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889A -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 - Google Patents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889A
KR20120030889A KR1020100092727A KR20100092727A KR20120030889A KR 20120030889 A KR20120030889 A KR 20120030889A KR 1020100092727 A KR1020100092727 A KR 1020100092727A KR 20100092727 A KR20100092727 A KR 20100092727A KR 20120030889 A KR20120030889 A KR 20120030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a server
content
home gateway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8907B1 (ko
Inventor
김병재
안정균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9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9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3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7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web services for network management, e.g.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SO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04L61/2503Transl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256NAT traversal
    • H04L61/2582NAT traversal through control of the NAT server, e.g.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게이트웨이는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 및 컨트롤 포인트와, 제2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랜더러 간에 원격 접속을 지원한다.
이때, 홈 게이트웨이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미디어 서버 내의 컨텐츠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수신하여 홈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주소 및 미디어 서버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ALG(Apllication Level Gateway)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 그리고 변경된 컨텐츠 URI를 미디어 랜더러로 전달하여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와 원격지인 제2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랜더러 간에 컨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HOME GATEWAY AND CONTROL POINT FOR SUPPORTING A SHARE OF MULTIMEDIA CONTENTS IN MEDIA SERVER IN PRIVATE NETWORK WITH MEDIA MEDIA RENDERER IN REMOTE PRIVATE NETWORK}
본 발명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IP(Internet Procotol) 기반의 사설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는 댁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들을 미들웨어(middleware)라 불리는 공통의 가상 컴퓨팅 환경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한다.
여기서, 미들웨어란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연결하여 기기들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HAVI(Home AV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control device), Jini(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HWW(Home Wide Web) 등이 현재까지 제안되어 있다.
특히, UPnP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과 같은 인터넷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내에 위치한 장치들 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IP 기반의 표준 프로토콜 기술이다.
댁내 단말 간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해 제정된 UPNP AV 아키텍쳐에 따르면, 댁내 단말은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고 공급해주는 소스 역할을 담당하는 미디어 서버(Media Server), 미디어 콘텐츠를 플레이하는 미디어 렌더러(Media Renderer) 및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렌더러 간의 미디어 스트림을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로 구분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미디어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컨트롤 포인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을 통해 미디어 렌더러로 플레이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WiFi 휴대 단말을 컨트롤 포인트로 활용하여 미디어 서버인 PC에 저장된 동영상을 미디어 렌더러인 셋톱박스로 전송하여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도 마치 홈 네트워크에 위치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UPnP 원격 접속(Remote Access, 이하, 'RA'라 통칭함) 1.0 기술에 대한 표준화가 완료되었다.
도 1은 종래의 UPnP(Universal Plug and Play) RA 아키텍쳐(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때, 도 1의 UPnP 원격 접속 아키텍쳐는 UPnP 포럼(Forum)의 Remote Access Architecture v1.0 문서에서 인용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 접속 클라이언트(Remote Access Client, 이하, RAC라 통칭함)(100) 및 원격 접속 서버(Remote Access Server, 이하, RAS라 통칭함)(200)는 공통적으로 RADA(Remote Access Discovery Agent)(110, 210)를 포함하며, 각각 RAC(120) 및 RAS(220)를 포함한다.
RADA(110, 210)는 내부의 RADASync(112, 211)와 RADASync CP(113, 212)를 통해 RAC(100)가 가지고 있는 UPnP 장치 목록과 RAS(200)가 속해 있는 홈 네트워크 상에 동작하는 UPnP 장치 목록을 동기화한다. 그리고 자신이 속한 홈 네트워크 상의 UPnP CP가 원격 네트워크 상의 UPnP 디바이스를 발견할 수 있도록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메시지를 처리한다.
