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603A - Ice storage - Google Patents

Ice sto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603A
KR20120032603A KR1020100094018A KR20100094018A KR20120032603A KR 20120032603 A KR20120032603 A KR 20120032603A KR 1020100094018 A KR1020100094018 A KR 1020100094018A KR 20100094018 A KR20100094018 A KR 20100094018A KR 20120032603 A KR20120032603 A KR 2012003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storage unit
main storage
main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0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6338B1 (en
Inventor
신중배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38B1/en
Publication of KR2012003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6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0Producing ice by using rotating or otherwise moving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Abstract

PURPOSE: An ice storage is provided to store ice made in an ice maker not only in a main storage but also in an auxiliary storage and prevent the ice storing in an auxiliary storage from melting. CONSTITUTION: An ice storage comprises a main storage unit and an auxiliary storage unit(300). The main storage unit stores ice made of an ice maker and supplies the stored ice to users. The main storage unit is arranged under the ice maker and opened the upper part to drop the ice made of the ice maker to the main storage unit. The auxiliary storage unit is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unit and stores the ice storing in the main storage unit. The stored ice is supplied to users.

Description

얼음저장고{ICE STORAGE}Ice Storage {ICE STORAGE}

본 발명은 얼음이 저장되는 별도의 저장공간을 더 구비한 얼음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storage further comprising a separate storage space in which ice is stored.

얼음저장고는 예컨대,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된 제빙기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곳이다. The ice storage is, for example, provided adjacent to an ice maker provided in an ice water purifier and the like, where ice produced in the ice maker is stored.

따라서, 얼음저장고에는 얼음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얼음저장고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얼음은 얼음저장고에 구비된 얼음이송부재에 의해서 얼음저장고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Therefore, the ice storage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ice. In this way,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spac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ce storage by the ice transfer member provided in the ice storage and supplied to the user.

종래, 이러한 얼음저장고에는 전술한 얼음저장고에 구비된 저장공간 이외에 얼음이 저장될 수 있는 별도의 저장공간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갑자기 많은 양의 얼음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모두 사용된 후 제빙기에서 아직 얼음이 만들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얼음을 공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such an ice reservoir has a problem that there is no separate storage space in which ice can be stored in addition to the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aforementioned ice reservoir. Therefore, when suddenly a large amount of ice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supply the desired amount of ice. In addition, even after all the ice stored in the ice storage is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even if ice is not made in the ice maker, ice is not supplied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저장고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ice storage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보조저장부에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store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not only in the main storage but also in the auxiliary storag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지않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ice stored in the secondary storage does not m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항상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r to always supply the desired amount of ice.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얼음저장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Ice storage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도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not only the mai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but also an auxiliary storage unit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the ic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얼음저장고는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며 저장된 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저장부; 및 주저장부에 연결되며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ce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storage unit configured to be transported and stored in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and to supply the stored ice to the user; And an auxiliary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unit and configured to transfer and store the ic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and to supply the stored ice to the user. As shown in FIG.

이 경우, 상기 주저장부는 제빙기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storage unit is located under the ice maker, the upper portion is open may be stored by dropping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또한, 상기 주저장부는 제빙기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얼음이 저장되는 주저장부본체; 및 주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주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얼음토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storage unit is located under the ice maker, the main storage unit body is opened and the ice is stored; And an ice discharging member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to supply the user with ic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It may include.

그리고, 상기 주저장부는 얼음을 얼음토출부재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주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얼음이송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main storage unit is an ice transfer member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to transfer the ice toward the ice discharge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주저장부는 얼음이송부재를 구동하도록 얼음이송부재에 연결된 구동모터;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stora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ice transfer member to drive the ice transfer member; It may further include.

그리고, 상기 주저장부는 주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하도록 주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제1만빙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storage unit includes: a first ice sensor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to detect whether ice is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보조저장부는 주저장부 아래에 위치되며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낙하되어 저장되도록 주저장부에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y be located below the main storage unit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unit so that the ic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is dropped and stored.

