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313A -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313A
KR20120032313A KR1020100093904A KR20100093904A KR20120032313A KR 20120032313 A KR20120032313 A KR 20120032313A KR 1020100093904 A KR1020100093904 A KR 1020100093904A KR 20100093904 A KR20100093904 A KR 20100093904A KR 20120032313 A KR20120032313 A KR 20120032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gnal
interference signal
channels
recep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225B1 (ko
Inventor
이용환
한진석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225B1/ko
Priority to PCT/KR2011/006539 priority patent/WO2012043991A2/ko
Priority to US13/876,833 priority patent/US9083491B2/en
Publication of KR2012003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 H04L1/003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where the transmitter decides based on inferences, e.g. use of implicit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26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 H04J11/00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multi-user interference at the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이하 DSSS)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내 기기들이 전송된 신호 및 신호의 수신 성능을 기반으로 채널 내 간섭 신호의 존재를 감지할 경우, 간섭 신호로 인한 전송 성능 및 네트워크의 연결성(connectivity)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미리 약속된 다중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운용 중인 DSSS 시스템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간섭이 발생할 경우, 간섭 신호의 채널 및 대역폭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다중 채널을 통해 송수신하게 함으로써 간섭 회피에 걸리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킨다. 다중 채널 중 전송 성능이 기준치를 상회하는 채널이 존재하면, 네트워크 내 기기들은 이 단일 채널을 사용하는 기존 통신 모드로 복귀함으로써 간섭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다.

Description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를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voidance of co-channel interference i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stems}
본 발명은 DSSS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같은 대역을 공유하는 다수의 통신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이하 DSSS) 시스템은 대역 확산 기술을 통해 대역 내 간섭 신호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일례로 DSSS 시스템의 일종인 지그비(ZigBee)의 경우 전송 신호를 8배만큼 확산시켜 전송함으로써 지그비보다 좁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협대역 간섭(narrowband interference)에 대해 처리 이득(processing gain)을 얻을 수 있다 (일례로 블루투스 신호에 대해 3dB의 신호 대 간섭 비(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이득). 그러나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이하 WLAN)과 같이 동일 채널 내에 지그비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간섭을 일으키는 주파수 정적인(frequency static: 이하 FS) 간섭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지그비의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EEE 802.15.4 기반의 지그비 시스템은 네트워크 내 패킷 오율이 25%가 넘으면 현재 채널에 간섭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시스템을 관장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가 전체 16개 채널에 대해 상용의 채널 센싱 기법을 사용하여 변경할 채널을 결정한 후, 이를 네트워크 내 단말기들에게 전달(broadcast)하여 간섭을 회피하도록 한다. 그러나 변경할 채널 정보를 간섭의 영향을 받고 있는 현 채널을 통해 단말기들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정보 전송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게 되며, 간섭 신호의 부하가 클수록 새로운 채널로 변경(handoff)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간섭 특성에 대한 고려없이 16개 모든 채널에 대해 순차적으로 채널 센싱을 수행하기 때문에 간섭 회피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질 뿐만 아니라, 지그비의 경우 단말기가 네트워크 동기 신호인 비컨(beacon) 신호를 연속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 현 코디네이터와의 연결을 끊고 고아(orphan) 기기로 전환하기 때문에, 기존 지그비의 간섭 회피 기법은 네트워크의 연결성(connectivity)이 심각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메시지 교환 기반의 간섭 회피 기법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유사 임의(pseudo-random) 채널 선택 기반의 간섭 회피 기법이 제안되었다. 