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596A - 원격 의료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의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596A
KR20120028596A KR1020100090546A KR20100090546A KR20120028596A KR 20120028596 A KR20120028596 A KR 20120028596A KR 1020100090546 A KR1020100090546 A KR 1020100090546A KR 20100090546 A KR20100090546 A KR 20100090546A KR 20120028596 A KR20120028596 A KR 20120028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dical
wireless
puls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국
홍익표
신승호
이영준
최성호
김범성
대정일
Original Assignee
(주) 정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설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정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9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596A/ko
Publication of KR2012002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의료 진료 기기의 진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의료 시스템이 제공된다. 원격 의료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하여 의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환자정보 데이터와 진료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달하는 환자용 기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정보 데이터와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의사의 진단정보 데이터를 전달하는 의료진용 기기; 상기 환자용 기기 및 의료진용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시스템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의료 시스템 {Remote medical system}
본 발명은 원격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의료 진료 기기의 진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의료 기기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 시스템도 급격한 발전을 하였으며, IT, BT 등 각 기술 영역의 융합과 더불어, 고부가가치 산업인 의료 분야의 산업화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식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만성 질환의 증가와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가정 보건 의료 서비스가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한 의료 분야인 e-Health 분야가 점점 유망해지고 있다. e-Health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인식 기술, 의료 정보 표준화 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갖추어져야 하며, 본격적인 e-Health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기술들이 e-Health 시스템 플랫폼 상에서 통합 연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e-Health 시스템 플랫폼은, e-Health 시스템 개발자가 시스템 플랫폼 상에서 다양한 시스템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어야 하며, e-Health 시스템 플랫폼 상에서 개발된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현재 수많은 병원들이 이미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용하고 있으므로,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보다는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위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PC나 PDA등 각종 단말기가 기존의 ERP 시스템의 각 서버와 통신하여 환자의 진료 기록 및 각종 의료 장비의 사용 기록 등을 교환하여 실시간으로 진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 의료 시스템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의 실현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최근 개발된 와이브리(Wibr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진료 기기의 진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진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의료 진료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하여 의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환자정보 데이터와 진료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달하는 환자용 기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정보 데이터와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의사의 진단정보 데이터를 전달하는 의료진용 기기; 상기 환자용 기기 및 의료진용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시스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브리(Wibr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진료 기기의 진료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의료기기로 센싱된 데이터는 중계기를 경유하여 서버에 전달되고, 의료진과 환자는 원격 의료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 결과에 대한 의료적인 피드백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가정과 병원에 원격 의료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독거 노인, 만성 질환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에게도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의료 시스템의 구축으로 질병의 예방,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되어 질병에 대한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의료 보건 혜택의 공평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체온계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체온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체온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체온계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압계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압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압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압계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당계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당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6가지 글루코오스(glucose) 농도에 대한 시간에 따른 혈당 센서 전류 변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당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럭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혈당계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온도/맥박계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4개의 맥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간에 따른 맥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온도/맥박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8점 이동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맥박 신호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0은 맥박의 신호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의 순서도이다.
도 21은 가변 문턱값 방법을 이용하여 맥박을 검출하는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온도/맥박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럭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온도/맥박계의 회로도이다.
도 24는 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웹페이지의 메인 화면 및 사용자의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25는 무선 체온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체온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26은 무선 혈압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혈압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27은 무선 혈당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혈당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도 28은 무선 온도/맥박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체온/맥박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원격 의료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하여 의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환자용 기기(100), 의료진용 기기(200), 중계기(300) 및 시스템 서버(400)를 포함한다.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말하는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브리(Wibree) 통신 또는 ULP(Ultra Low Power)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진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의 하나로, 반경 10~100m 안에서 각종 전자 및 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하며, 2.45Ghz 주파수를 사용한다.
와이브리는 2.4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10m 정도까지의 거리를 1Mbps의 통신 속도로 여러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제어한다.