여기서, RAC(100)의 RADA(110), RAC(120) 및 RAS(200)의 RADA(210)는 UPnP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RAC(100)의 RADASync CP(113), RAS(200)의 RADASync CP(212)는 원격 접속 관련 UPnP 컨트롤 포인트(CP)를 나타내며, 컨트롤 포인트는 UPnP 디바이스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RAC(100)의 RADASync(112), RATAConfig(121), RAS(200)의 Inbound Connection Config(221), RADAConfig(223), RATAConfig(224)는 원격 접속 관련 UPnP 서비스(Service)를 나타낸다. RAC(100) 및 RAS(200)는 RADA와 RATA에 대한 기능 설정을 위해 RADA Config(223)와 RATA Config(121, 224)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RATA는 RA 트랜스포트(Transport) 채널을 생성하여 RAC(100)와 RAS(200) 간의 통신 채널을 제공하고, RADA는 원격지 간의 정보 동기화, 즉 로컬 사이트에 위치한 UPnP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그대로 재현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RADA Listener/Relay(111, 222)는 RADA(Remote Access Discovery Agent)(110, 210)의 서포트 컴포넌트(Support Component)를 의미하며, CP(130) 및 Device(140)는 원격 접속과는 관련 없는 UPnP CP,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또한, RAS(200)는 원격지에서 들어오는 연결 요청 처리를 설정하기 위한 Inbound Connection Config(221)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RATA Config, RADA Config 및 Inbound Connection Config 서비스는 댁내에 위치한 별도의 관리 콘솔 디바이스(400)를 통해 호출된다. 또한, 홈 디바이스(300)와 RA 관리 콘솔(RA Management Console)(400)은 LAN으로 RAS(200)에 연결된다.
상술한 RAC(100)는 원격 단말에 필요한 기능이고, RAS(200)는 댁내 단말에 필요한 기능이고, 원격 단말은 댁내에 위치한 RAS(200)로의 접속을 통해 댁내에 위치한 UPnP 디바이스들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댁내에 위치한 UPnP 디바이스들은 SSDP 메시지를 이용하여 자신의 존재를 RAS(200)에 알리고 RAS는 이를 AddRemoteDevices()와 같은 RADASync 서비스 액션을 이용해 원격 단말에 전달한다. 그리고 원격 단말은 AddRemoteDevices() 서비스 액션을 통해 전달된 정보를 SSDP 메시지로 변환하여 원격 단말이 속한 랜에 다시 멀티캐스트 송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원격 단말이 속한 랜 상의 UPnP 디바이스 들도 RAS가 속한 랜 상의 UPnP 디바이스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원격 단말이 속한 랜을 홈 A라 가정하고 댁내 단말이 속한 랜을 홈 B라고 가정했을 경우, 홈 A에 위치한 미디어 렌더러는 홈 B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영상 콘텐츠를 검색하고 스트리밍 형태로 재생 시킬 수 있다.
그런데 홈 A와 B가 사설망인 경우, 홈 A의 기기에 대한 주소 정보가 홈 B로 전달되었을 때 홈 B에도 동일한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 IP 주소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인 통신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RA 표준 1.0 기술에서는 원격 단말과 RAS가 위치한 댁내와의 접속을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구현하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으나 VPN을 설정한 경우 원격 단말이 속한 랜과 RAS가 속한 랜이 논리적으로 합쳐져서 하나의 랜으로 구성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두 랜간의 IP 충돌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Application Level Gateway, 이하, ALG)방식이 제안되었다.
ALG 방식에 따르면, SSDP 메시지의 'LOCATION 필드'는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포함하여야 하나 사설 IP가 수록되는 경우 원격지에서 해당 URL로 접근이 안되므로 ALG(Application Layer Gateway) 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RAS는 SSDP M-SEARCH 메시지를 댁내로 멀티캐스트 송신하여 UPnP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그러면, UPnP 디바이스는 HTTP 200 OK 메시지로 응답한다. 이때, RAS는 HTTP 200 OK 메시지에 수록된 UPnP 디바이스의 접속 주소가 사설 주소일 경우, RAS의 공인 IP와 원격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대체 포트 정보로 변경함으로써 IP 주소 충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하지만, 컨트롤 포인트와 미디어 서버가 동일한 홈 네트워크에 위치하고, 미디어 랜더러가 원격지 홈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가 보유한 컨텐츠를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도 2를 통해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에 미디어 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미디어 랜더러로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UPnP 네트워크(500)와 제2 UPnP 네트워크(600)는 인터넷망(700)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제1 UPnP 네트워크(500) 및 제2 UPnP 네트워크(600)는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로컬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제1 UPnP 네트워크(500)는 컨트롤 포인트(510), 미디어 서버(520) 및 RAS 기능이 구비된 홈 게이트웨이(5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UPnP 네트워크(600)는 미디어 랜더러(610) 및 RAC 기능이 구비된 제2 홈 게이트웨이(620)를 포함한다.