이 기법은 채널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네트워크 내 기기들 간에 변경할 채널 정보 교환없이 네트워크 고유의 속성값(일례로 네트워크 식별자 지수, 현재 채널 지수 등)을 기반으로 선택된 임의의 한 채널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유사 임의 채널 변경 방식은 간섭 신호 특성에 대한 고려없이 채널 변경을 결정하기 때문에 변경을 수행한 채널에서 간섭이 다시 발생할 확률이 높다. 변경을 수행한 채널에서도 간섭이 다시 발생할 경우 코디네이터는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기 때문에 간섭 발생 시 임의의 단일 채널로 회피하는 상기 간섭 회피 기법은 다수의 간섭 원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 기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기종 시스템과 공존하는 DSSS 시스템의 광대역 간섭 회피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기본 개념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FS 광대역 간섭 신호의 채널 및 대역폭 특성을 고려하여 대역 내 간섭이 발생할 경우 handoff에 사용할 다수의 후보 채널을 정한다. 간섭 신호가 검출되면, 시스템을 관리하는 주 송수신기는 상기 정해진 다수의 후보 채널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약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이들 채널 중 링크 상태가 기준치 이상인 채널이 존재하면, 이 후에는 이 단일 채널을 통해 통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간섭 영향을 회피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존 IEEE 802.15.4 지그비와 같은 메시지 교환 기반 간섭 회피 기법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사 임의 채널 회피 기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 간섭 확률을 크게 낮춤으로써 기존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DSSS 시스템에서 다중 채널 선택 기법 및 간섭 인지 기법, 다중 채널 송수신 기법, 최종 채널 선택 기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일 채널 내에 간섭이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내 기기들이 전송된 신호 및 신호의 수신 성능을 기반으로 간섭을 인지하고 미리 약속된 다중 채널을 통해 동작함으로써, 변경할 채널 정보를 메시지로 전달하여 회피하거나, 메시지 교환 없이 유사 임의 방식으로 선택된 단일 채널로 회피하는 경우 발생하는 핸드오프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다중 채널 조합을 선택할 때 주파수 정적 간섭의 채널 및 대역폭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주파수 정적 간섭이 다수 존재하는 환경에서 기존 간섭 회피 기법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시스템을 관리하는 하나의 주 송수신기와 다수의 단말기로 구성된 스타 토폴로지 구조의 통신 시스템과 타 통신 시스템 간의 간섭 모델
도 2는 본 발명의 시간에 따른 간섭 회피 과정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간섭 회피 과정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간섭 회피 과정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기술의 편의를 위해 도 1과 같이 시스템을 관리하는 하나의 주 송수신기(101)와 다수의 단말기(102, 103)로 구성된 스타 토폴로지(star topology) 구조의 DSSS 통신 시스템을 고려하자. 상기 시스템 내 송수신기기들은 상호간 통신을 수행하는 활성 구간(active period)과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비활성 구간(inactive period)으로 이루어진 슈퍼프레임(super-frame) 구조를 사용하여 송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슈퍼프레임의 시간 길이는 <수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슈퍼프레임을 구성하는 심볼 수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03
은 시스템의 심볼 시간 길이를 의미한다. 주 송수신기는 매 슈퍼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동기 신호(일례로 지그비는 비컨(beacon))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내 단말기들과 동기를 맞춘다. 주 송수신기가
Figure pat00004
에 전송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단말기는 최대
Figure pat00005
만큼 수신기를 동작시키며 이 시간 내에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주 송수신기와의 동기가 실패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다수의 동기종 송수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하여 비 중첩된
Figure pat00006
개의 채널을 지원한다고 가정하며,
Figure pat00007
번째 채널의 중심 주파수
Figure pat00008
는 <수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Figure pat00010
는 채널의 지수(channel index: 이하 채널),
Figure pat00011
는 인접 채널 간 주파수 간격을 의미한다. (일례로 지그비는
Figure pat00012
,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
본 발명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은 도 2와 같다.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상기 도 2의 201 단계에서 네트워크 내 기기들은 간섭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handoff에 사용할 다수의 후보 채널들을 결정한다. 시스템 대역 내에 사용 가능한
Figure pat00015
개의 채널 중 handoff에 사용할
Figure pat00016
개의 후보 채널 집합
Figure pat00017
을 고려하자. 이 때, 각 채널
Figure pat00018
은 FS 간섭 신호의 채널 및 대역폭 특성과 타깃 시스템의 채널 특성에 따라 <수 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선택한다.