ULP 블루투스는 초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Wibree를 블루투스의 저전력 확장 규격인 ULP(Ultra Low Power) 블루투스 규격으로 채택한 것으로, Dual mode와 Stand-alone mode의 형태로 적용되며, Dual mode chip은 기존 블루투스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Stand-alone ULP 블루투스와의 접속이 가능한 PDA와 PC 등에 탑재가 될 것이고, Stand-alone mode chip은 초저전력 전력소모, 작은 크기, 저가격을 필요로 하는 시계, 센서 등에 탑재가 될 것이다.
환자용 기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환자정보 데이터와 진료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달하며, 의료진용 기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정보 데이터와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의사의 진단정보 데이터를 전달한다. 또한, 중계기(300)는 환자용 기기(100) 및 의료진용 기기(2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시스템 서버(400)는 중계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용 기기(100), 의료진용 기기(200) 및 중계기(300) 상호간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중계기(300)와 시스템 서버(400) 간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진다. 환자용 기기(100)와 의료진용 기기(200) 사이에 직접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중계기(300)를 통해서만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의료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환자용 기기(100)는, 무선 체온계(110), 무선 혈압계(120), 무선 혈당계(130) 및 무선 온도/맥박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300)와 시스템 서버(400) 사이에 중계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시스템 서버(400)에 전달하는 중계 서버(35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시스템 서버(400)는, 진료정보 수신모듈(412) 및 진료정보 분석모듈(414)를 포함하는 진료정보 서버(410)와 운영자 모듈(422) 및 피드백 모듈(424)를 포함하는 관리정보 서버(420)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환자용 기기(100)를 이루는 각 장치와 시스템 서버(400)를 이루는 각 모듈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무선 체온계의 구성도, 무선 체온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 무선 체온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록도 및 무선 체온계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용 기기(100)의 하나인 무선 체온계(110)가 획득한 환자의 체온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모니터링 서버에 전송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무선 체온계(110)는 온도 측정용 적외선 온도센서(Infrared Thermometer), 온도센서 인터페이스(interface), 데이터의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Battery),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Graphic LCD), 부저(Buzzer) 및 블루투스 송신기(Bluetooth Transmitter)로 구성된다.
온도 측정용 적외선 온도센서는 비접촉 방식이며, 디지털 출력을 지원하므로 별도의 회로 없이 중앙처리장치에 직접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온도의 측정 범위는 섭씨 -70도~380이며, 측정 해상도는 0.1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다른 적외선 온도센서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 회로는 전원을 공급하며, 일례로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3.3V로 동작하도록 설계하고, 코인 타입(coin type) 리튬이온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확인 및 충전을 위한 배터리 구동 회로가 설계될 수 있으며, 충전을 위해 5V 어댑터(Battery Charger)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의 최대 정격 용량은 3.7V, 150mA/H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다른 정격의 전원 회로를 설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는 온도값,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에 부저를 사용하여 전원 on/off시 멜로디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도 있다. 입력 부분의 스위치는 전원 on/off 스위치, 리셋 스위치, 온도 값을 유지하기 위한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도 3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PIC18F452 마이크로칩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디지털 회로는 I2C 통신을 통해 온도센서의 데이터를 받고, 각종 입출력 포트(port)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부저를 제어하며, 스위치(switch)와 키(key) 입력을 받는다. 온도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보정작업을 통해 최종 온도값으로 변환된 후 직렬통신(UART, 115200bps) 포트에 연결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도 4의 통신 프로토콜로 총 5 바이트(byte)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무선 체온계(110)에서 측정된 체온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된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랩뷰 8.5(LabVIEW, National Instruments, USA) 기반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는 온도값과 온도의 추이(trend)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며, 다른 값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무선 체온계(110)의 구체적 회로 구성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무선 체온계(110)는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는 적외선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 성능을 높이고, 연속적으로 체온 측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장시간 온도 측정이 가능하며, 측정시간이 단축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각각 무선 혈압계의 구성도, 무선 혈압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 무선 혈압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록도 및 무선 혈압계의 회로도이다.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관혈적으로 혈관 내에 직접 카테터(catheter)를 삽입하여 혈관내의 압력을 직접 측정하는 관혈적인 방법과 동맥내의 혈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비관혈적인 방법이 있다. 비관혈적인 혈압 측정 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이 청진법(auscultatory method), 오실로메트릭 방법(oscillometric method), 초음파를 이용한 측정 방법 등이 있다. 최근 병원 등에서 오실로메트릭 방법을 사용한 자동혈압계가 많이 이용된다.
