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174A -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 Google Patents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174A
KR20120028174A KR1020100090230A KR20100090230A KR20120028174A KR 20120028174 A KR20120028174 A KR 20120028174A KR 1020100090230 A KR1020100090230 A KR 1020100090230A KR 20100090230 A KR20100090230 A KR 20100090230A KR 20120028174 A KR20120028174 A KR 2012002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enerator
case
substrate member
brack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5772B1 (en
Inventor
오성관
안혁상
양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to KR102010009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772B1/en
Priority to CN201180043492.7A priority patent/CN103098357B/en
Priority to PCT/KR2011/006693 priority patent/WO2012036425A2/en
Priority to US13/821,216 priority patent/US9246375B2/en
Publication of KR2012002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7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8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04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 H02K33/0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frequency of operation is determined by the frequency of uninterrupted AC energisation with polarised armatures

Abstract

PURPOSE: A linear vibrat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the lifetime of a vibration generator by obtaining horizontal vibration through resonance. CONSTITUTION: A bracket(20) includes a sidewall part having the width of a constant size stood up on a rectangular shaped floor side and the four side of the floor side. The racket is arranged inside a case(10) having one opened side. A vibration part is composed of weights(21,22)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A spring(23) of '�� shape is fixed to the case and the bracket in a state of covering the bracket. A magnet(30) offers electromechanical power horizontally vibrating the vibration part. An air core coil(40) is installed at an constant interval with the magnet. A substrate member(50)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the air core coil. A substrate member has a structure of being combined with the opened one side of the case.

Description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방법{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Vibration gener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본 발명은 진동을 필요로 하는 핸드폰 등의 기기에 사용되는 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라켓과 웨이트(Weight)로 구성된 진동부에 상기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브라켓과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된 전자기력을 가진하여 발생되는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수평 진동을 얻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기판 부재를 결합시켜 표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자동화 공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고, 별도의 리드선 등을 이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접속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수평 진동형 진동 발생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generator used in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hat requires vib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he bracket is fixed to the bracket and case while wrapping the bracket on the vibration portion consisting of a weight (Weight) 'A horizontal vibration is obtained by using a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by installing a magnet-shaped spring and hav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same frequency a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pring, and attaching a substrate member to the bottom of the case to allow surface mount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vibration type vibration generator which improves the reliability of a connec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manufacture by an automated process and not to use a separate lead wire.

종래 진동을 필요로 하는 핸드폰 등의 기기에 사용되는 진동 발생기는 브러시 DC 모터에 편심형 또는 편질량형 웨이트(Weight)를 장착한 진동 모터이거나 회전체에 편심형 웨이트(Weight)를 장착한 BLDC 진동 모터, 코인형 진동 모터, 또는 공진을 이용한 수직 진동 모터 등이 있었으나, 상기 진동 발생기들은 상기 핸드폰 등 의 기기에서 요구하는 장수명, 신뢰성, 박형화 및 높은 진동량 등 조건을 전부 만족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Vibration generators used i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hat require conventional vibration are vibration motors in which an eccentric or eccentric weight is mounted on a brush DC motor or BLDC vibrations in which an eccentric weight is mounted on a rotating body. There was a motor, a coin-type vibration motor, or a vertical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but the vibration generators were insufficient to satisfy all conditions such as long life, reliability, thinning, and high vibration amount required by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예를 들면, 상기 브러시 DC 모터를 사용한 진동 발생기는 브러시가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또 다른 세그먼트 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 및 마모를 발생시켜 이물질을 생성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a vibration generator using the brush DC motor generates mechanical friction, electrical sparks and abrasion as the brush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egment of the commutator and another segment, thereby generating foreign matter,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vibration generator. There was a problem shortening.

