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982A -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982A
KR20120026982A KR1020110090568A KR20110090568A KR20120026982A KR 20120026982 A KR20120026982 A KR 20120026982A KR 1020110090568 A KR1020110090568 A KR 1020110090568A KR 20110090568 A KR20110090568 A KR 20110090568A KR 20120026982 A KR20120026982 A KR 2012002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fixed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정
유현규
임치우
타오리 라케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6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comprising mechanisms for improved reliability, e.g. status reports
    • H04L12/1868Measures taken after transmission, e.g. acknowled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8Network protocols supporting networked applications, e.g. includ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 효과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기지국의 동작은,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PERIODIC MULTICAST TRANSMISSION IN 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기기 간 통신 시스템(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그룹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직접 제어(human interaction)가 없거나 또는 아주 제한된 경우에 기기(device) 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 간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상기 기기 간 통신 서비스는 자동 제어 및 통신을 통해 기기를 관리하는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차량 및 차량에 탑재된 물품의 자동화 관리(fleet management), 자동 계량(smart metering),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헬스 케어 등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그 활용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상기 기기 간 통신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설계자는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단말과 다르게 한정적인 데이터를 제한된 시간에만 송수신하는 기기(device)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미터링(smart metering)을 수행하는 기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예를 들어, 한 달에 1회만 계량한 수치를 스마트 미터 서버(smart meter server)로 전송하거나, 상기 스마트 미터 서버로부터 하루에 1회씩 미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헬스 케어 기기의 경우, 상기 헬스 케어 기기는 하루에 1회 헬스 케어 서버(health care server)로부터 헬스 케어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최신의 헬스 케어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목적 및 용도에 따라 한정적인 데이터를 일정 주기에 따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때, 동일한 종류의 단말들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말들 모두 동일한 데이터를 일정 주기에 따라 송신하거나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다수의 단말들이 정해진 시점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의 정기적인 데이터 송수신 특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들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들로 주기적으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는,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는,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모뎀과,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에 속한 기기(device)들로 동일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전송 자원을 고정 할당 방식으로 할당함으로써, 복잡한 방송 서비스 방안을 사용하거나 자원 할당 오버헤드를 증가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및 서버의 신호 교환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들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system)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기기 간 통신 시스템은 기기 통신을 지원하는 M2M 단말(M2M SS : Machine to Machine Subscriber Station)(110), 기기 통신을 지원하는 M2M 기지국(M2M BS : Machine to Machine Base Station)(120), 억세스 서비스 네트워크 게이트웨이(ASN-GW : Access Service Network GateWay)(130), 연결 서비스 네트워크(CSN : Connected Service Network)(140), M2M 서버(M2M server)(150)를 포함한다.
상기 M2M 단말(110)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통신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기기 통신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된 단말이다. 상기 M2M 기지국(120) 및 상기 ASN-GW(130)는 상기 M2M 단말(110) 및 상기 M2M 서버(150) 간의 통신에 필요한 무선 접속점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M2M 기지국(120)은 M2M 단말(110)과 상기 M2M 서버(150) 간의 통신에 필요한 무선 자원을 제어한다. 상기 CSN(140)은 상기 M2M 단말(110)로 사용자 측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M2M 서버(150)는 상기 하나 혹은 다수의 M2M 단말(110)와 통신을 수행하며, 기기 통신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고,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상기 도 1에서, 상기 M2M 서버(150)는 상기 CSN(140)과는 별도의 객체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M2M 서버(150)는 시스템 운용에 따라 상기 CSN(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M2M 단말(110) 및 상기 M2M 기지국(120) 간 무선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통신 규격에 따르거나, 또는, 기기 간 통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통신 규격에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al Engineers) 802.16 통신 시스템 규격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M2M 단말(110)은 상기 IEEE 802.16 통신 시스템에 정의된 단말(mobile station)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M2M 단말(200)은 기기 통신(M2M) 서비스 그룹에 가입하는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 중 M2M 기지국(250)으로부터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정보를 수신한다(201단계). 상기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는 상기 M2M 단말(200)이 상기 M2M 기지국(250)으로 M2M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그룹에 가입하는 절차로서, 망 진입 절차 또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 절차 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에 서비스 그룹 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는 망 진입 시 사용되는 등록 메시지 또는 서비스 등록(service flow creation) 시 사용되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 요청(DSA-REQ : Dynamic Service Addition Request)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정보는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식별자(ID : IDentifier) 및 상기 M2M 단말(200)에 할당된 인덱스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덱스는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내에서 상기 M2M 단말(200)을 식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그룹에 속한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피드백 채널들 중 상기 M2M 단말(200)의 피드백 채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 채널은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채널일 수 있다.
