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610A -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610A
KR20120027610A KR1020100089282A KR20100089282A KR20120027610A KR 20120027610 A KR20120027610 A KR 20120027610A KR 1020100089282 A KR1020100089282 A KR 1020100089282A KR 20100089282 A KR20100089282 A KR 20100089282A KR 20120027610 A KR20120027610 A KR 2012002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rainwater
facility
point pollution
culv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1020100089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610A/ko
Publication of KR2012002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유입부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아답타에 관한 것이며, 초기우수량이 대규모일때 생기는 우수암거 내에 가이드월(Guide wall)높이로 인한 통수단면적이 현저히 줄어들어 우수암거 밖으로 우수가 범람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입부 연결 아답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단이 개방된 하부아답타와 상기 하부아답타 일면에 각각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아답타와 상부아답타를 지수팽창제등을 이용하여 상호 밀접하게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양끝이 막혀있는 원통형아답타와 상기 원통형아답타의 측면에 각각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Inflow department connection Adapta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cleaning equipment}
본 발명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유입부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아답타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산업화의 진전으로 토지개발이 가속화 되면서 건물,도로,주차장 등 불투수층 면적이 늘어나고 지표면에 떨어진 각종쓰레기,기름,중금속,모래등이 비가 내리면 우수관을 통해 강이나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초기 강우시 지표면 초기세척 효과(first-flush effect)로 인한 강이나 하천이 오염되는것을 막기위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설치시 도1 에서와 같이 방류부 말단에 위치한 집수정 또는 우수암거(10)에 가이드월(Guide wall)(20)을 설치하고, 비점오염저감시설 초기우구유입관(30)을 통해 비점오염저감시설(40)로 초기우수를 유도해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도2 는 우수암거(10)와 비점오점저감시설(40)의 설치를 예시적으로 표현한 단면도로, 우수암거(10)에 가이드월(Guide wall)(20)이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는데,여기에서 보듯이 비점오염저감시설(40)이 소규모시설일 경우에는 비점오염저감시설 초기우수 유입관(30)이 소구경으로 우수암거(10)에 설치되는 가이드월(Guide wall)(20) 또한 낮게 설치되어 우수암거내 통수단면적에 큰 영향은 없지만, 비점오염저감시설(40)이 대규모 시설일 경우 비점오연저감시설 초기우수 유입관(30)이 대구경으로 설치 되면 가이드월(Guide wall)(20) 높이도 높게 설치되게 된다. 이때 우수암거(10)에 통수단면적이 줄어듦으로 초기강우 이후에 강우지속시간이 늘어나면서 비의 양이 증가하여 우수암거(10) 내에 우수 수위가 올라가서 결국에는 우수암거(10) 밖으로 범람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입부 연결 아답타를 설치하여 우수암거(10) 내의 통수단면적에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가이드월(Guide wall)(20)을 낮게 설치하고 초기강우 이후에 지속적으로 내리는 강우로 인한 우수암거(10)내 우수가 범람하는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본 발명은 초기우수량이 대규모일때 생기는 우수암거내 가이드월(Guide wall)높이로 인한 통수단면적이 현저히 줄어들어 우수암거 밖으로 우수가 범람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입부 연결 아답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중에 설치되고 상단이 개방된 하부아답타; 상기 하부아답타 일면에 우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부아답타 일면에 우수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된 제2개구부; 상기 하부아답타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상부아답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아답타와 상부아답타는 지수팽창제등을 이용하여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양끝이 막혀있는 원통형아답타; 상기 원통형아답타의 양끝을 막는 원통형아답타 덮개; 상기 원통형아답타 측면에 우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원통형아답타 측면에 우수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된 제2개구부; 상기 원통형아답의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는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연결관과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연결관을 하나 이상의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소캣을 이용하여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에 의하면 하부아답타와 상부아답타로 구성되고 하부아답타에는 우수암거와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연결되는 각각의 일면에 한개 이상의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연결관과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도록 형성하고, 우수처리 대상면적이 넓어 많은양의 강우가 발생하게 