭제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각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삭제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었을 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될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의해 일괄 관리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허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컨텐츠 서버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프런트 서버부,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서버부에 저장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과,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프런트 서버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메인 서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단체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서버에 대해 허브 서비스를 요청한 단체에 의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등록된 기기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인증 매니저부 및,상기 인증 결과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핸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제1 리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한 제2 리스트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초기화 매니저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핸들러부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일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핸들러부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제공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속한 그룹 또는 사용자 레벨에 대해서 제공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리스트 및 상기 제2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상기 단체, 상기 그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면 재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특정 사용자 단위에서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제한하는 접속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접속 제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접속 제한 정책을 수립 및 실행하는 접속 제한 정책 수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특정 서비스에 대해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는 서비스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서비스 제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한 정책을 수립 및 실행하는 서비스 제한 정책 수립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제공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백업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백업 정보를 공유 정보로 제공하는 오픈 서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핸들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체크 요청이 수신되면, 신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지역 및 상기 사용 불능 상태가 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관련된 정보의 변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상기 유효 지역은 복수 개로 설정 가능하다.
한편,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삭제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각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삭제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었을 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될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의해 일괄 관리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대해 제공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런트 서버부로 제공하고,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제공된 정보들에 따라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그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서 공통적으로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3은 서비스 허브 등록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 내지 도 18은 서버 계정을 할당받은 단체의 운영자가 서비스 허브를 관리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그룹 별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1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설치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2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처리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그 위치에 따라 프로그램 사용 가능성을 제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태 변경에 따라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삭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서버 간의 동작 순서도, 그리고,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네트워크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A1, 100-A2, ..., 100-An, 100-B1, 100-B2, ..., 100-Bm)와 네트워크(10), 서버(20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는 일반적인 통신 네트워크 또는 유무선 인터넷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그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따라 다르게 분류될 수 있다. 즉, A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A1, 100-A2, ..., 100-An)와, B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B1, 100-B2, ..., 100-Bm)들로 구분될 수 있다.
서버(200)는 각 단체와의 계약을 통해, 해당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 또는 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 적응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단체의 대표자 등으로부터 소정의 계약을 맺고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단체에 대하여 서비스 허브를 등록하고, 그 단체에 적응적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란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되어 설치됨으로써, 그 사용자 단말 장치에 해당 단체에 대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다운로드, 업데이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도 1에서 A 단체로부터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었다면, 서버(200)는 A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허브를 등록한다.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기본 플랫폼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웹페이지 스킨이나, 메뉴, 사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등과 같이 세부 설정 항목만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생성하거나, 해당 단체의 요청에 따라 새로이 설계되어 생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A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A1, 100-A2, ..., 100-An)들이 각각 서버(200)에 접속하게 되면, 서버(200)는 접속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A 단체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전송하여 준다.
한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전송 이전에 인증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증은 다양한 공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ID 및 패스워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예를 들어,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등) 등을 서버(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ID나 패스워드 등과 같은 정보는 서버(200) 측에서 해당 단체에 대하여 제공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단체의 운영자는 제공된 정보를 각 사용자들에게 공지시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설치 시에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단체로부터 기 제공받은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는 아이콘 컨테이너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아이콘 컨테이너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허브에 대응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 컨테이너를 선택하게 되면, 그 단체에 대하여 또는 그 단체 내에서 해당 사용자가 속한 그룹(부서, 직급, 성별, 연령대 등)에 맞게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들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이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은 전체가 일괄적으로 동시에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따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조업체와 서버(200) 운영업체가 동일하거나, 일정한 계약 관계에 있는 경우라면, 해당 단체에서 사용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과 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미리 탑재한 사용자 단말 장치를 해당 단체로 판매하여 줄 수도 있다. 즉,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출시 과정에서 이미 탑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A 단체의 각 사용자들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A 단체에서 사용될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구버전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업데이트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B 단체의 경우, 아직 서버(200)와 별도의 계약을 맺지 않은 경우라면 B 단체에 속하는 각 사용자 단말 장치(100-B1, 100-B2, ..., 100Bm)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없게 된다.
한편,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변동, 상태 변경 등에 따라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치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나 또는 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하여 제공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 가능성이 제한될 수 있다.
사용 가능성의 제한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서버(200)의 개입 없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자체적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유효 지역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 불능 상태로 결정된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그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표시 자체를 삭제하거나, 아니면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또는 정상적으로 아이콘을 표시하더라도 그 아이콘 선택 시에 아무런 동작도 수행하지 않으면서,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유효 지역 정보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는, 서버(200)가 직접 사용자 단말 장치와 유효 지역을 비교하여, 사용 가능성을 제한할 수도 있다. 즉,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된 경우 등)마다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확인되면, 서버(200)는 확인된 위치가 유효 지역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유효 지역 이내이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반면, 유효 지역 밖이라고 판단되면, 서버(20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 가능성을 제한하기 위한 조치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 불능 상태가 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작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거나, 사용 가능성을 설정한 사용 가능성 정보 또는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하도록 하는 코맨드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를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 등에 따라서도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그 소속 단체로부터 이탈한 경우(예를 들어, 퇴사, 파견 등의 경우)나, 사용자 단말 장치를 분실한 경우, 부서 이동이나 전근을 간 경우, 휴직을 한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그 사용자의 상태에 변화가 생기게 되면, 해당 단체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장기적으로 사용 불능 상태로 둘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 변경 상황은 해당 단체나 사용자로부터 서버(200)로 접수될 수 있다. 서버(200)는 접수된 정보 또는 요청에 따라, 삭제 명령 또는 사용 정지 명령을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는 지정된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사용 정지 상태로 둘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도 함께 삭제 또는 사용 정지 상태로 둘 수도 있다.
그 밖에, 서버(200)는 단체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에 기초한 그룹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각 사용자 단말 장치들 간에 단체 메일(또는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체 메일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단체 메일 전송이 요청되면 서버(200)는 기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서비스 허브 자체 또는 그 서비스 허브 내의 특정 그룹에 대해서 단체 메일을 전송하여 준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는 자신의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 대한 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200)에서는 기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대상을 탐색한 후, 탐색된 대상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공지할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도, 해당 서비스 허브 전체 또는 그 내부 그룹에 대하여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즉, 서버(200) 자체에서 직접 메시지를 입력하여, 각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 공지할 수 있는 기능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200)는 단체에 대한 조직 주소록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단체/그룹 내의 타 사용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지원해 줄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자신의 장치를 이용하여 주소록 확인 서비스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200)에 대하여 그 서비스 허브 내의 사용자 목록 또는 상세 정보를 요청한다. 서버(200)는 요청에 따라 전화 번호나 이메일 정보 등이 기록된 주소록을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 및 동작>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 상에는 아이콘 컨테이너(20)가 표시된다.