상기 M2M 기지국(250)은 상기 M2M 단말(200)이 가입한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전송하는 그룹 데이터를 위해 고정된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할당되는 자원을 이용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된 위치에서 주기적으로 할당되는 자원'을 '고정 자원'이라 칭한다. 이를 위해, 상기 M2M 기지국(250)은 상기 M2M 단말(200) 및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속한 다른 단말들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송신한다(203단계).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멀티캐스트 고정 할당 맵 IE(multicast Persistent Allocation MAP Information Element)라 지칭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들로 일정 주기에 따라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를 운반할 자원의 할당 정보를 지시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 즉, 자원의 위치 또는 데이터의 전송 주기가 변경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1회 전송되며,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이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전송, 다시 말해 멀티캐스팅(multicating)된다. 예를 들어,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 단말에게 할당된 고유 시퀀스(sequence)로 스크램블링(scrambling) 또는 CRC(Cyclic Redanduncy Check) 코딩하는 시스템의 경우,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그룹에 속한 단말들이 공유하는 시퀀스가 사용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속한 다수의 단말들로 멀티캐스트되는 경우,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로 인코딩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Syntax Size
(bits)
Description/Notes
Multicast Persistent Allocation
MAP IE() {
MAP IE type 4 Multicast Persistent Allocation MAP IE
Allocation Period Period of persistent allocation. If this field is set to 0b00, it indicates the de-allocation of a persistently allocated resource.
0b00: de-allocation
0b01: 16 superframes
If(Allocation Period == 0b00) {
Resource Index 11 Confirmation of the resource index for a previously assigned persistent resource that has been de-allocated.
5MHz: 0 in first 2 MSB bits + 9 bits for resource index
10MHz: 11 bits for resource index
20MHz: 11 bits for resource index
Resource index includes location and allocation size
}
Else {
ISizeOffset 5 Offset used to compute burst size index
MIMO mode 1 0b0: SFBC
0b1: Vertical encoding
If(MIMO mode == 0b1) {
Number of streams (Mt) 3 Number of streams in transmission Mt <= Nt
Nt: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t the BS
0b000: 1 stream
0b001: 2 streams
0b010: 3 streams
0b011: 4 streams
0b100: 5 streams
0b101: 6 streams
0b110: 7 streams
0b111: 8 streams
}
Resource Index 11 5MHz: 0 in first 2MSB bits + 9 bits for resource index
10MHz: 11 bits for resource index
20MHz: 11 bits for resource index
Resource index includes location and allocation size
Long TTI indicator 1 Indicates number of subframes spanned by the allocated resource
0b0: 1 subframe
0b1: all DL subframes
}
}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이미 할당된 고정 자원을 해제하는 용도 혹은 새로운 고정 자원을 할당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새로운 고정 자원이 할당되는 경우,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고정 자원이 할당되는 주기 정보를 포함하며, 할당되는 고정 자원의 정보 및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에 적용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표 1>은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 단말에게 할당된 고유 시퀀스로 인코딩하는 시스템을 가정한 경우의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상기 <표 1>에 나타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그룹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지 아니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은 자원 할당 정보 내에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표 1>에 나타난 항목들에 더하여, 그룹을 지시하는 정보, 즉,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M2M 단말(200)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자신이 속한 그룹의 그룹 식별자가 포함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고정 자원 할당 정보의 성공적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상기 M2M 단말(200)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피드백 신호를 상기 M2M 기지국(250)으로 전송한다(205단계).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 신호는 HARQ ACK(Acknowledge)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203단계에서 송신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포함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을 '피드백 자원'이라 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과 같은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은 피드백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yntax Size
(bits)
Description/Notes
HARQ Channel Info() {
Start Index - The start index of resource unit (e.g. DLRUs index) for HARQ channel
Number of units - The number of units (e.g., DLRUs) for HARQ channel
HARQ channel number - The number of HARQ channels Describes LHFB Different number of HARQ channels can be used based on bandwidth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피드백 자원 할당 정보는 HARQ 채널의 시작점, 상기 HARQ 채널 크기, HARQ 채널 개수를 포함한다. 상기 <표 2>를 통해 할당한 HARQ 채널 영역에서 상기 M2M 단말(200)에게 할당된 HARQ 채널의 위치는 상기 201단계에서 송신된 서비스 그룹 정보에 포함된 인덱스에 의해 식별된다. 즉, 상기 HARQ 채널 영역에는 상기 인덱스의 순서에 따라 단말들의 HARQ 채널들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M2M 단말(200)은 자신의 인덱스에 의해 지시되는 HARQ 채널을 통해 상기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이후, 상기 M2M 기지국(250)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속한 단말들로 그룹을 위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한다(207-1단계).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그룹을 위한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그룹 데이터'라 칭한다. 상기 그룹 데이터가 시간 T의 주기로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모든 단말으로 전송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라고 가정할 때, 상기 M2M 기지국(250)은 상기 시간 T마다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전송한다(207-2단계, 207-3단계).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M2M 기지국(250)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그룹 내 모든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송신한다. 단, 상기 M2M 단말(200)이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가입하기에 앞서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적어도 1회 전송된 경우,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그룹 내 모든 단말들로 반드시 수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M2M 기지국(250)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으로 상기 M2M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멀티캐스트되는 경우 ,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로 인코딩되나, 특정 단말로 유니캐스트되는 경우,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특정 단말의 식별자로 인코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M2M 단말(200)이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에 가입하기에 앞서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적어도 1회 전송된 경우, 상기 M2M 기지국(250)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다수의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멀티캐스팅하되,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다른 단말들은 재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무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전송 여부를 알리는 정보는 하기 <표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Syntax Size
