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278A - 피봇형 바늘보호기 - Google Patents

피봇형 바늘보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278A
KR20120027278A KR1020117028515A KR20117028515A KR20120027278A KR 20120027278 A KR20120027278 A KR 20120027278A KR 1020117028515 A KR1020117028515 A KR 1020117028515A KR 20117028515 A KR20117028515 A KR 20117028515A KR 20120027278 A KR20120027278 A KR 2012002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valve
slit
protective tub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탈 너지
졸탄 가티
빌모스 페레뉘
볼프강 비트
산도르 사질라지
라슬로 쥬하츠
Original Assignee
디스포메디코르 쥐알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포메디코르 쥐알티. filed Critical 디스포메디코르 쥐알티.
Publication of KR2012002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하주사를 사용하는 동안 상처를 입지 않게하는 보호기 역할을 하는 피봇형 바늘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이 바늘보호기는 힌지를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고 측면에 슬릿이 형성된 보호관으로 바늘을 둘러싸는 것으로, 힌지는 주사기를 향해 바늘 일부분에 고정된 부속부에 연결되고, 보호관의 슬릿에는 밸브요소들이 안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밸브요소는 바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하며; 움직이는 바늘과 직접 접촉하는 밸브가 하나 이상 보호관에 형성되어 있고, 보호관의 벽면에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유연한 밸브막에 의해 바늘이 양방향으로만 움직인다.

Description

피봇형 바늘보호기{PIVOTABLE NEEDLE PROTECTOR}
본 발명은 피하주사를 사용하는 동안 상처를 입지 않게하는 보호기 역할을 하는 피봇형 바늘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미국특허출원 2009/18510호에 소개된 방식에 의하면, 3 부분으로 된 보호관으로 바늘을 보호하는데, 보호관의 한 부분인 덮개는 바늘보호기의 슬릿에 놓이는 것으로 찢어질 수 있고, 다른 부분은 보호관 자체로서 보호관 전장에 걸쳐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세번째 부분은 힌지로 보호관을 연결하는 바늘에 고정된 원통형 부분이다. 보호관은 사용전에는 힌지의 반대쪽에 결합기구에 의해 제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사용 후에는 소위 두번째 고정 메커니즘이 작동하기 시작한다. 이런 두번째 고정 메커니즘은 보호관의 내부에 대칭으로 형성된 클램프들이고, 클램프들 사이에는 바늘을 통과시키는 간격이 있다. 이런 구성에서는 바늘이 간격을 통과할 수 있다. 이 방식의 단점은, 3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힌지 양쪽에 복잡한 연결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특허출원 2001/4970에 의하면, 바늘이 보호관의 보호를 받으며, 보호관 측면에 슬릿이 있고, 보호관은 힌지 둘레에 접히지 않게 있을 수 있으며, 보호관 중간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후크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바늘이 접힐 때, 후크가 바늘 위로 튀어오른다. 이 바늘보호기는 스냅식으로 주사기에 연결된다. 바늘을 사용한 뒤, 바늘보호기는 주사기에 결합되고, 보호관은 아래로 꺾여 후크로 고정된다. 이 방식의 단점은, 사용 전에는 아무런 보호조치가 없다는 것인데, 이는 사용 후에만 보호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미국특허출원 2003/212369에 의하면, 사용 전에는 일차적으로는 폐쇄된 바늘보호기에 의해, 이차적으로는 측면이 개방되고 힌지 둘레로 접히지 않고 배치되는 보호켑에 의해 바늘이 보호된다. 보호캡 내부의 한쪽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띠가 서로 인접해 형성되어 있어, 바늘을 사용한 뒤 제자리에 고정함으로써 상처를 받지 않도록 한다. 보호캡은 힌지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방식의 단점은, 사용 전에만 보호관이 보호를 한다는 것이다.
미국특허 2007/265566에 의하면, 한쪽면이 개방된 바늘보호기로 바늘을 보호하는데, 이 바늘보호기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사용후에는 바늘 위로 꺾일 수 있다. 바늘보호기의 고정은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힌지 위에 돌출부가 있고 바늘보호기 내부에 후크가 있으며, 바늘이 움직일 때 후크가 바늘 위로 튀어나와 바늘을 고정한다. 이 방식의 단점은, 사용전에 별도의 보호관으로 보호를 하고, 그 뒤에는 보호관을 제거하고 보호요소를 설치해 사용한다는 것이다.
