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475A -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475A
KR20120033475A KR1020100094999A KR20100094999A KR20120033475A KR 20120033475 A KR20120033475 A KR 20120033475A KR 1020100094999 A KR1020100094999 A KR 1020100094999A KR 20100094999 A KR20100094999 A KR 20100094999A KR 20120033475 A KR20120033475 A KR 2012003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ecess
locking
protrusion
rec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8703B1 (ko
Inventor
이정수
한정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펀
Priority to KR2010009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7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헤드보드와 풋보드 사이의 양측에 측판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보드와 풋보드 및 측판의 내부에 매트리스 지지부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헤드보드는 내부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1걸림요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걸림요부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제1안착요부가 형성된 헤드보강부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풋보드는 내부 양측에 상기 제1걸림요부와 마주보는 제2걸림요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걸림요부 사이에 상기 제1안착요부와 마주보는 제2안착요부가 형성된 풋보강부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측판은 내측에 상기 제1안착요부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3안착요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판의 일측 끝에 제1걸림돌부가 형성되어지며, 타측끝에 제2걸림돌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헤드보드의 제1걸림요부가 상기 제1걸림돌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풋보드의 제2걸림요부가 상기 제2걸림돌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삽입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COUPLING STRUCTURES OF BED FRAME}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헤드보드, 풋보드, 측판 및 매트리스 지지부가 별도의 고정금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지 않고 각각 걸림요부와 걸림철부에 의하여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각 모서리의 지지기둥에 전후방향 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용접하거나,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조립한 다음, 각 받침대를 서로 작은 지지간 등으로 연결하여서 프레임을 형성한 다음, 그 위에 바닥판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매트리스를 얹어놓고 사용하여 왔다.
이때 사이드프레임에는 바닥판 지지돌기를 볼트나 너트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지지돌기 위에 바닥판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매트리스를 얹어놓는 구조이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매트리스에 작용하는 하중 등에 의해 사이드프레임의 휨 변형 등을 방지하고, 상부하중을 부담하기 위하여 지지돌기에 볼트나 너트 등에 의해 지지간을 고정하고, 매트리스에 작용하는 수직하중도 어느 정도 부담하기 위하여 지지간에 별도의 다리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침대는 지지돌기가 사이드프레임에 돌출하여 볼트나 너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고, 지지돌기 위에 바닥판이 설치되어 매트리스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지지돌기가 변형되어 사이드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염려가 있었다.
또한, 지지간은 지지돌기나 사이드프레임에 볼트나 너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체 프레임의 조립에 있어서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설치에 시간이 더욱 걸리고 조립이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돌기나 지지간에 바닥판을 설치하는 때에 하나 또는 복수의 바닥판을 작업자가 모서리를 잡고서 지지돌기에 일부 모서리를 걸친 후 다른 모서리 부분을 얹어놓는 방식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시 부상을 입을 염려가 있고, 다른 모서리 부분을 얹어놓을 때에 천천히 안정되게 작업을 할 수 없고 급격히 얹어놓게 되므로 먼지등이 발생하거나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전후방 프레임을 사이드프레임에 볼트나 너트 등에 의해 고정하는 구조이나, 대부분의 침대의 배치나 침대 사용자의 습성을 고려하면 사용자의 머리부분이 위치하는 후방프레임은 벽쪽에 붙여 배치하기 때문에 미관상 그다지 문제가 없었으나, 전방 프레임의 경우는 사용시 노출되는 부분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볼트나 너트 등 조립기구가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시 매트리스의 하중을 받는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침대 프레임의 조립 공정을 줄여 설치가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매트리스 받침판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정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먼지 등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고, 볼트와 너트 또는 고정금구 등이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풋보드와 측판의 외부를 미려하게 하여 인테리어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사이의 양측에 측판(30)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및 측판(30)의 내부에 매트리스 지지부(4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헤드보드(10)는 내부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1걸림요부(1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걸림요부(11)(11')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제1안착요부(121)가 