(bits)
Description/Notes
Initial transmission indicator 1 This field indicates whether Multicast PA MAP IE is initial transmission or not
0:initial transmission of Multicast PA MAP IE
1:retransmission of Multicast PA MAP IE
상기 <표 3>과 같은 초기 전송 지시자(initial transmission indicator)가 포함된 경우, 단말은 수신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최초 전송된 것인지 또는 재전송된 것인지 알 수 있다. 따라서, 최초 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상기 최초 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최신의 정보로서 저장한다. 반면, 재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경우, 최초 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바 있는 단말은 재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무시하고, 최초 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바 없는 단말은 상기 재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최신의 정보로서 저장한다. 즉, 상기 최초 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바 있는 단말은 재전송된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디코딩(decoding)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연산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말은 기지국이 제공한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대해 HARQ 채널을 통해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이는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미 수신하면 이후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그룹 데이터를 모두 수신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수신 실패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HARQ 채널 피드백이 아닌 다른 방안으로서,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를 단말이 전송하도록 하는 방안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의 수신에 따라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지 아니하며, 이후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그룹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하지 아니하는 단말이 존재하면, 기지국은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를 다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및 서버의 신호 교환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고하면, M2M 기지국(350)은 단말과의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 중 상위 시스템을 통해 상기 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 요청 메시지를 M2M 서버(300)로 송신한다(301단계). 여기서, 상기 상위 시스템은 ASN-GW, CSN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서비스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M2M 서버(300)는 상기 단말이 가입하고자 하는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정보를 상기 상위 시스템을 통해 상기 M2M 기지국(350)으로 제공한다(303단계).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에게 주기적으로 전송될 그룹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 상기 그룹 데이터의 크기,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그룹 식별자는 상기 M2M 서버(300)에 의해 관리되거나, 또는, 상기 M2M 기지국(350)에 의해 관리된다. 상기 그룹 식별자가 상기 M2M 서버(300)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 상기 상기 M2M 서버(300)에서 상기 M2M 기지국(350)으로 전달되는 상기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M2M 서버(300)은 303단계에서 제공한 정보, 즉,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M2M 기지국(350)으로 그룹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그룹 데이터의 멀티캐스팅을 요청한다(305-1단계 내지 305-3단계).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룹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및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는 피드백 채널을 통해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401단계에서 서버로부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은 상기 도 3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위 시스템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의 그룹 데이터의 전송 주기, 그룹 데이터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4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전송할 고정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이 고정 할당되어 있는지, 그리고,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지시하는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해당 그룹의 단말들로 전송된 바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40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변경되었는지, 또는,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자원의 변경은 상기 고정 자원의 할당 주기의 증감, 상기 고정 자원의 위치 이동, 상기 고정 자원의 크기 증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자원의 위치 이동은 상기 기지국의 자원 운용에 따라 일어날 수 있고, 상기 고정 자원의 크기 증감은 그룹 데이터의 양 변화 또는 그룹 데이터에 적용되는 변조(Modulation) 기법 또는 코딩(coding) 기법의 변화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만일, 고정 자원의 변경이 필요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413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고정 자원의 변경이 필요하거나, 상기 403단계에서 고정 자원이 존재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 예를 들어, 고정 할당 맵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고정 할당 맵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피드백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 1>은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 단말에게 할당된 고유 시퀀스로 인코딩하는 시스템을 가정한 고정 할당 맵의 예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자원 할당 정보 내에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스템의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그룹을 지시하는 정보, 즉,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409단계로 진행하여 NAK(Non Acknowledge)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NAK의 발생은 명시적으로 수신 실패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수신 성공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수신하지 못한 단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NAK가 발생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41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NAK가 발생하면, 상기 기지국은 4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수신하지 못한 단말을 위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재전송하고, 상기 단말을 위한 피드백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은 상기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이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니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상기 단말의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반면, 상기 멀티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그룹 내 단말들이 공유하는 식별자, 예를 들어, 그룹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딩은 스크램블링 및 CRC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409단계로 되돌아가 NAK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409단계에서 NAK이 발생하지 아니하거나, 또는, 상기 405단계에서 고정 자원의 변경이 필요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4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할당 맵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한다.