미국특허 5,139,489에 의하면, 한쪽면이 개방된 바늘보호기로 바늘을 보호하는데, 바늘보호기는 힌지를 중심으로 피봇이 가능하고 사용후에는 바늘 위로 저힐 수 있다. 바늘보호기 내부에는 양쪽에 2개의 후크가 있고, 바늘이 후크를 통과하면 후크가 바늘 위로 되튕겨서 바늘을 고정한다. 바늘은 슬릿 안에 유지된다. 이 방식의 단점은, 사용전에만 별도의 보호관으로 보호를 하고, 보호관을 제거한 뒤에는 보호요소를 접어올리는데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단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바늘이 사용되기 직전의 포장되지 않은 동안에도 바늘을 보호하는 한편, 사용 후에는 바늘보호기를 간단히 접어올려 바늘을 분명하게 고정하여 다른 일회용 부분 없이도 지속적인 보호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늘보호기에 바늘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요소만 있다면, 바늘보호기가 포장을 벗긴 직후 보호조치를 제공하는 한편, 바늘보호기를 펼치기만해도 바늘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힌지를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고 측면에 슬릿이 형성된 보호관으로 바늘을 둘러싸는 피봇형 바늘보호기를 제공한다. 이 바늘보호기에서, 힌지는 주사기를 향한 바늘 일부분에 고정된 부속부에 연결되고, 보호관의 슬릿에는 밸브요소들이 안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밸브요소는 바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하며; 움직이는 바늘과 직접 접촉하는 밸브가 하나 이상 보호관에 형성되어 있고, 보호관의 벽면에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유연한 밸브막에 의해 바늘이 양방향으로만 움직인다.
본 발명에서, 보호관이 바늘보다 길고, 바늘 위를 덮는 돌출부의 단부면은 막혀있는 것이 좋다.
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밸브요소들 중의 하나의 밸브요소는 이보다 긴 다른쪽 밸브요소의 측면을 향해있으며, 양쪽 밸브요소들 사이의 간격이 바늘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밸브막은 보호관의 슬릿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보호관의 슬릿 안에 3개의 밸브막이 배치되는데, 하나의 밸브막은 슬릿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나머지 2개의 밸브막은 슬릿의 다른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하는 것이 좋다.
또, 밸브막이 슬릿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하여 다른쪽 가장자리 가까이까지 뻗는다.
이런 밸브막은 슬릿의 길이의 5~80%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밸브막이 보호관의 안쪽을 향해 돌출하고, 힘을 받으면 양방향으로 피봇할 수 있으며, 밸브막 중의 유연한 부분은 슬릿과 나란한 슬릿의 중심을 넘어 뻗거나 슬릿으로부터 먼 쪽으로 뻗을 수 있다.
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밸브요소에 2갈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는 밸브막과 함께 성형될 수 있다.
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밸브요소가 단단하고 홈이 형성되며, 이 홈 안에 다른 밸브요소가 수용될 수도 있다.
또,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밸브요소가 슬릿에 직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힌지가 텐션스트랩 양쪽에 너클이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식 힌지이고, 보호관을 완전히 꺾인 위치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 힌지가 리본형 힌지로서,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힌지의 위아래에 서로 맞물리는 고정캠들이 위치하고 있고, 이들 고정캠들이 보호관을 아래로 꺾인 위치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 힌지가 리본형 힌지로서, 힌지 밑에 고정캠(13)이 있으며, 이 고정캠은 보호관에 형성된 결합용 구멍에 맞물려서 보호관을 아래로 꺾인 위치로 유지할 수도 있다.
또, 힌지가 리본형 힌지이고 개방위치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 보호관의 슬릿과 부속부 사이에 첫 사용을 확인하기 위한 파열요소가 있을 수 있다.
또, 슬릿의 가장자리에 눌리면 맞물려 폐쇄기능을 발휘하는 밸브로서의 폐쇄요소가 더 달려있을 수 있다.
또, 축방향으로 한번 밀리면 뒤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고정요소에 의해 돌출부에 맞물리는 보호캡이 또다른 밸브로서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또, 이런 바늘보호기는 유연한 플라스틱을 재료로 사용한다.
또, 바늘과 바늘보호기 모두 살균포장된다.
도 1은 바늘이 제1 밸브 뒤에 있는 바늘보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체크밸브처럼 동작하는 밸브요소(6) 뒤에 바늘(2)이 있는 바늘보호기(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밸브 뒤에 바늘이 있는 바늘보호기(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바늘보호기에 다른 힌지가 달려있는 바늘보호기의 단면도치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밸브막(8)을 확대해 보여준다.
