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194A -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194A
KR20120028194A KR1020100125037A KR20100125037A KR20120028194A KR 20120028194 A KR20120028194 A KR 20120028194A KR 1020100125037 A KR1020100125037 A KR 1020100125037A KR 20100125037 A KR20100125037 A KR 20100125037A KR 20120028194 A KR20120028194 A KR 20120028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gain
signal
unit
gain adjusting
adjus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159,02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62802A1/en
Priority to EP11173610A priority patent/EP2429186A1/en
Publication of KR20120028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1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48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frame-grabb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VB 표준에 다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는 수신된 방송신호의 세기를 소정의 레벨로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하는 프레임 확인부와;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이득조정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방송신호의 수신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TV 방송이 개시되면서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의 경우 유럽에서는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표준이 채택되고, 미국에서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표준이 채택되었다. 특히 유럽식의 경우, 2세대 디지털 TV 방송 시스템(DVB-T2)의 표준이 발표되었고, DVB-T2는 고정 및 이동을 모두 지원 가능하도록 FEF(Future Extended Frame)이라는 DVB-NGH용 전송 프레임 구간을 별도로 할당해 두었다. DVB-T2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에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FEF 구간이 비어 있는 경우가 있고, 이때에는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장치에서 방송수신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VB-T2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의 존재 유무에 따라 방송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신호의 세기를 소정의 레벨로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하는 프레임 확인부와;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이득조정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는 RF 신호이고, 상기 RF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이득조정부는, 상기 RF 신호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1자동이득조정부와;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2자동이득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인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송수신장치는, 상기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확인부는 상기 디코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확인부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 사이에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는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이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에 포함된 물리 계층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방송신호는 RF신호이고, 상기 RF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이득조정부는, 상기 RF 신호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1자동이득조정부와;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2자동이득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인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코더에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확인부는 상기 디코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 사이에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방송신호는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이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에 포함된 물리 계층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DVB-T2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의 존재 유무에 따라 방송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방송수신에 장애가 없도록 하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송수신장치의 상세 제어블록도이고,
도 3은 DVB-T2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의 프레임 구조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방송수신장치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송수신장치의 상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장치(100)는 RF 신호처리부(10), 복조부(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방송수신장치(100)는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NGH(Digital Video Broadcast-Next Generation Handheld), DVB-T2 (Next Generation 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등의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DVB-T (Digital Video Broadcast-Terrestrial),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Terrestrial),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Terrestrial), S-DMB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LO (Forward Link Only),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및 DRM (Digital Radio Mondiale) 등 현재 알려진 또는 앞으로 발전될 수 있는 방송신호표준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수신장치(100)는 상기 예를 든 디지털 TV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타입의 전자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셋탑 박스, 핸드 헬드 전자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신호처리부(10)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RF 대역(48MHz-860MHz)의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한다. 상기 RF 신호처리부(10)는 자동이득조정부(11) 및 변환부(13)를 포함한다.
자동이득조정부(11)는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를 포함한다. 제1자동이득조정부(11a)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신호의 세기를 소정의 이득율을 적용하여 소정의 세기가 되도록 조정한다. 상기 이득이 조정된 RF 신호는 제1필터(12, 도 2 참조)를 통하여 필터링되어 수신된 RF 신호 중 사용하고자하는 대역군은 통과되고, 사용하지 않는 신호의 대역군은 필터링된다. 필터링된 신호는 변환부(13)로 전달된다.
변환부(13)는 상기 RF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변환부는 RF 신호를 IF 신호로 낮추기 위하여 믹서(미도시), 오실레이터(미도시), PLL(Phase Locked Loop,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미도시)를 통과한 신호는 믹서(미도시)에 의해 상기 RF 신호와 혼합되어 중간 주파수 신호로 하향 변환될 수 있다.
제2자동이득조정부(11b)는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 신호의 세기를 소정의 이득율을 적용하여 소정의 세기가 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소정의 이득으로 조정된 중간 주파수는 I신호를 위한 ADC(14) 및 Q 신호를 위한 ADC(15); 제2필터(16)를 거쳐 출력 인터페이스(17)를 통하여 복조부(20)로 전달된다.
