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541A -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541A
KR20120031541A KR1020100092967A KR20100092967A KR20120031541A KR 20120031541 A KR20120031541 A KR 20120031541A KR 1020100092967 A KR1020100092967 A KR 1020100092967A KR 20100092967 A KR20100092967 A KR 20100092967A KR 20120031541 A KR20120031541 A KR 2012003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sel
tip
core
ster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이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기 filed Critical 이원기
Priority to KR102010009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1541A/ko
Publication of KR2012003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B21D51/10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conically or cylindrically shaped obj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유압브레이커용 CHISEL의 제조에 있어 선미(11)와 선단(13), 코아(12)를 별도로 제작 결합하여 선단(13)이 뭉뚝해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결함을 제거하고 선미(11)를 제활용할수 있으며, 선단(13)만 열처리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수 있는 CHISEL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Breaker chisel}
본발명은 굴삭기에 장착되어 암석이나 콘크리트 구조물등을 파쇄하는데 사용되는 유압브레이커의 CHISEL에 관한것으로, 사용함에 따라 선단(13)이 뭉뚝해져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선미(11)의 재활용이 가능한 CHISEL 제조에 관한것이다.
유압브레이커는 암석이나 콘크리트 구조물등을 파쇄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유압브레이커는 유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20)과 파쇄작업을 하는 CHISEL(30), CHISEL을 고정시키는 유압실린더(10)로 구분할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유압브레이커에 장착되는 CHISEL은 유압실린더에 장착되는 선미(11)는 강한 내압강도를 요구하며, 암석을 타격하는 선단(13)은 강한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을 가져야 한다.
현재 일반적으로 제작, 사용되는 CHISEL은 기계구조용 합금강을 열처리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CHISEL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표면부의 경도(33)가 내부의 경도(32)보다 높아 표면부가 마모될경우 경도가 낮은 내부의 급속한 마모로 선단(13)이 뭉뚝해져 작업성이 떨어지며 작업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선단(13)을 깍아내어 뾰족하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미(11)는 강한 내압성이 요구되는바, 선단(13)이 뭉뚝해짐에 따라 작업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유압타격력을 상승시켜야 하며 이때 선미(11)는 손상되기 쉽고 손상된 조각은 유압실린더(10)를 손상시킬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CHISEL 전체를 열처리 함으로 에너지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CHISEL을 재활용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CHISEL을 강한 내압강도를 가지는 선미(11)와 고경도의 내마모성을 가지는 코어(12), 그리고 코어측으로 고경도 내마모성을 가지는 선단(13)으로 구성하여 내충격성, 내마모성, 작업성이 향상된 우수한 CHISEL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CHISEL의 제조방법은 (a)선미(11),코어(12),선단(13)을 제작하는 단계;(b)선단(13)을 천공하고 가열후 코어를 통해 냉각시키는 열처리 단계;(c)선미(11),코어(12),선단(13)을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는 액체질소를 포함한 액화가스와 물, 유체등 소요의 강도와 내마모성등의 성질을 얻기위해 다양한 냉매를 포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c)단계에서는 용접 및 나사식 결합이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에서는 선미(11)와 선단(13)을 접합후 코어(12)에 쇳물을 직접 주입하는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CHISEL 제조방법은 코어(12)는 고경도 내마모성 소재이며, 선단(13)은 코어홀을 통한 열처리를 통해 외측으로 마모성이 큰소재로 구성되어 선단(13)이 항상 뾰족한 상태를 유지하여 항상 일정하게 작업성을 유지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선미(11)는 강한 내압성의 소재를 사용하여 기존제품보다 파손의 위험이 적고 이에 따른 유압실린더의 손상을 적어지며, 기존 제품보다 내압강도가 커 유압브레이커의 출력을 높여 작업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제품은 CHISEL전체를 열처리하여 에너지 소모가 많으나 본제품은 코어홀이 있는 선단(13)만 열처리함으로 에너지 소모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유압브레커의 단면도.
도2는 종래의 CHISEL의 단면도.
도3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마모성 CHISEL 단면도.
도4a 내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CHISEL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CHISEL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4a 내지 도4b는 본발명에 따른 CHISEL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실시예 1)
도4a를 참조하면,
선미(11)와 선단(13)을 절단후 선단을 천공 및 열처리 한다.
선미(11)와 선단(13)을 용접결한한후 코어천공자리에 쉿물을 주입한다.
선단을 뾰족하게 가공한다.
(실시예 2)
도4b를 참조하면
선미(11)와 선단(13), 코어(12)를 절단한후 선단(13)을 코어천공 및 열처리 한다.
선단(13)과 코어(12)를 용접결합한다.(이때 코어(12) 및 선단(13)을 나사가공하여 결합하는 비용접 결합방식도 포함한다.)
선미(11)와 선단(13)을 용접결합한다.
선단을 뾰족하게 가공한다.
10: 유압실린더
11: 선미
12: 코어
13: 선단
20: 피스톤
30: 치즐(종래기술)
32: 치즐 표면(종래기술)
33: 치즐 내부(종래기술)