무선 혈압계(120)는 오실로메트릭 방식의 혈압 측정 방법으로 사용자의 상완(upper arm)에 커프(cuff)를 두르고 커프압(cuff pressure)이 수축기 혈압보다 큰 압력에서부터 이완기 혈압보다 작은 압력으로 감압될 때, 커프에서 특정한 패턴을 갖는 오실레이션 파형을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혈압계(120)는 의료용 혈압 모듈, 혈압 측정용 커프(cuff), 혈압 모듈 인터페이스, 데이터의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 수축기 및 이완기의 혈압을 표시하는 표시부, 부저 및 블루투스 송신기로 구성되며, 무선 혈압계(120)를 통해 측정된 혈압은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의료용 혈압 모듈(NIBP Module)은 비침습적으로 상완에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오실로메트릭 방식의 혈압 모듈이다. 혈압 모듈의 일례로 M3200(OMRON healthcare, USA)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M3200은 직렬 통신을 사용하여 제어가 가능하며, 수축기(systolic) 혈압 60~250mmHg, 이완기(diastolic) 혈압 40~200mmHg, 정확도 5mmHg를 제공한다. 물론, 의료용 혈압 모듈이 M3200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무선 혈압계(120)의 전원 회로는, 혈압 모듈 구동을 위한 12V, 디지털 회로 구동을 위한 5V, 블루투스 송신기 구동을 위한 3.3V의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주 전원은 14.8V의 리튬폴리머(Li-poly) 충전 배터리 또는 14V 어댑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3 종류의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12V, 5V, 3.3V의 전원을 무선 혈압계(12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잔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배터리 구동 회로가 추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다른 정격의 전원 회로를 설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표시부는 수축기 및 이완기의 혈압을 표시한다. 표시부의 일례로 2개의 7-세그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부저를 사용하여 전원 on/off시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으며, 입력 부분의 스위치는 전원 on/off 스위치, 리셋 스위치, 혈압 측정 시작/정지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디지털 회로의 일례로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인 PIC18F452(Microchip, USA)를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으며, 직렬 통신(9600bps)을 통해 혈압 모듈을 제어하고, 혈압 데이터를 수신한다. 각종 입출력 포트를 통해 2개의 7-세그먼트(표시부)와 부저를 제어하며, 스위치와 키 입력을 받는다. 혈압 모듈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송되며 직렬 통신(9600bps) 포트에 연결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도 8의 프로토콜로 총 7바이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PIC18F452는 1개의 직렬 통신 포트만을 제공하므로, 아날로그 스위치를 사용하여 혈압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무선 혈압계(120)를 통해 측정된 혈압은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랩뷰 8.5(LabVIEW, National Instruments, USA) 기반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는 혈압 측정시 출력되는 커프의 압력값과 최종적으로 계산된 수축기/이완기 혈압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며, 다른 값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무선 혈압계(120)의 구체적 회로 구성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무선 혈압계(120)는 의료용 혈압 모듈을 사용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며,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의 혈압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다.
도 11 내지 도 15는 각각 무선 혈당계의 구성도, 무선 혈당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 6가지 글루코오스(glucose) 농도에 대한 시간에 따른 혈당 센서 전류 변화 그래프, 무선 혈당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록도 및 무선 혈당계의 회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혈당계(130)는 전류 화학센서, 센서 인터페이스, 전원 회로, 배터리, 데이터의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저 및 블루투스 송신기로 구성 구성되며, 무선 혈당계(130)를 통해 측정된 혈당은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이외에도, 무선 혈당계(130)에 정전압 발생 회로, 전류-전압 변환 회로 및 저역통과필터 회로 등을 더 구성될 수 있다.