되면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처리해야할 초기우수량 또한 많아져 우수암거에서 비점오염저감시설로 하나의 대구경 비점오염저감시설 연결관으로 연결하고, 우수암거 내에 가이드월(Guide wall) 높이 또한 높게 설치하게 되므로 이로인해 우수암거내 통수단면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초기강우 이후에 강우지속시간이 늘어나면서 비의 양이 증가하여 우수암거 내에 우수가 우수암거를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고 우수암거 밖으로 우수가 범람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 가이드월(Guide wall)의 높이를 낮추어 여러개 설치함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로 보냄으로써 가이드월(Guide wall)의 높이로 인한 통수단면적이 줄어드는것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초기우수이후 발생하는 강우를 원활히 방류시켜 우수가 우수암거 밖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통형아답타를 우수암거와 비점오염저감시설 사이에 연결되는 각각의 측면에 한개이상의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연결관과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연결관을 소캣을 이용하여 상호 밀접하게 연결이 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우수처리 대상면적이 넓어 많은양의 강우가 발생하게 되면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처리해야할 초기우수량 또한 많아져 우수암거에서 비점오염저감시설로 하나의 대구경 비점오염저감시설 연결관으로 연결하고 우수암거 내에 가이드월(Guide wall) 높이 또한 높게 설치하게 되므로 이로인해 우수암거내 통수단면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초기강우 이후에 강우지속시간이 늘어나면서 비의 양이 증가하여 우수암거 내에 우수가 우수암거를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고 우수암거 밖으로 우수가 범람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 가이드월(Guide wall)의 높이를 낮추어 여러개 설치함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로 보냄으로써 가이드월(Guide wall)의 높이로 인한 통수단면적이 줄어드는것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초기우수이후 발생하는 강우를 원활히 방류시켜 우수가 우수암거 밖으로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를 연결하기 전 우수암거와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를 연결하기 전 우수암거와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를 연결한 후 우수암거와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를 연결한 후 우수암거와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로 하부아답타와 상부아답타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과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용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로 원통형아답타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3과 도4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60)를 설치하고 난 후의 설치예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비가오기 시작하면 지표면에 있던 오염물질등이 빗물과 함께 우수암거(10)로 모여서 흐르게 된다.
이때 비가오기 시작하여 지표면에 0.005M~0.01M의 누적유출고를 가지는 비를 초기우수라고 하고 이런 초기우수로 인해 지표면에 있는 각종쓰레기,기름,중금속,모래등의 오염물질이 우수암거(10)로 모여 흐르게 되는데 이때 우수암거(10) 내부에 가이드월(Guide wall)(20)을 설치하여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해 비점오염저감시설(40)로 보내 오염물질을 저감시킨 후 다시금 초기우수 방류관(70)을 통해 우수암거(10)로 다시 보내게 된다. 우수처리 대상면적이 적어 소규모 비점오염저감시설(40)을 설치 할 경우에는 우수관이나 우수 집수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가이드월(Guide wall)(20) 또한 집수정에 설치되어 우수관의 통수단면적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우수처리 대상면적이 많은 경우에는 우수관이나 우수 집수정만으로는 우수를 원활하게 처리할수 없어 우수암거(10)를 같이 이용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비점오염저감시설(40) 또한 대규모 시설로 설치된다.이런 경우의 일 예를 도1과 도2에서 도시화 하였는데 우수암거(10)에서 하나의 비점오염저감시설 초기우수 유입관(30)을 연결하게 되면 대구경으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때 우수암거(10)에서 비점오염저감시설(40)로 하나의 연결관으로 설치한다면, 가이드월(Guide wall)(20) 또한 한개를 설치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우수암거(10) 내에 가이드월(Guide wall)(20) 높이(H1)가 너무 높아져 우수암거(10)의 통수단면적을 현저히 줄어들게 만들기 때문에 강우지속시간이 늘어나면서 비의 양이 증가하여 우수암거(10) 내에 우수 수위가 올라가고 결국에는 우수암거(10) 밖으로 우수가 범람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3과 도4에서처럼 우수암거쪽의 초기우수 유입관(50)을 소구경으로 여러개 설치하여 가이드월(Guide wall)(20) 높이(H2) 또한 여러개를 낮게 설치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60)로 유도하고 이를 또다시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유입관(31)을 거쳐 비점오염저감시설(40)로 보내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저감시킨 후 비점오염저감시설 방류관(70)을 통해 우수암거(10)로 보내게 된다.
이런 경우 우수암거(10) 내에 높이(H2)가 낮은 여러개의 가이드월(Guide wall)(20)을 설치하게 되므로 우수암거(10) 내에 통수단면적이 줄어드는 문제를 최소화시켜 강우지속시간이 늘어나면서 증가되는 비의 양이 많아지더라도 우수암거(10) 내에 우수의 흐름에는 지장이 없기 때문에 우수암거(10) 밖으로 우수가 범란할 일은 없게된다.
