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121A -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121A
KR20120029121A KR1020100091009A KR20100091009A KR20120029121A KR 20120029121 A KR20120029121 A KR 20120029121A KR 1020100091009 A KR1020100091009 A KR 1020100091009A KR 20100091009 A KR20100091009 A KR 20100091009A KR 20120029121 A KR20120029121 A KR 2012002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dia
connection
service
s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숙
조기성
심재찬
유초롱
김상권
문화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121A/ko
Publication of KR2012002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5Proxies, e.g.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세션 이동성 제어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종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고, 이동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미디어 변환을 이용한 서비스 세션 이동성 제공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 사이의 연결 정보와 이동할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변환 기능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변환 기능의 사용이 확정되면 상기 이동할 단말과 상기 이동할 단말과 통신하는 상대 단말과의 연결을 위한 미디어 서버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서버의 연결 정보를 각 단말로 전달하여 서버를 통한 상기 단말 사이의 연결이 완성되도록 연결 제어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AMLESS SERVICE PROVISION BETWEEN HETEROGENEOUS NODES}
본 발명은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세션 이동성 제어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필두로 하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발달은 사용자에게 단일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다양화와 더불어 사용 단말의 다양화에 따라 개인은 PC, 핸드폰, TV 등 동시에 여러 종류의 단말을 보유하는 경우가 보편화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단말을 사용하는 것뿐 아니라 서비스 중 상황에 따라 단말의 변경을 통해 최상의 서비스를 받고자 한다.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IP Multimedia Service : "IMS"라 칭함)는 유무선 통신망의 통신서비스 뿐 아니라 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형태인 IPTV 서비스를 제어하는 기술로도 정의되어 표준화 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 표준화 중인 기술은 IMS 기반 서비스 중 단말 변경에 대해 단말간의 서비스 이동성 제공을 위한 IMS 서비스 연속성 제어 기능을 정의하고 있다.
단말 간에 서비스 이동을 위해서는 서비스가 이동될 새로운 단말과의 세션 연결과 상대 단말로 세션의 수정 요구를 통해 이동성을 제공한다. 이때 새로운 단말이 제공하는 영상, 음성 미디어의 재협상 절차가 발생하고, 이때 공통적인 미디어 제공을 위한 협상이 불가능할 경우 이동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끊김없는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종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미디어 변환을 이용한 서비스 세션 이동성 제공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 사이의 연결 정보와 이동할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변환 기능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변환 기능의 사용이 확정되면 상기 이동할 단말과 상기 이동할 단말과 통신하는 상대 단말과의 연결을 위한 미디어 서버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서버의 연결 정보를 각 단말로 전달하여 서버를 통한 상기 단말 사이의 연결이 완성되도록 연결 제어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이종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고, 이동의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미디어 변환 제어를 포함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기존 단말 사이에 서비스 이동을 위한 세션 이동성 제어 절차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변환 제어를 포함한 단말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 제어 구조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 단말 사이의 세션 이동성 제어 절차의 흐름도.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는 위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의 평균적인 지식을 갖는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도면에서 코덱은 단말간 미디어 속성이 상이하여 변환이 필요한 속성의 종류에 대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요소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IMS 기반 서비스 망에서 단말 간 서비스 이동 시에 사용자 단말의 특성 및 이동 전 서비스의 미디어 정보에 따라 미디어 협상을 단순화하고, 공통 미디어 코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미디어 서버의 미디어 변환 기능을 통해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변환 기능을 이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미디어 변환 제어를 포함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서는 모든 사용자 단말은 유무선 IP를 근간으로 하는 네트워크(100)를 통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어는 호/세션 제어 함수(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 이하 "CSCF"라 칭함)와 가입자 프로파일(Home Subscriber Server : 이하 "HSS"라 칭함)의 기능을 가지는 IMS 코어(110) 망을 통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IMS 코어(110)를 통하여 연결된 서비스 단말간의 세션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여러 단말의 등록 상태를 관리한다. 또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단말의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의 호/세션 제어에 관여하여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받는 단말의 호 세션 상태를 관리하며, 연속성을 제공받는 단말이 착신 서비스 단말인 경우 등록된 여러 단말 중 상황에 따른 단말 선택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말 사이에 서비스 이동이 요구될 경우 서비스 이동을 위한 세션을 단말 사이에서 전환 절차를 수행한다.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IMS 시스템에서는 통상의 IMS 응용 서버(AS) 형태로 동작한다.
