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466A - 과열증기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과열증기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466A
KR20120033466A KR1020100094987A KR20100094987A KR20120033466A KR 20120033466 A KR20120033466 A KR 20120033466A KR 1020100094987 A KR1020100094987 A KR 1020100094987A KR 20100094987 A KR20100094987 A KR 20100094987A KR 20120033466 A KR20120033466 A KR 20120033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inner space
storage tank
superheated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유키데루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김성욱
유키데루 무라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욱, 유키데루 무라카미 filed Critical 김성욱
Priority to KR102010009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466A/ko
Publication of KR2012003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증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습을 위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증기의 생성을 위한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생성유닛; 이 포함되고, 상기 생성유닛은, 외형을 이루면서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면서 내부 공간에서 보관되는 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를 가지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탱크; 및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되는 물을 더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가지며, 상기 제2가열부에 의해 과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분사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에 의하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는 증기의 입자 크기가 줄어 증기의 확산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과열증기에 의해 무균 상태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Description

과열증기 발생장치 {Generator of superheated steam}
본 발명은 과열증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습을 위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 공기에 적당한 습도를 가하여 실내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가습기에 의해 공기 중의 습도를 유지함으로써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고, 호흡 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사용되는 가습기는 공기 정화 기능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부가 기능에 의해 더욱 향상된 효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가습을 위하여 상기 가습기에서 발생시키는 수증기는 물을 입자화하여 가습하는 가습기와, 초음파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를 분무하여 가습하는 가습기, 히터 또는 전극봉 등으로 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공급하여 가습하는 가습기 등이 있다.
가열식 가습기의 경우 액체 상태의 물을 끓는 점까지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공급하여 실내 공간을 가습하게 된다. 이처럼, 액체 상태의 물을 끓는 점까지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공급하게 되는 경우 입자가 큰 수증기 분자에 의해 침투력이 저하되며, 식물의 잎 표면에서 수막 현상 등이 발생하여 식물의 성장 및 호흡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수증기는 압력을 일정하게 두고 액체의 물을 가열하면 온도가 올라가고,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액체의 물은 기체 상태로 상태가 변환되어 증발하기 시작한다. 이때 기체 상태의 물을 수증기라 한다.
물이 증발하기 시작하게 될 때 다시 가열하면 전부가 증발할 때까지는 온도가 변화하지 않고, 액체와 기체가 공존한다. 계속 가열하게 되는 경우 액체 상태의 물이 모두 증발하여 기체 상태로 상태가 변환되고, 이를 건조포화증기라고 하며, 이러한 건조포화증기를 한번 더 가열하면 증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를 과열증기라 한다.
즉, 일정한 압력에서 물을 가열하게 되면, 액체 상태의 물이 끓으면서 기체 상태로 상태가 변환되고, 상태가 변환된 수증기를 한번 더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가습을 위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는, 증기의 생성을 위한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생성유닛; 이 포함되고, 상기 생성유닛은, 외형을 이루면서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면서 내부 공간에서 보관되는 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를 가지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탱크; 및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되는 물을 더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가지며, 상기 제2가열부에 의해 과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분사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는, 내부 공간에 물이 저장되어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부 공간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유동하면서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 상반부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하방으로 유동하는 수용탱크;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 공간에 하반부가 위치하고,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방으로 유동하는 분사탱크; 및 상기 분사탱크의 외면을 따라 위치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상기 분사탱크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에 의하면, 제1,2 가열부에 의해 과열증기가 생성되고, 이러한 과열증기에 의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는 수분의 입자 크기가 줄어 열의 전달속도와 침투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증기의 확산력이 향상됨으로써 실내 공간의 절대습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과열증기에 의해 무균 상태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어, 병원 또는 학교, 공공시설 등의 무균 상태의 습도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증기 입자의 크기가 줄어들어 실내 공간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잎에 수막 현상을 방지하여 식물의 호흡이 원활하게 함으로써 식물의 수명 연장 및 생장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증기 입자의 크기가 줄어들어 증기 입자에 의한 건물의 결로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건물의 결로 현상 방지로 인해 건물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생성유닛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생성유닛에서 유체의 유동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은 과제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해 과열증기 발생장치를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과열증기를 발생시키는 모든 발생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생성유닛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생성유닛에서 유체의 유동 방향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내부 공간에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10)와, 상기 급수탱크(1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생성유닛(30)과 상기 급수탱크(10)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생성유닛(30)으로 안내하는 안내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탱크(1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급수탱크(10)의 내부 공간에는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1)가 더 제공된다.
상기 센서(11)에 의해 상기 급수탱크(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감지되어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습을 위한 실내 공간에는 상기 급수탱크(10)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생성유닛(30)이 위치한다. 상기 생성유닛(30)에는 상기 급수탱크(10)에서 공급되는 물을 내부 공간에 보관하는 저장탱크(40)와,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수용탱크(50)와, 일부가 상기 저장탱크(4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분사탱크(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저장탱크(4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고, 소정의 지름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4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 저장탱크(40)의 하면은 개방되고, 개방된 하면에는 선택적으로 개방된 하면을 개폐하는 하면커버(41)가 제공된다.
상기 하면커버(41)의 중앙부에는 다음에 설명할 제1가열부(43)가 수용되는 제1가열부커버(42)가 제공된다. 상기 제1가열부커버(42)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가열부커버(42)의 내부 공간은 상기 하면커버(41)의 하방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제1가열부(43)가 수용된다.