또한, 공진을 이용하여 상하로 운동하는 수직 진동 모터는 상기 브러시 DC 모터를 사용한 진동 발생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프링 및 웨이트를 포함한 무빙 어셈블리(Moving Assembly)를 전자기력과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전자기력을 가진하여 공진 진동을 얻을 수 있었으나, 탄성체를 사용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어 그 구조상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구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진동 발생기의 높이를 줄일 수 없는 기구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vertical vibration motor that moves up and down by using the resonance is a moving assembly including a spring and a weigh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vibration generator using the brush DC motor by apply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magnetic field interaction It was possible to obtain resonant vibration by excitation, but since it is a mechanism that moves up and down using an elastic body, it requires a minimum mechanical space to move up and down due to its structure, and as a result, it is not possible to reduce the height of the overall vibration generator.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에는 휴대폰 등 협소한 공간에 여러 가지 형태의 진동 모터를 장착하고자 할 때 진동 모터의 외부로 돌출된 단자부에 형성된 전원 공급부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만들어야 하고, 또한 리드선을 전원에 연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상기 리드선과 외부 전원은 솔더링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솔더링 불량이나 단선, 합선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과 공간이 협소하여 배선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when mounting various types of vibration motors in a narrow space such as a mobile phone, a separate space for a power supply unit formed in the terminal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vibration motor should be made, and a lead wire should be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here was an inconvenience, and the lead wire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we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soldering, etc. At this tim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poor soldering, disconnection, and short circuit, and a problem in that wiring was not easy due to a narrow spa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브라켓과 웨이트(Weight)로 구성된 진동부에 상기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브라켓과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된 전자기력을 가진하여 발생되는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수평 진동을 얻게 함으로써 종래 기계식 진동 발생기에서 기계적인 마찰로 인한 수명의 단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상하 이동형 진동 발생기에서 이룰 수 없었던 박형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진동력이 큰 수평 진동형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 shape of the 'c' shape is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case while the bracket is wrapped around the vibration portion consisting of a bracket and weight (Weight) By installing a spring and obtaining horizontal vibration by using a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pring, improve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 due to mechanical friction in the conventional mechanical vibration genera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vibration type vibration generator having a thin structure that cannot be achieved in a mobile vibration generator but having a large vibration force.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하부에 기판 부재를 결합시켜 표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자동화 공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고, 별도의 리드선 등을 이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접속의 신뢰도를 향상시킨 수평 진동형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urface mounting by coupling the substrate member to the lower part of the case to be manufactured by an automated process, and the horizontal vibration type vibration generator tha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by not using a separate lead wire, etc.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수평 진동형 진동 발생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조립 부품간의 조립 공차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도 향상 및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진동 발생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reduce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assembly parts and improve the assembly properties in manufacturing the horizontal vibration type vibration generator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는 웨이트로 구성된 진동부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진동부가 수평으로 진동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는 공심 코일과, 그 일면에 접속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심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공심 코일이 고정 설치되는 기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상기 기판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se that is open on one side, a bracket for providing a space inside the case and the vibration unit consisting of the weight installed in the bracket, 'c' character A spring which is shaped to surround the bracket and is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case, a magnet providing electromagnetic force so that the vibrating unit vibrates horizontally, an air core coil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gnet, and connected to one surface thereof And a substrate member having the mea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re coil and fixedly installed to the air core coil, wherein the substrate member is coupled to an open surface of the ca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기판 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ans is a metal piec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기판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ans is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가 PCB(Printed Circuit Board)인 것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ubstrate member is a PCB (Printed Circuit Board)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CB가 듀얼 레이어(Dual Layer)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CB is composed of a dual layer (Dual Lay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PCB에 위치결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 홀은 상기 공심 코일의 공심과 대략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 the PCB, the positioning hole is approximately the same shape as the air core of the air core coi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요홈 또는 조립 돌기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 부재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돌기 또는 조립 요홈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기판 부재가 서로 계합되어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upling portion of at least one or more assembling grooves or assembly protrusion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at least one or more assembly protrusions or assembling grooves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member. Is coupled to each other to be assembl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가 조립 요홈이고, 상기 기판 부재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는 조립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is an assembly groove, and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member is an assembly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의 깊이가 상기 기판 부재의 두께와 동일 하거나 상기 기판 부재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가 그 두께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rate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in the thickness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부재의 상기 접촉부도 도전성 재료로 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bstrate member is also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는 비자성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is made of a nonmagnetic conduc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과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과 일정 크기의 틈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틈에 솔더를 유입하여 상기 기판 부재가 상기 케이스와 고정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form a gap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se when the substrate member is coupled to the open one surface of the case, the solder is introduced into the gap to fix the substrate member to the c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이 넓은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넓은 평면에서 수직으로 기립한 수직 기립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formed with a wide plane and at least one vertical standing portion standing up vertically in the wide pla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의 넓은 평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결정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 a wide plane of the bracke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기립부의 측면에는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ch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stand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 기립부가 평면 형상 또는 돌출 엠보싱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standing portion is a planar shape or a protrusion embossing shap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이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or a nonmagnetic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일면이 폐쇄되고 다른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일면의 4변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측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closed so that the case forms a space therein, the other side is opened, and four sides of the one side extend vertically to form sidewall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에서 폐쇄된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도 상기 케이스의 위치결정 홀과 동일한 크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closed in the case,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ing holes are formed in the same size as the positioning hole of the ca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이트가 요홈을 가지는 제1 웨이트 및 관통부를 가지는 제2웨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금속재료 요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웨이트의 요홈에 안치되면서 상기 제2 웨이트의 관통부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weight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weight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wherein the magnet is placed in the groove of the first weight through the metal material yoke,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second weigh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inser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크가 투자율이 높은 자성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oke is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이트가 관통부가 형성된 하나의 웨이트이고, 상기 관통부에 상기 마그네트와 요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one weight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and the magnet and the yoke ar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이 자성체인 경우 상기 요크가 생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yoke can be omitted when the bracket is a magnetic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가 솔더링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is formed of a solderable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가 그 다른 일면에 접지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rat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ounding means on the oth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 수단이 상기 기판 부재의 다른 일면에 부착된 금속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ing means is a metal piec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지 수단이 상기 기판 부재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nding means is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는 표면 실장(SMT)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trate member is configured to be a surface mount (SM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심 코일이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심 코일은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이며, 셀프 본딩 와이어(Self Bonding Wire)로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ore coil has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air core coil has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s wound with a self bonding wi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심 코일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 코어가 설치되거나 또는 생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pace is formed in the air core coil and the core can be installed or omitted in the inner spa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이 도전성이면서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 금속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cket is made of a magnetic or nonmagnetic metal while being conductiv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이트가 그 비중이 16 이상인 비자성체인 텅스텐 합금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made of a tungsten alloy which is a nonmagnetic material whose specific gravity is 16 or mor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그네트가 Nd-Fe-B소결 마그네트이고, 그 착자가 좌우 방향으로 2극(N극과 S극)이 착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is an Nd-Fe-B sintered magnet, and the magnet is magnetized in two poles (N pole and S po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고무재질인 충격 방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wall of the case further provided with an impact preventing means of rubber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이 금속재료이고 상기 케이스와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a metal material and bonded to the cas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 제조방법은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는 웨이트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가 수평으로 진동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는 공심 코일과, 그 일면에 접속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심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공심 코일이 고정 설치되는 기판 부재로 구성된 진동 발생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브라켓과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여 조립한 뒤 상기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웨이트, 요크, 마그네트, 제2웨이트 순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1조립공정과, 제1조립공정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상기 기판 부재에 공심 코일을 조립 설치하는 제2조립공정과, 제1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와 제2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제3조립공정을 거쳐 상기 진동 발생기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that is open on one side, the bracket that provides a space inside the case and the weigh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bracket and the 'c' shape while wrapping the bracket The air core is provided with a vibrating unit consisting of a bracket and a spring fixed to the case, a magnet providing electromagnetic force so that the vibrating unit vibrates horizontally, an air core coil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magnet, and a connecting means on one surface there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vibration generator comprising a substrate member in which an air core coil is fixedly install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il, the method comprising: mounting and mounting the spring to the bracket and the case and assembling the spr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bracket. Article 1 Inserting and assembling in order of yoke, magnet, second weight A second assembly step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air core coil on the substrate member in a step separate from the first assembly step, and an assembly of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first assembly step and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second assembly step. The vibration gen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letion of the three assembly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웨이트는 요홈을 가지는 제1 웨이트 및 관통부를 가지는 제2웨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자성재료인 요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웨이트의 요홈에 안치되면서 상기 제2 웨이트의 관통부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rst weight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weight having a through portion, the magnet penetrates the second weight while the magnet is placed in the groove of the first weight via a yoke of a magnetic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또한, 본 발명은 제1조립공정에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하는 공정이, 상기 브라켓의 위치결정 홀을 조립 치공구의 센터 핀에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fixing the spring to the bracket in the first assembly step, the step of seating the positioning hole of the bracket to the center pin of the assembly tool, and one end of the spring on one surface of the brack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fix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하는 방법이 스폿(Spot) 용접, 레이저(Laser) 용접, 에폭시 본드(Epoxy Bond) 경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fixing the one end of the spring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spot welding, laser welding, epoxy bond (Epoxy Bond) curing.