형성된 헤드보강부재(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풋보드(20)는 내부 양측에 상기 제1걸림요부(11)(11')와 마주보는 제2걸림요부(21)(2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걸림요부(21)(21') 사이에 상기 제1안착요부(121)와 마주보는 제2안착요부(221)가 형성된 풋보강부재(2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측판(30)은 내측에 상기 제1안착요부(121)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3안착요부(3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판(30)의 일측 끝에 제1걸림돌부(32)가 형성되어지며, 타측끝에 제2걸림돌부(3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헤드보드(10)의 제1걸림요부(11)가 상기 제1걸림돌부(32)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풋보드(20)의 제2걸림요부(21)(21')가 상기 제2걸림돌부(33)에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삽입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0)는 세로지지부재(41)와 가로지지부재(4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세로지지부재(41)는 일측에 제3걸림돌부(411)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4걸림돌부(412)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보강부재(12)의 제1안착요부(121)에 상기 제3걸림돌부(411)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풋보강부재(22)의 제2안착요부(221)에 제4걸림돌부(41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3걸림돌부(411)와 제4걸림돌부(412)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세로홈(41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로부재(42)는 일측에 제5걸림돌부(421)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6걸림돌부(42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5걸림돌부(421)와 제6걸림돌부(422) 사이에 하부가 개방된 가로홈(4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판(30)의 제3안착요부(31)에 각각 제5걸림돌부(421)와 제6걸림돌부(42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세로홈(431)의 하부가 가로홈(423)에 삽입되어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지지부재(41)는 하부에 다수개의 받침부재(43)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걸림요부(11)(11')(21)(21')와 제1,2,3안착요부(121)(221) (31)는 더브테일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2,3,4,5,6걸림돌부(32)(33)(411) (412)(421)(422)는 더브테일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판(30)의 제3안착요부(31) 상부에는 외측 상부로 유동방지턱(3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0)의 상부와 유동방지턱(34)에 매트리스 받침판(50)이 안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0)는 내부 공간에 수납함(60)이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헤드보드, 풋보드, 측판 및 매트리스 지지부가 별도의 고정금구 등을 이용하여 결합되지 않고 각각 걸림요부와 걸림철부에 의하여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높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매트리스의 하중을 받는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침대 프레임의 제조 및 조립공정을 줄이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매트리스 받침판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천천이 안정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매트리스 받침판을 떨구듯이 설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먼지 등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침대 프레임의 조립에서 볼트와 너트 또는 고정금구 등이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풋보드와 측판의 외부를 미려하게 하여 인테리어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 매트리스를 제거한 상태시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 매트리스 받침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2의 A-A선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7은 도2의 B-B선 단면도.
도8은 도2의 C-C선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는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사이의 양측에 측판(30)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및 측판(30)의 내부에 매트리스 지지부(40)가 볼트와 너트 또는 고정금구 등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헤드보드(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패널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측은 만곡된 형태를 가지며 양측은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상측과 외측이 만나는 상부 모서리는 오목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미관을 높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갖는 헤드보드(10)의 내부 양측 즉, 풋보드(20)를 마주보는 곳의 양측 하부에는 하부가 개방되어지며 헤드보드(10)의 중간까지 형성된 제1걸림요부(11)(11')가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걸림요부(11)(11')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되어지며 하부로 향하는 제1안착요부(121)가 형성된 헤드보강부재(12)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안착요부(121)의 길이는 헤드보강부재(12)의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헤드보강부재(12)의 전체 높이에 절반까지의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걸림요부(11)(11')는 후술하는 제1걸림돌부(32)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더브테일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걸림돌부(32)는 