Claims (4)

  1. (a) 선미(11), 선단(13), 코어(12)를 절단가공하는 단계;
    (b) 선단(13)을 천공하고는 단계;
    (c) 천공된 선단(13)을 열처리하는 단계;
    (d) 코어(12)와 선단(13)을 결합하는 단계;
    (e) 선단(13)과 선미(11)를 결합하는 단계;
    (f) 선단(13)을 뽀족하게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ISEL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단계에서 천공된 코오홀을 통해 냉매를 통과시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ISEL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d)단계에서 코어(12)와 선단(13)을 결합하는 방법은 용접과 나사가공하여 겹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ISEL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e)단계는 (d)단계를 생략하고 천공된 선단과 선미를 용접한후 쇳물을 주입코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ISEL의 제조방법.
KR1020100092967A 2010-09-25 2010-09-25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 KR20120031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967A KR20120031541A (ko) 2010-09-25 2010-09-25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967A KR20120031541A (ko) 2010-09-25 2010-09-25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541A true KR20120031541A (ko) 2012-04-04

Family

ID=4613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967A KR20120031541A (ko) 2010-09-25 2010-09-25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15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945B1 (ko) * 2015-07-17 2016-07-12 유장호 브레이커용 치즐 및 그 제조방법
WO2017146442A1 (ko) * 2016-02-25 2017-08-31 장철길 치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945B1 (ko) * 2015-07-17 2016-07-12 유장호 브레이커용 치즐 및 그 제조방법
WO2017014481A1 (ko) * 2015-07-17 2017-01-26 유장호 브레이커용 치즐 및 그 제조방법
WO2017146442A1 (ko) * 2016-02-25 2017-08-31 장철길 치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95429U (zh) 一种新型液压氮气联合作用破碎锤
Dragobetskii et al. Excavator bucket teeth strengthening using a plastic explosive deformation
CN106246175B (zh) 一种脉冲射流与机械冲击联合破岩机构
CN113356876B (zh) 一种破岩用刀盘和一种隧道掘进机及其使用方法
CN204877475U (zh) 一种液压破碎锤钎杆
CN107023295A (zh) 一种硬煤防冲卸压钻孔施工方法及设备
CN104060996A (zh) 一种用于软硬不均互侵复合岩层的盾构复合式刀盘
CN201713752U (zh) 一种破碎锤钎杆的冷却抑尘装置
KR20120031541A (ko) 굴삭기용 치즐의 제조방법
Repin et al. Downhole high-pressure air hammers for open pit mining
JP2011247038A (ja) 破砕方法および破砕装置
Prokopenko et al. Improvement of cutting tools to enhance performance of heading machines in rocks
CN101338673A (zh) 液压破碎锤用镶芯钎杆及其制作方法
CN203470077U (zh) 高耐磨材质锤柄钎焊硬质合金的冲击破刀头
CN102909113B (zh) 一种破碎机用复合板锤的及其制作方法
CN104372817A (zh) 破碎锤结构
CN202212226U (zh) 锤式破碎机复合合金锤
CN201241703Y (zh) 液压破碎锤用镶芯钎杆
CN203494571U (zh) 一种插柄式锤头
CN203862319U (zh) 一种新型焊接wc硬质合金耐磨块的高耐磨锤头
CN204097807U (zh) 一种改进的铁路专用合金耐磨捣镐
CN202356140U (zh) 一种新型的液压锤钎杆
CN204662226U (zh) 重型粉碎装置
CN205684131U (zh) 一种组合式双面焊接护柄锤
CN218716763U (zh) 一种采掘机的掘进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