복조부(20)는 상기 이득이 조정된 중간 주파수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 후에 복조를 수행하고, 그 결과 TS(Transport Stream)의 형태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복조부(20)는 디코더(21) 및 프레임 확인부(23)를 포함한다. 그 이외에도 복조부(2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ADC(22a, 도 2);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한 필터링을 구현하는 디지털 필터(22b, 도 2); 제3 자동이득조정부인 듀얼 AGC(22c, 도 2); 자동위상제어 등을 수행하여 파일럿 신호로부터 변조 반송파와 같은 위상의 반송파를 복구하는 반송파 복구부 및 수신 신호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추출하는 타이밍 복구부를 포함하는 반송파/타이밍 복구부(22d, 도 2);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FFT(22e, 도 2); 채널 상의 왜곡 및 간섭 등을 복원, 보상하는 등화기(22f, 도 2); 반송파의 크기 및 기준 위상을 추정하는 채널 추정부(22g, 도 2); 시간, 주파수, 셀, 비트에 대한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인터리빙 이전 데이터로 전환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DVB-T2 신호에 포함된 FEC 블록을 처리할 수 있는 디인터리버(22h, 도 2);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오류검출부호로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를 디코딩하는 LDPC 디코더(22i, 도 2);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BCH 코드를 디코딩하는 BCH 디코더(22j, 도 2); 최종적으로 에러 수정되고, 복조된 TS를 출력하는 디-지터 버퍼(22k, 도 2)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방송신호의 복조 동안 복조 상태를 체크하여 제어할 수 있는 FSM(24, 도 2)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 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디코더(21)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물리계층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DVB-T2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코더(21)는 상기 DVB-T2 표준에 따른 물리계층 신호를, 특히 L1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확인부(23)는 상기 디코더(21)에 의해 디코딩된 신호로부터 확장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하는 방송신호는 소정의 디지털 TV 방송신호로써, 일 예로써 DVB-T2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VB-T2 표준에 의거한 방송신호는 영상압축기술은 MPEG-2를 기본으로하며; QPSK, 16 QAM, 64 QAM, 256QAM의 변조방식에 의한 COFDM변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도 3은 DVB-T2 방송신호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DVB-T2 방송신호는 T2 프레임 사이에 확장 프레임(예, FEF)를 포함하고 있는 슈퍼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각 T2 프레임은 1k OFDM 심볼을 구성하는 P1 심볼; DVB-T2, NGH, MIMO, MISO를 위한 P2 심볼; 데이터 심볼; 보조 심볼로 구성되고, 상기 P2 심볼은 DVB-T2 시스템에서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레이어에서의 물리계층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L1 post-signalling을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정보 뿐만 아니라 T2 시스템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크기, 코딩, 변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L1 pre-signalling 신호와; T2 시스템 및 PLPs에 대한 더욱 상세한 L1 정보를 포함하는 L1 post-signalling 신호와; L1 신호 다음으로 전송되는 복수의 PLPs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common PLP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확장 프레임은 두 개의 T2 프레임 사이의 슈퍼 프레임의 일 부분으로서, DVB-T2 방송신호에 미래에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DVB-NGH용 전송 프레임;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을 위하여 별도로 할당된 구간으로서, 때에 따라서는 아무런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별도로 할당된 확장 프레임 구간에 어떠한 데이터도 포함되어 있지 않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구간에 데이터 부존재로 인하여 소정의 기설정된 이득률로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가 에러를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방송 수신에 있어서 화면 깨짐, 깜빡임 등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송신호의 경우에는 상기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따라 자동이득조정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상기 디코더(21)는 수신된 DVB-T2 방송신호를 디코딩하고, 특히 물리계층신호 (예, L1 신호)를 디코딩한다. 상기 디코딩 결과에 따라, 상기 프레임 확인부(23)는 상기 수시된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로직 하이 신호를 인터럽트 방식으로 출력하고,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직 로우 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23)에 의해 확인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이득조정부(11)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이득조정부(11)는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를 포함하고, 제어부(30)는 상기 확인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23)에 의하여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 모두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확인부(23)로부터 로직 하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레임 확인부(23)로부터 로직 로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확인부(23)에 의하여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소정의 기설정된 이득율에 따라 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를 단속하는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 확인부(23)에 의해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치가 단속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 확인부(23)로부터 전달받은 확인결과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는 핀의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상기 프레임 확인부(23)로부터 확장 프레임이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핀이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11a) 및 제2자동이득조정부(11b)를 홀드시켜 동작을 일시 중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방송수신장치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소정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면(S11), 상기 수신한 RF 방송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다(S12).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를 디코딩하고(S13), 상기 디코딩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 사이에 확장 프레임의 존재를 확인한다(S14). 상기 확인 결과,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RF 방송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중간 주파수의 세기를 조정하는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고(S15),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16).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방송수신장치 10: RF 신호처리부