이때, 컨트롤 포인트(510)는 컨텐츠 브라우징을 통하여 미디어 서버(520)로부터 미디어 서버(520)가 보유하는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획득한다. 그리고 이러한 컨텐츠 URI를 미디어 랜더러(610)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컨텐츠 URI는 미디어 서버(520)가 제1 UPnP 네트워크(500)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IP 주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디어 렌더러(610)가 컨텐츠로의 접속이 불가능하여 결국 컨텐츠 공유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컬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킬 수 있게 하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홈 게이트웨이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 및 컨트롤 포인트와, 제2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랜더러 간에 원격 접속을 지원하는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홈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서버 내의 컨텐츠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수신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주소 및 상기 미디어 서버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ALG(Apllication Level Gateway)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경된 컨텐츠 URI를 상기 미디어 랜더러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랜더러는 상기 컨텐츠 URI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컨트롤 포인트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와, 원격지인 제2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랜더러를 제어하는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컨트롤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서버 내의 컨텐츠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홈 게이트웨이-여기서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와 상기 제2 홈 네트워크 간에 원격 접속을 지원함-의 공인 IP 주소 및 상기 미디어 서버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ALG(Apllication Level Gateway)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경된 컨텐츠 URI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랜더러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랜더러는 상기 컨텐츠 URI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컬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로컬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정상적으로 공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원격 접속(Remote Access) 아키텍쳐(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에 미디어 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미디어 랜더러로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PnP 원격 접속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성에 따른 미디어 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미디어 랜더러로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PnP 원격 접속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에 따른 미디어 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미디어 랜더러로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두 가지 실시예로 나타낼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는 제1 실시예에 해당되고, 도 5 및 도 6은 제2 실시예에 해당된다.
<제1 실시예>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UPnP(Universal Plug and Play) 원격 접속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이하 'UPnP'라 통칭함) 네트워크(800) 및 제2 UPnP 네트워크(900)는 인터넷 망(1000)을 통해 통신한다. 이러한 제1 UPnP 네트워크(800)는 임의의 홈 네트워크이며, 제2 UPnP 네트워크(900)는 제1 UPnP 네트워크(800)로부터 떨어져 있는 원격 홈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이때, 제1 UPnP 네트워크(800) 및 제2 UPnP 네트워크(900)는 IP 기반의 표준 프로토콜 기술을 사용하며, 각각의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로컬 네트워크이다.
여기서, 제1 UPnP 네트워크(800)는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810), 미디어 서버(820) 및 원격 접속 서버(Remote Access Server, 이하 'RAS'라 통칭함)의 기능을 포함하는 제1 홈 게이트웨이(83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UPnP 네트워크(900)는 미디어 랜더러(910) 및 원격 접속 클라이언트(Remote Access Client, 이하 'RAC'라 통칭함)의 기능을 포함하는 제2 홈 게이트웨이(920)를 포함한다.
여기서, RAS 또는 RAC는 원격 접속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논리적인 장치를 의미하며, 제1 홈 게이트웨이(830) 및 제2 홈 게이트웨이(920)에 포함되는 기능으로 기재하였으나 별도의 장치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1 홈 게이트웨이(830)와 제2 홈 게이트웨이(920)간의 통신은 공인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이하에서는 'IP 주소'로 통칭함) 를 통해 이루어진다.