아이콘 컨테이너(20)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담고 있는 일종의 컨테이너와 같은 아이콘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아이콘 컨테이너(20)를 선택하면, 해당 아이콘 컨테이너(20)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콘들(21 내지 26)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2에서는 총 6개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아이콘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떠한 아이콘도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아이콘들 중에서 일부 아이콘(23, 25)에 대해서는 "New"나 "업데이트"와 같은 문구가 아이콘 일측에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콘 표시 시에는 그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태에 따라서, 표시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미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New"와 같은 문구가 아이콘 일측에 표시되고, 구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에 대해서는 "Update"와 같은 문구가 아이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구 이외에,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라면 "Normal","변경 없음" 등과 같은 문구가 해당 아이콘의 일측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아이콘을 점멸시키거나, 컬러, 위치, 크기, 형태 등을 변경하여, 정상 상태가 아님을 알릴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의 사용자 단말 장치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각 사용자 단말 장치(100-A1, 100-A2, ..., 100-An, 100-B1, 100-B2, ..., 100-Bm) 중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이나, PDA, 전자 수첩, MP3 플레이어,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반드시 휴대형 단말 장치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TV나 PC, 전자 액자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설치에 따라 생성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된 아이콘 컨테이너가 선택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해 일괄 제공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저장부(110)에 초기 탑재된 프로그램일 수도 있으며, 서버(200)로부터 후발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도 4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입력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50)는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 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 정보나, 커맨드 등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함께 일체로 마련되어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130)와 별도로 마련된 키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40)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그 정보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등을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이루어지면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저장부(1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자체를 다운로드 받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 그 아이콘에 대한 리스트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설치 후 실행되면, 사용자 정보, 고유 정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제1 리스트와,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한 제2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20)는 제2 리스트에 따라, 제1 리스트 내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 컨테이너 및 그 아이콘들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30)로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 및 그룹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리스트 및 제2 리스트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2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었을 때, 제1 리스트를 제공받아,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바로 서버(200)로부터 일괄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저장부(110)에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허브에 대하여 업 데이트 또는 신규 설치하여야 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다수 등록된 경우에도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다운로드해 줄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상에는 일괄 다운로드 또는 일괄 업데이트를 요청하는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현재 다운로드 또는 설치되어 있는 기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황을 확인하여,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업데이트 또는 설치하여야 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태에 따라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미설치 상태이어서 다운로드를 요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경우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의 일측에 "New" 또는 "Download" 등과 같이 새로이 다운로드받아야 함을 알리는 문구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의 컬러, 위치, 형태 등을 변경시키거나, 껌벅거리도록 표시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새로이 다운로드 받아야 함을 알리는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구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도, "업데이트"와 같은 문구를 함께 표시하거나, 표시 속성을 변경하여 그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미설치 상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저장부(110)에 설치한다.
반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된 아이콘들 중 구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구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최신 버전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부(110)에 기 설치된 구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 컨테이너의 선택을 통해서만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통상의 단말 장치와 같이, 본 사용자 단말 장치(100)도 구비된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확인 및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메뉴" 기능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전체 기능들이 메뉴 트리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어부(120)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메뉴에 대해서는 히든(hidde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기능은 메뉴 트리에 포함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위치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산출부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도 있고, 3G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구비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해 낼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면, 그 지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 등록된 위치에 따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인증 매니저부(121), 다운로드 매니저부(122), 아이콘 구성 매니저부(123), 디스플레이 제어부(124), 상태 확인 매니저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매니저부(121)는 서버(200)와의 사이에서 인증을 받는 구성을 의미한다. 인증을 위하여, 인증 매니저부(121)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서버(200)는 전송받은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사용자,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를 인증하고, 다운로드 가능 여부를 결정하여 인증 결과를 인증 매니저부(121)로 전송하여 준다. 인증 매니저부(121)는 인증 결과에 따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진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인증 매니저부(121)에서 다운로드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전송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전송받는다.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수신되어 설치 및 실행되면,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다시 서버(200)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란 사용자 ID, 패스워드,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식별 정보(어플리케이션 ID), 버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전에 등록된 정보와,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비교하여 권한이 있는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제1 리스트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한 제2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제1 리스트 및 제2 리스트를 수신하여 리스트를 관리한다.
이와 같이, 리스트를 수신, 관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허브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리스트 매니저로 명명될 수도 있다.
한편,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메뉴나 파일 매니저 등과 같은 타 프로그램에서 접근할 수 없도록 보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비스 허브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메뉴 기능, 파일 찾기 기능 등과 같은 기능으로 접근할 수 없으며, 오직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히든 상태로 설정하여, 메뉴 트리 등에서 표시되지 않고, 검색 시에 검색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허브 보안 폴더 매니저(Hub Available Secure folder manager)로 명명할 수도 있다.
아이콘 구성 매니저부(123)는 제2 리스트, 즉, 아이콘 리스트를 참고하여 서버(200)로부터 아이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다. 이에 따라, 아이콘 데이터를 관리하여, 아이콘 컨테이너 또는 아이콘을 구성한다. 즉, 아이콘 구성 매니저부(123)는 제2 리스트에 따라, 제1 리스트 내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구성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24)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아이콘 컨테이너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제어부(124)는 아이콘 컨테이너에 포함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상태 확인 매니저부(125)는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현재 설치 상태에 따라 아이콘 컨테이너 내의 각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변경한다. 즉, 표시 속성을 변경하거나, "New", "Update", "변경 없음" 등과 같은 다양한 문구를 부가 표시한다. 예를 들어, 미설치 상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해서는 "New"와 같은 문구가 일측에 부가 표시되고, 구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해서는 "Update"와 같은 문구가 부가 표시되며,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해서는 "변경 없음"과 같은 문구가 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문구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 밖에 다양한 문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표시 속성에는 컬러, 크기, 형태,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비스 허브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어떠한 상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 아이콘의 상태에 대응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즉, 미설치 상태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저장부(110)에 설치한다.
또는, 구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다운로드 매니저부(122)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을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최신 버전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110)에 기 저장되어 있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시킨다.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 및 동작 >
도 6 및 도 7은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 LBS)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에 따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나,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 가능성을 제한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6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위치 산출부(16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에 대한 설명 중에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부(110)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기타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위치 산출부(16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는 GPS 정보, 3G 네트워크로부터 확인되는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 내에 마련된 지자기 센서 모듈 등으로부터 계산되는 위치 좌표 등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위치 정보 및 유효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한다. 즉, 위치 정보가 유효 지역 정보를 벗어났는지 여부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 가능성을 제한하거나 인증 결과를 조정하거나,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서비스 허브가 해당 단체에서 요청한 특정 지역, 즉, 유효 지역에서만 동작되어야 하는 보안적 제약을 가지는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 내에 존재한다면, 제어부(12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실행하여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표시하고, 해당 아이콘 컨테이너가 선택되면 그 아이콘 컨테이너 내에 포함된 아이콘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표시된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태에 따라, 신규 설치, 업데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같은 처리를 수행한다.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미설치 상태이거나 구버전으로 설치된 상태라면 신규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한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실시 예 또는 세팅 상태에 따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한다.