11: 자동이득조정부 13: 변환부
20: 복조부 21: 디코더
23: 프레임 확인부 30: 제어부

Claims (14)

  1. 방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신호의 세기를 소정의 레벨로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하는 프레임 확인부와;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자동이득조정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는 RF 신호이고,
    상기 RF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이득조정부는, 상기 RF 신호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1자동이득조정부와;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2자동이득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인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확인부는 상기 디코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확인부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 사이에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이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에 포함된 물리 계층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
  8.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 확장 프레임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자동이득조정부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방송신호는 RF신호이고,
    상기 RF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이득조정부는, 상기 RF 신호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1자동이득조정부와;
    상기 변환된 중간 주파수의 세기를 소정 레벨로 조정하는 제2자동이득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프레임 확인부에 의해 확인한 확장 프레임의 유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자동이득조정부 및 상기 제2자동이득조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디코더에서 디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확인부는 상기 디코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단계는, 상기 디코딩된 신호로부터 복수의 데이터 프레임들 사이에 확장 프레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신호는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이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DVB 표준에 따른 방송신호에 포함된 물리 계층 신호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125037A 2010-09-13 2010-12-08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8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59,025 US20120062802A1 (en) 2010-09-13 2011-06-13 Broadcasting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1173610A EP2429186A1 (en) 2010-09-13 2011-07-12 Broadcasting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209110P 2010-09-13 2010-09-13
US61/382,091 2010-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94A true KR20120028194A (ko) 2012-03-22

Family

ID=4613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037A KR20120028194A (ko) 2010-09-13 2010-12-08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81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9565B (zh) 一種處理信號的方法、系統以及一種機器可讀記憶體
EP2339772B1 (en) DVB-T2 Receiver,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US8718189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using parallel concatenated coding of bit-complementary bitstreams
EP2122872A1 (en) Interoperability of digital broadband broadcasting 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KR20210029297A (ko)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에 대한 시스템 물리적 계층 파이프
US20150236886A1 (en)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TW2005378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diversity
US8599015B2 (en) Receiv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emiconductor chip
US20180034677A1 (en) Double-sideband COFDM signal receivers that demodulate unfolded frequency spectrum
US76244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data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 receiver
CA2921750C (en) Low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ode f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CN106031179B (zh) 用于在数字广播系统中发送和接收信令信息的装置和方法
EP2429186A1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28194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237242B (zh) 车载mimo型的dvb-t接收机
US8458576B2 (en) Transport stream generating apparatus, turbo packet de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JP5712698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76950B2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demodulation apparatus, demodulation method, and program
US20090316053A1 (en) Mobile digital television demodulation circuit and method
JP4703755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消費電力の低減方法
WO2015026547A1 (en) Low adjacent channel interference mode f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US20140016728A1 (e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reception system
JP2024020167A (ja) 復調装置、受信装置および復調方法
KR20150030136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336190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