RAS 기능이 구비된 제1 홈 게이트웨이(830) 및 RAC 기능이 구비된 제2 홈 게이트웨이(920)는 제1 UPnP 네트워크(800)와 제2 UPnP 네트워크(900) 간의 원격 접속을 지원한다.
즉 제1 홈 게이트웨이(830) 및 제2 홈 게이트웨이(920)는 RAT(Remote Access Transport) 채널을 형성하여 제1 UPnP 네트워크(800) 및 제2 UPnP 네트워크(900) 각각에 존재하는 미디어 서버(820) 및 미디어 랜더러(910)의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여 상호 동기화한다.
또한, 제1 홈 게이트웨이(830)에 연결된 컨트롤 포인트(810)는 SOAP(Simple Object Acces Procotol)를 이용하여 제2 홈 게이트웨이(920)에 연결된 미디어 랜더러(910)와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SOAP는 원격지 함수 호출을 목적으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상에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작성된 프로토콜이다.
이때, 컨트롤 포인트(810)는 미디어 서버(820)로부터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획득하여 제1 홈 게이트웨이(830)를 통하여 미디어 랜더러(910)에 전송한다.
제1 홈 게이트웨이(830)는 컨트롤 포인트(810)가 미디어 랜더러(910)로 전송하는 컨텐츠 URI에 대한 주소 변환을 수행하는데, 세부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 홈 게이트웨이(830)는 디바이스 관리부(831), ALG(Apllication Level Gateway) 처리부(832), 데이터베이스(833), 수신부(834), 패킷 필터(835), 변환부(836) 및 전송부(837)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관리부(831)는 제1 홈 네트워크(800)에 속하는 디바이스 검색 요청을 멀티캐스트하여 미디어 서버(82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미디어 서버(820)의 위치 정보는 미디어 서버(820)가 송신하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수록되는 로컬 호스트의 주소 정보로서, 제1 홈 네트워크(800)에서 할당받은 사설 주소 정보이다.
ALG 처리부(832)는 디바이스 관리부(831)가 수신한 미디어 서버(820)의 사설 주소 정보에 대한 ALG 포트 번호를 할당하여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833)는 미디어 서버(820)의 사설 주소 정보와,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공인 IP 주소 및 ALG 처리부(832)에 의해 할당된 ALG 포트 번호를 매핑한 정보를 저장한다.
수신부(834)는 컨트롤 포인트(810), 미디어 서버(820) 및 제2 홈 게이트웨이(920)로부터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메시지 또는 SOAP 메시지를 수신한다.
패킷 필터(835)는 수신부(834)가 수신하는 메시지 중에서 미디어 랜더러(910)의 위치를 광고하는 SOAP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러한 SOAP 메시지는 'AddRemoteDevice() 메시지'일 수 있다.
패킷 필터(835)는 'AddRemoteDevice() 메시지'의 'descriptionDocument' 항목에 수록된 미디어 랜더러(910)의 접속 주소 즉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추출하여 추출된 접속 주소를 목적지 주소로 설정하여 전송되는 패킷을 가로채기 위한 패킷 필터링을 설정한다.
또한, 패킷 필터(835)는 필터링된 패킷 중에서 미디어 서버(820)의 컨텐츠 URI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메시지를 추출한다.
이러한 컨텐츠 전달 메시지는 UPnP AVT(AVTransport Service)에 재생 컨텐츠 URI를 전달하기 위해 정의된 메시지로서, 'SetAVTransportURI()' SOAP 메시지 또는 'SetNextAVTransportURI()' SOAP 메시지를 추출한다. 여기서, 'SetNextAVTransportURI()' SOAP 메시지를 이용하여 재생 컨텐츠의 순서를 정할 수 있다.