그리고, 상기 보조저장부는 주저장부에 포함되는 주저장부본체 아래에 위치되는 보조저장부본체; 주저장부본체와 보조저장부본체 사이에 구비되며 주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이 보조저장부본체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재; 및 보조저장부본체로 이송된 얼음이 저장되며 보조저장부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보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unit located below the main storage unit included in the main storage unit; A transfer member provided between the main storage unit body and the sub storage unit body and configured to transfer ic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to the sub storage unit body; And an auxiliary storage member, in which the ice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is stored and movable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보조저장부는 주저장부본체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보조저장부본체로 유동되도록 주저장부본체와 보조저장부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flow holes formed between the main storage unit body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so that cool air existing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flows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It may further include.

그리고, 상기 보조저장부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에 인접한 보조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팬;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orage unit includes a fan provid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air flow holes;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보조저장부는 보조저장부본체에 저장된 얼음의 만빙여부를 감지하도록 보조저장부본체에 구비되는 제2만빙센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y include a second ice sensor provid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to detect whether ice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It may further inclu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보조저장부에도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can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as well as the main stor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지 않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ce stored in the secondary storage unit from melting.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always supply the desired amount of 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ce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3 to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ice reservo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얼음저장고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ice reservoir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st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be exemplifi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will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extension numbers.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주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되어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도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not only a mai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but also an auxiliary storage unit for transporting and storing the ice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는 주저장부(200)와 보조저장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ice reservo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storage part 200 and an auxiliary storage part 300.

주저장부(200)는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주저장부(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저장부(200)는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주저장부(200)로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주저장부(200)는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be transported and stored ice (I) made in the ice maker (IM). To this end,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be located under the ice maker IM as shown in FIG. 3. And,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be open at the top. Accordingly, the ice I made in the ice maker IM may be dropped and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00. In addition,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tored ice (I) can be supplied to the user.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200)는 주저장부본체(210)와, 얼음토출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include a main storage unit body 210 and an ice discharge member 220.

주저장부본체(2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제빙기(IM)로부터 주저장부본체(210)에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Main storage unit body 210 may be located under the ice maker (IM) as shown in FIG. And, the upper part can be opened. Therefore, the ice I made in the ice maker IM may be dropped and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from the ice maker IM.

얼음토출부재(2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얼음토출부재(22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예컨대, 얼음토출부재(220)가 주저장부본체(210)에 힌지연결되고, 얼음토출부재(220)가 수동 또는 얼음토출부재(220)에 연결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Ice discharging member 22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21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may be supplied to the user by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For example, if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is hinged to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is automatically opened by a manual or a mo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may be supplied to the user.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200)는 얼음이송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도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얼음이송부재(23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는 스크류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주저장부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이송부재(230)의 회전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1 and 2,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n ice transfer member 230. As illustrated, the ice transfer member 230 may also be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n addition,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may be transferred toward the ice discharge member 220 by the ice transfer member 230. To this end, as illustrated, the ice transfer member 230 may have a screw shape. In addition, the main storage unit 210 may be rotatably provided. Therefore,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may be transferred toward the ice discharge member 220 by the rotation of the ice transfer member 230.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토출부재(220)는 주저장부본체(210)에 탄성적으로 힌지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I)이 얼음이송부재(230)에 의해서 얼음토출부재(220)쪽으로 이송되고 이러한 얼음(I)의 이송에 의해서 얼음토출부재(220)가 열리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may be elastically hinged to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ce I is transferred to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by the ice transfer member 230 and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is opened by the transfer of the ice I, the main storage unit body. Ice I stored in 210 may be supplied to the user.

주저장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동모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4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모터(240)에 의해서 얼음이송부재(230)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이송부재(230)가 회전될 수 있다. 구동모터(24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가 구비될 수 있는 얼음정수기 등에 구비된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24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rive moto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ice transfer member 23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addition, the ice transfer member 230 may be driven by the driving motor 240. That is, the ice transfer member 230 may be rotated as described above.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motor 240 may be controlled by being connected to a controller provided in an ice water purifier in which the ice stora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한편, 주저장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만빙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만빙센서(25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만빙센서(250)는 광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만빙센서(250)는 광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만빙센서(2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만빙센서(250)에서 주저장부본체(210)의 얼음(I)의 만빙을 감지하면, 제빙기(IM)에서의 얼음(I)의 제조가 중지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ce sensor 25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ice sensor 250 may detect whether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full of ice. To this end, the first ice cube sensor 250 may be an optical sensor. However, the first ice sensor 250 is not limited to the optical sensor, and any one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long as the first ice sensor 250 can detect whether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full. The first ice sensor 250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an ice water purifier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first ice sensor 250 detects the ice ice of the main storage unit 210, the ice I may be stopped in the ice maker IM.