그리고 한 명의 사용자는 PC, TV, 이동 기기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을 동시에 보유할 수 있고, 단말들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들(130, 140)은 일반적인 IMS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 기능에 서비스 연속성 제공을 위한 IMS 세션 연속성 제공 클라이언트 기능을 소유하고 있다.
IMS 서비스 연속성 제공 단말들(130, 140)과 서비스를 연결하는 상대 단말(150)은 다른 사용자의 단말이거나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버일 수 있다. 또 상대 단말(150)은 단말 사이의 서비스 이동성을 제공하는 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이동성을 지원하는 단말일 수도 있고 서비스의 이동성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일 수도 잇다.
서비스 연속성 제공 구조에 포함된 미디어 서버(160)는 영상, 음성 등에 대한 다수의 코덱을 가지며, 하나의 코덱으로 입력되는 미디어를 다른 형태의 코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미디어 코덱 변환기능을 가진다.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단말(130, 140)을 지원하는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IMS 코어 내부의 호/세션 제어 함수(CSCF)(110)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단말 1(130)과 단말 3의 연결을 연결 1(171)이라 칭하고 단말 2(140)와 단말 3(150)의 연결을 연결 2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2는 기존 단말 사이에 서비스 이동을 위한 세션 이동성 제어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2의 세션 이동 제어 절차는 도 1의 시스템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단말 1(130)과 단말 2(140)는 제 1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으며 단말 3(150)은 제 2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단말로 가정한다.
201단계에서 제 1 사용자의 단말 1(130)은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에게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 202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IMS코어를 통해 단말 3(150)으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 1(130)의 서비스를 위해 제공 가능한 미디어 정보 SDP 1을 포함한다. 여기서 SDP는 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의 약자로 세션 기술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SDP로 칭하기로 한다. 203 단계에서 단말 3(150)은 202 단계에서 수신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IMS 코어(110)를 통해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로 자신의 미디어 정보 SDP 3을 포함하는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204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단말 3(150)으로부터 전달된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를 단말 1(130)로 전달한다. 이때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에는 SDP 1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3(150)에서 제공 가능한 미디어 정보 SDP 3이 포함되어 있다. 205 단계에서는 단말 1(130)과 단말 3(150)의 SDP 정보를 교환하여 현재 연결 1(171)에 대한 협상이 완료되어 서비스 중인 상태이다.
206 단계에서 제 1 사용자가 단말 1(130)에서 단말 2(140)로의 서비스 변경이 필요할 경우 단말 1(130)은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로 서비스 이동 요구 내용을 포함하는 서비스 이동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207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단말 2(140)에게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208 단계에서 단말 2(140)은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으로 전송한다. 이때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에는 단말 2(140)의 미디어 정보 SDP 2가 포함된다. 209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서버(120)는 단말 2(140)로부터 수신된 SDP 2를 포함한 세션 연결 수정 메시지를 단말 3(150)에게 전달한다. 210 단계에서는 세션 연결 수정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3(150)은 기존의 연결 1, 즉 단말 1(130)과 단말 3(150)과의 연결에 대한 미디어 정보의 변경을 통해 미디어 송신을 계속된다. 211 단계에서는 미디어 연결 2, 즉 단말 3(150)에서 단말 2(140)로 전달되는 방향의 연결이 구성된다. 210 단계와 211 단계에서는 단말 1(130)에서 단말 3(150) 방향의 미디어 서비스는 계속 유지된 상태이다.