변환부(836)는 패킷 필터(835)가 추출한 컨텐츠 전달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URI를 데이터베이스(833)에 저장된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공인 IP 주소 및 ALG 처리부(832)에 의해 할당된 ALG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
전송부(837)는 변환부(836)가 변경한 컨텐츠 URI를 컨텐츠 전달 메시지에 포함시켜 미디어 랜더러(910)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3의 구성에 따른 미디어 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미디어 랜더러로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3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디바이스 관리부(831)가 SSDP M-SEARCH 메시지를 멀티캐스팅(S101)하면, 제1 홈 네트워크(800)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820)가 HTTP 200 OK 메시지로 응답한다(S103).
그러면, 제1 홈 게이트웨이의 ALG 처리부(832)가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디바이스 관리부(831)가 HTTP 200 OK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미디어 서버(820)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에 대한 ALG 처리를 수행한다(S105).
여기서,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디바이스 관리부(831)는 HTTP 200 OK 메시지의'LOCATION'필드에 수록된 URL을 추출한다.'LOCATION'필드는 루트 디바이스(root device)의 UPnP 설명(Description)을 위한 미디어 서버(820)의 IP 주소 및 포트번호를 포함한다.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ALG 처리부(832)는 이러한 미디어 서버(820)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에 대한 ALG 포트 번호를 할당하여 도 3에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833)에 저장한다.
한편, 컨트롤 포인트(810)는 미디어 서버(820)에 존재하는 AV 컨텐츠의 목록을 파악하기 위해 'Browse()' 액션을 호출(S107)하여 미디어 서버(820)에 존재하는 AV 컨텐츠에 대한 메타 데이터 목록을 가져온다(S109). 이러한 메타 데이터 목록은 미디어 서버(820)내 컨텐츠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 URI를 포함한다.
이후, 미디어 랜더러(910)가 제2 UPnP 네트워크(900)에 추가되면, SSDP의 출현(Alive) 메시지를 제2 홈 게이트웨이(920)에게 전송한다(S111). 그러면, 제2 홈 게이트웨이(920)는 미디어 랜더러(910)의 위치를 광고하는 SOAP 메시지를 제1 홈 게이트웨이(830)에게 전송한다(S113). 즉 미디어 랜더러(910)로부터 수신한 SSDP 메시지의'LOCATION'필드에서 추출한 URL을 'AddRemoteDevice() 메시지'에 포함시켜 제1 홈 게이트웨이(830)에게 전달한다.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패킷 필터(835)는 S113 단계에서 수신된 'AddRemoteDevice() 메시지'에서 미디어 랜더러(910)의 접속 주소 즉 URL을 추출(S117)하여 추출된 URL을 목적지로 설정하여 전송되는 패킷을 가로채기 위한 패킷 필터링을 설정한다(S119).
한편, 컨트롤 포인트(810)는 컨텐츠 재생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S121), 즉 사용자가 S109 단계에서 수신한 컨텐츠 목록 중에서 특정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할 것을 명령하면, 해당 컨텐츠의 URI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메시지를 제1 홈 게이트웨이(830)를 통해 제2 UPnP 네트워크(900)의 미디어 랜더러(910)로 전송한다(S123).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패킷 필터(835)는 S123 단계에서 송신되는 패킷들 중에서 S119 단계의 패킷 필터링이 설정된 컨텐츠 전달 메시지인지를 구별한다(S125). 즉 제1 홈 게이트웨이(830)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패킷들 중에서 패킷 필터링 조건에 맞는 컨텐츠 전달 메시지를 구별한다.
그러면,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변환부(836)는 컨텐츠 전달 메시지로부터 컨텐츠 URI를 추출(S127)하여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공인 IP 주소 및 S105 단계에서 할당된 ALG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S129). 그리고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전송부(837)는 S129 단계에서 변경된 컨텐츠 URI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메시지를 미디어 랜더러(910)로 전송한다(S131).
미디어 랜더러(910)는 S131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츠 전달 메시지로부터 컨텐츠 URI를 확인(S133)하여 접속을 요청한다(S135, S137). 그리고 미디어 서버(82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S139)하여 재생한다(S141).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PnP 원격 접속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지만 제1 UPnP 네트워크(800')가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가진다. 특히, 제1 UPnP 네트워크(800')의 컨트롤 포인트(810') 및 제1 홈 게이트웨이(830')가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 3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컨트롤 포인트(810')는 컨텐츠 URI 수신부(811), 디바이스 관리부(812), 판단부(813), 변환부(814) 및 전송부(815)를 포함한다.