즉,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를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아이콘 컨테이너 자체를 화면 상에서 삭제하거나, 아이콘 컨테이너를 선택 불가능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선택되더라도 아이콘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제어부(120)는 해당 서비스 허브에 대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체 또는 일부를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하여, 그 아이콘을 삭제하거나 선택 불가능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유효 지역 정보는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서 수시로 설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유효 지역의 개수는 복수 개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위치 정보에 따른 인증/사용 통제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 지역이 복수 개이면, 각 유효 지역 별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인증/사용 통제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허브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a1, a2, a3, b1, b2, c1, c2와 같이 존재한다면, A 지역내에서는 a1, a2, a3만을 사용하고, B지역에서는 b1, b2만을 사용하며, C 지역에서는 c1, c2만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위치 정보에 기초한 제어부(120)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자체적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서버(200)가 개입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첫번째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자체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유효 지역 정보를 수신한다. 유효 지역 정보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수신될 수도 있으며, 최초 실행 시에 1회 수신된 후에 유효 지역 변경이 있을 때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유효 지역 정보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유효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에 따라, 유효 지역 내에 존재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반대로, 유효 지역 외에 존재한다면 제어부(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사용 가능성을 제한한다. 즉,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있다면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을 자동 종료시키고, 이후에 사용 가능성이 제한된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으면 그 실행 요청을 무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가능성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아이콘 컨테이너 또는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면, 그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은 활성화 상태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서버(20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마다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서버(200)는 단체에서 설정한 유효 지역 정보와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지원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사용 가능성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그 정보에 따라 사용 가능성을 제한하도록 한다.
사용 가능성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 이내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사용 가능 상태로 설정하고, 위치가 유효 지역 밖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사용 가능성 정보는 사용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해당 리스트에는 해당 서비스 허브에 대하여 제공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유효 지역 밖에서 사용 금지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제어부(120)는,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 가능성을 제한한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체가 사용 불능 상태이면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의 사용 가능성을 제한할 수도 있다.
첫번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 또는 상기 아이콘 컨테이너를 비활성화 상태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된 지점에서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서버(200)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유효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유효 지역 내에 존재할 때만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유효 지역 밖에서는 인증에 실패하게 된다.
이 경우, 서버(200)는 시간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즉, 서비스 허브가 등록된 시점이나, 단체와의 계약이 체결 또는 유효화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기간 동안에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에만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를 등록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저장부(110), 제어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입력부(140), 통신부(150), 위치 산출부(160)를 포함한다.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부(150)는 서버(120)에 연결되어,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고, 입력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 또는 커맨드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 구성이다.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위치 산출부(16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4와 동일하며, 그 구성들의 동작 역시 위치 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이외에는 도 4의 각 구성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기반 서비스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산출부(160)에서 산출된 위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여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20)에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다.
<상태 변경에 따른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 및 동작>
도 8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른 관리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마련된 제어부(120)는 인증 매니저부(121), 다운로드 매니저부(122), 아이콘 구성 매니저부(123), 디스플레이 제어부(124), 상태 확인 매니저부(125), 삭제 매니저부(126), 위치 관리 매니저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관리 매니저부(127)란 상술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실시 예에 따라서, 위치 관리 매니저부(127)는 도 8에서 삭제될 수도 있으며, 도 8과 같이 삭제 매니저부(126)와 함께 마련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삭제 매니저부(126) 및 위치 관리 매니저부(127)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는 도 5의 제어부(120)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삭제 매니저부(126)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삭제 또는 사용 불능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삭제 매니저부(126)는 서버(200)로부터 삭제 대상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수신하여, 그 리스트에 존재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삭제 매니저부(126)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삭제 대상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서버(200)로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삭제 매니저부(126)는 삭제 여부를 체크하는 별도의 데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삭제 대상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삭제 대상 프로그램의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즉, 삭제 매니저부(126)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즉, 기 다운로드 받았던 제1 리스트를 단말 고유 정보, 사용자 정보 등과 함께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전송된 제1 리스트 중에서 삭제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그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삭제 매니저부(126)는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삭제 매니저부(126)는 단말 고유 정보나 사용자 정보 등만을 서버(200)로 전송하여 주고, 서버(200)로부터 그에 기초하여 판단된 삭제 대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수신하여 삭제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삭제 매니저부(126)는 서버(20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서비스 허브에 대응되어 설정된 모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를 삭제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퇴사하였거나 기타 이유로 더 이상 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를 분실한 경우 등과 같이 보안 유지에 어려움이 있을 만한 상태 변경이 있으면, 서버(200)에 대해서 Wipe-out 요청을 할 수 있다. 서버(200)는 Wipe-out 요청이 있으면, 삭제 매니저부(126)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삭제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삭제 명령을 전송한다. 이러한 삭제 명령은, Wipe-out 명령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삭제 매니저부(126)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마다 서버(200)로부터 Wipe-out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체크할 수 있다.
또는, 삭제 매니저부(126)는 별도의 데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Wipe-out 명령의 수신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
삭제 매니저부(126)는 Wipe-out 명령이 수신되면, 모든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 밖에, 삭제 매니저부(126)는 아이콘 컨테이너나 아이콘 표시도 함께 삭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삭제 매니저부(126)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삭제하는 Kill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 및 데이터 전체를 일괄 삭제하는 Wipe-out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Kill 기능 및 Wipe-out 기능은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즉, 삭제 매니저부(126)는 Kill 기능을 수행하는 Kill 매니저부 및 Wipe-out 기능을 수행하는 Wipe-out 매니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에 대한 보안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Kill 기능 및 Wipe-out 기능은 서버(200)에 대한 단체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 이탈이나 인증 실패 등의 경우에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효 지역을 이탈하여 있거나, 기 설정된 횟수 이상 인증 또는 사용자 확인에 실패한 경우에도 Kill 또는 Wipe-out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권한을 가지지 못한 제3자가 허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매니저부(126)의 동작, 즉, Kill 기능 및 Wipe-out 기능은 제어부(120) 자체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50)를 통해 서버(200)로부터 삭제 대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나 Wipe-Out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설치 >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와 같은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화면(30) 상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에 대한 카테고리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30) 상에서 허브 서비스를 지원하는 "Enterprise Hub"(31)같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허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페이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허브가 등록된 단체들을 구분한 그룹들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9에 따르면, 화면(30) 상에는 "Medicine", "Education", "University" 등과 같은 그룹이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그룹(32)가 선택되면, 그 그룹(32)에 속하는 단체들 중 서비스 허브가 등록된 단체에 대한 정보(33, 34)가 화면(30) 상에 표시된다. 즉, "Medicine" 분야에서는 AA 병원과 BB 병원이 서버(200)와 계약을 맺고, 허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알 수 있다. 화면(30)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속한 단체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AA 병원의 근무자인 경우, AA 병원 메뉴(33)를 선택하면, 화면은 도 10과 같이 전환된다.
도 10에 따르면, AA 병원에 대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화면(30)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화면(30) 상에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고, 다운로드 메뉴(35)를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운로드 메뉴(35)가 선택되면 화면(30) 상에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팝업 창(36)이 표시된다. 이 경우, 도 10과 같이 팝업 창(36)과 함께 소프트 키보드(37)와 같은 입력 창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가 팝업 창(36) 상에서 터치 펜 등을 이용하여 직접 ID, 패스워드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서버(200) 및 단체 간의 계약 후에 서버(200)에서 단체에 대해 제공하거나, 단체의 운영자가 직접 선정한 정보일 수 있다. 단체의 운영자는 그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들에게 서면 또는 메일, 문자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공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200)로 사용자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고유 정보 등을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고유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에 성공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개시된다. 다운로드 중에는 다운로드 정도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화면(30)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화면(30) 상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설치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설치"메뉴(38)를 선택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설치되고, 화면(30) 상에는 아이콘 컨테이너(39)가 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이콘 컨테이너(39)가 선택되면, 아이콘 컨테이너(39)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콘(41)들이 전부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아이콘(41)의 표시 상태는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상태, 버전 정보 등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 서버의 구성 및 동작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따르면, 서버(200)는 프런트 서버부(210), 컨텐츠 서버부(220), 메인 서버부(230)를 포함한다.