상기 401단계에서 상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415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M2M 단말이 서비스 그룹에 참가하는지 판단하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새로운 단말이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시작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는 망 진입 절차 또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 절차 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에 서비스 그룹 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새로운 단말이 그룹에 참가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4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새로운 단말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버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새로운 단말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에게 주기적으로 전송될 그룹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 상기 그룹 데이터의 크기,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로 제공되는 서비스 그룹 정보는 서비스 그룹 식별자 및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4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에 대한 고정 할당이 제공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비스 그룹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그룹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자원이 고정 할당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서비스 그룹에 대한 고정 할당이 제공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4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서비스 그룹에 대한 고정 할당이 제공되고 있으면, 상기 기지국은 4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새로운 단말에게 고정 자원 정보, 즉, 고정 할당 맵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을 위한 피드백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상기 고정 할당 맵은 멀티캐스팅 후 NAK 발생에 따라 재전송되는 경우와 동일한 형태로 전송된다. 즉,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전송은 상기 새로운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이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니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상기 새로운 단말의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반면, 상기 멀티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그룹 내 단말들이 공유하는 식별자, 예를 들어, 그룹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딩은 스크램블링 및 CRC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423단계로 진행하여 NAK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NAK의 발생은 명시적으로 수신 실패를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상기 새로운 단말로부터 수신 성공을 나타내는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새로운 단말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수신하지 못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NAK가 발생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4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NAK가 발생하면, 상기 기지국은 4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새로운 단말을 위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재전송하고, 상기 단말을 위한 피드백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은 상기 새로운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이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니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상기 새로운 단말의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반면, 상기 멀티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그룹 내 단말들이 공유하는 식별자, 예를 들어, 그룹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딩은 스크램블링 및 CRC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그룹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임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상기 그룹 데이터는 M2M 단말이 M2M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향링크 자원의 고정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413단계는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으로 대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는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서버로부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은 상기 도 3에서 상기 기지국이 상위 시스템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의 그룹 데이터의 전송 주기, 그룹 데이터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기지국은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전송할 고정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이 고정 할당되어 있는지, 그리고,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지시하는 고정 자원 할당 정보가 해당 그룹의 단말들로 전송된 바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변경되었는지, 또는, 변경이 필요한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자원의 변경은 상기 고정 자원의 할당 주기의 증감, 상기 고정 자원의 위치 이동, 상기 고정 자원의 크기 증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자원의 위치 이동은 상기 기지국의 자원 운용에 따라 일어날 수 있고, 상기 고정 자원의 크기 증감은 그룹 데이터의 양 변화 또는 그룹 데이터에 적용되는 변조(Modulation) 기법 또는 코딩(coding) 기법의 변화에 따라 일어날 수 있다. 만일, 고정 자원의 변경이 필요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513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고정 자원의 변경이 필요하거나, 상기 503단계에서 고정 자원이 존재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5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 예를 들어, 고정 할당 맵을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 1>은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 단말에게 할당된 고유 시퀀스로 인코딩하는 시스템을 가정한 고정 할당 맵의 예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자원 할당 정보 내에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스템의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그룹을 지시하는 정보, 즉,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5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할당 맵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한다. 