Figure pat00019
여기서
Figure pat00020
는 FS 간섭 신호의 대역폭(일례로 WLAN인 경우,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는 네트워크가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을 나타낸다. 사용 중인 채널
Figure pat00023
이 FS 간섭의 영향을 받는 경우, <수 3>과 같이 FS 간섭 영향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채널을 배제하고 채널들을 선택함으로써 재 간섭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두 후보 채널
Figure pat00024
간에는 <수 4>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선택한다.
Figure pat00025
간섭 발생 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채널들을 이용하는 주파수 도약 방식으로 송수신함으로써, 다수의 FS 간섭 원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새로운 전송 채널에 대한 재 간섭 확률을 크게 낮추어 기존의 단일 채널 회피 기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수 3>과 <수 4>를 만족하는 handoff 후보 채널 집합을 다중 채널(multi-channel)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다중 채널은 간섭 신호의 채널 특성과 타깃 시스템의 채널 특성에 따라 다수 존재할 수 있다. (일례로 지그비 시스템의 채널
Figure pat00026
이 7일 때, FS 간섭 신호로 WLAN을 고려하면
Figure pat00027
은 다중 채널이며,
Figure pat00028
등은 다중 채널이 아니다. 또한
Figure pat00029
인 경우 다중 채널은 존재하지 않는다.).
간섭 신호의 채널 특성과 타깃 시스템의 채널 특성에 따라 다중 채널은 다수 존재하나,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기기들은 이들 중 동일한 다중 채널을 선택해야 한다.
Figure pat00030
개의 채널로 구성된 다중 채널의 총 개수를
Figure pat00031
이라고 하면,
Figure pat00032
번째 다중 채널
Figure pat00033
는 <수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34
여기서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번째 채널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다중 채널의 지수
Figure pat00038
를 네트워크 내 기기들 간의 메시지 교환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면서 선택하도록 한다. 일례로, 네트워크 고유의 속성값(즉 네트워크 식별자 지수, 주 송수신기 주소 등)을 기반으로 하여 유사 임의 (pseudo-random)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변수로 이용할 경우, <수 6>과 같이 다중 채널의 지수
Figure pat00039
을 선택할 수 있다.
Figure pat00040
여기서
Figure pat00041
는 네트워크의 식별자 지수, “
Figure pat00042
”는 나머지 연산을 의미한다. 만약 사용하고 있는 채널에 간섭 신호가 검출되면, 네트워크 내 기기들은 다중 채널
Figure pat00043
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상기 도 2의 202 단계는 네트워크 내 기기들이 채널
Figure pat00044
을 사용하는 단일 채널 송수신 모드(Single-channel transmission mode; 이하 ST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이다. ST 모드 동작 중, 시스템을 관리하는 주 송수신기와 단말기는 전송된 신호 및 신호의 수신 성능을 기반으로 송수신 채널 내에 간섭 신호의 존재 유무를 분산적으로 판단한다.
주 송수신기는 ST 모드 통신 수행 중 송수신 오류가 발생하면 에너지 검출기(energy detector: 이하 ED)와 같은 상용의 채널 센싱 기법을 통해 채널 내 간섭 신호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간섭 신호가 검출되거나, 패킷 전송 오율과 같은 수신 성능이 일정 기준치에 미달하면 채널 내에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일례로 특정 단말기와의 송수신 오류가
Figure pat00045
회 이상이거나 패킷 전송오율 (packet error rate; 이하 PER)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Figure pat00046
보다 크면 채널 내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채널 내 간섭 신호가 감지되면 주 송수신기는 다음 주기의 동기 신호에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 (Multi-channel transmission mode; 이하 MT 모드) 명령어를 삽입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채널을 통해 전송한 후 MT 모드로 전환한다.