도 7은 힌지(5) 위아래에 접히지 않는 고정캠들(13)이 위치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9~10은 제1 밸브들이 달린 본 발명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보호캡(14)이 달린 본 발명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핸들(16)을 보여주기 위한 도 1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보호관(3)이 꺾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바늘보호기(1)가 제작 당시에 밖으로 꺾인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6은 밸브막(8)과 밸브요소(6)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밸브막-밸브요소 조합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은 바늘이 제1 밸브 뒤에 있는 바늘보호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바늘(2)의 움직임에 관한 제1 밸브의 구성을 보여준다. 보호관(3)의 슬릿(7)에는 바늘(2)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밸브막들(8)이 있다. 슬릿(7)은 보호관(3)의 전장에 걸쳐 뻗어있다. 밸브막(8)은 슬릿(7)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다른쪽 가장자리를 향해 뻗으며, 보호관(3)의 원주벽과 같은 아치형태를 이루고, 밸브막과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은 바늘(2)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이들 밸브막은 바늘(2)이 휘는 것을 방해할 뿐이고, 외력에 의해 바늘이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다. 도면에서는 밸브막(3)이 3개인데, 그중 2개는 슬릿(7)의 한쪽 변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다른쪽 변에 형성된다. 이들 밸브막(8) 때문에 사용전에는 바늘(2)이 보호관(3) 안에 안전하게 보관된다.
바늘보호기(1)는 2개 주요부인 보호관(3)과 부속부(4)를 갖는다. 슬릿(7)의 하단부와 부속부(4) 사이에는 파열요소(12)가 있다. 파열요소(12)가 그대로 있으면, 바늘(2)은 사용되지 않은 것이다. 외력을 가해 파열요소(12)를 찢고 보호관(3)을 아래로 꺽으면, 바늘(2)은 주사할 준비가 된 것이다.
힌지(5)가 보호관(3)과 부속부(4)를 연결한다. 부속부(4)는 바늘(2)의 하부에 고정된 것으로 주사기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호관(3)은 바늘(2)보다 길어, 바늘보호기(1)를 쥐고 보호관(3)을 바늘(2) 밑으로 꺾을 때 바늘(2)에 찔리지 않도록 보호관(3)은 바늘(2)보다 길고, 이때문에 슬릿(7)도 제기능을 발휘한다. 바늘(2) 위를 덮는 돌출부(9)는 보호관과 동심을 이루고 단부가 막혀있다.
도 2는 체크밸브처럼 동작하는 밸브요소(6) 뒤에 바늘(2)이 있는 바늘보호기(1)의 사시도이다. 밸브요소(6)의 역할은 사용이 끝난 바늘(2)을 보호관(3) 안에서 밸브요소(6) 뒤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밸브요소들은 슬릿(7)의 양쪽면에 위치하되, 보호관(3)의 내벽면에서부터 돌출하고, 밸브요소 사이의 간격은 바늘(2)의 간격보다 작다(도 5 참조). 한쪽 밸브요소(6)는 길이가 더 짧고 다른쪽의 긴 밸브요소(6)의 측면을 향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밸브막(8)을 채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밸브막(8)은 앞의 예보다 더 길다. 이들 밸브막(8)은 슬릿(7)의 한쪽 변에서부터 다른쪽 변 부근까지 이어지고, 그 길이는 슬릿(7)의 길이의 5 내지 80% 정도이다.
도 3은 제1 밸브 뒤에 바늘이 있는 바늘보호기(1)의 단면도이다. 이 바늘(2)은 사용전의 바늘로서, 제1 밸브를 이루는 밸브막(8) 뒤에 있고 밸브요소(6)의 앞에 있다. 첫 사용을 확인하기 위한 파열요소(12)는 슬릿(7)의 하단부와 부속부(4)를 연결하고 있다. 이 도면에 간단한 리본형 힌지(5)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바늘보호기에 다른 힌지가 달려있는 바늘보호기의 단면도이다. 힌지(5)는 음료수 병뚜껑용으로 개발된 것을 응용한 것으로, 2개의 너클(10) 사이에 텐션스트랩(11)이 배치된 형태이다. 텐션스트랩(11) 때문에 보호관(3)이 꺾인 상태로 유지되므로, 주사를 하는 동안 보호관(3)이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바늘(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밸브요소(6)의 구성을 볼 수 있다. 바늘(2)은 이해를 돕기 위해 여러 위치에 도시되었다. 사용이 끝난 바늘(2)은 보호관(3) 내부의 밸브요소(6) 뒤에 위치한다. 밸브요소(6)의 움직임이 파단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6은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밸브막(8)을 확대해 보여준다. 밸브막이 얇은 막 형태이기 때문에 바늘(2)이 보호관(3) 안에는 있지만, 힘을 가하면 바늘을 밸브막 밖으로 꺼낼 수 있다. 밸브막의 간격이 바늘(2)의 직경보다 작다. 밸브막(8)은 슬릿(7)에서 돌출하여 보호관(3)의 형상의 일부를 이루기는 해도, 밸브막의 두께 자체는 보호관(3)의 두께보다 상당히 작다. 이 도면에서도 바늘(2)의 움직임을 파단선으로 표시했다.