212 단계에서 단말 3(150)은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로 전달한다. 213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단말 3(150)으로부터 세션 수정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 3(150)로부터 수신된 SDP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확인 메시지를 단말 2(140)로 전달하여 세션 연결을 확인한다. 세션 연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2(140)는 연결 2에 대한 상대 단말의 미디어 정보를 구성하여 미디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214단계에서는 연결 2즉, 단말 2(140)와 단말 3(150) 사이의 연결에 대한 양방향 송수신 협상 및 연결이 완료된다. 215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120)는 단말 2(140)로 새로운 연결 설정 확인 완료 후 단말 1(130)에 세션 해제 요청/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 1(130)과의 기존 세션을 해지 요청하여 연속성 제어 절차를 완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변환 제어를 포함한 단말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 제어 구조도이다.
도 3의 미디어 변환 제어를 포함한 단말 사이 서비스의 서비스 연속성 제어의 기본 구조는 도 1과 동일하다. 또한 단말 1(330)과 단말 2(340)는 단말 사이의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하는 한 제 1 사용자의 이종 단말이다. 즉 제 1 사용자는 현재 최소한의 두 개의 단말들(330, 340)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동일한 미디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미디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말 3(350)은 제 2 사용자의 단말로 서비스 예시를 위해 제 1 사용자의 단말 (단말 1(330) 또는 단말 2(340)와 서비스를 연결하는 상대 단말이다. 단말 1(330)과 단말 2(340)는 연속성 제공이 가능한 단말로 IMS에 등록된 정보가 서비스 연속성 제공 서버(320)에 통보되어 관리된다. 연속성이 제공되는 단말의 등록 상태 통보 절차는 IMS 코어와 AS간의 단말에 대한 제3자 등록 절차에 따른다. 이하에서는 단말 1(330)과 단말 3(350)과의 연결을 연결 1(381)이라 칭하고, 단말 2(340)와 단말 3(350)과의 연결을 연결 2(382)라 칭한다. 또한 단말 2(340)와 미디어 서버(360)의 연결을 연결 3(383)이라 칭하며 단말 3(350)과 미디어 서버(360)의 연결을 연결 4(384)라 칭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360)은 미디어 변환기능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서비스 연속성 제어서버(320)에 미디어 서버 제어부가 존재한다.
단말 1(330)과 단말 3(350)간의 서비스 미디어 연결 1(381)을 제공하기 위해 단말 1(330)은 IMS 코어(310)로 통해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를 경유하여 단말 3(350)로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전달된다. 그리고 이의 응답이 역방향으로 전달되어 단말 1(330)에서 수신 가능한 미디어의 특성과 단말 3(350)의 미디어 특성을 교환하여 연결 1(381)을 위한 미디어 연결 특성이 협상된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의 호는 단말 1(330)과의 세션과 단말 2(340)와의 세션이 연동되는 형태로 관리된다. 이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을 경우 제 1 사용자가 단말 1(330)을 단말 2(340)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단말 1(330)이 서비스 세션 이동을 요청(371)하면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새로운 단말 2(340)로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단말 2(340)의 미디어 특성 사용하여 기존 단말 3(350)과의 세션 수정 절차를 수행함에 의해 단말 2(340)와 단말 3(350)과의 서비스 미디어 연결인 연결 2(382)를 위한 미디어 협상이 이루어져 서비스의 이동이 완성된다.
단말 사이의 서비스 이동시 단말 2(340)와 단말 3(350) 사이에 공통 미디어 코덱 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연결을 각 단말의 미디어 특성을 제공하도록 연결 3(383), 연결 4(384)로 분리하여 미디어 서버(360)를 통해 연결하도록 한다. 또한 미디어 서버(360)의 연결 제어 및 코덱 변환은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60)와 미디어 서버 연동(372)을 통해 제어한다. 이를 위해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미디어 서버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 단말 사이의 세션 이동성 제어 절차의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 단말 사이의 세션 이동성 제어 절차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 3의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의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 단말 사이의 세션 이동성 제어 절차 중 초기 서비스를 위한 단말 1(330)과 단말 3(350)간의 서비스 연결 제어 절차는 도 2의 절차와 동일하다. 즉 401 단계에서 405 단계까지는 201 단계에서 205 단계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미디어 변환을 활용한 서비스 세션 이동성 제공 제어 방법은 크게 3 가지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과정은 406 단계에서 410 단계까지로 일반적인 연결 정보와 새로이 이동할 단말을 통해 미디어 변환 기능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406 단계에서 제 1 사용자의 단말인 단말 1(330)에서 단말 2(340)로 서비스 이동이 요구된다. 407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서비스가 이동될 단말 즉, 단말 2(340)로 신규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 408 단계에서 단말 2(340)는 407 단계에서 수신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로 전달한다. 이 때 연결 응답 메시지는 단말 2(340)가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정보 SDP 2를 포함하여 전송된다. 409 단계에서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단말 2(340)에서 수신된 SDP 2와 기존 연결 즉, 단말 1(330)과 단말 3(350)의 연결의 SDP 정보에 동일한 코덱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410단 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409 단계에서 판단된 결과가 동일한 미디어 코덱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도 3의 절차와 동일하게 단말 2(340)로 기존 연결의 수정을 요청 절차를 진행하여(도 3에서 309 단계에서 314 단계까지) 미디어 연결 1(381)을 미디어 연결 2(382)로 이동하는 제어 절차를 수행한다.