전류 화학센서는 글루코오스(gluecose) 센서를 이용한다.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한 글루코오스 센서는 높은 선택성과 감도를 가지며 시료가 혼탁하더라도 시료를 별도의 전처리 없이 사용 가능하며 짧은 시간내에 정확한 양을 측정할 수가 있고,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저렴한 분석 수단을 제공한다.
혈당진단을 위한 대부분의 효소 전극은 스크린 인쇄 기술을 이용해 제작되고, 전극 표면과 효소 활성자리 사이의 전자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위적 전자 매개체를 도입하여 만드는 방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일회용 전류법 글루코오스 센서(gluecose sensor)는 헥사아민루세늄(III)클로라이드(hexaamineruthenium(III) chloride: [Ru(NH3)6]Cl3)를 전자전달 매개체로 사용하여 다공성 박막 위에 글루코오스 옥시데이즈(gluecose oxidase: GOD) 및 헥사아민루세늄(III) 클로라이드를 고정하여 전류법으로 시료 중의 글루코오스를 정량하는 일회용 바이오 센서이다.
글루코오스 옥시데이즈를 고정화하므로 전극표면에 직접 고정화하여 기존의 전자 전달 매개체보다 헥사아민루세늄(III) 클로라이드는 보다 낮은 전위에서 측정이 가능하므로 방해 물질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시료의 양을 일정하게 도입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극끼리의 재현성이 뛰어나고 다루기가 간편하며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일회용 혈당 측정용 전류 화학센서이다.
혈액이 전류 화학센서에 닿을 때 혈액과 센서가 반응하여 글루코오스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오는 전류의 양을 이용하여 혈당 수치를 측정한다. 전류 화학센서의 출력은 전류 값으로 출력되고, 센서의 출력 값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 값은 [글루코오스 성분 + 간섭 성분]이고, 두 번째 값은 [간섭 성분], 즉 측정 시 방해 성분이다. 이로써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통해 순수한 글루코오스 농도만을 검출할 수가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전류 화학센서에서의 클루코오스 측정 방법은 센서와 클루코오스 성분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환원 반응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방법(amperometric method)이다. 또한, 산화환원 반응이 충분히 진행될 때까지 시간적 지연을 주어야 하며, 이러한 전류측정방법을 기반으로 전류값을 전류-전압 변환회로에 의해 전압값으로 변환시킨 후 농도 환산 수식인 교정곡선에 의해 농도값(mg/dL)으로 환산하여 글루코오스 성분을 측정한다.
무선 혈당계(130)는 전류 화학센서를 사용하여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화학 반응을 유지시키기 위한 안정된 전위 발생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정전압 발생 회로(Constant Voltage Circuit)가 무선 혈당계(130)에 더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혈당계(130)에서 사용한 직류 정전압의 크기는 -250mV로 센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직류 정전압을 (-)값으로 인가하는 이유는 동작전극 부분의 면적이 다른 두 개의 Count Electrode 1, Count Electrode 2보다 넓기 때문에 정전압원을 (+)값으로 인가했을 때보다 산화환원 반응이 훨씬 더 원활히 진행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류 화학센서에서 글루코오스 성분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는 미세한 전압의 변화가 측정오차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안정화된 정전압원이 필요하다. 무선 혈당계(130)는 1.25V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와 증폭기(op-amp)를 이용하여 직류 정전압원을 구성한다. 또한, 정전압원의 on/off 제어를 위해 아날로그 스위치를 이용하여 설계할 수 있으며, 설계한 정전압원이 동작 전극 부분에 인가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무선 혈당계(130)는 전류-전압 변환 회로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전류 화학센서에서의 글루코오스 측정 방법은 센서와 글루코오스 성분의 반응에 의해서 발생하는 산화환원 화학반응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방법이다. 전류측정방법에서는 전류-전압 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전압값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류-전압 변환회로에서 스파이크 잡음(spike noise)이 발생하게 되는데, 전류-전압 변환회로의 증폭기의 귀환 부분에 저항과 병렬로 콘덴서를 사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무선 혈당계(130)는 저역통과필터 회로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전류-전압 변환 회로가 효율적으로 제작되더라도 출력신호에는 공급 전원에 의한 변동과 잡음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혈당 측정용 전류 화학센서를 통해 유입된 잡음이 존재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저역통과필터가 이용된다. 일례로 수동소자인 저항과 콘덴서를 사용하여 약 10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전원 회로는 전원을 공급하며, 일례로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3.3V로 동작하도록 설계하고, 코인 타입(coin type) 리튬이온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확인 및 충전을 위한 배터리 구동 회로가 설계될 수 있으며, 충전을 위해 5V 어댑터(Battery Charger)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의 최대 정격 용량은 3.7V, 150mA/H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다른 정격의 전원 회로를 설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디스플레이는 온도값,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일례로 101x64 dots 해상도의 그래픽 LCD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부저를 사용하여 전원 on/off시 멜로디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도 있다. 