컨텐츠 URI 수신부(811)는 'Browse()' 액션을 호출하여 미디어 서버(820)에 존재하는 컨텐츠 URI를 수신한다.
디바이스 관리부(812)는 SSDP M-SEARCH 메시지를 멀티캐스팅하여 미디어 서버(820)로부터 HTTP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미디어 랜더러(910)로부터 'AddRemoteDevice() 메시지'를 수신한다.
판단부(813)는 'AddRemoteDevice() 메시지'에 포함된 미디어 랜더러(910)의 URL을 토대로 미디어 랜더러(910)가 원격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URL의 IP 주소 대역이 제1 UPnP 네트워크(800')의 사설 IP 대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변환부(814)는 미디어 랜더러(910)가 원격지에 위치할 경우, 제1 홈 게이트웨이(830')로부터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공인 IP 주소 및 미디어 서버(820)에 대해 할당된 ALG 포트 번호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리고 컨텐츠 URI 수신부(811)가 수신한 컨텐츠 URI를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공인 IP 주소 및 미디어 서버(820)에 대해 할당된 ALG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
전송부(815)는 변환부(814)가 변경한 컨텐츠 URI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메시지를 미디어 랜더러(910)에게 전송한다.
또한, 제1 홈 게이트웨이(830')는 디바이스 관리부(831), ALG 처리부(832), 데이터베이스(833) 및 처리부(838)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관리부(831), ALG 처리부(832) 및 데이터베이스(833)는 도 3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처리부(838)는 변환부(814)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833)에 저장된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공인 IP 주소 및 미디어 서버(820)에 대해 할당된 ALG 포트 번호를 제공한다.
도 6은 도 5의 구성에 따른 미디어 서버가 원격지에 위치하는 미디어 랜더러로 컨텐츠를 공유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때, 도 5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디바이스 관리부(831)가 SSDP M-SEARCH 메시지를 멀티캐스팅(S201)하면, 제1 홈 네트워크(800')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820)가 HTTP 200 OK 메시지로 응답한다(S203).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ALG 처리부(832)는 HTTP 200 OK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미디어 서버(820)의 URL에 대한 ALG 처리를 수행한다(S205).
한편, 컨트롤 포인트(810')의 컨텐츠 URI 수신부(811)는 'Browse()' 액션을 호출(S207)하여 미디어 서버(820)의 컨텐츠 URI를 수신한다(S209).
이후, 미디어 랜더러(910)가 제2 UPnP 네트워크(900)에 추가되면, SSDP의 출현(Alive) 메시지를 제2 홈 게이트웨이(920)에게 전송한다(S211). 그러면, 제2 홈 게이트웨이(920)는 미디어 랜더러(910)의 위치를 광고하는 'AddRemoteDevice() 메시지'를 제1 홈 게이트웨이(830')에게 전송한다(S213).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디바이스 관리부(831)는 'AddRemoteDevice() 메시지'를 SSDP의 출현(Alive) 메시지로 변환하여 컨트롤 포인트(810')에게 전달한다(S215).
한편, 컨트롤 포인트(810')의 판단부(813)는 컨텐츠 재생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S217), 미디어 랜더러(910)가 원격 단말인지를 판단한다(S219).
원격 단말이 아닌 경우,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런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에 미디어 랜더러(910)가 컨트롤 포인트(810')와 동일한 홈 네트워크에 속할 경우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S219 단계에서 미디어 랜더러(910)가 원격 단말로 판단되면, 컨트롤 포인트(810')의 변환부(814)는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처리부(838)에게 주소 정보를 요청(S221)하여 제1 홈 게이트웨이(830')의 공인 IP 주소 및 S205 단계에서 할당된 ALG 포트 번호를 수신한다(S223). 그리고 변환부(814)는 컨텐츠 URI를 S223 단계에서 수신한 공인 IP 주소 및 ALG 포트 번호로 변경한다(S225).