또한, 본 발명은 제1조립공정에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는 공정이, 상기 케이스의 위치결정 홀에 케이스 조립 치공구의 센터핀을 일치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이 고정 설치된 브라켓을 상기 케이스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fixing the spring to the case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the step of seating the center pin of the case assembly tool in the positioning hole of the case, and the bracket is fixed to the spring And mount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fixed to the bracket to one surface of the cas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스폿(Spot) 용접, 레이저(Laser) 용접, 에폭시 본드(Epoxy Bond) 경화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of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fixed to the bracket to one surface of the case is any one of spot welding, laser welding, epoxy bond curing.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에 공심 코일을 조립 설치하는 제2조립공정이, 상기 기판 부재의 위치결정 홀과 조립 치공구의 센터핀을 일치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심 코일의 위치결정 홀과 상기 조립 치공구의 센터핀을 일치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판 부재에 상기 공심 코일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판 부재와 상기 공심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assembly step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air core coil on the substrate member, the step of mounting the positioning hole of the substrate member and the center pin of the assembly tool, the positioning hole of the air core coil and the And matching the center pin of the assembled tool, fixing the air core coil to the substrate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member and the air core coi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에 상기 공심 코일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본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기판 부재와 상기 공심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은 납땜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of fixing the air core coil to the substrate member is fixed using a bond, and the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member and the air core coil is made of soldering.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판 부재에 상기 공심 코일을 고정한 뒤 상기 공심 코일의 내부공간에 코어를 삽입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ixing the core core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core coil after fixing the air core coil to the substrat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3조립공정에서 제1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와 제2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이,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요홈 또는 조립 돌기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 부재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돌기 또는 조립 요홈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기판 부재가 서로 계합되어 조립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assembling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in the third assembly process and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second assembly process, the coupling of at least one assembly groove or assembly protrus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Forming a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member is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one or more assembling protrusions or assembling groove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i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ssembl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와 상기 기판 부재가 서로 계합되어 조립한 뒤. 상기 케이스와 기판 부재를 납땜 접합 또는 코킹(Caulking)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fter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is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der joint or caulking (Caulking) bonding.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브라켓과 웨이트(Weight)로 구성된 진동부에 상기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브라켓과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의 고유 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된 전자기력을 가진하여 발생되는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수평 진동을 얻게 함으로써, 진동 발생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박형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진동력이 큰 진동 발생기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ibration portion consisting of a bracket and weight (Weight) while installing the 'c'-shaped spring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case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case is made of the same frequency a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pring By obtaining horizontal vibration by 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fe of the vibration generato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ibration generator with a high vibration force while having a thin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하부에 기판 부재를 결합시켜 표면 실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자동화 공정에 의한 제조가 가능하고, 별도의 리드선 등을 이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접속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에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n automated process by bonding the substrate member to the bottom of the case to enable surface mounting,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by not using a separate lead wire, et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easi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은 조립 부품간의 조립 공차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도 향상 및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assembly parts and improves the assembly propertie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가 조립이 완성된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에서 진동부 분분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케이스에 브라켓 및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부재에 공심 코일이 조립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제조과정에 대한 흐름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is completed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vibration portion in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nd a spring installed in the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the air core coil assembled to the substrat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10)와, 사각형 형상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네 변에 기립되어 일정 크기의 폭을 가지는 측벽부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웨이트(21, 22)로 구성된 진동부와, 상기 브라켓(20)을 감싸면서 상기 케이스(10)와 브라켓(20)에 고정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프링(23)과, 상기 진동부가 수평으로 진동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30)와 상기 마그네트(30)와 일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는 공심 코일(40)과, 그 일면에 접속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심 코일(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공심 코일(40)이 고정 설치되는 기판 부재(50)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 부재(50)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As shown in FIGS. 1 to 5,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10 having one surface open, a side wall portion having a width of a predetermined size standing up on fou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quadrangular shape and the bottom surface. A vibration part formed of a bracket 20 formed inside the case to provide a space and weights 21 and 22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20, and surrounding the bracket 20. 10) and the 'c' shaped spring 23 fixed to the bracket 20, and the magnet 3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magnet 30 and the magnet 30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force to vibrate the vibrating portion horizontally And a substrate member 50 having an air core coil 40 and a connecting means on one surface thereof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re coil 40 to which the air core coil 40 is fixed. 50 of the case A structure coupled to one side bangdoen.

상기 케이스(10)는 비자성 도전체로 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일면이 폐쇄되고 다른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일면의 4변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4개의 측벽이 형성된 일면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case 10 is made of a non-magnetic conductor, a square tube having one side closed to form a space therein, the other side being opened, and four sides of the one side extending vertically so that four sidewalls are formed. It is shaped.

상기 브라켓(20)은 넓은 평면과 상기 넓은 평면에서 수직으로 기립하여 일정 폭을 갖는 수직 기립부(20b)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도 4에서는 상기 넓은 평면의 4변에 수직으로 기립되어 4개가 형성)되고, 도전성이면서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 금속재료로 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20)은 상기 수직 기립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수직 기립부는 평면 형상 또는 돌출 엠보싱 형상으로 할 수 있다.The bracket 20 has at least one vertical standing portion 20b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by standing up vertically in the wide plane and the wide plane (in FIG. 4, standing up perpendicular to four sides of the wide plane to form four pieces). And a conductive, magnetic or nonmagnetic metal material. The bracket 20 preferably has at least one notch form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standing portion, and the vertical standing portion may have a planar shape or a protruding embossing shape.

상기 웨이트는 요홈을 가지는 제1 웨이트(21) 및 관통부를 가지는 제2웨이트(22)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30)는 금속재료 요크(31)를 개재하여 상기 제1웨이트(21)의 요홈에 안치되면서 상기 제2 웨이트(22)의 관통부를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weight is composed of a first weight 21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weight 22 having a through portion, and the magnet 30 has a groove of the first weight 21 via a metal material yoke 31.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second weight 22 is inserted while being placed in the structure.

상기 웨이트(21, 22)는 일정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제조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이트(21) 및 제2 웨이트(22)로 하여 2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나의 웨이트로 하여 상기 요크(31)과 마그네트(30)를 안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웨이트는 비중이 큰 금속으로서 그 비중이 16 이상인 비자성체인 텅스텐 합금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weights 21 and 22 have a predetermined weight, and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rst weights 21 and the second weights 22 are preferably configured in two, The yoke 31 and the magnet 30 can be settled as one weight. The weight is a metal having a large specific gravity, and preferably made of a tungsten alloy which is a nonmagnetic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6 or more.

상기 요크(31)는 상기 브라켓(20)이 자성체로 된 경우 생략할 수 있다.The yoke 31 may be omitted when the bracket 20 is made of magnetic material.

상기 요크(31)는 상기 마그네트(3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마그네트(30)의 N극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이 S극으로 들어갈 때의 선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30)의 일면에만 상기 상기 요크(31)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요크(31)가 부착되지 않은 다른 일면은 자력을 증가하게 되고 상기 공심 코일(4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상기 요크(31)가 부착되지 않은 상기 마그네트(30)의 다른 일면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만나게 되어 보다 큰 힘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요크(31)은 자성재료로 된 것으로서 그 투자율이 높은 것일수록 좋다.The yoke 31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magnet 30 to serve as a line when the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at the N pole of the magnet 30 enters the S pole, and as described above, the yoke 31 of the magnet 30 By attaching the yoke 31 to only one surface, the other surface to which the yoke 31 is not attached increases magnetic force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air core coil 40 and the yoke 31 are not attached. It encounters a magnetic field gener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gnet 30 is able to generate a greater force. The yoke 31 is made of magnetic material, and the higher the permeability, the better.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접합되어 고정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브라켓(20)의 일면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브라켓(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상기 웨이트(21,22)와 상기 웨이트(21,22)의 내부공간에 삽입 설치된 상기 마그네트(30)가 상기 자계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자기력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될 때 상기 브라켓(20)도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20)에 그 타단이 고정 설치된 상기 스프링(23)도 탄성을 가지고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23)은 금속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the '23' -shaped spring 23 is fixedly installed at one end of the case 10 by being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case 1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ly installed at one surface of the bracket 20. The weights 21 and 22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racket 20 and the magnet 3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s of the weights 21 and 22 may be moved left and right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magnetic field generator. When the bracket 20 is also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spring 23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bracket 20 is also elastically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he spring 23 is preferably a metal material.