단말기는 ST 모드 통신 수행 중, 주 송수신기로부터 MT 모드 명령어가 삽입된 동기 신호를 수신하거나, 주 송수신기의 동기 신호를 일정 횟수 이상 수신하지 못하면 채널 내에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이를 주 송신기에 알리고, MT 모드로 전환한다. 주 송수신기는 단말기로부터 채널 내에 간섭 신호가 존재함을 보고받으면 다음 주기의 동기 신호에 MT 모드 명령어를 삽입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채널을 통해 전송한 후 MT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도 2의 203 단계는 네트워크 내 기기들이
Figure pat00047
에 속한 채널들을 통해 MT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이다. MT 모드로 전환되면 주 송수신기는
Figure pat00048
에 속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이용하는 주파수 도약 방식을 사용하여 MT 모드 명령어를 삽입한 동기 신호를 데이터 신호와 함께 전송한다 (도 3 참고). 반면 MT 모드로 전환한 단말기는 우선 주 송수신기와의 동기를 위해
Figure pat00049
내 첫 번째 채널
Figure pat00050
에서 동기 신호를 찾는다. 동기 신호를
Figure pat00051
내에 수신하면 이후
Figure pat00052
에 속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도약하며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동기 신호가
Figure pat00053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동기 신호 손실 횟수
Figure pat00054
를 1 증가시키고,
Figure pat00055
내 다음 채널에서 동기 신호를 찾는다.
Figure pat00056
가 주어진 임계값
Figure pat00057
와 같아지면 네트워크에 재 가입하는 과정으로 전환한다. 이 때, 단말기는 MT 모드로 전환한 방식에 따라
Figure pat00058
를 다르게 설정한다 (도 4 참고).
주 송수신기로부터 MT 모드 명령어가 삽입된 동기 신호를 수신하여 MT 모드로 전환한 단말기는 주 송수신기가
Figure pat00059
에 속한 채널들을 도약하는 시점을 알 수 있으므로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로 설정하여 동기 신호를 찾는다. 반면 단말기가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MT 모드로 전환한 경우에는 주 송수신기가
Figure pat00062
에 속한 채널들을 도약하는 시점을 단말기는 알지 못하므로, 단말기는 한 채널에서 동기 신호를 찾는 시간을 증가시켜야 한다. 즉, MT 모드에서 각 채널 별로 전송되는 동기 신호의 주기는 ST 모드에 비해
Figure pat00063
배 증가하므로, 단말기는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로 설정하여 동기 신호를 찾는다.
MT 모드로 동작 중, 주 송수신기는 전송된 신호 및 신호의 수신 성능을 기반으로 링크 상태가 최고인 채널을 선택한다. 일례로 모든 단말기로부터 송수신이 제대로 되고 있는 (예로 ACK신호가 수신된) 채널
Figure pat00066
이 발견되면, 주 송수신기는 채널
Figure pat00067
을 통하여 송신할 때 MT 모드 명령어가 제거된 기존의 ST모드에서 사용하는 동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내 단말기들에게 채널
Figure pat00068
가 ST 모드에서 사용될 것임을 알린다. 이후 네트워크의 모든 기기들은 MT 모드를 종료하고 채널
Figure pat00069
을 사용하는 기존의 ST 모드로 환원한다.

Claims (8)

  1. 다수의 전송 가능한 채널 중 한 채널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DSSS 시스템에서 채널 내에 발생한 이/동기종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 전송을 하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시스템 내 기기들이 사용 중인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를 분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검출부와,
    상기 간섭 신호 검출부에서 간섭 신호를 검출할 경우, 시스템 내 기기들이 기존의 단일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부와,
    상기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로 동작 중 링크 상태에 따라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기존의 단일 채널 송수신 모드로 환원하는 방법 및 환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템 내 기기들이 사용 중인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를 분산적으로 검출하는 방법 및 검출부는,
    시스템을 관장하는 주 송수신기가 에너지 검출기(energy detector)와 같은 상용의 채널 센싱 기법을 사용하여 간섭 신호를 검출하거나, 수신 성능(예로 패킷 전송 오율(packet error rate), 패킷 재전송(packet retransmission) 등)이 일정 기준치를 미달하면 채널 내에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방법 및 판단부와,
    단말기가 상기 주 송수신기로부터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 명령어가 삽입된 동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일정 횟수 이상으로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채널 내에 간섭 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방법 및 판단부와,
    단말기가 상기 일정 횟수 미만으로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후에 동기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경우 상기 주 송수신기에게 채널 내에 간섭 신호가 존재함을 알리고, 주 송수신기가 이를 인지하는 방법 및 인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신호 검출부에서 간섭 신호를 검출할 경우, 시스템 내 기기들이 기존의 단일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로 전환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부는,
    네트워크 연결 초기에 시스템 내 기기들이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사용할 후보 다중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부와,
    상기 간섭 신호 검출부에서 간섭 신호가 검출될 경우, 상기 결정된 후보 다중 채널을 사용하여 주파수 도약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 초기에 시스템 내 기기들이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사용할 다중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부는,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다중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부와,
    상기 결정부에서 생성된 다수의 후보 다중 채널들에서 시스템 내 모든 기기들이 하나의 동일한 후보 다중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후보 다중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부는,