컨텐츠 서버부(220)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런트 서버부(210)는 기업별, 업종별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권한을 관리하며, 초기화, 인증, 정책 수행 및 관리 등과 같은 선행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프런트 서버부(210)는 계약에 따른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컨텐츠 서버부(220)로의 서비스 라우팅을 수행한다.
즉, 프런트 서버부(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인증한 후, 그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적응적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메인 서버부(230)는 인증에 성공하면 컨텐츠 서버부(220)에 저장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과,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프런트 서버부(210)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의 요청에 의해 단체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아이콘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설정은 메인 서버부(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서버(200)의 관리자 또는 서버(200)에서 부여한 서버 계정을 통해 접속한 단체의 운영자 등은 메인 서버부(230)에 접속하여, 서비스 허브 생성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부(230)는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으면 서비스 허브를 생성하고, 그 서비스 허브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이 경우, 메인 서버부(230)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한 단체에 대하여 서버 계정을 할당하여, 그 서버 계정을 통해 액세스한 단체의 운영자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설정하고, 관리하도록 서버 공간을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또는, 메인 서버부(230)는, 단체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그 단체에 적응적으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또한 그 단체에 소속된 각 사용자들에 대해 제공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서버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었을 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였을 경우, 그 위치 정보 및 기타 고유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될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A 단체가 속한 위치에서 최초 실행된 경우, A 단체에 해당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하여 줄 수 있다.
그 밖에, 메인 서버부(230)는, 특정 사용자 단위에서 부하가 발생하면, 그 사용자 단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제한하도록 하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위란, 그 사용자가 속한 단체 그 자체가 되거나, 또는 단체의 조직 내에서 사용자가 속한 그룹이 될 수 있다. 그룹은 조직 구조 상의 부서나 과로 구분될 수도 있고 기타 기준, 예를 들어, 직급, 성별, 나이, 혼인 여부, 혈액형 등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메인 서버부(230)는 부하 발생의 사유 이외에 다른 사유가 있을 때에도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특정 단체로부터 계약 내용이 준수되지 않았거나, 서비스 중지 요청이 있거나, 단체가 소멸한 경우 등이 발생하면, 메인 서버부(230)는 해당 단체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접속을 제한하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프런트 서버부(210)는 메인 서버부(230)에서 수립된 다양한 정책에 따라, 접속 제한된 사용자 단위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을 시도하면, 그 시도를 무시하고 접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한편, 메인 서버부(230)는 특정 서비스에 대해 부하가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도록 하는 정책을 수립할 수도 있다. 즉, 단체 메일 서비스, 기차표 예약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과도하게 실행되어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해당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선택되더라도 실행되지 않도록 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서버 동작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프런트 서버부(210)는 메인 서버부(230)에서 수립된 서비스 제한 정책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을 제한할 수 있다.
그 밖에, 메인 서버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변경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메인 서버부(230)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런트 서버부(210)는 메인 서버부(230)의 설정 상태에 따라, 사용 불능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사용 가능성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Kill 기능을 설정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체,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각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일괄적으로 삭제하는 Wipe-out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프런트 서버부(210)는 설정된 기능에 따라 Kill 명령 또는 Wipe-out 명령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상술한 상태 변경 사실은, 단체의 운영자나 사용자로부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접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변경에는 사용자의 이직, 퇴직, 전근, 휴직 등과 같은 신변 상의 상태 변경 이외에, 기기의 분실, 고장, 교체 등과 같은 상태 변경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도, 메인 서버부(230)는 서비스 허브 별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서버부(230)는 특정 사용자 단위로 서비스 이용 현황을 산출하여, 서비스 이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용 현황에 대한 정보는 프런트 서버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직접 제공되거나, 메인 서버부(230)가 직접 단체 운영자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서비스 이용 현황에 대한 정보란, 단체, 즉, 기업 별, 서비스 그룹 별, 사용자 별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현황, 사용 빈도, 사용 시간, 사용 주기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메인 서버부(230)는 서비스 이용 현황 파악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각종 이벤트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실행, 실행 종료 등과 같은 이벤트를 정의할 수 있다. 서비스 운영시에, 메인 서버부(230)는 정의된 내용에 맞게 이벤트 발생 사실을 캐치(catch)한다. 이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 로그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로그 등을 분석하여 서비스 이용 현황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 이에 따라, 단체 내에서의 서비스 이용 현황, 사용자 및 조직 별 업무 진행 상황 등을 관리자 관점에서 용이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메인 서버부(230)는, 그룹 메일 서비스도 지원하여 줄 수 있다. 메인 서버부(230)는 단체의 운영자, 서버의 운영자,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특정 사용자 단위를 지정한 그룹 메일이 생성되어 전송 요청이 접수되면,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 단위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들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런트 서버부(230)는 메인 서버부(230)에서 설정된 사용자 단말 장치로 해당 그룹 메일을 전송한다.
그 밖에, 메인 서버부(230)는 공지 메시지가 생성되었을 경우에도, 그 공지 메시지에 대한 수신 권한을 가진 사용자 단말 장치들로 공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서버부(230)는 공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메인 서버부(230) 및 프런트 서버부(2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에 따르면, 서버(200)는 프런트 서버부(210), 컨텐츠 서버부(220), 메인 서버부(230) 및 오픈 서버부(240)를 포함한다.
프런트 서버부(210)는, 인증 매니저부(211), 서비스 핸들러부(212), 초기화 매니저부(213), 접속 제한부(214), 서비스 제한부(215)를 포함한다.
인증 매니저부(211)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그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인증 매니저부(211)는 수신된 정보를 복호화하여 복원한 후, 단체에서 제공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장치가 허브 서비스를 요청한 단체에 의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등록된 기기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인증 결과를 전송한다. 한편, 인증 매니저부(211)는 단체에서 제공된 정보를 메인 서버부(230)에 대해서 문의할 수도 있으나, 메인 서버부(230)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오픈 서버부(240)에 저장된 정보를 활용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서비스 핸들러부(21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해 제공될 각종 서비스를 관리하는 부분이다. 서비스 핸들러부(212)는 허브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이기종 간에도 서비스를 분기하여 수행하도록 핸들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핸들러부(212)는 인증 결과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전송한다. 이 경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그 사용자 단말 장치가 등록된 서비스 허브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것이다.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단체의 성격에 맞게 프로그램의 일부 기능, 웹 페이지 스킨,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일부 변경되고, 그 밖의 프로그램 기본 구조는 동일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핸들러부(212)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되어 인증 매니저부(211)에 의해 인증되면, 그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컨텐츠 서버부(220)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되도록 라우팅한다.