상기 마그네트(30)는 Nd-Fe-B소결 마그네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착자가 좌우 방향으로 2극(N극과 S극)이 착자되어 있다. The magnet 30 is preferably an Nd-Fe-B sintered magnet, and two poles (N pole and S pole) are magnetiz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공심 코일(40)은 상기 기판 부재(50)로부터 전기 신호를 인가받아 자기장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마그네트(30)과 일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심 코일(40)은 그 중심에 중공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되며, 셀프 본딩 와이어(Self Bonding Wire)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core coil 40 generates a magnetic field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ubstrate member 50, and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magnet 30. The air core coil 40 is hollow at the center thereof to form an inner space, the cross section of which is preferably circular or rectangular, and is preferably wound with a self bonding wire.

상기 공심 코일(40)의 내부공간에는 코어(42)를 설치하거나 또는 생략할 수 있는데, 상기 코어(42)는 투자율이 높은 금속 재료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core 42 may be installed or omit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air core coil 40. The core 42 is preferably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permeability.

상기 기판 부재(50)은 상기 공심 코일(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공심 코일(40)을 고정 설치하고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공심 코일(40)이 소정의 자기장을 발생하도록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substrate member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re coil 40 and fixedly installs the air core coil 40, and receives an external power to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so that the air core coil 40 generates a predetermined magnetic field. As it is, th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open one surface of the case (10).

상기 기판 부재(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에 상기 공심코일(4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공심 코일 접속 수단(52)을 구비하고, 또한 다른 일면에는 외부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외부 접속 수단(5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심 코일 접속 수단(52)과 외부 접속 수단(54)은 상기 기판 부재의 내부 회로와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ubstrate member 50 includes an air core coil connecting means 52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ir core coil 40 to one surface thereof,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the other surface thereof. The external connection means 54 is provided. The air core coil connecting means 52 and the external connecting means 5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of the substrate member.

상기 접속 수단[공심 코일 접속 수단(52) 및 외부 접속 수단(54)]은 상기 기판 부재(50)의 일면 및 다른 일면에 금속편을 부착한 것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기판 부재의 일면에 도전성의 패턴을 형성하게 한 것으로도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ans (the core coil connecting means 52 and the external connecting means 54) can be formed by attaching a metal piece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50, and the conductive member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It can also be made to form a pattern.

또한, 상기 기판 부재(50)은 진동발생기의 접지를 위하여 다른 일면에 접지 수단(53)을 구비한다. 상기 접지 수단(53)은 금속편 부착 또는 도전성의 패턴의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member 50 is provided with a grounding means 53 on the other surface for the ground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 The grounding means 53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metal piece or forming a conductive pattern.

상기 접지 수단(5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가 핸드폰 등 의 기기에 적용되었을 때 핸드폰 등 의 기기의 PCB에 접속이 용이하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기 위한 것이다.The grounding means 53 is for easily connecting to a PCB of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when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d is possible to secure a fixed.

상기 기판 부재(50)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이고, 상기 PCB는 듀얼 레이어(Dual Layer)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strate member 50 is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 PCB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dual layer.

상기 듀얼 레이어(Dual Layer)형 PCB는 한 개의 PCB 기판에 상면 과 하면에 각각 다른 회로 패턴을 설치한 것으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한 구조를 가지게 하여 상기 하면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상면으로 도통 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기판 부재(50)을 상기 듀얼 레이어(Dual Layer)형 PCB를 채용할 경우 PCB 상면에 공심 코일(40)이 설치되고 상기 PCB 하면을 외부 전원과 접속될 때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회로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공심 코일(4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The dual layer type PCB has different circuit patterns install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a single PCB substrat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p and bottom surfa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bottom su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ard member 50 employs the dual layer PCB, an air core coil 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CB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t is possible to apply power to the air core coil 40 using a circuit pattern without using a wire.

또한, 상기 기판 부재(50)은 표면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을 이용하여 표면실장으로 회로를 구성한다.In addition, the substrate member 50 constitutes a circuit by surface mounting using a surface mount technology.

그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벽에 고무재질인 충격 방지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충격방지수단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웨이트(21, 22)를 수용하는 브라켓(23)의 일측이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이 고정 설치된 구조에서 낙하 시험 또는 실수 등에 의하여 낙하되는 경우 상기 웨이트(21,22)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mpact preventing means (not shown) made of a rubber material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10. The impact preventing means is a drop test or a mistake in the structure in which one side of the bracket 23 for accommodating the weights 21 and 22 inside the case 10 is fixed with the 'c' shaped spring 23. When falling by the like is to prevent the impact due to the weight (21, 22).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진동부가 좌우로 이동되어 진동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structure, the vibrating unit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to vibrat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상기 브라켓(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웨이트(21,22)로 구성된 진동부와 상기 브라켓(20)을 감싸면서 상기 케이스(10)와 브라켓(20)에 고정 설치된 'ㄷ'자 형상의 스프링(23)로 구성되고 상기 웨이트(21, 22)의 내부공간에 마그네트(30)가 수용되어 있어 상기 마그네트(30)는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case 10 and the bracket 20 while surrounding the bracket 20 and the vibration part composed of weights 21 and 22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20. It is composed of a c-shaped spring 23 and the magnet 3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eight (21, 22) the magnet 30 is by the 'c' shaped spring (23) It is structure that cannot move up and down.

상기 기판 부재(50)를 통하여 외부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공심 코일(40)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공심 코일(40)의 주위로 자기장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공심 코일(40)에 상기 코어(42)가 설치된 경우에는 오른나사의 법칙에 따라 발생된 자기장은 투자율이 높은 상기 코어(42)에 집속되게 된다.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through the substrate member 50, a current flows through the air core coil 40 to form a magnetic field around the air core coil 40, and the core 42 in the air core coil 40. ) Is installe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according to the right screw law is focused on the core 42 having a high permeability.

상기 마그네트(30)은 좌우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착자된 것으로서 상기 마그네트(3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상기 공심 코일(40)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 또는 상기 코어(42)가 설치된 경우 상기 코어(42)에 집속된 자기장은 로렌츠의 힘의 법칙에 따라 상호 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마그네트(30)는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상기 마그네트(30)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또한 상기 마그네트(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웨이트(21, 22) 역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The magnet 30 is formed by magnetizing the N pole and the S po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around the magnet 30 and the magnetic field formed around the air core coil 40 or the core 42 when the core 42 is installed. The magnetic field focused at (42) interacts according to the law of Lorentz's force, and the magnet 30 cannot move up and down by the '23'-shaped spring 23, so the magnet 30 )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weights 21 and 22 to which the magnet 30 is fixed are also moved to the left and right.

이때 상기 공심 코일(40)에 상기 기판 부재(50)를 경유하여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상기 스프링(23)의 고유 주파수와 동일하게 하면 진동이 급격히 커지는 공진 현상이 발생되어 최대 진동을 얻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frequency of the power applied to the air core coil 40 via the substrate member 50 is the same a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spring 23, a resonance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vibration increases rapidly, so that the maximum vibration can be obtained. do.

상기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에서 공진을 발생시키는 공진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The resonance frequency for generating resonance at the frequency of the applied power can be obtained as follows.

