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571A -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571A
KR20120027571A KR1020100089214A KR20100089214A KR20120027571A KR 20120027571 A KR20120027571 A KR 20120027571A KR 1020100089214 A KR1020100089214 A KR 1020100089214A KR 20100089214 A KR20100089214 A KR 20100089214A KR 20120027571 A KR20120027571 A KR 2012002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pressure
main wing
wing fue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7563B1 (ko
Inventor
강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테크
Priority to KR20100089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5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7/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for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는,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 홀을 차폐하기 위한 다수 밀폐구와; 상기 다수 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의 주입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설정시간 동안 주익 연료탱크 내부 기체의 압력 변화를 표시하여 주익 연료탱크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시험기와; 상기 다수 밀폐구 및 압력시험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휴대 및 보관 가능하게 하는 보관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 검사 방법 {Fuel leak test device for wing fuel tank and Method of testing use of it}
본 발명은 동체(動體)의 주익(Wing) 연료탱크의 균열이나 파손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체(動體)는 균열 및 파손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사하게 되는데 동체의 많은 부품 중 주익 연료탱크는 항공기 비행 안전에 매우 중요한 장치로 복잡한 검사 방법을 채택하여 균열 및 파손 여부를 검사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시간이 소요된다.
즉, 주익 연료탱크는 조립동에서 동체로부터 분리한 주익을 시험실까지 이동한 후 테스트 시험 장비 모듈을 통해 X-ray 시험 및 시험액 침투 검사시험 등을 수행하여 연료탱크의 마모도 및 균열 상태를 판독함으로써 검사가 완료된다.
그리고, 검사가 완료된 연료탱크는 주익과 함께 조립동으로 옮겨져 동체에 재조립됨으로써 연료탱크의 균열 및 파손 검사가 마무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료탱크의 검사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검사하는데 오랜시간이 소요되며, 주익의 분리 및 조립, 운반 및 검사 등의 작업으로 인하여 인력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X-ray 시험 및 시험액 침투 검사시험을 위한 전문 인력이 반드시 요구되어 검사시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가의 검사장비가 요구되어 많은 검사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체(動體)로부터 분리된 주익(Wing) 연료탱크 내부를 밀폐한 후 공기를 주입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기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연료탱크의 균열 및 파손 유무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성을 높여 검사 작업성이 향상되고, 고가의 장비나 전문 인력이 불필요하며, 검사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도록 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저렴한 검사 비용으로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는,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 홀을 차폐하기 위한 다수 밀폐구와; 상기 다수 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의 주입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설정시간 동안 주익 연료탱크 내부 기체의 압력 변화를 표시하여 주익 연료탱크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시험기와; 상기 다수 밀폐구 및 압력시험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휴대 및 보관 가능하게 하는 보관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시험기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밀폐력을 발생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를 관통하여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하며, 주익 연료탱크 내부로 기체 유입을 안내하는 기체안내부와, 상기 기체안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밸브와, 상기 기체안내부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고, 설정압력 초과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설정압력을 유지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밀폐부를 통해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구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고, 이격 거리의 가변에 따라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탄성부재의 외경을 확장시켜 홀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 검사방법은, 동체(動體)로부터 분리된 주익 연료탱크의 다수 홀에 밀폐구를 삽입하여 차폐하는 밀폐구설치단계와, 상기 주익 연료탱크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시험기 일측을 다수 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시험기결합단계와, 상기 압력시험기의 일측에 구비된 차폐밸브를 개방하여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와, 상기 차폐밸브를 차폐하고 설정시간 경과 후 압력계의 측정압력과 설정압력의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와, 상기 밀폐구 및 압력시험기를 주익 연료탱크로부터 분리하는 장치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주입단계 이전에는, 상기 압력계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와, 안전밸브의 설정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단계가 실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측정단계는, 상기 측정압력과 설정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에 따르면, 동체(動體)로부터 분리된 주익(Wing) 연료탱크 내부를 밀폐한 후 공기를 주입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기압의 변화를 측정하여 연료탱크의 균열 및 파손 유무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성이 높아져 검사 작업성이 향상되고, 고가의 장비나 전문 인력이 불필요하며, 검사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렴한 검사 비용으로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에서 보관상자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밀폐구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압력시험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이하 '검사장치'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에서 보관상자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검사장치는, 주익 연료탱크(도시되지 않음)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 홀(H)을 차폐하기 위한 다수 밀폐구(100)와; 상기 다수 홀(H)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의 주입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설정시간 동안 주익 연료탱크 내부 기체의 압력 변화를 표시하여 주익 연료탱크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시험기(200)와; 상기 다수 밀폐구(100) 및 압력시험기(200)를 내부에 수용하여 휴대 및 보관 가능하게 하는 보관상자(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폐구(100)는 압력시험기(200)를 통해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 변화를 측정할 때 내부의 기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 관이 프레임(F)에 형성된 홀(H)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밀폐구(100)는 홀(H)과 같이 다수개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수 홀(Hole) 중에서 어느 하나는 압력시험기(200)가 결합되므로, 한 개를 제외한 나머지 홀(H)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만큼 밀폐구(10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시험기(2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를 내부로 제공받아 주익 연료탱크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만큼 기체가 주입되도록 하며, 설정시간 동안 주익 연료탱크 내부 압력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누유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즉, 설정시간 동안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이 낮아졌다면, 주익 연료탱크 내부는 다수의 밀폐구(100)와 압력시험기(200)에 의해 밀폐된 상태이므로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시험기(200)는 다수의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력시험기(20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보관상자(300)는 내부에 밀폐구(100) 및 압력시험기(2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밀폐구(100) 및 압력시험기(200)에 충격이 가해질 때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구(100)와 압력시험기(200)는 보관상자(300) 내부에 보관되어 휴대가 가능하다. 