초기화 매니저부(213)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즉, 초기화 매니저부(213)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최초 접속 시에 오픈 서버부(240) 또는 메인 서버부(230)에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및 아이콘 리스트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IMEI 등과 같은 단말 고유 정보들은 오픈 서버부(240)나 메인 서버부(230)에 등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명의 또는 조직이 변경되거나, 서비스 허브 자체가 변경된 경우 오픈 서버부(240) 내에 마련된 오픈 허브 매니저(미도시), 오픈 유저 매니저(미도시)등의 정보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에 대한 정보나 단말 고유 정보 등을 재등록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초기화 매니저부(213)를 통해서 사용자는 자신이 근무하는 회사나 지역에 상관 없이 실시간으로 정확한 권한을 부여받고, 제공받을 서비스의 목록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IMEI 등과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알기 힘든 단말 고유 정보 등을 서버(200)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기화 매니저부(213)는 최초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경우,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은 단말의 고유 정보(예를 들어, IMEI 등)를 사용자 정보와 매핑시켜 저장하며, 메인 서버부(230)와 동기화된 오픈 서버부(240)의 기초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서비스 허브의 컨테이너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핸들러부(21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체크 요청이 수신되면, 신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 서비스 핸들러부(21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리스트, 즉,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일괄 전송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었을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제공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속한 그룹 또는 사용자 레벨에 대해서 제공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로, 초기화 매니저부(213)에 의해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제1 리스트 및 상기 제2 리스트는 반드시 초기화 매니저부(213)가 구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핸들러부(212)가 구성할 수도 있고, 메인 서버부(230)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리스트 및 제2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 장치, 단체, 그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상태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면 그 변경 내용에 맞게 재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접속 제한부(214)는 특정 사용자 단위에서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제한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즉, 허브 서비스를 수행하는 중에 장애 상황이 발생하면, 접속 제한부(214)는 단체, 즉, 기업 단위 또는 그룹 단위로 서비스 지원을 통제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메인 서버부(230)에 포함된 접속 제한 정책 수립부(232)는 통제 대상이 되는 서비스 허브를 등록하여 접속 제한 정책을 수립 및 실행할 수 있다. 접속 제한 정책이 실행되면, 접속 제한부(214)는 그 정책에 따라 통제 대상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접속 제한 정책을 이용함으로써, 특정 기업의 서비스에 과부하 또는 장애가 발생한 경우 실시간으로 해결할 수 있어 타 서비스로의 장애 확산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체 또는 그룹 별로 사용 제한을 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서버부(210)는 서비스 제한 특정 서비스에 대해 부하가 발생하면,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는 서비스 제한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한부(215)는 메인 서버부(230)에 포함된 서비스 제한 정책 수립부(233)에 의해 수립된 서비스 제한 정책에 따라, 컨텐츠 서버부(220)에 대한 대상 시스템의 접근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접근을 제한하여 서비스 제공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특정 서비스별로 사용 제한을 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서버부(220)는 컨테이너 저장부(221) 및 컨텐츠 저장부(222)를 포함한다.
컨테이너 저장부(221)는 허브 서비스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저장부(222)는 각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기타 컨텐츠들을 저장한다.
이러한 컨텐츠들은 그 속성에 따라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일 예로, 재무 관련 어플리케이션, 인사 관련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이 분야와 관계 없이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컨텐츠를 의미하는 공통 컨텐츠(Common contents), 병원, 학교, 기업 등과 같이 특정한 산업 분야 별로 관리되어야 하는 컨텐츠를 의미하는 산업 컨텐츠(industry contents), 특수한 기업에 대해 자체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는 컨텐츠를 의미하는 특수 컨텐츠(special contents)로 구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화학, 병원, 학교 등과 같이 분야 별로 구분되어 컨텐츠가 저장될 수도 있다.
컨텐츠 저장부(222)는 새로이 등록된 서비스 허브에 대해 부여되는 허브 ID를 이용하여 해당 단체의 세그먼트 그룹 리스트와 컨텐츠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그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도 1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컨텐츠 서버부(220) 내에도 컨텐츠 구성 매니저, 서비스 그룹 및 사용자 매니저, 인증 매니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에 앞서 인증을 수행한 후에 그 사용자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준이 되는 리스트는 프런트 서버부(210)나 메인 서버부(230)에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컨텐츠 서버부(220)가 자체적으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리스트를 생성하여 그에 부합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한편, 오픈 서버부(230)는 기업별, 업종별로 빠른 인증절차를 위하여 독립적으로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이다. 오픈 서버부(230)는 오픈 허브 매니저(미도시), 오픈 유저 매니저(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프런트 서버부(210)에서 인증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요청할 경우에, 그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오픈 서버부(230)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는 메인 서버부(230)에 기록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서버부(220)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 프런트 서버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등과 동기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픈 서버부(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제공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정보 및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백업 정보를 저장하여, 백업 정보를 공유 정보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메인 서버부(230)가 모든 정보를 관리하게 되면, 프런트 서버부(210) 측에서 매 인증시마다 메인 서버부(230)로 정보를 요청하여야 하는 바, 메인 서버부(230)에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픈 서버부(230)가 백업 정보를 관리하여, 인증 등이 수행될 때 그 정보를 제공하여 주게 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 또는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등이 최초 수신되면, 오픈 서버부(230)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구성할 기초 데이터를 제공한다.
그 밖에, 오픈 서버부(230)는 기업 정보 및 사용자 정보 등을 인증된 대외 기관에 제공하여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개발 업체 등과 같은 대외 기관에서, 각 단체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Open API로 노출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업체에서 편하게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줄 수 있으므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강 작업이 활발해 질 수 있다.
한편, 메인 서버부(230)는 허브 매니저부(231), 접속 제한 정책 수립부(232), 서비스 제한 정책 수립부(233), 위치 관리부(234), 사용자 정보 관리부(235), 서비스 라우팅부(236)을 포함한다.
허브 매니저부(231)는 서비스 제공 요청이 있을 때 서비스 허브를 등록하는 구성이다. 또한, 허브 매니저부(231)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한 단체가 직접 서비스 허브를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 계정을 할당해 줄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하는 단체가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단체인 경우, 그 단체 내부에 서비스 허브를 관리할 수 있는 인력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버(200) 운영자와의 계약을 통해 서버 계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체의 운영자는 서버(200)에서 지원하는 웹 페이지에서 자신에게 부여된 ID 및 패스워드등을 입력하여 자신의 서버 계정에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단체의 서비스 허브에서 사용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직접 설정하고, 서비스 허브에 등록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변경, 추가, 삭제하며, 위치 기반 서비스, 그룹 메일 서비스, 공지 메시지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설정 또는 사용할 수 있다.
단체 운영자에게 서버 계정이 할당된 경우, 그 운영자에게는 먼저 로그인 페이지가 표시된다. 즉, 단체의 운영자에게 로그인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1 페이지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영자가 로그인 페이지를 통해 단체에 대해 부여된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단체에 대해 적응적으로 생성된 관리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2 페이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관리 페이지는, 최초에는 서버 운영자가 마련하여 줄 수 있으나, 단체 운영자가 후발적으로 변경, 편집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 페이지에는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체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열람할 수 있는 제1 영역,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추가, 변경, 삭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제2 영역, 상기 단체에 대해 등록된 구성원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제3 영역, 상기 구성원 정보의 추가, 변경, 삭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제4 영역, 구성원 분류를 위한 제5 영역, 분류된 구성원 그룹에서 사용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지정하는 제6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 등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단체 운영자 뿐만 아니라 서버 운영자에 대해서도 유사한 형태의 로그인 페이지 및 관리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운영 인력이 부족한 중소 기업 또는 개인과의 계약에 있어서는 요청에 따라 서버(200) 운영자 측에서 서비스 허브를 관리하여 줄 수 있다. 이 경우, 허브 매니저부(231)는 서버(200) 운영자가 로그인하였을 때에도, 이상과 같은 관리 페이지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접속 제한 정책 수립부(232)는 단체 또는 그룹 별로 접속을 제한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 구성이고, 서비스 제한 정책 수립부(233)는 서비스 별로 이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구성이다. 접속 제한 정책 수립부(232) 및 서비스 제한 정책 수립부(233)에서 수립된 정책에 따라, 프런트 서버부(210)의 접속 제한부(214) 및 서비스 제한부(215)가 단말 장치의 접속 및 서비스 이용을 제한한다.