보조저장부(300)는 주저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저방부(200) 뿐만 아니라 보조저방부(300)에도 얼음(I)이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I)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The secondary storage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unit 200. In addition,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be transferred and stored. Then, the stored ice I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user. As such, since the ice I is stored not only in the main bottom part 200 but also in the auxiliary bottom part 300, the user may always supply the desired amount of ice I.

이러한 보조저장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20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주저장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낙하되어 보조저장부(30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may be located below the main storage unit 20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And, i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unit 200. Accordingly,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00 may be dropped and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이를 위해서, 보조저장부(300)는 보조저장부본체(310)와, 이송부재(320) 및, 보조보관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a transfer member 320, and an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보조저장부본체(31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본체(210)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may be located below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as shown in FIGS. 1 and 2.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부재(320)는 주정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재(32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송부재(3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부재(320)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은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되지 못하고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송부재(32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은 보조저장부본체(310)로 낙하되어 이송된다. 이러한 이송부재(320)의 회전을 위해서 이송부재(320)는 회전구동모터(32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구동모터(3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1 and 2, the transfer member 3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210 and the secondary storage unit 310.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may be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by the transfer member 320. To this end, the transfer member 320 may be hinged betwee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and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fore, when the conveying member 320 is rotated to the posi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not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the main storage unit body Stored at 210. And, when the transfer member 320 is rotated to a pos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dropped and transported to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In order to rotate the transfer member 320, the transfer member 32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driving motor 321. In addition, the rotation driving motor 321 may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provided in an ice water purifier (not shown)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보조보관부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된 얼음(I)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보조보관부재(330)는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보관부재(330)는 서랍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로부터 낙하되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된 얼음(I)이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보관부재(330)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사용자가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 얼음(I)을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may store the ice I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In addition,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1 and 2,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may have a drawer shape. Accordingly, the ice I dropped from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and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may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Then, when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is moved as shown in Figure 6, the user can use the ice (I)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저장부(300)는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이 녹지 않고 저장될 수 있다. 1 and 2,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air flow holes 340 formed betwee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and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can do. Cool air existing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may flow to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by the plurality of air flow holes 340. Accordingly, the ice I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may be stored without melting.

또한, 보조저장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되는 팬(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팬(350)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에 인접한 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을 통한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의 보조저장부본체(310)로의 유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3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fan 350 provid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The fan 350 may be provid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air flow holes 340 as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ccordingly, the cool air existing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flow holes 340 may be easily flow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As described above, the fan 350 may be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an ice water purifier (not shown).

그리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보조저장부(300)는 제2만빙센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만빙센서(360)에 의해서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만빙센서(360)도 제1만빙센서(250)와 같이 광센서일 수 있다. 그러나, 제1만빙센서(250)는 광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2만빙센서(3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얼음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만빙센서(360)에서 보조저장부본체(310)의 얼음(I)의 만빙을 감지하면, 이송부재(320)가 닫혀서 주저장부본체(210)로부터 보조저장부본체(310)로의 얼음(I)의 이송이 중지될 수 있다.
1 and 2,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ce sensor 360. The second ice sensor 360 may detect whether the ice I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is full of ice. The second ice sensor 360 may also be an optical sensor like the first ice sensor 250. However, the first ice sensor 250 is not limited to the optical sensor, and any one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detect whether ice (I)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is full. . The second ice sensor 360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provided in the ice water purifier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when the second ice sensor 360 detects the full ice of the ice I of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the transfer member 320 is closed to transfer the main storage unit main body 210 from the main storage unit main body 310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The transport of ice I can be stopped.

이하, 도3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3 to 6, the operation of the ice reservoi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T)에 담긴 물(W)에 냉동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증발기(E)에 연결된 복수개의 침지부재(S)가 잠기도록 한다. 그리고, 냉동시스템을 작동시켜 증발기(E)에 차가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하면, 침지부재(S)에도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S)에 얼음(I)이 생성된다. First,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immersion members S connected to the evaporator E included in the refrigeration system (not shown) are immersed in the water W contained in the tray member T. Then, when the cooling system is operated to allow the coolant to flow in the evaporator E, the coolant also flows in the immersion member S to generate ice I in the immersion member S as shown.