공진 주파수 = 1/2π √(k/m) Resonance Frequency = 1 / 2π √ (k / m)

(여기에서, k = 스프링 상수, m = 웨이트 중량)Where k = spring constant and m = weight weight

상기 공진 주파수는 설계시 사용하고자 하는 주파수에 맞추어 상기 스프링(23)의 상수와 웨이트(21, 22)의 중량을 변경하면 된다. 상기 공진 주파수는 설계자마다 달라질 수 있다.The resonance frequency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constant of the spring 23 and the weights of the weights 21 and 22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to be used in the design. The resonant frequency may vary from designer to designer.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상기와 같은 공진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상기 공심 코일(40)에 투자율이 높은 금속재료 코어(42)를 삽입하여 자기장의 누설을 감쇄시키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착자된 상기 마그네트(30)를 상기 공심 코일(40)에 일정거리 이격시켜 배치시켜 상기 기판 부재(50)를 통하여 외부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공심 코일(40)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공심 코일(40)의 주위로 자기장이 형성되어 상기 상기 마그네트(30)가 좌우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웨이트(21, 22)도 좌우 이동되며 상기 웨이트(21, 22)를 수용하는 상기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된 상기 스프링(23)도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23)의 공진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상하 이동형 진동 발생기에서의 상하 이동 시에 필요하였던 기구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두께가 낮으면서도 진동력이 큰 진동 발생기를 구현 할 수 있다.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above-described resonance phenomenon by inserting a high magnetic permeability metal material core 42 into the air core coil 40 to attenuate the leakage of the magnetic field, and also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N pole and S pole When the magnetized magnet 30 is spaced apart from the core coil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is applied through the substrate member 50, a current flows in the core coil 40 so that the core coil (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40 so that the magnet 30 is moved left and right, and thus the weights 21 and 22 are also moved left and right, and the bracket 20 and the bracket for receiving the weights 21 and 22 are provided. The spring 23 fixedly mounted on the spring 23 is also moved left and right, and by using the resonance phenomenon of the spring 23, a mechanical problem that is required for vertical movement in the conventional vertically movable vibration generator is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 vibration generator having a low thickness and a large vibration force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공심 코일(40)과 상기 마그네트(30)의 방향을 일부 조정하면 각각에서 형성된 자기장의 방향이 변경되어 공진 현상을 특정한 여러 대역의 주파수에서 발생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directions of the air core coil 40 and the magnet 30 are partially adjusted,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each of them may be changed to generate a resonance phenomenon at a frequency of a specific ba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조립 부품간의 조립 공차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립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mploys the following assembly structure in order to reduce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assembly parts and improve th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스프링(23)의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23)의 타단이 상기 브라켓(20)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0)의 내부 공간에 웨이트를 안치하고 상기 웨이트의 내부 공간에 마그네트(30)를 안치하여 조립하고(제1 어셈블리), 이와는 별도의 공정으로 상기 기판 부재(50)에 공심 코일(4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기판 부재(50)와 상기 공심 코일(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조립(제2어셈블리)하여 제1 어셈블리와 상기 제2 어셈블리를 조립하면 완성되는 조립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vibration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pring 2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as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2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racket 20, an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racket 20. The weight is placed and the magnet 30 is placed and assemb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eight (first assembly), and the concentric coil 4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ubstrate member 50 by a separate process, and the substrate member An assembly structure is completed when the first assembly and the second assembly are assembled by assembling (second assembly)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50 and the air core coil 40 to each other.

상기 제1 어셈블리 조립 과정에서 상기 웨이트는 요홈을 가지는 제1 웨이트 및 관통부를 가지는 제2웨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자성재료인 요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웨이트의 요홈에 안치되면서 상기 제2 웨이트의 관통부를 삽입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assembly, the weight is composed of a first weight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weight having a through portion, and the magnet is placed in the groove of the first weight via a yoke made of magnetic material. The penetrat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structure.

위와 조립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실현하기 위하여 각 부품들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and assembly structure more easily, each part has the following structure.

상기 브라켓(20)이 상기 케이스(10)에 설치할 때 상기 브라켓(2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홀(10a)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20)에도 상기 브라켓(20)의 넓은 평면에 상기 위치결정 홀(10a)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위치결정 홀(10a)과 동일한 크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홀(20a)을 형성한다.When the bracket 20 is installed in the case 10,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10a is formed in the case 10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racket 20 can be easily confirmed, and the bracket 20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20a) is formed in the same plane as the positioning hole (10a)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hole (10a) in a wide plane of the bracket (20).

또한, 상기 기판 부재(50)과 공심 코일(40)을 고정 설치할 때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42)가 설치되는 공심 코일(40)의 내부공간을 위치결정 홀(40a)로 설정하고 상기 기판 부재(50)에 상기 위치결정 홀(40a)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 홀(50a)을 형성한다.In addition, when the substrate member 50 and the air core coil 40 are fixedly installed, the internal space of the air core coil 40 in which the core 42 is installed is set as the positioning hole 40a in order to precisely install the core member. Positioning holes 50a are formed in the substrate member 5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holes 40a.

상기 위치결정 홀(40a)은 상기 공심 코일의 공심인 내부 공간이고, 상기 위치결정 홀(50a)은 상기 공심 코일의 공심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The positioning hole 40a is an inner space which is an air core of the air core coil, and the positioning hole 50a is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ir core of the air core coil.

상기 기판 부재(50)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The substrate member 50 is coupled to the open side of the case 10 is as follows.

도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의 단부, 즉 상기 케이스(10)의 외주연에 다수 개의 조립 요홈(凹부. 11)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 부재(50)의 외주연에도 상기 조립 요홈(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 개의 조립 돌기(凸부, 51)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조립 요홈(11)과 상기 기판 부재(50)의 상기 조립 돌기(51)가 서로 계합하여 상기 기판 부재(50)를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이다.3 and 5, a plurality of assembling grooves (11) are formed at an end of one open surface of the case 10, that is,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case 10, and the substrate member ( The assembly grooves 11 and the substrate member 50 of the case 10 ar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assembly protrusions 51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grooves 11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50, respectively. The assembling protrusions 51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ssemble the substrate member 50 by coupling to an open surface of the case 10.

여기에서 상기 조립 요홈(11) 및 상기 조립돌기(51)은 각각 조립 돌기(凸부) 및 조립 요홈(凹부)으로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기판 부재(50)를 계합하여 조립하게 할 수도 있다.Here, the assembling groove 11 and the assembling protrusion 51 may be formed of assembling protrusions and assembling grooves, respectively, to assemble and assemble the case 10 and the substrate member 50. You may.

상기 케이스(10)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조립 요홈(11)]의 깊이는 상기 기판 부재(5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거나 상기 기판 부재(50)의 두께보다 작게 할 수 있다.The depth of the coupling portion (assembling recess 11)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se 10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ember 50 or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ember 50.

상기 기판 부재(50)은 그 두께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도전성 재료로 도금된 접촉부(55)를 구비하여, 상기 기판 부재(50)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될 때 도전성 재질인 케이스(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한다.The substrate member 50 has a contact portion 55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so that the substrate member 50 is open of the case 10. When coupled to one surface i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se 10 of the conductive material.

상기와 같이 상기 기판 부재(50)에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55)를 도전성 재료로 도금함으로써, 상기 기판 부재(50)의 접촉부(55)가 금속재료로 되어 레이저 등의 용접이 곤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납땜 등의 용접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기판 부재(50)을 상기 케이스(10)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portion 55 of the substrate member 50 which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10 is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contact portion 55 of the substrate member 5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 laser. This eliminates the problem of difficult welding and enables welding such as soldering so that the substrate member 50 can be firmly attached to the case 10.