그러면, 컨트롤 포인트(810')의 전송부(815)는 S225 단계에서 변경된 컨텐츠 URI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메시지를 미디어 랜더러(910)로 전송한다(S227).
미디어 랜더러(910)는 S227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츠 전달 메시지로부터 컨텐츠 URI를 확인(S229)하여 접속을 요청한다(S231, S233). 그리고 미디어 서버(82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S235)하여 재생한다(S237).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Remote Access Client 110: RADA
111: RADA Listener/Relay 112: RADASync
113: RADASync CP 120: RAC
121: RATAConfig 130: CP
140: Device 150: RA Transport Agent
200: Remote Access Server 210: RADA
211: RADASync 212: RADASync CP
220: RAS 221: Inbound Connection Config
222: RADA Listener/Relay 223: RADAConfig
224: RATAConfig 230: RA Transport Agent
300: Home Device 400: RA Management Console
500: 제1 UPnP 네트워크 510: 컨트롤 포인트
520: 미디어 서버 530: 제1 홈 게이트웨이(RAS)
600: 제2 UPnP 네트워크 610: 미디어 랜더러
620: 제2 홈 게이트웨이(RAC) 700: 인터넷망
800: 제1 UPnP 네트워크 810: 컨트롤 포인트
811: 컨텐츠 URI 수신부 812: 디바이스 관리부
813: 판단부 814: 변환부
815: 전송부 820: 미디어 서버
830: 제1 홈 게이트웨이(RAS) 831: 디바이스 관리부
832: ALG 처리부 833: 데이터베이스
834: 수신부 835: 패킷 필터
836: 변환부 837: 전송부
838: 처리부 900: 제2 UPnP 네트워크
910: 미디어 랜더러 920: 제2 홈 게이트웨이(RAC)
930: 제2 홈 게이트웨이(RAC) 1000: 인터넷망

Claims (10)

  1.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 및 컨트롤 포인트와, 제2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랜더러 간에 원격 접속을 지원하는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홈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서버 내의 컨텐츠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수신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주소 및 상기 미디어 서버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ALG(Apllication Level Gateway)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경된 컨텐츠 URI를 상기 미디어 랜더러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랜더러는 상기 컨텐츠 URI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홈 게이트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랜더러의 접속 주소를 목적지로 설정한 패킷을 가로채기 위한 패킷 필터링을 설정하고, 필터링된 패킷들 중에서 상기 컨텐츠 URI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메시지를 추출하는 패킷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패킷 필터가 추출한 컨텐츠 전달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 URI를 상기 공인 IP 주소 및 상기 ALG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홈 게이트웨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필터는,
    상기 미디어 랜더러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광고하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SOAP 메시지로부터 상기 미디어 랜더러의 접속 주소를 나타내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추출하여 패킷 필터링을 설정하는 홈 게이트웨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필터는,
    상기 SOAP 메시지 중에서 상기 미디어 랜더러의 데스크립션 정보가 수록되는 기 정의된 특정 필드로부터 상기 URL 정보를 추출하여 패킷 필터링을 설정하는 홈 게이트웨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달 메시지는,
    UPnP AVT(AVTransport Service)에서 미디어 랜더러에 재생시킬 컨텐츠 URI를 전달하기 위해 정의된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게이트웨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디바이스 검색 요청을 멀티캐스트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설 주소 정보-여기서 사설 주소 정보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송신하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수록되는 로컬 호스트의 주소 정보를 의미함-가 포함된 응답을 수신하는 디바이스 관리부; 및
    상기 디바이스 관리부가 수신한 상기 미디어 서버의 사설 주소 정보에 대한 ALG 포트 번호를 할당하여 관리하는 ALG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홈 게이트웨이.