즉, 상기 보관상자(300)는 수용공간(320)을 구비하여 밀폐구(100)와 압력시험기(200)의 수용이 가능하고, 수용공간(320)은 덮개(3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덮개(340)의 개방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잠금구(360)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38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구(100) 및 압력시험기(200)는 보관상자(300)에 의해 안전하게 보관되며, 휴대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밀폐구(10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밀폐구(100)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밀폐구(100)는 홀(H)에 끼워진 후 홀(H) 내부면을 압착하여 기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을 이용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폐구(10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홀(H)에 끼워지는 탄성부재(120)와, 상기 탄성부재(120)를 관통하고, 이격 거리의 가변에 따라 탄성부재(120)를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140)와, 상기 가압부(140)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20)는 중앙이 천공된 관형상을 가지며, 외경은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20)의 좌측단은 제자리를 유지하고, 우측부가 좌측방향으로 가압시에 외경이 증가하게 되어 홀(H)의 내주면을 압착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20)의 중앙부를 관통해서는 가압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140)는 나사 체결에 의해 탄성부재(120)의 양단부를 내측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탄성부재(120)의 외형이 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140)는 탄성부재(120)의 좌측면과 접촉하는 제1가압부재(142)와, 상기 제1가압부재(142)와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144)와, 상기 체결부(144) 회전시에 동시에 회전하는 연동부(146)와, 상기 연동부(146)로부터 압력을 제공받아 탄성부재(120)를 가압하는 제2가압부재(147)와, 상기 연동부(146)로부터 제공받은 힘을 제2가압부재(147)에 전달하는 전달부(1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가압부재(142)는 홀(H)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탄성부재(12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압부재(142)는 탄성부재(120)가 홀(H)에 삽입될 때 간섭없이 홀(H)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가압부재(142)의 좌측부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탄성부재(120)의 좌측면과 접촉하게 되며, 우측부는 탄성부재(12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압부재(142)의 우측부의 내부에는 우측방향으로 개구된 암나사(143)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143)는 체결부(144)의 좌측부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45)와 체결되어 체결부(144)와 제1가압부재(142)가 서로 근접할 수 있도록 하며, 탄성부재(120)를 가압하기 위한 힘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2가압부재(147)는 내부가 천공된 링 형상을 가지며, 좌측면은 탄성부재(120)의 우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44)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2가압부재(147)는 연동부(146)에 의해 우측방향 움직임 범위가 제한되며, 상기 전달부에 의해 좌측 방향 움직임이 강제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압부재(142)와 체결부(144)가 죄어져 근접하게 되면, 상기 연동부(146)는 전달부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전달부는 제2가압부재(147)를 동시에 이동시키게 되며, 이런 결과로 상기 탄성부재(120)는 압축되어 외경이 커져 홀(H) 내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144)의 우측단에는 핸들(160)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160)은 측정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체결부(144)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압력시험기(2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에서 일 구성인 압력시험기(200)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결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압력시험기(200)는 다수의 홀(H)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홀(H)에 삽입 고정되어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가 주입되도록 하고, 주입된 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하며, 이런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기체의 누설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균열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위해 상기 압력시험기(200)는 홀(H)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밀폐력을 발생하는 밀폐부(210)와, 상기 밀폐부(210)를 관통하여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하며, 주익 연료탱크 내부로 기체 유입을 안내하는 기체안내부(220)와, 상기 기체안내부(22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밸브(230)와, 상기 기체안내부(220)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고, 설정압력 초과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설정압력을 유지하는 안전밸브(240)와, 상기 밀폐부(210)를 통해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폐부(210)는 전술한 밀폐구(100)와 유사하게 구성된 것으로, 다만, 상기 밀폐구(100)는 내부를 통해 외부로 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나, 상기 밀폐부(210)는 주익 연료탱크의 내부가 기체안내부(220) 및 압력계(250) 내부로만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부(210)는 외형상으로는 밀폐구(100)와 유사하나 좌측 중앙부는 좌/우 방향으로 천공되어 기체안내부(220) 및 압력계(25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밀폐부(210)의 우측 하부에는 기체안내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기체안내부(220)는 좌측단부가 밀폐부(210)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형상을 가지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고압의 기체가 밀폐부(21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기체안내부(220)의 우측부에는 차폐밸브(230)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밸브(230)는 기체안내부(22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기체안내부(220) 내부에 기체가 주입될 때 개방되고, 압력계(250)를 이용한 누유 측정시에는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폐밸브(230)의 우측에는 안전밸브(240)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밸브(240)는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시에 배기하여 일정 압력 이상 충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연료탱크 내부의 균열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설정압력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밀폐부(210)의 우측면 상부에는 압력계(250)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계(250)는 기체안내부(220) 및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하도록 결합되어 기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면에는 0점 조정, 압력단위 변환 등을 위한 버튼(252)이 다수 구비되며, 측정된 압력이나 압력계(250)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54)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를 검사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동체(動體)로부터 분리된 주익 연료탱크의 다수 홀(H)에 밀폐구(100)를 삽입하여 차폐하는 밀폐구설치단계(S100)가 실시된다.