더브테일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걸림돌부(32)의 상부는 만곡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용이하게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풋보드(20)는 측판(30)의 일측이 헤드보드(10)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측판(30)의 타측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도시한 매트리스가 풋보드(20)의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풋보드(20)의 내부 양측 즉, 헤드보드(10)와 마주보는 곳에 상기 제1걸림요부(11)(1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갖는 제2걸림요부(21)(21')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2걸림요부(21)(21') 사이에는 상기 제1안착요부(121)와 마주보는 제2안착요부(221)가 형성된 풋보강부재(22)가 결합되어 풋보드(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매트리스 받침판(50)이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걸림요부(21)(21')는 하부가 개방되어지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상부는 풋보드(20)의 상부에 근접된 곳까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안착요부(221)는 상부가 개방되어지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풋보강부재(22)의 강도를 고려하여 풋보강부재(22)의 전체 높이에 대하여 중간까지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걸림요부(21)(21')와 제2안착요부(221)은 더브테일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측판(30)의 타측에 형성된 제2걸림돌부(33)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지고, 중간부분에 형성된 제2안착요부(221)는 후술하는 세로지지부재(41)의 타측에 형성된 제4걸림돌부(412)가 상부에서 하부로 용이하게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판(30)은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내측에 상기 제1안착요부(121)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3안착요부(3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판(30)의 일측 끝에 제1걸림돌부(32)가 형성되어지며, 타측끝에 제2걸림돌부(33)가 형성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보드(10)의 제1걸림요부(11)가 상기 제1걸림돌부(32)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풋보드(20)의 제2걸림요부(21)가 상기 제2걸림돌부(33)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판(30)의 제3안착요부(31) 상부에는 외측 상부로 유동방지턱(3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매트리스 지지부(40)의 상부와 유동방지턱(34)에 의하여 매트리스 받침판(50)이 안정되게 안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0)는 미도시한 매트리스가 안정되게 지지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및 측판(30)이 유동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세로지지부재(41)와 가로지지부재(42)로 이루어져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및 측판(30)의 내측으로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지지부재(41)는 가로의 길이에 비해서 세로의 길이가 긴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일측에 더브테일돌기의 형태를 갖는 제3걸림돌부(411)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4걸림돌부(4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보강부재(12)의 제1안착요부(121)에 상기 제3걸림돌부(411)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지지부재(41)는 하부에 다수개의 받침부재(43)가 결합되어 바닥에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짐으로써, 통풍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가운데 가운데 하중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풋보강부재(22)의 제2안착요부(221)에 제4걸림돌부(41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3걸림돌부(411)와 제4걸림돌부(412) 사이에는 상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세로홈(41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가로부재(42)는 일측에 더브테일돌기의 형태를 갖는 제5걸림돌부(421)가 형성되어지며, 타측 역시 동일한 형태를 갖는 제6걸림돌부(42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5걸림돌부(421)와 제6걸림돌부(422) 사이에 하부가 개방된 가로홈(42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측판(30)의 제3안착요부(31)에 각각 제5걸림돌부(421)와 제5걸림돌부(42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세로홈(431)의 하부가 가로홈(423)에 삽입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걸림요부(11)(11')(21)(21')와 제1,2,3안착요부(121) (221)(31)는 더브테일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2,3,4,5,6걸림돌부(32)(33)(411)(412)(421)(422)는 더브테일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지지부재(41)와 가로지지부재(42)가 결합된 각각의 사이로 제공되는 내부 공간에는 별도의 수납함(60)이 삽입되어짐으로써, 침대 하부의 공간을 더 활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트리스 받침판(50)은 다수개로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용이하게 매트리스 지지부(40)에 얹혀질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매트리스 받침판(50)은 양측이 측판(30)의 상부에 형성된 유동방지턱(34)의 내측에 안착되어지며, 다른 양측은 헤드보강부재(12)나 풋보강부재(22) 및 가로지지부재(42)의 상부에 맞대어지게 안착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침대 프레임은 먼저, 하나의 측판(30)을 세운 상태에서 헤드보드(10)를 세워 헤드보드(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된 제1걸림요부(11)의 하부가 제2걸림돌부(32)에 일치되어지도록 한 후 헤드보드(10)를 내려 놓는 것으로 제1걸림돌부(32)에 제1걸림요부(11)가 삽입되게 결합 된다.