단,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이 상기 기지국 및 단말들 간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수행되는 경우, 상기 피드백 요청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들로부터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피드백 미수신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컨텐츠(contents)를 포함하지 않는 수신 성공을 나타내는 비트열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데이터에 상응하는 정보성을 가지는 데이터일 수 있다. 만일, 상기 피드백 미수신이 발생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5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피드백 미수신이 발생하면, 상기 기지국은 5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하지 아니한 단말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수신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단말을 위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재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은 상기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이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니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상기 단말의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반면, 상기 멀티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그룹 내 단말들이 공유하는 식별자, 예를 들어, 그룹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딩은 스크램블링 및 CRC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501단계에서 상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515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M2M 단말이 서비스 그룹에 참가하는지 판단하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새로운 단말이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시작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는 망 진입 절차 또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 절차 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에 서비스 그룹 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새로운 단말이 그룹에 참가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5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새로운 단말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버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새로운 단말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에게 주기적으로 전송될 그룹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 상기 그룹 데이터의 크기, 상기 그룹 데이터의 전송 주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로 제공되는 서비스 그룹 정보는 서비스 그룹 식별자 및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상기 기지국은 5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에 대한 고정 할당이 제공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서비스 그룹에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그룹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자원이 고정 할당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서비스 그룹에 대한 고정 할당이 제공되지 아니하면, 상기 기지국은 501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상기 서비스 그룹에 대한 고정 할당이 제공되고 있으면, 상기 기지국은 5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새로운 단말에게 고정 자원 정보, 즉, 고정 할당 맵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기 513단계에서 특정 단말을 위해 송신되는 경우와 동일한 형태로 전송된다. 즉,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전송은 상기 새로운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이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니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상기 새로운 단말의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반면, 상기 멀티캐스트의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그룹 내 단말들이 공유하는 식별자, 예를 들어, 그룹 식별자로 인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인코딩은 스크램블링 및 CRC 코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50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그룹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임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상기 그룹 데이터는 M2M 단말이 M2M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향링크 자원의 고정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509단계는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으로 대체된다. 또한, 그룹 데이터가 상향링크 데이터이므로,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피드백 데이터는 불필요하며, 상기 그룹 데이터가 상기 피드백 데이터의 기능을 대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피드백 채널을 통해 고정 자원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601단계에서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그룹 내에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인덱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는 망 진입 절차 또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 절차 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에 서비스 그룹 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 할당 정보, 즉,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고정 자원의 위치 정보, 크기 정보, 주기 정보, MIMO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고정 할당 맵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재전송 시 유니캐스트 전송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표 1>은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 단말에게 할당된 고유 시퀀스로 인코딩하는 시스템을 가정한 고정 할당 맵의 예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자원 할당 정보 내에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스템의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그룹을 지시하는 정보, 즉,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피드백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피드백 정보를 통해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자원 할당 정보는 피드백 채널의 시작점 정보, 크기 정보,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피드백 자원 할당 정보는 상기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피드백 채널은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에 포함된 인덱스에 의해 식별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구간은 자원 할당이 수행되는 단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프레임일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고정 자원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단말은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그룹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그룹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607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607단계에서,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지 아니하면, 상기 단말은 611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인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해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은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으로 인식한다.
만일,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면, 상기 단말은 615단계로 진행하여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을 폐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기 저장된 고정 할당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고정 할당 정보를 무시한다.