  7.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서버와, 원격지인 제2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미디어 랜더러를 제어하는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컨트롤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미디어 서버 내의 컨텐츠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를 홈 게이트웨이-여기서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홈 네트워크와 상기 제2 홈 네트워크 간에 원격 접속을 지원함-의 공인 IP 주소 및 상기 미디어 서버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ALG(Apllication Level Gateway) 포트 번호로 변경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 의해 변경된 컨텐츠 URI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미디어 랜더러에게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랜더러는 상기 컨텐츠 URI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컨트롤 포인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랜더러의 IP 주소가 상기 제1 홈 네트워크로부터 할당받은 사설 IP 대역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판단부를 통해 상기 미디어 랜더러의 IP 주소가 상기 사설 IP 대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변경을 수행하는 컨트롤 포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미디어 랜더러로부터 수신되는 자신의 위치를 광고하는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메시지로부터 상기 미디어 랜더러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URL 정보가 상기 사설 IP 대역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는 컨트롤 포인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디바이스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한 SSDP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미디어 서버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설 주소 정보-여기서 사설 주소 정보는 상기 미디어 서버가 송신하는 패킷의 페이로드에 수록되는 로컬 호스트의 주소 정보를 의미함-에 대해 상기 홈 게이트웨이가 할당한 ALG(Apllication Level Gateway) 포트 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변경을 수행하는 컨트롤 포인트.
KR1020100092727A 2010-09-20 2010-09-20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 KR10123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727A KR101238907B1 (ko) 2010-09-20 2010-09-20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727A KR101238907B1 (ko) 2010-09-20 2010-09-20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889A true KR20120030889A (ko) 2012-03-29
KR101238907B1 KR101238907B1 (ko) 2013-03-06

Family

ID=4613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727A KR101238907B1 (ko) 2010-09-20 2010-09-20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274A (ko) * 2014-12-05 2016-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브리지 시스템
US20160241642A1 (en) * 2013-09-26 2016-08-18 Zte Corporation Multimedia sharing method, registration method, server and proxy serv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902B1 (ko) * 2001-12-27 2004-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중망에서 사설망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940813B1 (ko) * 2003-10-11 2010-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피엔피(UPnP)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의 UPnP AV 디바이스 연동 방법
KR100548265B1 (ko) * 2004-02-14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설 ip 기반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및방법
KR100662509B1 (ko) * 2005-11-07 2006-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댁내 미디어 컨텐츠 원격 제공 시스템 및 원격 재생 단말과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41642A1 (en) * 2013-09-26 2016-08-18 Zte Corporation Multimedia sharing method, registration method, server and proxy server
KR20160068274A (ko) * 2014-12-05 2016-06-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브리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907B1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1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access to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s
US9363099B2 (en) UPnP/DLNA with RADA hive
US8438210B2 (en) Sharing media content based on a media server
EP2345208B1 (en) Method for resolving ip address collision in remote access service
US9948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LNA device
CA2697704C (en) A network-based digital media server
US201101822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discovery
CN101094243A (zh) 基于UPnP的不同类型设备间的多媒体适配系统及多媒体内容适配方法
CA2698911C (en) A personalized media server in a service provider network
WO2013107175A1 (zh) 家庭网络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104044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disclosure of network information during remote access service
US20090254671A1 (en) Remote control of a device by a terminal
EP2543165B1 (fr) Pilotage d&#39;un dispositif d&#39;un reseau distant a partir d&#39;un reseau local
KR101238907B1 (ko)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를 원격지 사설망에 위치한 미디어 랜더러에 공유시키는 홈 게이트웨이 및 컨트롤 포인트
US891884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edia access
KR101394609B1 (ko) 원격지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한 컨트롤 포인트 및 홈 게이트웨이
CN105323125A (zh) 一种跨家庭网络的处理方法及http网关、dlna设备
KR20040039039A (ko) UPnP 기반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메시지멀티캐스트 방법 및 장치
KR20050035038A (ko) 유피엔피(UPnP) 네트워크의 IP 주소 설정 방법
EP24044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disclosure of network information during remote access service
EP2469768A1 (fr) Procédé d&#39;interfaçage de dispositifs UPn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