상기 밀폐구설치단계(S100)는 다수의 홀(H) 중 압력시험기(200)가 결합될 한 곳을 제외한 나머지 홀(H)에 밀폐구(100)를 삽입한 후 핸들(160)을 회전시켜 제1가압부재(142)와 제2가압부재(147)에 의해 탄성부재(120)가 압축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밀폐구설치단계(S100)가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120)의 외면은 확장되어 홀(H)의 내주면과 접촉함으로써 기체의 누설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밀폐구설치단계(S100) 이후에는 시험기결합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시험기결합단계(S200)는, 상기 주익 연료탱크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압력시험기(200)를 개구된 홀(H)에 결합하는 과정으로, 상기 밀폐구(100)가 홀(H)에 결합되는 매커니즘과 동일하게 밀폐부(210)를 결합함으로써 완료된다.
상기 시험기결합단계(S200)가 완료되면 첨부된 도 1과 같이 주익 연료탱크는 외부와 단절된 상태가 된다.
이후 기체주입단계(S500)가 실시된다. 상기 기체주입단계(S500)는 상기 압력시험기(200)의 일측에 구비된 차폐밸브(230)를 개방하여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는 과정으로, 상기 기체안내부(220)의 단부에 기체주입기(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여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계(250)는 초기화되어야 하며, 안전밸브(240)는 설정압력이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즉, 상기 기체주입단계(S500) 이전에는 압력계(250)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S300)와, 안전밸브(240)의 설정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단계(S400)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기체주입단계(S500)가 실시되어 기체안내부(220)를 통해 기체가 주입되더라도 상기 차폐밸브(230)는 기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안전밸브(240)는 설정압력 이상으로 기체가 주입시에 이를 선택적으로 배기함으로써 과다한 압력 증가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기체주입단계(S500) 이후에는 압력측정단계(S600)가 실시된다. 상기 압력측정단계(S600)는 차폐밸브(230)에 의해 기체안내부(220)가 차폐된 상태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차폐밸브(230)를 개방한 상태로 압력측정단계(S600)를 실시할 수 있다.
즉, 검사 장소의 기온이 높아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주입된 기체가 팽창하여 압력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압력의 과도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밸브(240)가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압력측정단계(S600) 완료시점에서 검사자는 압력계(250)의 압력을 판독하여 기체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체주입단계(S500) 전에 초기화된 압력과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한 측정압력에 차이가 있고, 측정압력이 초기압력보다 낮다면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빠져나간 것이 되므로,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균열 및 파손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단계(S600) 이후에는 상기 밀폐구(100) 및 압력시험기(200)를 주익 연료탱크로부터 분리하는 장치분리단계(S700)가 실시된다.