    시스템 대역 내에 사용 가능한
    Figure pat00070
    개의 채널 중, 간섭 신호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학식 1>과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는
    Figure pat00071
    개의 채널로 구성된 후보 다중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72

    <수학식 2>
    Figure pat00073

    여기서
    Figure pat00074
    는 주파수 정적인 간섭 신호의 대역폭,
    Figure pat00075
    는 네트워크가 사용 중인 채널,
    Figure pat00076
    는 시스템 의 인접 채널 간 주파수 간격을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후보 다중 채널이 시스템 대역 내에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에서 생성된 다수의 후보 다중 채널들에서 시스템 내 모든 기기들이 하나의 동일한 후보 다중 채널을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부는,
    하나의 동일한 후보 다중 채널을 결정하기 위한 기기들 간의 메시지 교환 신호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 고유의 속성값(일례로 네트워크 식별자 지수, 시스템 관리 기기 주소)을 기반으로 한 개의 동일한 후보 다중 채널
    Figure pat00077
    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일례로 <수학식 3>과 같은 유사 임의(pseudo-random) 방식으로
    Figure pat00078
    의 지수
    Figure pat00079
    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80

    여기서
    Figure pat00081
    는 네트워크의 식별자 지수, “
    Figure pat00082
    ”는 나머지 연산,
    Figure pat00083
    는 상기 결정부에서 생성된 후보 다중 채널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신호 검출부에서 간섭 신호가 검출될 경우, 상기 결정된 후보 다중 채널을 사용하여 주파수 도약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부는,
    상기 주 송수신기는 간섭 신호가 검출될 경우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 명령어를 삽입한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이후 상기 결정된 후보 다중 채널에 속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도약 방식으로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 명령어를 삽입한 동기 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부와,
    단말기는 간섭 신호가 검출될 경우 다중 채널에 속한 각 채널에서 동기 신호 검출에 필요한 시간
    Figure pat00084
    을 <수학식 4>와 같이 설정하여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동기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결정된 후보 다중 채널에 속한 채널들을 순차적으로 도약하며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수학식 4>
    Figure pat00085

    여기서
    Figure pat00086
    는 주 송수신기가 전송하는 동기 신호의 주기를 의미한다. 만약 동기 신호 검출을 일정 횟수 이상 실패하면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재 가입한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로 동작 중 링크 상태에 따라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에서 기존의 단일 채널 송수신 모드로 환원하는 방법 및 환원부는,
    상기 주 송수신기는 수신 성능을 기반으로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에 사용되는 채널들의 링크 상태를 측정하여, 송수신 성능이 일정 기준 이상이 되면서 링크 상태가 가장 좋은 채널을 선택하고(일례로 모든 단말기로부터 정응답(ACK) 신호가 수신된 채널),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차례가 되면 다중 채널 송수신 모드 명령어가 제거된 기존의 동기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 후부터 시스템 내 모든 기기들이 상기 선택된 채널을 이용하여 기존의 단일 채널 송수신 모드로 환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00093904A 2010-09-28 2010-09-28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10122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04A KR101229225B1 (ko) 2010-09-28 2010-09-28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PCT/KR2011/006539 WO2012043991A2 (ko) 2010-09-28 2011-09-02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US13/876,833 US9083491B2 (en) 2010-09-28 2011-09-02 Method for transmitting a signal while avoiding the influences of an interference signal existing in the same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main communicat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904A KR101229225B1 (ko) 2010-09-28 2010-09-28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13A true KR20120032313A (ko) 2012-04-05
KR101229225B1 KR101229225B1 (ko) 2013-02-01

Family

ID=4589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904A KR101229225B1 (ko) 2010-09-28 2010-09-28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83491B2 (ko)
KR (1) KR101229225B1 (ko)
WO (1) WO20120439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742A1 (ko) * 2013-07-12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7222B (zh) * 2013-11-27 2016-01-20 国家电网公司 一种跨频带电力线通信频率的自学习方法
US10536859B2 (en) 2017-08-15 2020-01-14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trol an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US10340976B2 (en) 2017-10-16 2019-07-0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ed utilization of quasi-licensed wireless spectrum