위치 관리부(234)는 위치 등록 및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부분이다. 위치 관리부(234)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초기 실행되었을 때, 그 위치 정보를 수신받아 등록해 둔다. 이에 따라, 해당 단말 장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거나, 그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함에 있어 참고한다.
또한, 위치 관리부(234)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변경하도록 한다. 여기서 유효 지역 및 사용 불능 상태가 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단체 또는 서버의 운영자의 요청이나, 사용자 정보의 변경 등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한, 유효 지역 역시 복수 개로 설정 가능하고 각 유효 지역마다 상이한 프로그램이 사용 불능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235)는 서비스 허브에 등록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정보를 관리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35)는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그 사용자의 상태 변경에 따라 Kill 기능 및 Wipe-out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235)는 서버(200)의 운영자, 단체의 운영자로부터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등에 기초하여, 상태 변경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기능을 설정하고, 프런트 서버부(210)는 그에 대응되는 조치를 수행한다. Kill, Wipe-out 기능에 대해서도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라우팅부(236)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적응적인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 적절하게 제공되도록 서비스를 라우팅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런트 서버부(210)의 인증 매니저부(211)에 의해 인증이 수행되어, 서비스 핸들러부(212)로부터 사용자 정보 등이 라우팅되면, 서비스 라우팅부(236)는 그에 맞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핸들러부(212)는 그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서버(200)의 각 구성은 서비스 허브를 제공한다. 도 12에서 각 구성요소의 배치 위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된 것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2의 서버는 인터페이스부, 저장부, 제어부와 같은 구성요소로 설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프런트 서버부(210), 메인 서버부(230), 컨텐츠 서버부(220)의 전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은 제어부에 의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 서비스 허브의 등록 및 관리 >
도 13 내지 도 19는 서비스 허브를 등록 및 관리하기 위한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따르면, PC와 같은 단말기를 통해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하면 로그인 화면(50)이 디스플레이된다. 즉, 서버(200)는 로그인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제1 페이지 데이터를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 서버의 웹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를 이하에서는 운영자라 칭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게 되면, 화면은 관리 페이지(50)로 전환된다. 관리 페이지(50) 상에는 허브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고객들을 분류한 메뉴들(51 내지 54)이 일측에 나열되고, 본 화면에는 현재 선택된 고객(기업)의 명단을 확인할 수 있는 리스트 메뉴(55) 및 그 고객에 대해 지원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메뉴(56)가 표시된다. 메뉴들(51 내지 54)은 단체 규모에 따라 구분되는 기업(enterprise), SME(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OHO(small office/home office)와, 어플리케이션 메뉴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측 메뉴들(51 내지 54) 중에서 하나의 메뉴를 선택한 후, 리스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스트 메뉴(55)가 선택되면, 화면(50) 상에는 허브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는 고객들의 명단과 그 상태, 국적, 등록 기기 대수 등과 같은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4는 어플리케이션 메뉴(56)가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60)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Common(61), Industry(62), Specialized(63)와 같은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나열된다.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면, 그 카테고리에 속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가 나열된다. 운영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리스트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지원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서버의 운영자는 도 13과 같은 관리 페이지(50)의 리스트에서 기업,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일부 서버 공간을 단체 운영자에게 할당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체의 운영자는 도 10의 로그인 페이지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도 15는 단체의 운영자에게 개별적으로 할당되어 제공되는 관리 페이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5와 같이, 서버의 운영자가 활용하는 관리 페이지와 달리, 단체 운영자에게 제공되는 관리 페이지는 그 서비스 허브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도 15에서, 관리 페이지(70)의 가장자리 측에는 사용자 관리(71), 서비스 그룹(72), 어플리케이션 관리(73)와 같은 메뉴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 중심부(74)에는 서비스 허브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단체의 운영자는 이러한 이미지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메뉴(71 내지 73)의 위치, 종류 등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71)가 선택되면, 화면은 도 16과 같이 전환된다
도 16에 따르면, 화면 상에는 본 서비스 허브에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16에서는 ID, Name, 상태 만을 도시하였으나, 이 밖에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 정보 및 직급, 부서, 성별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운영자는 리스트 상에서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여 그 사용자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사용자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퇴사한 경우, 운영자는 사용자의 상태를 퇴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20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되는 서비스를 차단한다. 즉,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삭제하기 위한 Kill 명령 또는 Wipe-out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 밖에, 운영자가 사용자의 부서를 타 부서로 변경하게 되면, 서버(200)는 변경된 부서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 및 그에 대한 아이콘 리스트를 새로이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와 아울러, 기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더이상 사용할 수 없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Kill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는 기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를 삭제하고,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6에서는 유효 지역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운영자는 유효 지역도 설정할 수 있다. 즉, 특정 사용자가 서울에서 부산 지역으로 전근을 가게 된 경우, 그 유효 지역을 "서울"에서 "부산"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산 이외의 지역에서는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운영자는 리스트 상에서 사용자의 변경, 추가, 삭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태 별로 소팅하거나, 검색할 수 있는 메뉴도 도 16과 같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7은 서비스 그룹(72)이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을 나타낸다. 서비스 그룹(72)이란 단체의 조직 구성에 따라 구분된다. 가령 도 17과 같이 단체가 병원인 경우, 각 부서 별(외과, 원무과, 경비실 등)로 서비스 그룹이 구분된다. 도 17의 리스트 상에서 운영자가 하나의 서비스 그룹을 선택하면, 해당 서비스 그룹에 속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및 그 서비스 그룹에 대하여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영자는 해당 서비스 그룹에서 사용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서버(200)는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실행하였을 때에는 그 서비스 그룹에 속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다운로드시키거나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도 18은 특정 서비스 그룹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관리를 위한 화면이다. 즉, 도 17과 같은 화면에서 특정 서비스 그룹이 선택되면, 도 18과 같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 따르면, 선택된 서비스 그룹에 대한 이름 및 ID가 상단에 표시되고, 그 서비스 그룹에 대해서 현재 지원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 형태로 표시된다. 운영자는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선택 상태를 변경하여, 서비스 그룹에 지원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9는 어플리케이션 관리(73) 메뉴가 선택되었을 때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9에 따르면, 소팅 기준에 따라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현재 지원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카테고리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스트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서버의 동작에 대한 흐름도의 설명 >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0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다(S2010). 이 과정에서, 인증, 위치 확인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운로드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아이콘 컨테이너를 디스플레이한다(S2020). 이에 따라, 아이콘 컨테이너가 선택되면(S2030), 아이콘 컨테이너에 포함된 각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한다(S2040).