입력 부분의 스위치는 전원 on/off 스위치, 리셋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지털 회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도 11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PIC18F452(Microchip, USA)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의 아날로그 출력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10-bit 해상도의 A/D 변환부를 통해 50Hz의 샘플링율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며, 각종 입출력 포트(port)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부저를 제어하며, 스위치(switch)와 키(key) 입력을 받는다. A/D 변환된 혈당 센서의 출력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저장된 교정곡선을 통해 글루코오스 농도로 환산되며, 계산된 혈당값은 직렬통신(UART, 115200bps) 포트에 연결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도 12의 통신 프로토콜로 총 3 바이트(byte)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무선 혈당계(130)의 혈당 농도 계산을 위하여 상용 혈당 센서에 약 42~600mg/dL의 6가지 글루코오스(glucose) 용액을 사용하여 혈당 센서의 전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농도에 대한 전류값을 이용하여 선형 회귀 방정식의 파라미터를 계산하여 하기의 수학식 4의 혈당값 보정 수식을 도출한다.
Figure pat00004
무선 혈당계(120)를 통해 측정된 혈당값은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랩뷰 8.5(LabVIEW, National Instruments, USA) 기반이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는 혈당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류값과 최종적으로 계산된 혈당값을 함께 디스플레이하며, 다른 값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무선 혈당계(130)의 구체적 회로 구성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으며, 무선 혈당계(130)는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원격지에서 사용자의 혈당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다.
도 16 내지 도 23은 각각 무선 온도/맥박계의 구성도, 4개의 맥박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간에 따른 맥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무선 온도/맥박계의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 8점 이동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맥박 신호를 측정한 그래프, 맥박의 신호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의 순서도, 가변 문턱값 방법을 이용하여 맥박을 검출하는 그래프, 무선 온도/맥박계의 모니터링 화면과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블록도 및 무선 온도/맥박계의 회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온도/맥박계(140)는 온도 측정용 적외선 온도센서, 맥박 측정용 광학식 맥박센서, 온도센서 인터페이스, 맥박센서 인터페이스, 맥박 신호의 출력신호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 온도와 맥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저 및 블루투스 송신기로 구성되며, 전류-전압 변환 회로 및 대역통과필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온도/맥박계(140)를 통해 측정된 체온과 맥박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무선 온도/맥박계(140)는 손목에 착용되는 형태가 일반적일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무선 온도/맥박계(140)에서 온도 측정 부분은 전술한 무선 체온계(110)와 동일한 적외선 온도센서를 구비한다. 온도 측정용 적외선 온도센서는 비접촉 방식이며, 디지털 출력(I2C)을 지원하므로 별도의 회로 없이 중앙처리장치에 직접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온도의 측정 범위는 섭씨 -70도~380이며, 측정 해상도는 0.1도이다. 온도 센서의 일례로 MLX90614(Melexis, USA) 온도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다른 적외선 온도센서를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심장 박동을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심전도와 초음파 또는 레이저 도플러를 이용하는 방법, 광학식 센서를 이용한 광 혈류량 측정법 등이 있다. 이 중 광 혈류량 측정법(PPG, photoplethysmography)을 살펴 보면, 심장 박동에 의한 혈류량 변화를 광학식 센서를 이용하여 비관혈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맥박 측정 방법에 비해 측정이 간단하며, 국소부위에서도 혈류량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광 혈류량 측정법은 빛을 생체 조직에 인가하고 생체 조직을 투과하거나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크게 투과형과 반사형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피부에 인가하는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투과되거나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센서는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사용할 수 있다. 광원이 피부에 투과되면 동맥혈, 정맥혈, 조직 등에 흡수되며, 맥박을 계산하기 위해 심장의 수축이완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동맥혈의 맥동성분이 필요하며, 동맥혈의 맥동성분은 심장의 수축 동안 최대치를 이완 동안 최대치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하여, 무선 온도/맥박계(140)에 구성된 맥박 센서의 광원으로 적외광(infrared)과 적색광(red)이 내장된 광혈류 맥파 측정용 소형 발광다이오드와 빛을 감지하기 위한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맥박 센서를 반사형 방식으로 적용하여 4개의 맥박 센서를 손목 부근에 부착하여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높이기 위하여 각 센서의 출력을 모두 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다른 맥박센서를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온도/맥박계(140)는 전류-전압 변환 회로 및 대역통과필터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의 출력은 빛의 세기에 비례하는 미세한 전류 신호가 출력된다. 