US11317296B2 (en) * 2019-10-02 2022-04-26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handling and switching operating frequencies for devices being supported by a wireless access nod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496A (en) * 1976-12-23 1978-08-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caloric testing for the evaluation or aural vestibular disorders
US4106493A (en) * 1977-01-13 1978-08-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Biphasic otoscopic air stimulator for performing clinical caloric tests
US4244377A (en) * 1978-10-19 1981-01-13 Grams Guenter A Ear probe for use in closed-loop caloric irrigation
US6501785B1 (en) * 1999-11-17 2002-12-31 At&T Corp. Dynamic frequency hopping
KR100541947B1 (ko) 2001-05-12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간의 상호간섭을 회피하기 위한무선통신방법 및 장치
US7155236B2 (en) * 2003-02-18 2006-12-26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ed and autonomous transmission and acknowledgement
US7450904B2 (en) 2004-01-08 2008-11-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Escape mechanism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170081B2 (en) * 2004-04-02 2012-05-01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DIDO interference cancellation based on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US9819403B2 (en) * 2004-04-02 2017-11-14 Rearden, Ll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andoff of a client between different distributed-input-distributed-output (DIDO) networks based on detected velocity of the client
US20080144493A1 (en) * 2004-06-30 2008-06-19 Chi-Hsiang Yeh Method of interference management for interference/collision prevention/avoidance and spatial reuse enhancement
KR20100005084A (ko) * 2007-04-28 2010-01-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근접성 기반의 전송 모드 변경을 통한 간섭 감소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427978B1 (ko) * 2008-02-27 2014-08-07 한국과학기술원 지그비 통신에서 통신 시스템간 충돌 회피 방법 및 장치
US8433345B2 (en) * 2009-06-17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support paging with less interference in multi-tier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742A1 (ko) * 2013-07-12 2015-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713124B2 (en) 2013-07-12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225B1 (ko) 2013-02-01
US9083491B2 (en) 2015-07-14
US20130182602A1 (en) 2013-07-18
WO2012043991A2 (ko) 2012-04-05
WO2012043991A3 (ko) 201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149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전이중 동작
US10405250B2 (en) RRM measurement method, measurement system, terminal and base station
KR10122730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연관 및 재연관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RU272174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ресурсо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в соседних сетях связи
WO2019020035A1 (zh) 一种选择波束的方法及设备
EP3598835B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apparatus
WO2015126130A1 (ko) 우선 순위를 갖는 송신 빔 인덱스 선택 및 할당 방법 및 장치
US913765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s
US1033368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system, and device
EP2903227B1 (en)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radio network
JP2004274745A (ja) 無線によるデジタルデータ送信の性能を改良する方法
EP362963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210138769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00322977A1 (en)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1199346A1 (ja) 端末
KR101229225B1 (ko) 주 통신기기와 다수의 단말 통신기기들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채널 내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영향을 회피하면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US10644854B2 (en) Mobility reference signal allocation
WO2019030932A1 (ja) ユーザ装置、及び参照信号送信方法
JP6645849B2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41269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WO202021312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P3829231A1 (en) User device
KR101179761B1 (ko) 전파 지연 수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80879A1 (en) Pilot signal sending method and network side device
WO2020075279A1 (ja) ユ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