반면,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 아니면, 상기 단말은 617단계로 진행하여 기 저장된 고정 할당 정보를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새로운 고정 할당 정보로 갱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605단계로 진행하여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611단계 내지 상기 617단계는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이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즉,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이 특정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인 경우, 상기 611단계 내지 상기 617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613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해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더불어 상기 고정 할당 맵의 내용을 이전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고정 할당 맵의 내용을 이전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603단계 또는 상기 611단계에서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 고정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기 저장된 고정 할당 정보를 삭제하고, 고정 자원을 해제한다. 즉,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고정 자원의 새로운 할당, 변경은 물론, 해제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그룹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임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상기 그룹 데이터는 M2M 단말이 M2M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향링크 자원의 고정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609단계는 그룹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작으로 대체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은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701단계에서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그룹 내에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인덱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는 망 진입 절차 또는 서비스 플로우 생성 절차 내에서 송신되는 메시지에 서비스 그룹 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이후, 상기 단말은 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 할당 정보, 즉,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고정 자원의 위치 정보, 크기 정보, 주기 정보, MIMO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및 상기 고정 할당 맵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재전송 시 유니캐스트 전송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표 1>은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 단말에게 할당된 고유 시퀀스로 인코딩하는 시스템을 가정한 고정 할당 맵의 예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자원 할당 정보 내에 수신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는 시스템의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그룹을 지시하는 정보, 즉, 그룹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구간은 자원 할당이 수행되는 단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프레임일 수 있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고정 자원을 포함하는 프레임이 도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단말은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그룹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그룹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어, 상기 단말은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컨텐츠(contents)를 포함하지 않는 수신 성공을 나타내는 비트열이거나, 또는, 상기 그룹 데이터에 상응하는 정보성을 가지는 데이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드백 데이터의 송신은 기지국 및 단말들 간 미리 정의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피드백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708단계에서 그룹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피드백 요청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705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705단계에서,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지 아니하면, 상기 단말은 711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은 7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인지 판단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해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단말은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으로 인식한다.
만일,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면, 상기 단말은 715단계로 진행하여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을 폐기한다. 다시 말해, 상기 단말은 기 저장된 고정 할당 정보를 유지하고, 상기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고정 할당 정보를 무시한다.
반면,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 아니면, 상기 단말은 717단계로 진행하여 기 저장된 고정 할당 정보를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새로운 고정 할당 정보로 갱신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상기 705단계로 진행하여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711단계 내지 상기 717단계는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이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즉,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이 특정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인 경우, 상기 711단계 내지 상기 717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713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해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더불어 상기 고정 할당 맵의 내용을 이전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단말은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고정 할당 맵의 내용을 이전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703단계 또는 상기 711단계에서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 고정 자원의 해제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기 저장된 고정 할당 정보를 삭제하고, 고정 자원을 해제한다. 즉, 상기 고정 할당 맵은 고정 자원의 새로운 할당, 변경은 물론, 해제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그룹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임을 가정하였다. 하지만, 상기 그룹 데이터는 M2M 단말이 M2M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 할당 맵은 상향링크 자원의 고정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709단계는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으로 대체된다. 또한, 그룹 데이터가 상향링크 데이터이므로,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피드백 데이터는 불필요하며, 이에 따라, 상기 709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810), 모뎀(820), 백홀(backhaul)통신부(830), 저장부(840), 제어부(8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8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810)는 상기 모뎀(820)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상기 모뎀(8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모뎀(8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모뎀(820)은 상기 RF처리부(8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백홀통신부(830)는 상위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830)는 상기 기지국에서 상위 시스템, 예를 들어, ASN-GW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ASN-GW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840)는 상기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840)는 상기 제어부(8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840)는 M2M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그룹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M2M 단말들의 그룹 가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850)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모뎀(820)으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82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해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50)는 접속된 단말들에게 자원을 할당하는 자원할당부(852), M2M 단말들의 그룹 가입 정보를 관리하는 그룹관리부(854)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850)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그룹 데이터를 해당 그룹에 가입한 M2M 단말들로 멀티캐스팅하기 위한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상기 백홀통신부(830)를 통해 M2M 서버로부터 그룹 데이터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그룹 데이터를 전송할 고정 자원이 할당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고정 자원이 존재하지 아니하거나, 존재하지만 고정 자원의 변경이 필요하면, 상기 제어부(850)는 진행하여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 할당 정보, 예를 들어, 고정 할당 맵을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모뎀(820) 및 상기 RF처리부(810)를 통해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한다.
또한, 새로운 단말이 그룹에 참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새로운 단말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새로운 단말로 제공되는 서비스 그룹 정보는 서비스 그룹 식별자 및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그룹에 대한 고정 할당이 제공되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새로운 단말로 고정 할당 맵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을 위한 피드백 자원을 할당한다. 이때, 상기 고정 할당 맵은 멀티캐스팅 후 NAK 발생에 따라 재전송되는 경우와 동일한 형태로 전송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새로운 단말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확인하고, NAK 발생시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재전송한다.