포토다이오드의 출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류-전압 변환회로에 의해 변환된 전압값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류-전압 변환회로에서 스파이크 잡음(spike noise)이 발생하기 때문에 전류-전압 변환회로의 증폭기의 귀환부분에 저항과 병렬로 콘덴서를 사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맥박 계산시 심장의 수축이완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동맥혈에서의 맥동 성분이 필요하며, 이 맥동 성분은 포토다이오드의 출력에서 AC 성분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포토다이오드의 출력은 맥동 성분을 제외한 직류 성분과 각종 잡음이 포함된 신호이기 때문에 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약 1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고역통과필터를 설계하고, 다음으로 증폭단을 거친 후 맥박 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약 10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 저역통과필터를 설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맥박 센서 각각에 대역통과필터가 적용되고, 각 필터 출력들을 더한 신호가 최종 출력이 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컨버터로 입력되게 된다.
무선 온도/맥박계(140)의 전원 회로는 전원을 공급하며, 일례로 레귤레이터를 이용하여 3.3V로 동작하도록 설계하고, 코인 타입(coin type) 리튬이온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확인 및 충전을 위한 배터리 구동 회로가 설계될 수 있으며, 충전을 위해 5V 어댑터(Battery Charger)가 추가될 수 있다. 배터리의 최대 정격 용량은 3.7V, 150mA/H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다른 정격의 전원 회로를 설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무선 온도/맥박계(140)의 디스플레이는 온도값,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에 부저를 사용하여 전원 on/off시 멜로디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도 있다. 입력 부분의 스위치는 전원 on/off 스위치, 리셋 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무선 온도/맥박계(140)의 디지털 회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도 16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PIC18F452(Microchip, USA)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디지털 회로는 I2C 통신을 통해 온도센서의 데이터를 받고, 맥박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의 아날로그 출력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된 10-bit 해상도의 A/D 변환부를 통해 480Hz의 생플링율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각종 입출력 포트(port)를 통해 디스플레이와 부저를 제어하며, 스위치(switch)와 키(key) 입력을 받는다. 변환된 맥박 신호는 디지털 필터링을 통해 잡음을 감소시킨 후 맥박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맥박 수를 계산하게 된다. 측정된 온도값과 맥박 신호는 직렬통신(UART, 115200bps) 포트에 연결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도 18의 통신 프로토콜로 총 6 바이트(byte)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측정된 맥박 신호는 잡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맥박 수 계산에 앞서 디지털 필터링을 통해 잡음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일례로 도 19에 8점 이동평균 필터를 이용하여 맥박 신호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필터링된 신호는 맥박 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잡음이 감소된 맥박 신호에 문턱치를 적용하여 맥박을 검출한다. 문턱치 적용 시 맥박 신호의 크기에 대해 적응적으로(adaptively) 문턱치 크기를 조절하는 가변 문턱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0에 맥박의 신호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의 순서도가, 도 21에 가변 문턱치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한 맥박 신호와 맥박수를 함께 표시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온도/맥박계(140)를 통해 측정된 온도값과 맥박 데이터는 모니터링 서버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랩뷰 8.5(LabVIEW, National Instruments, USA) 기반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프로그램에서는 온도값과 추이(trend), 맥박 신호와 맥박 수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며, 다른 값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무선 온도/맥박계(140)의 구체적 회로 구성은 도 23에 도시되어 있으며, 무선 온도/맥박계(140)는 높은 정확도를 보장하는 적외선 온도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연속적으로 체온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장시간 체온 측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맥박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초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손목형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며 장시간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중계기(300)는 블루투스 장치인 환자용 기기(100) 및 의료진용 기기(200)와 100Mbs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양으로 설계될 수 있다.