상기 제1가열부커버(42)의 하단부는 상기 하면커버(41)의 상면에 밀접하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탱크(40)의 측면 하단부에는 상기 급수탱크(10)에서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장탱크(40)로 안내하는 안내관(20)과 체결되는 유입구(44)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44)는 가로 방향으로 누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이 비어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유입구(44)에 상기 안내관(20)의 한쪽 끝 부분이 체결되면서, 상기 급수탱크(10)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구(44)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유체인 물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유입구(44)가 상기 저장탱크(40)의 측면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며, 이처럼, 유체가 상방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은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가열부(43)에 의해 가열되면서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서 유체가 하방으로 유동하게 되면,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유동하는 속도가 증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가열부(43)에 의해 유체가 가열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1가열부(43)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지며, 대략 1.0 내지 1.5 킬로와트(KW)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처럼 외부에서 전력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고, 이러한 발열에 의해 상기 제1가열부커버(42)가 가열되면서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이 가열된다.
이때, 상기 제1가열부(43)는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는 어떠한 형태의 히터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만, 공급되는 전력과 사용의 편의성으로 인해 열선히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 상반부에는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탱크(50)가 위치한다. 상기 수용탱크(50)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의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탱크(50)의 개방된 상면은 상기 저장탱크(40)의 상면으로 상기 저장탱크(40)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소정 거리만큼 높이 차를 가진다. 이러한 높이 차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가열부(43)에 의해 가열된 유체가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물론, 상기 수용탱크(50)의 상단부가 테두리 부분을 따라 톱니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수용탱크(50)의 상단부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만, 톱니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수용탱크(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량이 줄어들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수용탱크(50)의 상단부로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는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에서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다음에 설명할 제2가열부(61)에 의해 가열되면서 하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에는 하단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분사탱크(60)가 제공된다. 상기 분사탱크(6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부는 측방으로 절곡되어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상기 생성유닛(30)의 외부 공간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사탱크(60)는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측방으로 절곡되는 끝 부분은 개방되어 내부 공간의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분사구가 된다.
또한, 측방으로 절곡되는 끝 부분에는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될 때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끝 부분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기도 하며, 노즐 형태의 분사부재가 더 제공되어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속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탱크(60)의 하단부는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 하단부에서 소정의 거리를 가지면서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떨어지는 공간으로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는 유체가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분사구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구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기체 상태에서 외부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분사탱크(60)의 외면에는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는 유체와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6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가열부(61)는 상기 분사탱크(60)의 외면을 따라 코일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2가열부커버의 내부 공간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가 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가열부(61)에 제공되는 상기 전기히터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전기히터이면 어떠한 형태로 제공되어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다만, 코일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제2가열부커버의 내부 공간을 따라 위치하기 위하여 선 형태의 전기히터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가열부커버는 코일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 즉, 다수의 상하 방향으로 긴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하며,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탱크(60)의 외면에 상기 제2가열부(61)가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제2가열부(61)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상기 수용탱크(50)와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는 유체가 가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가열부(43)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고, 상기 수용탱크(50)의 하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제2가열부(61)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제2가열부(61)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유체는,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을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2가열부(61)에 의해 더 가열되어 과열증기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관(20)에는 수위밸브(21)와 메인밸브(22)가 제공된다. 상기 수위밸브(21)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유체의 수위에 의해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체의 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밸브(22)는 상기 급수탱크(1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의 유체 유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수위밸브(21)와 상기 메인밸브(22)를 제어하여 상기 안내관(20)을 개방하면 상기 급수탱크(1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유체가 상기 안내관(20)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유입구(44)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1가열부(43)에 의해 가열된다.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 상단부에서 상기 수용탱크(50)로 유동한다.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2가열부(61)에 의해 가열된다.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에서 하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 하단부에서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한다.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2가열부(61)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상기 분사탱크(60)의 측면과 상기 저장탱크(40)의 상면 중앙부는 서로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저장탱크(40)에서 상기 수용탱크(50)로 유동하는 유체가 외부 공간으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에서 상방으로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분사구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분사된다.
한편,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가열부(43)에 의해 가열되는 유체는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태가 변환된다. 이때, 모든 유체가 기체 상태로 상태가 변환되지 않는다.
기체 상태로 변환되지 않은 유체는 상기 수용탱크(5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제2가열부(61)에 의해 가열되어 기체 상태로 변환되고, 기체 상태로 변환된 유체는 상기 제2가열부(61)에 의해 더 가열되어 과열증기가 된다.
그리고, 기체 상태로 변환되는 유체는 상기 분사탱크(60)의 내부 공간을 유동하면서 상기 제2가열부(61)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증기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에 의하면, 원활한 과열증기의 생성이 가능하고, 낮은 에너지로 충분한 과열증기의 발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과열증기 발생장치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게 되므로 과열증기를 이용하는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0. 급수탱크 11. 센서
20. 안내관 21. 수위밸브
22. 메인밸브 30. 생성유닛
40. 저장탱크 41. 하면커버
42. 제1가열부커버 43. 제1가열부
44. 유입구 50. 수용탱크
60. 분사탱크 61. 제2가열부