도 7은 힌지(5) 위아래에 선형 고정캠들(13)이 위치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바늘보호기(1)가 아래로 완전히 꺽여있는 동안 이들 고정캠들은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보호관(3)이 이렇게 꺾여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고정캠들(13)은 힌지(5)의 리본과 나란하다.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리본 힌지(5)와 파열요소(12)를 잘 볼 수 있다. 도시된 고정캠(13)은 힌지(5) 밑에 있는 것이고, 연결면을 파단선으로 표시했다.
도 9~10은 제1 밸브들이 달린 본 발명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밸브막(8)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태로서 보호관(3)의 내부를 향하고 있다. 이때문에 바늘(2)을 더 깊이 보관할 수 있다.
도 11은 보호캡(14)이 달린 본 발명의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바늘(2)을 보호관(3) 안에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밸브 역할을 하는 보호캡(14)에 의해 보장된다. 보호캡(14)은 보호관(3)의 돌출부(9)에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고정된다. 보호캡(14)은 고정요소(17)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고정요소 때문에, 바늘 사용 전에는 보호캡(14)을 벗길 수 있지만, 바늘 사용 후에는 보호캡의 제거가 불가능하다. 돌출부(9)의 외벽면에 톱니형 돌출부와 링을 형성하고 보호캡(14)의 내벽면에 톱니형 돌출부에 맞물리는 홈과 링에 맞물리는 홈을 형성한다. 이런 구성을 취하면, 사용전에는 보호캡(14)을 벗길 수 있지만, 사용 후 눌려진 상태의 보호캡(14)의 제거가 불가능하다. 도시된 보호캡(14)은 눌려진 상태에 있다. 또, 도면에는 보호관(3)을 더 안전하게 쥐는 수단으로서, 슬릿(7) 반대쪽의 보호관(3) 중간 부분에 핸들(16)이 돌출 형성된다. 보호캡(14)을 쥐고 보호관(3)을 움직여서는 안되고, 보호캡(14)은 사용 후에 바늘(2)을 고정하도록 눌려질 때만 쥐어야 한다.
이 도면은 보호관(3)을 접힌 상태로 유지하는 다른 고정법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고정캠(13)이 힌지(5) 밑에만 형성되고, 보호관(3)에 형성된 구멍(15)에 고정캠(13)이 결합된다. 보호관(3)을 아래로 접으면, 고정캠이 구멍(15)에 끼워져 고정된다(도 13 참조).
도 12는 핸들(16)을 보여주기 위한 도 1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위에 설명한 방법으로 보호관(3)이 꺾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고정캠(13)이 구멍(15)에 끼워지면서 보호관(3)을 고정한다. 고정캠(13)과 구멍은 바늘 사용 후 보호관(3)을 되돌리는 힘을 가하면 분리된다. 이 도면에서 보호캡(14)은 최초 위치에 있다.
도 14는 바늘보호기(1)가 제작 당시에 밖으로 꺾인 상태에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렇게 제작된 보호관(3)의 힌지(5)는 플라스틱의 특성상 제작당시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보호관(3)을 밖으로 꺾인 상태로 유도한다. 사용 준비가 되면, 바늘(2)만 보호관(3)의 밸브막(8)에서 벗어나야 하고, 힌지(5)가 보호관(3)을 접힌 상태로 유지하므로, 이 상태를 유지하는데 전술한 고정요소(17)이 불필요하다. 다른 안전수단으로서 폐쇄요소(18)가 슬릿(7)에 형성되어 있는데, 양쪽 폐쇄요소들을 손가락으로 눌러 좁히면 서로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으므로, 바늘(2)이 보호관(3) 안에 확실히 유지된다(도 15의 확대도 참조).