또한, 상기 기판 부재(50)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일면과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벽과 일정 크기의 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틈(미도시)에 솔더를 유입하여 상기 기판 부재(50)가 상기 케이스(10)와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이 때 상기 케이스(10)는 솔더링 가능한 재질로 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substrate member 50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10 so as to form a gap (not show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when the substrate member 50 is coupled to an open surface of the case 10. The solder is introduced into the substrate to allow the substrate member 50 to be firmly fixed to the case 10. At this time, the case 10 should be made of a solderable material.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진동 발생기는 소형의 제품으로 그 부품 역시 소형이므로 상기 진동 발생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품간의 위치 공차 등에 의하여 성능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또한 부품이 소형이므로 조립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를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The vibration generator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ll product and its parts are also small, so the performance of the vibration generator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positional tolerances between the parts, etc. There is a problem with gender, so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은 각 부품간의 조립 편의성과 제조 공정의 용이성을 위하여 위치결정 홀 등을 형성하여 제조하도록 한 것이다.Correspondingly, the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d manufacture a positioning hole for the convenience of assembly and ease of manufacturing process between each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을 상기 브라켓(20)과 케이스(10)에 고정 설치하여 조립한 뒤 상기 브라켓(20)의 내부 공간에 웨이트 및 마그네트(30)를 삽입하여 조립(제1어셈블리)하는 제1조립공정과, 제1조립공정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상기 기판 부재(50)에 공심 코일(40)을 조립(제2어셈블리)하는 제2조립공정으로 구분하고, 제1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제1어셈블리와 제2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제2어셈블리를 조립하는 제3조립공정을 거쳐 상기 진동 발생기를 제조한다.In the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bracket 23 is fixed to the bracket 20 and the case 10 by assembling the spring 23 having the 'c' shape. Assembling the air core coil 40 on the substrate member 50 in a separate process from the first assembly step of the assembly (first assembly) by inserting the weight and the magnet 30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ssembly step The vibration generator is divided into a second assembling process, and the vibration generator is manufactured through a third assembling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assembly assembled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and the second assembly assembled in the second assembly process. .

상기 제1조립과정에서 상기 웨이트는 하나의 웨이트로도 할 수 있지만 요홈을 가지는 제1 웨이트(21) 및 관통부를 가지는 제2웨이트(22)로 구성하고, 상기 마그네트(30)가 자성재료인 요크(31)를 개재하여 상기 제1웨이트(21)의 요홈에 안치되면서 상기 제2 웨이트(22)의 관통부를 삽입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요크(31)는 상기 브라켓(20)이 자성체 재료로 된 경우 생략할 수 있다.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the weight may be a single weight, but is composed of a first weight 21 having a recess and a second weight 22 having a through portion, and the magnet 30 is a magnetic material. It may be assembl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second weight 22 while being placed in the groove of the first weight 21 via the (31). The yoke 31 may be omitted when the bracket 2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상기 제1 조립공정[웨이트를 제1웨이트(21), 제2 웨이트(22)로 하고 요크(31)을 설치하는 경우]를 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브라켓(20)의 위치 결정 홀(20a)을 조립 치공구의 센터 핀에 안착 시키고(S11 단계),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의 일단을 상기 브라켓(20)의 일면에 고정시켜(S12 단계)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을 상기 브라켓(20)에 고정 설치한 뒤, 상기 케이스(10)의 위치 결정 홀(10a)에 케이스 조립 치공구의 센터핀을 일치 안착시키고(S13단계),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이 고정 설치된 브라켓(20)을 상기 케이스(10)에 안착시킨 다음(S14 단계), 상기 브라켓(20)에 고정된 상기 'ㄷ'자 형상의 스프링(23)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고정시키고(S15 단계), 상기 브라켓(2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 웨이트(21), 요크(31), 마그네트(30), 제2웨이트(22) 순으로 삽입하여(S16 단계) 제1어셈블리를 완성한다.Looking at the first assembly process (when the yoke 31 is provided with the weight being the first weight 21 and the second weight 22), the positioning hole 20a of the bracket 20 is It is seated on the center pin of the assembly tool (step S11), and fixed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20, the one end of the 'c' shaped spring 23 (step S12) the 'c' shaped spring ( 23) is fixed to the bracket 20, the center pin of the case assembly tool is seated in the positioning hole (10a) of the case 10 (S13 step), the '' 'shaped spring (23) is fixed to the bracket 10 is installed on the case 10 (step S14), and then the other end of the 'c' shaped spring 23 fixed to the bracket 20 to the case ( 10) fixed to one surface (step S15), and the first weight 21, the yoke 31, the magnet 30, and the second weight 22 in the inner space of the bracket 20. Insert as to complete the first assembly (step S16).

이 때 상기 브라켓(2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기 제1 웨이트(21), 요크(31), 마그네트(30), 제2웨이트(22)는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first weight 21, the yoke 31, the magnet 30, and the second weight 22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racket 20 may be inserted and fixed.

상기 제1 조립과정에서 웨이트가 하나로 구성되고 요크(31)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웨이트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부에 상기 마그네트(30)를 안치하여 설치하면 된다.When the weight is composed of one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and the yoke 31 is not installed, a penetrat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weight to install the magnet 30 in the penetrating part.

상기 스프링(23)의 일단을 상기 브라켓(20)의 일면에 고정하는 방법과 상기 브라켓(20)에 고정된 스프링(23)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스폿(Spot) 용접, 레이저(Laser) 용접, 에폭시 본드(Epoxy Bond) 경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A method of fixing one end of the spring 23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20 and a method of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23 fixed to the bracket 20 to one surface of the case 10 include spots. ) Welding, laser welding, epoxy bond curing is used.

상기 제1조립공정과는 별개의 공정인 상기 제2 조립공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기판 부재(50)의 위치결정 홀(50a)을 치공구의 센터핀에 안착시키고(S21 단계), 상기 공심 코일(40)의 위치결정 홀(40a)을 치공구의 센터핀에 안착 시킨(S22 단계) 다음, 상기 기판 부재(50)에 상기 공심 코일(40)을 고정시키고(S23 단계), 상기 공심 코일(40)의 내부공간, 즉 위치결정 홀(40a)에 상기 코어(42)를 삽입 고정하며(S24 단계), 상기 기판 부재(50)와 상기 공심 코일(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S25단계) 제2어셈블리를 완성한다. 상기 공심 코일(40)은 상기 코어(42)를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상기 코어(42)를 설치를 생략하는 경우 상기 S24단계는 생략된다.Looking at the second assembly process, which is a separate process from the first assembly process, the positioning hole 50a of the substrate member 50 is seated on the center pin of the tool (step S21), and the air core coil The positioning hole 40a of 40 is seated on the center pin of the tool (step S22), and then the air core coil 40 is fixed to the substrate member 50 (step S23), and the air core coil 40 The core 42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inner space of the positioning hole 40a (step S24), and the substrate member 50 and the air core coil 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tep S25). 2 Complete the assembly. Since the air core coil 40 may omit the installation of the core 42, the step S24 may be omitted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core 42 is omitted.

상기 기판 부재(50)에 상기 공심 코일(40)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본드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기판 부재(50)와 상기 공심 코일(4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은 납땜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of fixing the air core coil 40 to the substrate member 50 may be fixed using a bond, and the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member 50 and the air core coil 40 may be soldered. Can be.