상기 장치분리단계(S700)가 완료되면, 분리된 밀폐구(100) 및 압력시험기(200)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보관상자(300)의 수용공간(320)에 삽입하여 보관하게 되며, 덮개(340)를 덮어 잠금구(360)를 잠근 후 파지부(380)를 파지하여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밀폐구 120. 탄성부재
140. 가압부 142. 제1가압부재
143. 암나사 144. 체결부
145. 수나사 146. 연동부
147. 제2가압부재 160. 핸들
200. 압력시험기 210. 밀폐부
220. 기체안내부 230. 차폐밸브
240. 안전밸브 250. 압력계
252. 버튼 254. 표시부
300. 보관상자 320. 수용공간
340. 덮개 360. 잠금구
380. 파지부 F . 프레임
H . 홀 S100. 밀폐구설치단계
S200. 시험기결합단계 S300. 초기화단계
S400. 압력설정단계 S500. 기체주입단계
S600. 압력측정단계 S700. 장치분리단계

Claims (7)

  1.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하는 다수 홀을 차폐하기 위한 다수 밀폐구와;
    상기 다수 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의 주입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며, 설정시간 동안 주익 연료탱크 내부 기체의 압력 변화를 표시하여 주익 연료탱크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시험기와;
    상기 다수 밀폐구 및 압력시험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휴대 및 보관 가능하게 하는 보관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시험기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밀폐력을 발생하는 밀폐부와,
    상기 밀폐부를 관통하여 주익 연료탱크 내부와 연통하며, 주익 연료탱크 내부로 기체 유입을 안내하는 기체안내부와,
    상기 기체안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밸브와,
    상기 기체안내부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고, 설정압력 초과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설정압력을 유지하는 안전밸브와,
    상기 밀폐부를 통해 주익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홀에 끼워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관통하고, 이격 거리의 가변에 따라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탄성부재의 외경을 확장시켜 홀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
  5. 동체(動體)로부터 분리된 주익 연료탱크의 다수 홀에 밀폐구를 삽입하여 차폐하는 밀폐구설치단계와,
    상기 주익 연료탱크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압력시험기 일측을 다수 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시험기결합단계와,
    상기 압력시험기의 일측에 구비된 차폐밸브를 개방하여 주익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는 기체주입단계와,
    상기 차폐밸브를 차폐하고 설정시간 경과 후 압력계의 측정압력과 설정압력의 차이를 측정하는 압력측정단계와,
    상기 밀폐구 및 압력시험기를 주익 연료탱크로부터 분리하는 장치분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주입단계 이전에는,
    상기 압력계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단계와,
    안전밸브의 설정압력을 설정하는 압력설정단계가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측정단계는,
    상기 측정압력과 설정압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주익 연료탱크의 누유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장치를 이용한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방법.
KR20100089214A 2010-09-13 2010-09-13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KR101187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9214A KR101187563B1 (ko) 2010-09-13 2010-09-13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9214A KR101187563B1 (ko) 2010-09-13 2010-09-13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571A true KR20120027571A (ko) 2012-03-22
KR101187563B1 KR101187563B1 (ko) 2012-10-04

Family

ID=4613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9214A KR101187563B1 (ko) 2010-09-13 2010-09-13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0096A (zh) * 2015-11-26 2017-06-06 中国飞行试验研究院 飞机可燃液体排放试验方法
KR20200032855A (ko) 2018-09-19 2020-03-2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스킨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998Y1 (ko) * 1998-12-08 2002-04-22 김형국 밸브누설시험기
JP4382114B2 (ja) * 2007-06-13 2009-12-09 新菱冷熱工業株式会社 流体圧試験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0096A (zh) * 2015-11-26 2017-06-06 中国飞行试验研究院 飞机可燃液体排放试验方法
KR20200032855A (ko) 2018-09-19 2020-03-2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스킨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563B1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9497B1 (en) Seal for tube
CN101271034B (zh) 一种燃气表密封性检测方法及其检测装置
CN107340101A (zh) 一种密封装置气体微泄漏评价装置及方法
DK177454B1 (da) Fremgangsmåde til afprøvning af en gasinjektionsventil samt et anlæg til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KR20180000746U (ko) 산업용 밸브의 기밀시험장치
KR101187563B1 (ko) 주익 연료탱크 누유 검사 장치
CN210863071U (zh) 一种阀门密封性检测装置
CN104122049A (zh) 一种高压气密性试验方法
US7647818B2 (en) Process for testing the tightness of containers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KR101613540B1 (ko) 고압부품용 누수 시험장치
CN202229892U (zh) 液化石油气瓶阀高压开启时气密性检测装置
CN102297751B (zh) 液化石油气瓶阀高压开启时气密性检测装置
JP4968668B2 (ja) ハウジングなどの漏れ検査装置
CN210625965U (zh) 一种检测电池壳体拉铆气密性的装置
KR200449764Y1 (ko) 진공 리크 테스트 장치
US750038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aling of a tank on an aircraft
CN106404307A (zh) 一种橡胶垫片密封性能的测试方法和测试装置
CN209727327U (zh) 一种风洞测压试验中模型表面测压孔的加压器
KR100974400B1 (ko) 진공 리크 테스트 장치
KR101259582B1 (ko) 압축가스 저장탱크의 휴대용 기밀 누설 검사 장치 및 방법
EP2199655B1 (en) A leakage control mechanism for LPG cylinders
CN207662577U (zh) 一种油箱锁气密性检测装置
CN110873626A (zh) 一种密封性检测设备和方法
CN106124134A (zh) 光学窗口组件漏率检测装置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