미디어 변환을 활용한 서비스 세션 이동성 제공 제어 방법의 두 번째 과정은 미디어 변환의 사용이 확정되어 미디어 서버에 서비스가 이동될 단말 및 상대 단말과의 연결 자원 및 코덱 등의 미디어 정보 전달과 2개를 연결(연결 3(383), 연결 4(384))하도록 미디어 변환 자원 및 스위칭 자원 등 미디어 서버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411단계에서 414 단계까지를 의미한다.
411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30)는 409 과정에서 판단된 결과가 단말 2(340)와 단말 3(350)간의 서비스 미디어 별 공통 코덱이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 2(34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정보 SDP 2를 포함하여 미디어 서버(360)로 연결 3(383)을 위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 412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360)는 411 단계의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자신의 수신 포트를 포함한 세션 연결 요청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413 단계에서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연결 4(384)를 위한 세션을 연결하기 위하여 단말 3(350)과의 기존 세션 미디어 정보를 포함하여 미디어 서버(360)로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 연결 3(383)과의 미디어 변환(예 코덱 변환)도 동시에 요청한다. 414 단계에서 미디어 서버(360)는 413 단계에서 전달받은 세션 연결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미디어 정보와 미디어 변환요청에 대한 응답을 세션 연결 요청 응답 메지를 통하여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로 전달한다.
미디어 변환을 활용한 서비스 세션 이동성 제공 제어 방법의 세 번째 과정은 미디어 서버의 연결 정보를 각 단말로 전달하여 서버를 통한 단말 사이의 연결이 완성되도록 연결 제어 하는 과정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415 단계에서 423 단계까지가 이 과정에 포함된다.
415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단말 3(350)에 기존 단말 2(340)와의 세션 연결 수정 메시지를 이용하여 세션 연결 수정을 요청한다. 이때 세션 연결 수정 메시지는 미디어 정보 단말 2(340)와 미디어 서버(360)로부터 수신된 포트 및 미디어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된다. 이 상태 즉 416 단계에서는 기존의 단말 1(330)에서 단말 3(350)로 방향의 미디어 서비스는 계속 유지된 상태이다.
415 단계에서의 세션 연결 수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 3(360)은 기존 연결 1(381)에 대한 미디어 정보의 변경을 통해 미디어 송신을 계속하게 되므로 연결 4(384)에 대해 단말 3(360)에서 미디어 서버(360)로 미디어가 전달된다. 그리고 미디어 서버(360)의 미디어 변환과 연결 3(383)을 통해 미디어 서버(360)에서 단말 2(340)로 미디어가 전달된다. 즉, 417 단계에서는 단말 3(350)에서 단말 2(340)로 전달되는 방향의 연결이 구성된다. 417 단계에서는 미디어 서버(360)에서 단말 2(340)로 미디어가 전달되어 서비스가 연결된다.