바늘보호기(1)의 부속부(4)는 주사기에 끼워지도록 바늘(2)과 함께 성형된다.
도 15는 도 14의 E-E선 단면도이다. 폐쇄요소(18) 외에도, 새로운 밸브막-밸브요소 조합이 도시되었는데, 체크밸브인 밸브요소들(6) 중의 하나는 제1 밸브의 밸브막(8)과 같이 성형된다. 밸브막(8)은 보호관(3)의 벽면에서부터 중간 지점까지 돌출하여, 바늘(2)이 보호관(3)을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밸브막(8)은 슬릿(7) 평면과 나란히 배치된다. 체크밸브인 밸브요소(6) 둘다 약간 아랫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2개 밸브요소 사이의 간격은 바늘(2)의 직경보다 작다.
도 16은 밸브막(8)과 밸브요소(6)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한쪽 밸브요소(6)는 단단하고 밸브막(8)과 같이 성형된다. 다른쪽 밸브요소(6)는 유연하면서 일단부가 위로 휘어지는 특성을 갖는데, 이 일단부는 맞은편 밸브요소의 홈(19)에 들어가서, 유연한 밸브요소(6)의 상승을 완벽하게 방지하며, 이때문에 바늘(2)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요소(8)의 평면이 슬릿(7)에서 더 멀어지기 때문에, 바늘(2)이 사고로 분리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도 17은 밸브막-밸브요소 조합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여기서는 밸브요소(6)가 모두 유연하고 밸브요소들 사이의 간격은 바늘(2)의 측면 이동은 조장하면서도 갑작스럽게 튀어오르지 못하게 할 정도이다. 이런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바늘(2)을 처음 사용하고자 하지만 바늘(2)이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강한 저항감을 느낄 수 있고, 사용이 끝난 바늘(2)을 버릴 필요가 없다.
전체 바늘보호기(1)는 살균되거나 살균포장되어 판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포장을 벗긴 뒤, 보호관(3)에 힘을 가하면 소위 제1 밸브의 밸브막(8)에 대해 보호관(3)이 피봇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힌지(5)는 피봇상태의 유지를 도와, 바늘(2)의 사용상태를 대기할 수 있다. 한편, 보호관(3)이 고정캠(13)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사용 후, 제1 밸브를 통해 보호관(3)을 뒤로 꺾으면, 바늘(2)이 보호관(3)의 바닥에 고정된채 보호관(3) 내부의 밸브요소(6) 사이에서 빠져나온다.
슬릿(7)의 하단부와 부속부(4) 사이에 파열요소(12)를 배치하면 첫 사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첫 사용을 할 때 파열요소는 파열되어야 한다. 보호캡이나 폐쇄요소가 있는 경우, 바늘(2)을 완전히 뒤로 접은 뒤, 충격을 받을 때까지 보호캡(14)을 눌러야 하거나, 폐쇄요소(18)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된 바늘(2)을 완전히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해야 한다.
인체공학적 설계로 바늘(2)이 보호관(3) 안에서 30~45도 정도의 각도로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사용한 뒤, 주사기를 쥔채 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만 보호관(3)을 다시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이고 주사기를 오른손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하자.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경우 바늘(2)이 우측으로 회전하면 보호관(3)이 수직축에 대해 좌측에 있게된다.
본 발명은 이중밸브 시스템을 채택하여, 바늘보호기(1)가 겨우 몇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전과 포장을 푸는 동안에도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바늘(2)을 사용하기 쉽게 준비할 수 있다. 사용 후에는 바늘이 사람을 상하지 않도록 보호되고 재사용도 방지된다.