또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60)를 보다 상세하게 도5, 도6, 도7, 도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5와 도6에서처럼 하부아답타(140)와 상부아답타(150)로 구성된 비점오염저감시설 유입부 연결 아답타(60) 같은 경우는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유입관(50)을 소구경으로 여러개 설치하고 하부아답타(140) 일면에 제1개구부(110)와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마찬가지로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유입관(31) 또한 하부아답타(140) 일면에 있는 제2개구부와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설치하고 하부아답타(140)와 상부아답타(150) 사이에는 지수팽창제(160)를 이용하여 하부아답타(140)와 상부아답타(150)가 하나의 시설이 될 수 있도록 완전히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실시예2>
도7과 도8에서는 원통형아답타(200)을 도시한 사상도인데 이 또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60)로서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유입관(50)을 소구경으로 여러개 설치하고 원통형아답타(200) 일면에 제1개구부(110)와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소캣(100)으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마찬가지로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유입관(31) 또한 원통형아답타(200) 일면에 있는 제2개구부와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소캣(100)으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원통형아답타(200)의 양끝면은 원통형아답타 덮개(120)을 이용하여 하나의 시설이 될수 있도록 완전히 결합시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 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우수암거 20:가이드월(Guide wall)
30:비점오염저감시설 초기우수 유입관
31: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유입관
40:비점오염저감시설
50: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유입관
60:비점오연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70:비점오염저감시설 방류관
H1,H2:가이드월(Guide wall) 높이
100,101:소캣
110:제1개구부
120:원통형아답타 덮개
130:제2개구부
140:하부아답타 150:상부아답타
160:지수팽창제
200:원통형아답타

Claims (2)

  1. 지중에 설치되고 상단이 개방된 하부아답타;
    상기 하부아답타 일면에 우수가 유입되는 하나 이상의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된 제1개구부;
    상기 하부아답타 일면에 우수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개구된 제2개구부;
    상기 하부아답타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상부아답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아답타와 상부아답타 사이에 지수팽창제등을 이용하여 상호 밀접하게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2. 양끝이 막혀있는 원통형아답타;
    상기 원통형아답타 측면으로 우수가 유입,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우수암거쪽 초기우수 연결관과 비점오염저감시설쪽 초기우수 연결관이 밀접하게 삽입되도록 각각의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KR1020100089282A 2010-09-13 2010-09-13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KR20120027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82A KR20120027610A (ko) 2010-09-13 2010-09-13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82A KR20120027610A (ko) 2010-09-13 2010-09-13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610A true KR20120027610A (ko) 2012-03-22

Family

ID=4613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282A KR20120027610A (ko) 2010-09-13 2010-09-13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6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2358A (zh) * 2022-03-15 2022-07-12 同济大学 一种基于初雨收集调蓄的城市雨水管网面源污染截取时效的潜力评价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2358A (zh) * 2022-03-15 2022-07-12 同济大学 一种基于初雨收集调蓄的城市雨水管网面源污染截取时效的潜力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549B2 (en) Storm water interceptor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CN102482871B (zh) 液体泄流处理系统
CN105804222A (zh) 景观水体下调蓄池
KR100941693B1 (ko) 집수정
JP6242097B2 (ja) 地下排水ポンプ設備
CN104878825B (zh) 一种大容量蓄水管道雨水蓄排系统和蓄排方法
JP2013253444A (ja) 多層式下水道管
CN207944527U (zh) 雨水收集系统
KR100885534B1 (ko) 우수 유출 저감시설
KR102004140B1 (ko) 우수관로 월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심지 침수 방지를 위한 자연 압송식 배수공법 및 우수저류조 유입공법
KR101588201B1 (ko) 빗물 활용시스템
KR100654632B1 (ko)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JP3213600U (ja) 下水道取付け管の洗浄型ベントサイフォン構造
KR100706161B1 (ko) 합류식 하수관거 설치구조
KR20120027610A (ko)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유입부 연결 아답타
KR20190076949A (ko) 프랑스식 배수구를 포함하는 하수 설비 시스템을 위한 장치
US20180245328A1 (en)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KR20130070524A (ko)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US20150368892A1 (en) Underground Silo System for Storing Liquids
KR20200004661A (ko)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KR100731679B1 (ko) 하수관거 세척장치
JP2014190098A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CN219569052U (zh) 一种简易室外雨水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