상기 제1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제1어셈블리와 제2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제2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면의 외주연에 다수 개의 조립 요홈(凹부. 11)이 되고 상기 조립 부재(50)의 외주연에는 조립 돌기(凸부, 5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조립 부재(50)가 상기 조립 요홈(11) 및 상기 조립 돌기(51)에 의하여 서로 계합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irst assembly assembled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and the second assembly assembled in the second assembly process may include a plurality of assembling groove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open surface of the case 10.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assembly member 50, an assembly protrusion 51 is formed so that the case 10 and the assembly member 50 form the assembly recess 11 and the assembly protrusion 51. It can be simply assembled by engaging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케이스(10)와 상기 기판 부재(50)가 서로 계합되어 조립한 뒤. 상기 케이스와 기판 부재를 납땜 접합 또는 코킹(Caulking) 접합을 한다.In addition, after the case 10 and the substrate member 5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ssembled.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are soldered or caulked.

상기와 같이 상기 케이스(10) 및 상기 브라켓(20)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 홀(10a, 20a)이 형성되어 있어 치공구의 센터핀을 사용하여 두 개의 부품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조립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ase 10 and the bracket 20 have positioning holes 10a and 20a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parts can be accurately assembled and assembled using the center pin of the tool. .

또한, 상기 조립 부재(50)에 상기 공심 코일(40)을 조립 설치하는 경우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결정 홀(50a, 40a)이 형성되어 있어 치공구의 센터핀을 사용하여 정밀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air core coil 40 on the assembly member 50, positioning holes 50a and 40a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hereby enabling precise assembly using the center pin of the tool.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10: 케이스 10a, 20a: 위치결정 홀
11: 조립 요홈 20: 브라켓
20b: 수직 기립부 21: 제1웨이트
22: 제2웨이트 23: 스프링
30: 마그네트 31: 요크
40: 공심 코일 40a, 50a: 위치결정 홀
42: 코어 50: 기판 부재
51: 조립 돌기 52: 공심 코일 접속 수단
53: 접지 수단 54: 외부 접속 수단
55: 접촉부
10: case 10a, 20a: positioning hole
11: mounting groove 20: bracket
20b: vertical standing portion 21: first weight
22: second weight 23: spring
30: magnet 31: York
40: air core coil 40a, 50a: positioning hole
42: core 50: substrate member
51: assembly protrusion 52: air core coil connecting means
53: grounding means 54: external connection means
55: contact