다음, 다른 측판(30)을 세운상태에서 헤드보드(10)의 타측을 들어 헤드보드(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제1걸림요부(11')의 하부가 다른 측판(30)에 형성된 다른 제1걸림돌부(32)에 일치되어지도록 한 후 헤드보드(10)를 내려 놓는 것으로 제1걸림돌부(32)에 제1걸림요부(11')가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다음, 풋보드(20)를 들어 풋보드(20)의 양측에 형성된 제2걸림요부(21)(21')의 하부가 각각의 측판(30) 타측에 형성된 제2걸림돌부(33)의 상부에 일치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풋보드(20)를 내려 놓는 것으로 제2걸림돌부(33)에 제2걸림요부(21)(21')가 각각 결합되어지게 된다.
다음, 세로지지부재(41)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제3걸림돌부(411)와 제4걸림돌부(412)의 하부가 각각 헤드보강부재(12)에 형성된 제1안착요부(121)의 상부와 풋보강부재(22)에 형성된 제2안착요부(221)의 상부에 일치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세로지지부재(41)를 누름에 따라 제1안착요부(121)에 제3걸림돌부(411)가 결합되어지며, 제2안착요부(221)에 제3걸림돌부(411)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때 세로지지부재(41)의 하부에 결합된 받침부재(43)가 바닥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가로지지부재(42)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제5걸림돌부(421)와 제6걸림돌부(422)가 측판(30)에 형성된 제3안착요부(31)의 상부에 일치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가로지지부재(42)를 누르면 제3안착요부(31)에 제5걸림돌부(421)와 제6걸림돌부(422)가 끼워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로지지부재(42)의 하부에 형성된 가로홈(423)이 세로지지부재(41)에 형성된 세로홈(413)을 경유한 후 가로홈(423)에 세로홈(413)의 하부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다음, 수납함(60)을 세로지지부재(41)와 가로지지부재(42)가 결합된 사이로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되어지도록 한 후 이어 매트리스 받침판(50)을 올려 놓는 것으로 침대 프레임의 조립이 마무리된다. 이어 미도시한 매트리스를 매트리스 받침판(50)의 상부에 올려 놓으면 된다.
본 발명에서 측판(30)의 내측으로 형성된 제2안착요부(31)가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30)과 동일한 형태 즉, 측판(30)의 내면에 제2안착요부(31)가 직접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헤드보드 11,11':제1걸림요부
12:헤드보강부재 20:풋보드
21,21':제2걸림요부 22:풋보강부재
30:측판 31:제3안착요부
32:제1걸림돌부 33:제2걸림돌부
40:매트리스 지지부 121:제1안착요부
221:제2안착요부

Claims (6)

  1.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사이의 양측에 측판(30)이 각각 결합되어지고, 상기 헤드보드(10)와 풋보드(20) 및 측판(30)의 내부에 매트리스 지지부(40)가 결합되어지게 구성된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헤드보드(10)는 내부 양측에 하부가 개방된 제1걸림요부(11)(1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걸림요부(11)(11')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제1안착요부(121)가 형성된 헤드보강부재(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풋보드(20)는 내부 양측에 상기 제1걸림요부(11)(11')와 마주보는 제2걸림요부(21)(2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2걸림요부(21)(21') 사이에 상기 제1안착요부(121)와 마주보는 제2안착요부(221)가 형성된 풋보강부재(2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측판(30)은 내측에 상기 제1안착요부(121)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제3안착요부(3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판(30)의 일측 끝에 제1걸림돌부(32)가 형성되어지며, 타측끝에 제2걸림돌부(33)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헤드보드(10)의 제1걸림요부(11)가 상기 제1걸림돌부(32)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며, 상기 풋보드(20)의 제2걸림요부(21)(21')가 상기 제2걸림돌부(33)에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삽입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0)는 세로지지부재(41)와 가로지지부재(42)로 구성되어지되, 상기 세로지지부재(41)는 일측에 제3걸림돌부(411)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4걸림돌부(412)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보강부재(12)의 제1안착요부(121)에 상기 제3걸림돌부(411)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풋보강부재(22)의 제2안착요부(221)에 제4걸림돌부(41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3걸림돌부(411)와 