시스템 서버(400)는, 진료정보 서버(410)와 관리정보 서버(4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료정보 서버(410)는 진료정보 수신모듈(412) 및 진료정보 분석모듈(414)를 포함하고, 관리정보 서버(420)는 운영자 모듈(422) 및 피드백 모듈(4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서버(400)는 가정, 병원 내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모든 데이터의 집합 장소이자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진료정보 서버(410)는 진료정보 데이터를 처리한다. 관리정보 서버(420)는 진료정보 데이터와 연관되는 관리정보 데이터와, 환자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관리정보 데이터를 처리한다.
진료정보 수신모듈(412)은 환자용 기기(100) 및 의료진용 기기(200)에 탑재된 블루투스와 시스템의 서버간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고, 전송 받은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정정을 수행하고, 환자용 기기(100)에 속하는 무선 체온계(110), 무선 혈압계(120), 무선 혈당계(130) 및 무선 온도/맥박계(140)로부터 전송 받은 4종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진료정보 분석모듈(414)은 전송 받은 혈당, 혈압, 체온, 맥박 등의 로 데이터(raw data)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영자 모듈(422)은 시스템 서버(400)에 가입한 가입자 및 가입자별 환자용 기기(100)를 관리한다. 즉, 가입자별 측정 기기를 관리하고, 가입자를 관리한다.
피드백 모듈(424)은 진료정보 서버(410)가 처리한 진료정보를 관리정보와 연동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업데이트한다.
도 24는 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로그인하는 웹페이지의 메인 화면 및 사용자의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메인 화면은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사용자의 모든 측정 데이터를 시간별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된다.
도 25는 무선 체온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체온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무선 체온계(110)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사용자의 모든 측정 데이터를 시간별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된다.
도 26은 무선 혈압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체온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무선 혈압계(120)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사용자의 모든 측정 데이터를 시간별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된다.
도 27은 무선 혈당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체온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무선 혈당계(130)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사용자의 모든 측정 데이터를 시간별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된다.
도 28은 무선 온도/맥박계를 사용할 경우의 사용자의 로그인 화면 및 체온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무선 온도/맥박계(140)를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여 사용자의 모든 측정 데이터를 시간별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환자용 기기 110: 무선 체온계
120: 무선 혈압계 130: 무선 혈당계
140: 무선 온도/맥박계 200: 의료진용 기기
300: 중계기 350: 중계서버
400: 시스템 서버 410: 진료정보 서버
412: 진료정보 수신모듈 414: 진료정보 분석모듈
420: 관리정보 서버 422: 운영자 모듈
424: 피드백 모듈

Claims (10)

  1.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하여 의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환자정보 데이터와 진료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전달하는 환자용 기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환자정보 데이터와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하고, 의사의 진단정보 데이터를 전달하는 의료진용 기기;
    상기 환자용 기기 및 의료진용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리하는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와이브리(Wibree) 통신 또는 ULP(Ultra Low Power) 블루투스 중에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지는 원격 의료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기기는,
    온도 측정용 적외선 온도센서, 온도센서 인터페이스, 데이터의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저 및 블루투스 송신기로 구성되는 무선 체온계를 구비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기기는,
    의료용 혈압 모듈, 혈압 측정용 커프(cuff), 혈압 모듈 인터페이스, 데이터의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 수축기 및 이완기의 혈압을 표시하는 표시부, 부저 및 블루투스 송신기로 구성되는 무선 혈압계를 구비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기기는,
    전류 화학센서, 센서 인터페이스, 전원 회로, 배터리, 데이터의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저 및 블루투스 송신기로 구성되는 무선 혈당계를 구비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기기는,