Claims (48)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는 웨이트로 구성된 진동부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진동부가 수평으로 진동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는 공심 코일과,
그 일면에 접속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심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공심 코일이 고정 설치되는 기판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상기 기판 부재가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Case open one side,
A vibrator configured of a bracket providing a space in the case and a weight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A spring having a 'c' shape and being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case while surrounding the bracket;
A magnet providing an electromagnetic force to vibrate the vibrating unit horizontally;
An air core coil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magnet,
It comprises a substrate member having a connecting means on one surface thereof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re coil is fixed to the air core coil,
The substrate member is coupled to the open side of the cas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기판 부재의 일면에 부착된 금속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ans is a metal piec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기판 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ans is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인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member is a PCB (Printed Circuit Board)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듀얼 레이어(Dual Layer)로 구성된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CB is composed of a dual layer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위치결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 홀은 상기 공심 코일의 공심과 대략 동일한 형상인 것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CB is a positioning hole is formed, the positioning hole is approximately the same shape as the air core of the air core coi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요홈 또는 조립 돌기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 부재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돌기 또는 조립 요홈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기판 부재가 서로 계합되어 조립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assembly protrusion or assembly protrusion is form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case, and at least one assembly protrusion or assembly recess is form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member, such that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n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는 조립 요홈이고, 상기 기판 부재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는 조립 돌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is an assembly groove, the engag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member is an assembly protrusion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부의 깊이는 상기 기판 부재의 두께와 동일 하거나 상기 기판 부재의 두께보다 작은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모터
The method of claim 8,
Depth of th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as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member
Vibration motor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그 두께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in the thickness direction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 부재의 상기 접촉부도 도전성 재료로 도금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case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ontact portion of the substrate member is also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비자성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1,
The case consists of a nonmagnetic conductor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과 결합될 때 상기 케이스의 내측 벽과 일정 크기의 틈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틈에 솔더를 유입하여 상기 기판 부재가 상기 케이스와 고정될 수 있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member is coupled to form a gap having a predetermined size with the inner wall of the case when the substrate member is coupled to the open one side of the case, the solder is introduced into the gap so that the substrate member can be fixed to the cas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넓은 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넓은 평면에서 수직으로 기립한 수직 기립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is formed with a wide plane and at least one vertical standing portion standing vertically in the wide plane is formed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넓은 평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결정 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4,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in a wide plane of the bracket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기립부의 측면에는 노치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4,
Notches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vertical standing portion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기립부는 평면 형상 또는 돌출 엠보싱 형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6,
The vertical standing portion is planar or projecting embossed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1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7,
The bracket is made of magnetic material or nonmagnetic materia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그 일면이 폐쇄되고 다른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일면의 4변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측벽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has one side closed to form a space therein, the other side is open, and the four sides of the one side extending vertically to form a side wal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서 폐쇄된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도 상기 케이스의 위치결정 홀과 동일한 크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 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is formed on one surface closed from the case, and the bracket has at least one positioning hole having the same size as the positioning hole of the cas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요홈을 가지는 제1 웨이트 및 관통부를 가지는 제2웨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금속재료인 요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웨이트의 요홈에 안치되면서 상기 제2 웨이트의 관통부를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is composed of a first weight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weight having a through portion, wherein the magne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second weight while being placed in the groove of the first weight via a yok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투자율이 높은 자성재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21,
The yoke is a magnetic material having a high permeability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관통부가 형성된 하나의 웨이트이고, 상기 관통부에 상기 마그네트와 요크가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is a weight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the magnet and the yoke is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ortion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브라켓이 자성체인 경우 생략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yoke can be omitted if the bracket is a magnetic materia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솔더링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ase is formed of a solderable materia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그 다른 일면에 접지 수단이 더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grounding means on the other sid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수단은 상기 기판 부재의 다른 일면에 부착된 금속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26,
The grounding means being a metal piec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수단은 상기 기판 부재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의 패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26,
The grounding means is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member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는 표면 실장(SMT)이 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bstrate member is configured to be surface mount (SMT)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심 코일은 그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이며, 셀프 본딩 와이어(Self Bonding Wire)로 권선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re coil has an internal space, and the air core coil has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s wound with a self bonding wir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심 코일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 코어가 설치되거나 또는 생략 가능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ore coil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core can be installed or omitted in the inner spac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도전성이면서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 금속으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is conductive and made of magnetic or nonmagnetic metal.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그 비중이 16 이상인 비자성체인 텅스텐 합금으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is made of tungsten alloy, a nonmagnetic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6 or mor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Nd-Fe-B소결 마그네트이고, 그 착자가 좌우 방향으로 2극(N극과 S극)이 착자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gnet is a Nd-Fe-B sintered magnet, and the magnet is magnetized in two poles (N pole and S pol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고무재질인 충격 방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provided with an impact preventing means made of rubber on the inner wall of the cas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금속재료이고 상기 케이스와 접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pring being a metallic material and joined to the case
Vibration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공간을 제공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는 웨이트와 'ㄷ'자 형상으로 되어 상기 브라켓을 감싸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된 진동부와, 상기 진동부가 수평으로 진동하도록 전자기력을 제공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일정 간극을 두고 설치되는 공심 코일과, 그 일면에 접속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심 코일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상기 공심 코일이 고정 설치되는 기판 부재로 구성된 진동 발생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브라켓과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여 조립한 뒤 상기 브라켓의 내부 공간에 상기 웨이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삽입하여 조립하는 제1조립공정과,
제1조립공정과는 별개의 공정으로 상기 기판 부재에 공심 코일을 조립 설치하는 제2조립공정과,
제1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와 제2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제3조립공정을 거쳐 상기 진동 발생기를 완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A case consisting of a case having an open side, a bracket providing a space inside the case, a weight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and a 'c' shape to surround the bracket and a spring fixed to the bracket and the case. The air core is fix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core coil having a eastern part, a magnet providing electromagnetic force to horizontally vibrate the vibrating part, and an air core coil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gap with the magnet, and a connecting means on one surface thereof.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vibration generator composed of a substrate member to be provided,
A first assembly process of fixing and mounting the spring to the bracket and the case and inserting the weight and the magne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bracket, and assembling the spring;
A second assembly step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an air core coil on the substrate member in a separate step from the first assembly step;
Completing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a third assembly process of assembling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and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second assembly process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요홈을 가지는 제1 웨이트 및 관통부를 가지는 제2웨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자성재료인 요크를 개재하여 상기 제1웨이트의 요홈에 안치되면서 상기 제2 웨이트의 관통부를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7,
The weight is composed of a first weight having a groove and a second weight having a through portion, and the magne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of the second weight while being placed in the groove of the first weight via a yoke of a magnetic material.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37항에 있어서,
제1조립공정에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브라켓의 위치결정 홀을 조립 치공구의 센터 핀에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7,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the process of fixing the spring to the bracket,
Seating the positioning hole of the bracket on the center pin of the assembly tool;
Fixing one end of the spring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을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고정하는 방법은 스폿(Spot) 용접, 레이저(Laser) 용접, 에폭시 본드(Epoxy Bond) 경화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9,
The method of fixing one end of the spring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is one of spot welding, laser welding and epoxy bond curing.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37항에 있어서,
제1조립공정에서 상기 스프링을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하는 공정은,
상기 케이스의 위치결정 홀에 케이스 조립 치공구의 센터핀을 일치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프링이 고정 설치된 브라켓을 상기 케이스에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7,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the step of fixing the spring to the case,
Matching the center pin of the case assembly tool to the positioning hole of the case;
Mounting the bracket on which the spring is fixed to the case;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fixed to the bracket to one surface of the case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스폿(Spot) 용접, 레이저(Laser) 용접, 에폭시 본드(Epoxy Bond) 경화 중 어느 하나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The method of fixing the other end of the spring fixed to the bracket to one surface of the case is any one of spot welding, laser welding, epoxy bond curing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에 공심 코일을 조립 설치하는 제2조립공정은,
상기 기판 부재의 위치결정 홀과 조립 치공구의 센터핀을 일치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심 코일의 위치결정 홀과 상기 조립 치공구의 센터핀을 일치 안착 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판 부재에 상기 공심 코일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판 부재와 상기 공심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7,
The second assembly step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air core coil on the substrate member,
Matching and seating the positioning hole of the substrate member and the center pin of the assembly tool;
Placing the center hole of the assembly tool together with the positioning hole of the air core coil;
Fixing the air core coil to the substrate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member and the air core coil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에 상기 공심 코일을 고정시키는 방법은 본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기판 부재와 상기 공심 코일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은
납땜으로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3,
The method of fixing the air core coil to the substrate member is fixed using a bond,
The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ubstrate member and the air core coil
By soldering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부재에 상기 공심 코일을 고정한 뒤 상기 공심 코일의 내부공간에 코어를 삽입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43,
Fixing the core core to the substrate member and inserting and fixing a core into an inner space of the core core coil;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립공정에서 제1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와 제2조립공정에서 조립된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공정은,
상기 케이스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요홈 또는 조립 돌기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판 부재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 돌기 또는 조립 요홈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와 상기 기판 부재가 서로 계합되어 조립되도록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37,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first assembly process and the assembly assembled in the second assembly process in the third assembly process,
At least one assembly protrusion or assembly protrusion is form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case, and at least one assembly protrusion or assembly recess is formed at an outer periphery of the substrate member, such that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ne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기판 부재가 서로 계합되어 조립한 뒤. 상기 케이스와 기판 부재를 납땜 접합 또는 코킹(Caulking) 접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제조 방법,
47. The method of claim 46 wherein
After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ssembled. Soldering or caulking the case and the substrate member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제37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진동 발생기.
A vibration generator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37 to 47.
KR1020100090230A 2010-09-14 2010-09-14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KR1012657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230A KR101265772B1 (en) 2010-09-14 2010-09-14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CN201180043492.7A CN103098357B (en) 2010-09-14 2011-09-09 Vibration machin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PCT/KR2011/006693 WO2012036425A2 (en) 2010-09-14 2011-09-09 Vibration generator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13/821,216 US9246375B2 (en) 2010-09-14 2011-09-09 Vibrator for generating horizontal vib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230A KR101265772B1 (en) 2010-09-14 2010-09-14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74A true KR20120028174A (en) 2012-03-22
KR101265772B1 KR101265772B1 (en) 2013-05-20

Family

ID=4613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230A KR101265772B1 (en) 2010-09-14 2010-09-14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7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925A (en) * 2015-01-22 2016-08-02 주식회사 모아텍 Linear Vibrator
KR20160090924A (en) * 2015-01-22 2016-08-02 주식회사 모아텍 Linear Vib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5738B2 (en) 2000-11-06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vibration actu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925A (en) * 2015-01-22 2016-08-02 주식회사 모아텍 Linear Vibrator
KR20160090924A (en) * 2015-01-22 2016-08-02 주식회사 모아텍 Linear Vib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772B1 (en)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6375B2 (en) Vibrator for generating horizontal vibration
US7224090B2 (en) Surface-mountable linear vibrator
KR101101506B1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US8299658B2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1255914B1 (en) Linear Vibration Motor
CN110572005B (en) Voice coil motor
JP4795839B2 (en) Vibration generator
US20110068641A1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1148530B1 (en) Linear Vibrator
WO2019029048A1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146371B1 (en) Vibration motor
KR101265772B1 (en)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CN210744993U (en) Linear vibrator
KR101265775B1 (en) Linear Vibrator and Manufacturing of Thereof
KR101022899B1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KR101914530B1 (en) Vibrator
KR101200609B1 (en) Linear type vibration motor vibrated horizontally
JP7274607B2 (en) vibration generator
KR20130012442A (en) Linear vibrator
CN214101158U (en) Linear motor
KR102037777B1 (en) Vibration motor
KR102066662B1 (en) Vibration motor
KR101196632B1 (en) Vibration motor
KR100783537B1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KR20200142889A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