침지부재(S)에 생성된 얼음(I)의 크기가 소정의 크기가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부재(T)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증발기(E)에 뜨거운 냉매가 유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침지부재(S)에 생성된 얼음(I)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부재(S)로부터 분리되고 자중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낙하되어 저장된다. When the size of the ice I generated in the immersion member S reaches a predetermined size, the tray member T is rotated as shown in FIG. Then, the hot refrigerant flows to the evaporator (E). Accordingly, ice (I) generated in the immersion member (S) is separated from the immersion member (S) as shown in FIG. 4, and is dropped and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by its own weight.

또한, 이송부재(32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도록 하면, 즉 열리도록 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부재(320)를 통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 즉 낙하되어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다. In addition, if the transport member 320 is rotated as shown in FIG. 4, that is, to be opened,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through the transport member 320. ) Is transported, that is, is dropped and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이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만빙센서(360)에 의해서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이 감지되면, 이송부재(320)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즉 닫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로부터 보조저장부본체(310)로의 얼음(I)의 이송이 중단된다. 또한, 제1만빙센서(250)에 의해서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이 감지되면, 제빙기(IM)에서의 얼음(I)의 제조가 중단된다. Then,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ice of the ice (I) stored in the secondary storage unit 310 by the second ice sensor 360 is detected, the transfer member 320 is shown in FIG. Rotate together, that is, close. Accordingly, the transfer of the ice I from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to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is stopped. In addition, when the ice of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detected by the first ice sensor 250, the manufacturing of the ice I in the ice maker IM is stopped.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350)이 구동되도록 하면,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공기유동구멍(340)을 통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유동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되어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 얼음(I)이 녹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fan 350 is driven as shown in FIG. 5, cold air existing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flows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through the air flow hole 340.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ice (I)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and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may not melt.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40)가 구동되도록 하여 얼음이송부재(23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얼음(I)의 이송에 의해서 얼음토출부재(220)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얼음토출부재(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When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10 is to be used, 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motor 240 is driven to rotate the ice transfer member 230. Accordingly,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transferred toward the ice discharge member 220. Then, the ice discharging member 220 is opened by the transport of the ice (I). Accordingly,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ice discharge member 220.

한편,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을 모두 사용하고 아직 제빙기(IM)에서 얼음(I)이 만들어지지 않은 때나,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보다 많은 얼음(I)이 필요한 때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보관부재(33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조보관부재(330)에 저장된 얼음(I)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ll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10 is used and the ice (I) is not yet made in the ice maker (IM), more ice (I) than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10 When I) is needed,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is moved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out and use the ice (I)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저장고(100)를 사용하면,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주저장부 뿐만 아니라 보조저장부에도 저장할 수 있으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얼음이 녹지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ice storag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ice made in the ice maker can b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as well as the main storage, and the ice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can not be melted, and the amount desired by the user. Can always supply ice.

상기와 같이 설명된 얼음저장고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ice storag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얼음저장고 200 : 주저장부
210 : 주저장부본체 220 : 얼음토출부재
230 : 얼음이송부재 240 : 구동모터
250 : 제1만빙센서 300 : 보조저장부
310 : 보조저장부본체 320 : 이송부재
321 : 회전구동모터 330 : 보조보관부재
340 : 공기유동구멍 350 : 팬
360 : 제2만빙센서 IM : 제빙기
E : 증발기 S : 침지부재
T : 트레이부재 I : 얼음
W : 물
100: ice storage 200: main storage
210: main storage body 220: ice discharge member
230: ice transfer member 240: drive motor
250: first ice sensor 300: auxiliary storage unit
310: auxiliary storage unit 320: transfer member
321: rotary drive motor 330: auxiliary storage member
340: air flow hole 350: fan
360: second ice sensor IM: ice maker
E: Evaporator S: Immersion Member
T: Tray member I: Ice
W: water