Claims (12)

  1. 증기의 생성을 위한 물을 저장하여 공급하는 급수탱크; 및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과열증기를 생성하는 생성유닛; 이 포함되고,
    상기 생성유닛은,
    외형을 이루면서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면서 내부 공간에서 보관되는 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를 가지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탱크; 및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되는 물을 더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가지며, 상기 제2가열부에 의해 과열된 증기를 분사하는 분사탱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에는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더 제공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탱크는 상단부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의 물이 유입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탱크는 하단부를 통해 상기 수용탱크의 물이 유입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탈착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를 가지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분사탱크의 외면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부는 1 내지 2 킬로와트(KW)의 전력을 가지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제1가열부의 전력량보다 작은 전력량을 가지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사이에는 상기 급수탱크의 물을 상기 저장탱크로 안내하는 안내관이 제공되고, 상기 안내관에는 상기 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온/오프되는 수위밸브가 제공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10. 내부 공간에 물이 저장되어 저장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
    상기 급수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이 내부 공간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유동하면서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 공간 상반부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하방으로 유동하는 수용탱크;
    상기 수용탱크의 내부 공간에 하반부가 위치하고,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방으로 유동하는 분사탱크; 및
    상기 분사탱크의 외면을 따라 위치하여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상기 분사탱크 내부 공간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수용탱크와 상기 분사탱크를 동시에 가열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적어도 3회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과열증기 발생장치.
KR1020100094987A 2010-09-30 2010-09-30 과열증기 발생장치 KR20120033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87A KR20120033466A (ko) 2010-09-30 2010-09-30 과열증기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987A KR20120033466A (ko) 2010-09-30 2010-09-30 과열증기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466A true KR20120033466A (ko) 2012-04-09

Family

ID=4613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987A KR20120033466A (ko) 2010-09-30 2010-09-30 과열증기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4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027A (ko) * 2017-02-28 2018-09-05 (주) 엔피홀딩스 스팀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027A (ko) * 2017-02-28 2018-09-05 (주) 엔피홀딩스 스팀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8239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6002696B2 (ja) 液体侵入保護を備える加湿器
WO2015103903A1 (zh) 用于呼吸机的加湿器以及包含其的呼吸机
JP2021505238A5 (ko)
US96299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steam and gaseous hydrogen peroxide
KR100628682B1 (ko) 건식 습식 겸용 사우나 방열장치
KR20120033466A (ko) 과열증기 발생장치
KR20100050299A (ko) 난방장치
JP2011043314A (ja) 気化式加湿装置
CN105674457B (zh) 基于蜗牛状加热轨道的可回收式医用加湿方法及加湿器
KR101346249B1 (ko) 증발식 가습기
KR200460879Y1 (ko) 기기 내장형 가습 장치
KR101266318B1 (ko) 멀티 가습기
KR102047673B1 (ko) 고온 살균 가습키트
JP2012189305A (ja) 高効率暖房機
KR101051492B1 (ko) 온수보일러의 열을 이용한 가습장치
KR20180014565A (ko) 실내 가습장치
CN206037364U (zh) 加湿接水盘和空调室内机
KR10095541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가습기
JP3131209U (ja) 湿り空気を用いた処理装置
JPS621889Y2 (ko)
KR200385046Y1 (ko) 건식 습식 겸용 사우나 방열장치
KR20180037417A (ko) 증발식 가습장치
KR101271611B1 (ko) 선박의 가습 제어 장치
CN103860350A (zh) 具有沸溢保护的空气增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