419 단계에서 단말 3(350)은 415 단계에서의 세션 연결 수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3(350)의 SDP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연결 수정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로 전송한다. 420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단말 3(350)으로부터 수신된 SDP 변경 정보를 포함하여 미디어 서버(360)로 연결 4(384)를 위한 연결 확인 및 연결 3(383)과의 미디어 변환 연결을 확인을 위한 세션 연결 및 미디어 변환 확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421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미디어 서버(360)의 연결 및 미디어 변환 확인이 완료되면 단말 2(340)로 미디어 서버(360) 정보를 포함한 연결 3(383)을 위한 세션 연결 확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2(340)는 연결 3(383)에 대한 상대 단말의 미디어 정보를 구성하여 미디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422 단계에서는 연결 3(383)에 대한 양방향 송수신 협상 및 연결이 완료되며 423 단계에서는 연결 4(384)에 대한 미디어 연결이 완료된다. 424 단계에서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320)는 단말 2(340)로 새로운 연결 설정 확인 완료 후 단말 1(330)과의 기존 세션을 해지 요청하여 연속성 제어 절차를 완료한다.
본 발명은 미디어 변환 기능을 가진 미디어 서버를 통한 이동 세션의 연결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 간에 특성이 현저히 달라 서비스가 이동될 단말과 서비스 중인 상대 단말 또는 서버와 지원되는 미디어 코덱이 현저히 다른 경우에도 해당 서비스의 단말 간 이동을 통해 서비스 연속성을 제공 가능하게 한다. 미디어 변환 기능을 가진 미디어 서버는 IMS 코어 네트워크 또는 망간 미디어 게이트웨이 등으로 인프라에 존재하는 경우 추가의 장비 도입 없이 연속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00 : IP 네트워크,
110, 310 : IMS 코어,
120, 320 : 서비스 연속성 제어 서버,
130, 140, 150, 330, 340, 350 : 이동 단말,
160, 360 : 미디어 서버.

Claims (1)

  1. 미디어 변환을 이용한 서비스 세션 이동성 제공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 사이의 연결 정보와 이동할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변환 기능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변환 기능의 사용이 확정되면 상기 이동할 단말과 상기 이동할 단말과 통신하는 상대 단말과의 연결을 위한 미디어 서버의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미디어 서버의 연결 정보를 각 단말로 전달하여 서버를 통한 상기 단말 사이의 연결이 완성되도록 연결 제어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비스 세션 이동성 제공 제어 방법.
KR1020100091009A 2010-09-16 2010-09-16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20029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009A KR20120029121A (ko) 2010-09-16 2010-09-16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009A KR20120029121A (ko) 2010-09-16 2010-09-16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121A true KR20120029121A (ko) 2012-03-26

Family

ID=4613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009A KR20120029121A (ko) 2010-09-16 2010-09-16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1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295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로봇을 이용한 다자간 원격 감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1295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 감시 시스템에서 로봇을 이용한 다자간 원격 감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원격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419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上でUPnPを使用して電話関連サービスを複数の装置に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S2542965T3 (es) Un método, un dispositivo y un sistema para la puesta en convergencia de una mensajería en IP
JP4829350B2 (ja)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の両端にわたってマルチメディア通信を遠隔制御する方法及び配置構成
AU201320764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offline participation in a display session
JP5545295B2 (ja) シンクライアントセッションの確立方法
US88386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ed multimedia experiences across multiple subscriptions
US104254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he rendering of multimedia content
JP2010517362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リモート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944745B1 (ko) 컴퓨터 장치 간의 고화질 비디오 텔레포니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WO2009012665A1 (fr) Procédé pour assurer une continuité d'appel multimédia, équipement et système associés
CN105122761B (zh) 基于分组的呼叫的附加媒体会话的本地控制
US99126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context-aware control of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s
US91004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dia resources
KR20120081186A (ko) 미디어 세션 협상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20029121A (ko) 이종 단말 간 서비스 이동성 제공 장치 및 방법
JP5579660B2 (ja) 多地点接続テレビ会議装置
JP5272702B2 (ja) 移動網システム及びガイダンスメッセージ提供方法
EP1619838A1 (en) Push to watch dedicated network element and software architecture
Tuijn et al. Spanning a multimedia session across multiple devices
EP4351102A1 (en) Call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7009509B2 (ja) ネットワーク装置の管理
KR101451111B1 (ko) 영상 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75434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호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