아이콘 컨테이너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등록된 서비스 허브 및 그 서비스 그룹에 대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의미한다. 즉, 아이콘 컨테이너가 선택되면, 또는, 그 선택 이전에라도 사용자 단말 장치는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제1 리스트 및 그 아이콘에 대한 제2 리스트를 수신하여 아이콘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에 따르면, 서버에 접속하면(S2110),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페이지 데이터에 따라 화면을 구성한다. 사용자는 화면 상에서 자신이 다운로드받고자 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할 수 있다(S2120).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S2130),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2140). 서버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인증에 성공하면(S2150), 사용자 단말 장치는 서버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전송 요청을 발송하여(S2160),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S2170).
반면, 인증에 실패하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S2180).
도 22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아이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에 따르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실행되면(S2210), 고유 정보, 사용자 정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식별자 정보 등을 서버로 전송한다(S2220).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와 그 아이콘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한다(S2230).
이러한 상태에서, 아이콘 컨테이너가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아이콘 컨테이너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240). 이 때,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 상태, 버전 정보 등을 확인하여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변경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이콘을 선택하면(S2250),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태에 따라 적응적인 절차를 진행한다.
즉, 새로운 아이콘인 경우(S2260), 해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설치한다(S2270).
반면, 기존에 존재하던 아이콘이지만 구버전인 경우(S2280), 서버로 업데이트를 요청하여 기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한다(S2280).
반면, 최신 버전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된 상태라면,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바로 실행시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2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는 일 예를 설명한 것일 뿐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일괄적으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3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에 따르면, 위치 정보가 산출되면(S2310),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20). 이러한 판단의 주체는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서버로부터 유효지역 정보를 받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직접 판단할 수도 있고, 서버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서버가 등록된 유효 지역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효 지역을 이탈하였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의 사용 가능성을 제한한다(S2330). 사용 가능성의 제한 역시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서버로부터 사용 가능성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 불능 상태가 될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가 자체적으로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다시 유효 지역으로 복귀하였다면(S2340),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 불능 상태로 설정되었던 프로그램들의 사용 가능성을 다시 회복시킨다(S2350). 이러한 회복 역시, 실시 예에 따라서, 서버가 개입하여 명령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가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4는 상태 변경에 따른 서비스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에 따르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설치되어(S2410), 아이콘 컨테이너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S2420),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S2430), 사용자 단말 장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할 수 있다(S2440).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일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만을 삭제하거나,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자체 및 그들 프로그램의 실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모두 일괄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서버의 명령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4에서는 삭제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삭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 불능 상태로 처리될 수도 있다.
도 25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서버(200)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5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서버(200) 사이에서 인증(S2510)이 이루어지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전송된다(S2520). 그리고 나서, 일괄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전송된다(S2520).
한편, 단체 및 서버(200) 간에 사전 협약이 있었고,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제조사가 동일하거나 특정 계약 관계가 있는 경우라면, 그 단체로 판매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는 그 출시 시점에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미 탑재하여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면, 사용자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즉, 아이콘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각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메뉴나 파일 매니저 등에 의해서는 표시될 수 없고, 오직 아이콘 컨테이너 실행에 의해서만 확인할 수 있도록 히든 상태로 설정해 둘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서버(200)는 그 서비스 허브에 적응적인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주고(S2540), 서버는 그 위치 정보 및 유효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50). 이에 따라, 사용 가능성 정보를 전송하여 준다(S2560).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 가능성 정보에 따라 각종 프로그램의 사용 가능성을 제한한다(S2570).
한편, 서버(200)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어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S2580), Kill 명령 또는 Wipe-out 명령을 전송하여 줄 수 있다(S2590).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S2595).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접속 시도가 수신되면(S2610), 그에 대한 정책을 기초로 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2620). 즉, 접속 제한된 단체 또는 서비스 허브 자체가 등록되지 않은 단체에 소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접속 시도를 차단한다.
접속이 허용되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S2630), 다시 서비스 제한 정책을 기초로 하여 서비스 제공을 차단할 지 여부를 판단한다(S2640). 이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전송한다(S2650).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 따르면, 서비스 허브가 등록되면(S2710), 그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설정한다(S2720). 그리고 나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정한다(S273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별도 설정 없이,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디폴트로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전체를 일괄 설정할 수도 있고, 서버의 운영자 또는 단체의 운영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만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제공하고(S274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도 제공한다(S2750). 이 과정에서, 인증 등과 같은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 단위 또는 서비스 이용에 부하가 발생하였다면(S2760), 그 부하가 발생한 서비스 또는 사용자 단위에 대해 제한 정책을 수립한다(S2770). 이에 따라, 그러한 서비스를 요청한 단말 장치 또는 그 사용자 단위에 소속된 단말 장치가 접속 또는 프로그램 다운로드 등을 요청하면, 그러한 시도를 차단한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하여(S2780), 그 사용 가능성을 제한한다(S2790).
또한, 서버는, 상태 변경 여부를 수시로 또는 주기적으로 체크하여(S2800), 그에 따라 프로그램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삭제할 수도 있다(S2810). 이와 같이, 서버는 서비스 허브에 등록된 각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면서, 경우에 따라 그러한 서비스 이용을 차단하여, 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들이 보안을 유지하면서 편리하게 장치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 허브에 대해서 제공되는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일반 데이터와 같은 기본 컨텐츠도 서비스 허브 및 서비스 그룹 별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허브를 제공하고 있는 단체들에 대한 정보를 인증된 외부 기관과 공유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각 외부 기관들이 서비스 허브 및 각 단체들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버에 등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등록된 프로그램을 컨텐츠 서버부(220) 및 오픈 서버부(240) 등에 저장하고, 필요시에 각 서비스 허브 등에 제공하여 줌으로써, 서비스 허브의 편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개발 업체에는 서버에서 공유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버에 등록한다. 서버는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ID를 부여하고 관리한다. 또한, 서버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한 단체에 대해서는 서비스 허브 ID를 부여하여 서비스 허브를 등록한다. 특히,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고자 하는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해서는 서버 공간 자체를 할당하여 직접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관리를 대행해주기를 원하는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해서는 서버에서 직접 관리를 해줄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서버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는 기업과 같은 단체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는 B2B(Business to Business) 서비스로 명명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서비스 허브,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아이콘 컨테이너 등과 같은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복수의 서비스를 통합 관리 및 지원해주기 위한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동일한 의미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 또는 서버의 본체에 구비된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서비스 제공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장치 200 : 서버
110 : 저장부 120 : 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입력부
150 : 통신부 160 : 위치 산출부
210 : 프런트 서버부 220 : 컨텐츠 서버부
230 : 메인 서버부 240 : 오픈 서버부

Claims (39)

  1. 허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단체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유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 저장된 기기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서버에 대해 허브 서비스를 요청한 단체에 의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기기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상기 인증 결과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제1 리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한 제2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 요청 또는 상기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제공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속한 그룹 또는 사용자 레벨에 대해서 제공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 및 상기 제2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상기 단체, 상기 그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면 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사용자 단위에서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서비스에 대해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제공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백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백업 정보를 공유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체크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체크 요청에 따라 신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관련된 정보가 변경되면 상기 유효 지역, 상기 사용 불능 상태가 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효 지역은 복수 개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삭제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각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삭제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었을 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될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의해 일괄 관리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9. 허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저장된 컨텐츠 서버부;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기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프런트 서버부;
    상기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 서버부에 저장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과,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프런트 서버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메인 서버부;를 포함하는 서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단체에 적응적으로 생성된 프로그램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상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서버에 대해 허브 서비스를 요청한 단체에 의해 등록된 기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등록된 기기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인증 결과를 전송하는 인증 매니저부; 및,