    온도 측정용 적외선 온도센서, 맥박 측정용 광학식 맥박센서, 온도센서 인터페이스, 맥박센서 인터페이스, 맥박 신호의 출력신호 처리 및 입출력 신호의 제어를 위한 디지털 회로, 전원 회로, 배터리, 온도와 맥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부저 및 블루투스 송신기로 구성되는 무선 온도/맥박계를 구비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전달하는 중계 서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진료정보 서버 및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와 연관되고, 상기 환자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리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관리정보 서버로 이루어지는 원격 의료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정보 서버는,
    상기 중계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료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진료정보 수신모듈과, 상기 진료정보 수신모듈이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진료정보 분석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 서버는,
    상기 시스템 서버에 가입한 가입자 및 가입자별 환자용 기기를 관리하는 운영자 모듈과, 상기 진료정보 서버가 처리한 진료정보를 상기 관리정보와 연동하여 저장하고 업데이트하는 피드백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
KR1020100090546A 2010-09-15 2010-09-15 원격 의료 시스템 KR201200285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546A KR20120028596A (ko) 2010-09-15 2010-09-15 원격 의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546A KR20120028596A (ko) 2010-09-15 2010-09-15 원격 의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96A true KR20120028596A (ko) 2012-03-23

Family

ID=4613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546A KR20120028596A (ko) 2010-09-15 2010-09-15 원격 의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85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200B1 (ko) * 2019-05-31 2020-08-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7-세그먼트를 구비한 진단 기기 이미지 인식 장치
CN113423328A (zh) * 2019-02-22 2021-09-21 吴宇 体征参数检测系统、体征参数的可靠性评价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3328A (zh) * 2019-02-22 2021-09-21 吴宇 体征参数检测系统、体征参数的可靠性评价方法
KR102150200B1 (ko) * 2019-05-31 2020-08-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7-세그먼트를 구비한 진단 기기 이미지 인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68920B (zh) 具有多模态诊断的可穿戴装置
CN104055499B (zh) 连续监控人体生理体征的可穿戴式智能手环及方法
Haahr et al. An electronic patch for wearable health monitoring by reflectance pulse oximetry
CN110856653A (zh) 基于生命体征数据的健康监测预警系统
US20080221461A1 (en) Vital sign monitor for cufflessly measuring blood pressure without using an external calibration
US20050228297A1 (en) Wrist-worn System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CN102973263B (zh) 一种智能移动心电图综合处理装置
US20060084878A1 (en) Personal computer-based vital signs monitor
CA2935160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optimal positioning of sensors
WO2006105341A2 (en) Small-scale, vital-signs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Zhang et al. Health monitoring of human multiple physiological parameters based on wireless remote medical system
JP2022532844A (ja) パッチ式生理センサ
Megalingam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elders: Wireless intelligent healthcare gadget
US20070299323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one or more physiological functions of a body and a method using the same
KR100855043B1 (ko)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방법
Al-Aubidy et al. Real-time patient health monitoring and alarming using wireless-sensor-network
CN111870236A (zh) 一种身体体征数据监测与分析系统及分析方法
Haahr et al. A wearable “electronic patch” for wireless continuous monitoring of chronically diseased patients
CN109363649A (zh) 生理参数监测服装及方法
Al-Aubidy et al. Real-tim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WO2021154936A1 (en) Simultaneous monitoring of ecg & bioimpedance via shared electrodes
CN203885485U (zh) 一种多功能健康检测仪
CN105496422A (zh) 动态血糖监护装置、系统及方法
KR100855042B1 (ko) 비침습적 연속혈압, 동맥탄성도 측정장치
CN109009019A (zh) 多参数生理检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