제4걸림돌부(412) 사이에 상부가 개방된 다수개의 세로홈(41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로부재(42)는 일측에 제5걸림돌부(421)가 형성되어지며, 타측에 제6걸림돌부(42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5걸림돌부(421)와 제6걸림돌부(422) 사이에 하부가 개방된 가로홈(42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측판(30)의 제3안착요부(31)에 각각 제5걸림돌부(421)와 제6걸림돌부(42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게 결합되어짐과 동시에 상기 세로홈(431)의 하부가 가로홈(423)에 삽입되어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부재(41)는 하부에 다수개의 받침부재(43)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걸림요부(11)(11')(21)(21')와 제1,2,3안착요부(121)(221)(31)는 더브테일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2,3,4,5,6걸림돌부(32)(33) (411)(412)(421)(422)는 더브테일돌기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30)의 제3안착요부(31) 상부에는 외측 상부로 유동방지턱(3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0)의 상부와 유동방지턱(34)에 매트리스 받침판(50)이 안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지지부(40)는 내부 공간에 수납함(60)이 삽입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100094999A 2010-09-30 2010-09-30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188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4999A KR101188703B1 (ko) 2010-09-30 2010-09-30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4999A KR101188703B1 (ko) 2010-09-30 2010-09-30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475A true KR20120033475A (ko) 2012-04-09
KR101188703B1 KR101188703B1 (ko) 2012-10-05

Family

ID=46136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4999A KR101188703B1 (ko) 2010-09-30 2010-09-30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7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41A (ko) * 2018-04-30 2019-11-07 김덕호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KR20200093124A (ko) * 2019-01-26 2020-08-05 주식회사 알파벳컴퍼니 자작나무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침대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988B1 (ko) * 2013-05-09 2015-06-05 김종기 폭 조절이 가능한 침대프레임
KR20170001749U (ko) 2015-11-11 2017-05-19 최육근 헤드 보드 및 매트리스 지지보드에 고정되는 지지다리 겸용 지지브라켓
KR102551475B1 (ko) 2021-11-04 2023-07-05 주식회사 가보건강침대 다기능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5841A (ko) * 2018-04-30 2019-11-07 김덕호 2중 매트리스 기능을 가진 침대 프레임
KR20200093124A (ko) * 2019-01-26 2020-08-05 주식회사 알파벳컴퍼니 자작나무합판을 이용한 조립식 침대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703B1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703B1 (ko) 침대 프레임의 결합구조
US9247825B2 (en) Wrap around bed frame
KR200451584Y1 (ko) 확장형 창틀 지지용 브래킷
AU2015209088A1 (en) Wrap around bed frame
KR200478132Y1 (ko) 결합이 용이한 침대 프레임
KR101554022B1 (ko) 납골안치단
US8011401B1 (en) Toilet bowl protecting method and assembly
KR200448107Y1 (ko) 책상일체형 침대
CN210300103U (zh) 一种储物柜拼装结构
KR102386310B1 (ko) 작업 계단
US9579993B2 (en) Seat device
JP527701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0787189B1 (ko) 침대 조립체
KR200409984Y1 (ko) 침대용 받침프레임
JP4227455B2 (ja) 机装置及び机装置群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KR101807880B1 (ko) 마감판재가 구비된 침대프레임
KR200416881Y1 (ko) 장롱의 레일 보강구조
JP2013106694A (ja) 椅子
JP4174067B1 (ja) 階段下の引き出し式収納
JP6741928B1 (ja) 窓手摺
KR200480310Y1 (ko) 조립식 평상
JP4085838B2 (ja) カウンターの支持構造
CN213550787U (zh) 一种便于拆装弹簧坐框的沙发底座结构
KR200438384Y1 (ko) 의자의 등좌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