    상기 인증 결과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핸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제1 리스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에 대한 제2 리스트를 구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초기화 매니저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들러부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들러부는,
    상기 제1 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제공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속한 그룹 또는 사용자 레벨에 대해서 제공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트 및 상기 제2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상기 단체, 상기 그룹,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설정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면 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특정 사용자 단위에서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위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제한하는 접속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접속 제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접속 제한 정책을 수립 및 실행하는 접속 제한 정책 수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특정 서비스에 대해 부하가 발생하면, 상기 서비스 제공을 제한하는 서비스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서비스 제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한 정책을 수립 및 실행하는 서비스 제한 정책 수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해서 제공되는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정보 및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백업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백업 정보를 공유 정보로 제공하는 오픈 서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핸들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체크 요청이 수신되면, 신규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 또는 업데이트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3.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유효 지역을 이탈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또는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 불능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지역 및 상기 사용 불능 상태가 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관련된 정보의 변경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상기 유효 지역은 복수 개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5.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삭제되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7.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상태 변경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각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삭제 명령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8.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이 최초 실행되었을 때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고유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사용될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해당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의해 일괄 관리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9. 제1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소속된 단체에 대해 제공되도록 설정된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프런트 서버부로 제공하고,
    상기 프런트 서버부는, 상기 제공된 정보들에 따라 상기 서비스 허브 프로그램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00095544A 2010-09-30 2010-09-30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8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544A KR101789691B1 (ko) 2010-09-30 2010-09-30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AU2011308192A AU2011308192B2 (en) 2010-09-30 2011-09-28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PCT/KR2011/007144 WO2012044064A2 (en) 2010-09-30 2011-09-28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US13/876,977 US20130204982A1 (en) 2010-09-30 2011-09-28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CA2808066A CA2808066A1 (en) 2010-09-30 2011-09-28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GB201304035A GB2496359B (en) 2010-09-30 2011-09-28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544A KR101789691B1 (ko) 2010-09-30 2010-09-30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820A true KR20120033820A (ko) 2012-04-09
KR101789691B1 KR101789691B1 (ko) 2017-10-26

Family

ID=4589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544A KR101789691B1 (ko) 2010-09-30 2010-09-30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04982A1 (ko)
KR (1) KR101789691B1 (ko)
AU (1) AU2011308192B2 (ko)
CA (1) CA2808066A1 (ko)
GB (1) GB2496359B (ko)
WO (1) WO201204406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155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WO2015020360A1 (ko) * 2013-08-08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90749A (ko) * 2019-07-24 2019-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5275B2 (en) 2012-02-09 2017-02-0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data into useful cloud information
US9477936B2 (en) 2012-02-09 2016-10-2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loud-based operator interface for industrial automation
KR20140048415A (ko) * 2012-10-12 2014-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전자편지지 다운로드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9786197B2 (en) 2013-05-09 2017-10-10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Using cloud-based data to facilitate enhancing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a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
US10026049B2 (en) 2013-05-09 2018-07-17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Risk assessment for industrial systems using big data
US9709978B2 (en) 2013-05-09 2017-07-1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Using cloud-based data for virtualization of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with information overlays
US9989958B2 (en) 2013-05-09 2018-06-05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Using cloud-based data for virtualization of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US9703902B2 (en) 2013-05-09 2017-07-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Using cloud-based data for industrial simulation
US9438648B2 (en) 2013-05-09 2016-09-06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Industrial data analytics in a cloud platform
TWI496070B (zh) * 2013-07-30 2015-08-11 Pegatron Corp 使觸碰點禁能之方法及電子裝置
WO2016043530A1 (en) 2014-09-18 2016-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via application
US11042131B2 (en) 2015-03-16 2021-06-2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Backup of an industrial automation plant in the cloud
US10496061B2 (en) 2015-03-16 2019-12-0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odeling of an industrial automation environment in the cloud
US11243505B2 (en) 2015-03-16 2022-02-08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loud-based analytics for industrial automation
US11513477B2 (en) 2015-03-16 2022-11-2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Cloud-based industrial controller
JP6984567B2 (ja) * 2018-08-24 2021-12-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認可システム及び認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4426A2 (en) * 2004-04-14 2005-11-03 Digital River, Inc. Geographic location based licensing system
KR100700882B1 (ko) * 2005-09-03 2007-03-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da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및 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US20080051076A1 (en) * 2006-08-25 2008-02-28 O'shaughnessy Joh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 Management
KR20080038790A (ko) * 2006-10-31 2008-05-07 권호안 Pc 어플리케이션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시스템 및 방법
US8347286B2 (en) * 2007-07-16 2013-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download requests received to download files from a server
US20090119678A1 (en) * 2007-11-02 2009-05-07 Jimmy Shih Systems and methods for supporting downloadable applications on a portable client device
EP2175612B1 (en) * 2008-10-08 2016-11-02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downloading and installation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upon registration and related methods
KR101297164B1 (ko) * 2008-10-28 2013-08-2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의 종단 단말기에 대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서비스 서버, 컨텐츠 중계 방법, 저장 매체, 어플리케이션 서버,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1053680B1 (ko) * 2009-04-13 2011-08-02 계영티앤아이 (주) 소프트웨어 관리장치 및 방법, 이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단말 및 이의 관리방법
US8117087B2 (en) * 2009-09-24 2012-02-14 Avaya Inc. Customer loyalty, product demonstration, and store/contact center/internet coupl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155A (ko) *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WO2015020360A1 (ko) * 2013-08-08 2015-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17891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78550B2 (en) 2013-08-08 2019-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gistering and certifyin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11436B2 (en) 2013-08-08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gistering and certifying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90090749A (ko) * 2019-07-24 2019-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등록 및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96359A (en) 2013-05-08
GB201304035D0 (en) 2013-04-17
CA2808066A1 (en) 2012-04-05
WO2012044064A3 (en) 2012-05-31
AU2011308192A1 (en) 2013-02-07
AU2011308192B2 (en) 2014-12-18
GB2496359B (en) 2015-05-13
WO2012044064A2 (en) 2012-04-05
WO2012044064A4 (en) 2012-07-19
US20130204982A1 (en) 2013-08-08
GB2496359A8 (en) 2013-05-22
KR101789691B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76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89691B1 (ko)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181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62660B1 (ko) 서버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US876298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JP4959282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稼働制御システ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稼働制御方法
US200900375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file transfer
US2014022357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license management method
KR102010421B1 (ko) 인증서 사용 관리 시스템 및 인증서 사용 관리 방법
KR20000052556A (ko) 외부 시스템 로그인을 위한 자동 서버 결정을 허용하는방법 및 장치
US20140122349A1 (en)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5988355B2 (ja) 携帯端末を用いた業務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0354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00233907A1 (en) Location-based file recommendations for managed devices
JP2007299295A (ja) 顧客情報登録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及び端末装置
US20130139240A1 (en) Networ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omputer program
JP201709115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43085A1 (en) Deploying data-loss-prevention policies to user devices
KR20120033943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JP711516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79443B1 (ko) 어플리케이션 기반 업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475204B2 (ja) フォルダ管理装置およびフォルダ管理システム
JP2023183941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202106066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4334411A (ja) 業務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