Claims (11)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되며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저장부(200); 및
상기 주저장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이송되어 저장되고 저장된 얼음(I)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저장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얼음저장고.
A main storage unit 200 configured to transport and store the ice I made in the ice maker IM and to supply the stored ice I to the user; And
An auxiliary storage unit 300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unit 200 and configured to transfer and stor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00 to be supplied to the user;
Ice storage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제빙기(IM)에서 만들어진 얼음(I)이 낙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ice stora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storage part (200) is located below the ice maker (IM) and has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so that ice (I) made in the ice maker (IM) fall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제빙기(IM) 아래에 위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얼음(I)이 저장되는 주저장부본체(210); 및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되는 얼음토출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storage unit 200
A main storage unit 210 positioned below the ice maker IM and having an open top and storing ice I; And
An ice discharging member 220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to supply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to a user;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얼음(I)을 상기 얼음토출부재(220) 쪽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되는 얼음이송부재(2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storage unit 200
An ice transfer member 230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to transfer the ice I toward the ice discharge member 220;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상기 얼음이송부재(230)를 구동하도록 상기 얼음이송부재(230)에 연결된 구동모터(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According to claim 4, The main storage unit 200 includes a drive motor 240 connected to the ice transfer member 230 to drive the ice transfer member 230;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저장부(200)는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滿氷)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구비되는 제1만빙센서(2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storage unit 200
A first ice sensor 250 provided in the main storage unit 210 to detect whether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10 is full;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주저장부(200) 아래에 위치되며 상기 주저장부(200)에 저장된 얼음(I)이 낙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주저장부(2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300 is located below the main storage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storage unit 200 so that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200 is dropped and stored.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주저장부(200)에 포함되는 주저장부본체(210) 아래에 위치되는 보조저장부본체(310);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저장된 얼음(I)이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재(320); 및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이송된 얼음(I)이 저장되며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보관부재(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ary storage unit 300
An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positioned below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included in the main storage unit 200;
Transfer member 32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and the second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and the ice (I) stored in the main storage unit main body 21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 And
An auxiliary storage member (330), in which the ice (I) transferred to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is stored and movable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에 존재하는 차가운 공기가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로 유동되도록 상기 주저장부본체(210)와 보조저장부본체(31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ary storage unit 300
A plurality of air flow holes 340 formed betwee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and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so that the cool air present in the main storage unit body 210 flows to the secondary storage unit body 310. );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복수개의 공기유동구멍(340)에 인접한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되는 팬(3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ary storage unit 300
A fan (350) provid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body (310)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air flow holes (340);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저장부(300)는
상기 보조저장부본체(310)에 저장된 얼음(I)의 만빙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보조저장부본체(310)에 구비되는 제2만빙센서(3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저장고.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ary storage unit 300
A second ice sensor 360 provid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to detect whether or not ice is stored in the auxiliary storage unit main body 310; Ice storag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100094018A 2010-09-29 2010-09-29 Ice storage KR101906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018A KR101906338B1 (en) 2010-09-29 2010-09-29 Ice sto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018A KR101906338B1 (en) 2010-09-29 2010-09-29 Ice sto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603A true KR20120032603A (en) 2012-04-06
KR101906338B1 KR101906338B1 (en) 2018-10-11

Family

ID=4613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018A KR101906338B1 (en) 2010-09-29 2010-09-29 Ice sto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067B1 (en) * 2020-05-04 2022-01-10 주식회사 플랜즈커피 Beverage ven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0162A (en) 2004-06-24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rigerator
KR100774003B1 (en) * 2007-02-12 2007-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338B1 (en)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4687B2 (en) Refrigerator
CN107631528B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826683B2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8955350B2 (en) Ice dispenser with crusher and shav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336200B1 (en) Refrigerator
KR20120012228A (en)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banks
US10612831B2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chilled by thermoelectric device cooled by fresh food compartment air
US9982933B2 (en) Ice bin and method of transferring ice using the same
US20070119194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20032603A (en) Ice storage
KR101177439B1 (en) A ice storage device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reof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reof
US10731909B2 (en)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icemaking system
WO2010100926A1 (en) Refrigerator
KR100795886B1 (en) Ice maker
KR102195416B1 (en) Ice feeding structure and ice maker
KR20100113205A (en) A refrigerator
JP2005291682A (en) Freezer/refrigerator, freezing chamber door and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KR102206328B1 (en) Ice discharging apparatus
KR101948001B1 (en) Water purifier having ice-maker
US20080148766A1 (en) Super cooler
JP6917297B2 (en) Ice dispenser
KR20090133022A (en) Refrigerator
JP6726837B2 (en) refrigerator
JP6517120B2 (en) Ice maker
JP2016125691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