Claims (19)

  1. 힌지를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고 측면에 슬릿이 형성된 보호관으로 바늘을 둘러싸는 피봇형 바늘보호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주사기를 향한 바늘 일부분에 고정된 부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호관의 슬릿에는 밸브요소들(6)이 안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밸브요소는 바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체크밸브 역할을 하며;
    움직이는 바늘(2)과 직접 접촉하는 밸브가 하나 이상 보호관(3)에 형성되어 있고, 보호관(3)의 벽면에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유연한 밸브막(8)에 의해 바늘(2)이 양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3)이 바늘(2)보다 길고, 바늘(2) 위를 덮는 돌출부(9)의 단부면이 막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밸브요소들 중의 하나의 밸브요소(6)는 이보다 긴 다른쪽 밸브요소(6)의 측면을 향해있으며, 양쪽 밸브요소들 사이의 간격이 바늘(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밸브막(8)이 보호관(3)의 슬릿(7)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보호관(3)의 슬릿(7) 안에 3개의 밸브막(8)이 배치되며, 하나의 밸브막은 슬릿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하고, 나머지 2개의 밸브막은 슬릿의 다른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밸브막(8)이 슬릿(7)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돌출하여 다른쪽 가장자리 가까이까지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막(8)이 슬릿(7)의 길이의 5~8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밸브막(8)이 보호관(3)의 안쪽을 향해 돌출하고, 힘을 받으면 양방향으로 피봇할 수 있으며, 밸브막 중의 유연한 부분은 슬릿(7)과 나란한 슬릿의 중심을 넘어 뻗거나 슬릿으로부터 먼 쪽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밸브요소(6)에 2갈래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는 밸브막(8)과 함께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밸브요소(6)가 단단하고 홈(19)이 형성되며, 이 홈 안에 다른 밸브요소(6)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체크밸브 역할을 하는 하나의 밸브요소(6)가 슬릿(7)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힌지(5)가 텐션스트랩(11) 양쪽에 너클(10)이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식 힌지이고, 보호관(3)을 완전히 꺾인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힌지(5)가 리본형 힌지로서, 폐쇄 위치에 있을 때는 힌지의 위아래에 서로 맞물리는 고정캠들(13)이 위치하고 있고, 이들 고정캠들이 보호관(3)을 아래로 꺾인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힌지(5)가 리본형 힌지로서, 힌지(5) 밑에 고정캠(13)이 있으며, 이 고정캠(13)은 보호관(3)에 형성된 결합용 구멍(15)에 맞물려서 보호관(3)을 아래로 꺾인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힌지(5)가 리본형 힌지이고 개방위치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3)의 슬릿(7)과 부속부(4) 사이에 첫 사용을 확인하기 위한 파열요소(1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슬릿(7)의 가장자리에 눌리면 맞물려 폐쇄기능을 발휘하는 밸브로서의 폐쇄요소(18)가 더 달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한번 밀리면 뒤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고정요소(17)에 의해 상기 돌출부(9)에 맞물리는 보호캡(14)이 또다른 밸브로서 더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연한 플라스틱을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바늘(2)과 바늘보호기(1)가 살균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보호기.
KR1020117028515A 2009-05-06 2010-05-05 피봇형 바늘보호기 KR20120027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0900282 2009-05-06
HUP0900282 2009-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278A true KR20120027278A (ko) 2012-03-21

Family

ID=4613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515A KR20120027278A (ko) 2009-05-06 2010-05-05 피봇형 바늘보호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27278A (ko)
ZA (1) ZA201108739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108739B (en)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561B1 (ko) 주사바늘 보호장치
DK1996261T3 (en) Needle with protective housing
JP2002191695A (ja) 針先カバー部材、針先カバー部材付き注射針の組立方法、針ガード部材付き注射針および針ガード部材付き注射器
DK2961453T3 (en) Needle Protection Device
US10973985B2 (en) Injection device having a needle protection device
EP2866866B1 (en) Protective cover for disposable injection needles
JP2008062063A (ja) ブロッキング手段を備える針保護装置
DK2961451T3 (en) Needle Protection Device
HU227413B1 (en) Pivotable needle protector
EP2985049A1 (en) Butterfly-type needle assembly and butterfly-type needle protective sleeve
JP2011519700A (ja) 皮下注射針のプロテクター
JP2015514513A (ja) 安全注射器および針シールド
KR20120027278A (ko) 피봇형 바늘보호기
CN111655315B (zh) 用于针的保护装置
JP7382486B2 (ja) 注射器の針管用の保護デバイス
JP6144936B2 (ja) 穿刺具
KR102535926B1 (ko) 스틱인저리 방지와 재사용 방지 및 주사액 손실 방지 기능을 갖는 안전 주사침 유닛
KR102089718B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WO2011009968A1 (es) Sacacorchos
JP5105434B2 (ja) 注射器の針カバー
JP2022041809A (ja) マスク補助具及びマスク
KR20200019324A (ko) 캔따개
JP2005112388A (ja) ロータリノズル付き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JP2000102611A (ja) 注射器の針管保護キャップ
WO2010095152A1 (en) Safety device for disposable sanitary hollow needles and cut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