상술한 고정 할당 맵 전송 과정에서,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성공적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85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전송한 후, 상기 고정 할당 맵에 대한 NAK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NAK의 발생 여부는 고정 할당 맵의 성공적인 수신에 따른 피드백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할당 맵에 대한 NAK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수신하지 못한 단말을 위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재전송하고, 상기 단말을 위한 피드백 자원을 할당한다. 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850)는 상기 고정 할당 맵에 대한 NAK 발생 여부가 아닌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성공적인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850)는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 한 후, 해당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모든 M2M 단말들로부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M2M 단말로부터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재전송한다. 상기 제1실시 예 및 상기 제2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은 상기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이거나, 또는, 멀티캐스트 전송이되 재전송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처리부(910), 모뎀(920), 저장부(930), 제어부(9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처리부(9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910)는 상기 모뎀(920)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상기 모뎀(9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모뎀(9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모뎀(920)은 상기 RF처리부(9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저장부(9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930)는 상기 제어부(9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930)는 상기 단말이 가입한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9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940)는 하향링크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모뎀(920)으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920)으로부터 제공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해석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940)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그룹 데이터를 고정 자원을 통해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940)는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그룹 내에서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인덱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후,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940)는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고정 자원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930)에 저장하고,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주기적으로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고정 할당 맵을 수신한 이후, 다시 고정 할당 맵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940)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인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상기 재전송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재전송을 지시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부(940)는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으로 인식한다. 만일, 상기 고정 할당 맵이 중복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면, 상기 제어부(940)는 상기 고정 할당 맵을 폐기하고, 새로이 수신된 고정 할당 맵이면, 제어부(940)는 기 저장된 고정 할당 정보를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새로운 고정 할당 정보로 갱신한다. 단,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재전송이 특정 단말로의 유니캐스트 전송인 경우, 상술한 중복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폐기 또는 갱신하는 기능은 배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할당 맵의 성공적 수신 여부를 상기 기지국으로 알리기 위해, 상기 제어부(94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940)는 상기 고정 할당 맵에 포함된 피드백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피드백 정보를 통해 피드백 신호를 송신한다. 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940)는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6)

  1.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재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유니캐스트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재송신하는 과정은,
    재전송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멀티캐스트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함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 송신을 위한 피드백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와 함께 상기 피드백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한 후,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함을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새로운 단말이 서비스 그룹에 참가하면,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상기 새로운 단말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존재하면, 상기 새로운 단말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그룹 내에서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의 고유의 시퀀스로 인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는 과정은,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상기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포함된 피드백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피드백 자원을 통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한 후,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중복 수신된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중복 수신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이면, 상기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폐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중복 수신된 것인지 여부는,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포함된 재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중복 수신된 것인지 여부는, 상기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의 내용을 이전 수신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그룹 내에서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고정 자원이 할당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재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유니캐스트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재전송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멀티캐스트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함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 송신을 위한 피드백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와 함께 상기 피드백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데이터를 멀티캐스팅한 후, 상기 서비스 그룹에 가입된 적어도 하나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지 못함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새로운 단말이 서비스 그룹에 참가하면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상기 새로운 단말로 서비스 그룹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이 존재하면 상기 새로운 단말로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그룹 내에서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상기 서비스 그룹의 고유의 시퀀스로 인코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상기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를 포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
    기기 통신 서비스 그룹 가입 절차를 통해 서비스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모뎀과,
    상기 서비스 그룹의 그룹 데이터를 위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고정 자원이 포함된 구간이 도래하면, 상기 고정 자원을 통해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포함된 피드백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피드백 자원을 통해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대한 피드백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그룹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수신한 후,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가 중복 수신된 것인지 판단하고, 중복 수신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이면 상기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중복 수신된 것인지 여부는, 상기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에 포함된 재전송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중복 수신된 것인지 여부는, 상기 새로운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의 내용을 이전 수신된 고정 자원에 대한 할당 정보의 내용과 비교함으로써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서비스 그룹의 식별자 및 상기 서비스 그룹 내에서 상기 단말을 식별하기 위해 할당된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10090568A 2010-09-10 2011-09-07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26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26 2010-09-10
KR20100088926 2010-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982A true KR20120026982A (ko) 2012-03-20

Family

ID=4580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568A KR20120026982A (ko) 2010-09-10 2011-09-07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66396A1 (ko)
JP (1) JP5815711B2 (ko)
KR (1) KR20120026982A (ko)
CN (1) CN103098533B (ko)
WO (1) WO20120333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7319B2 (en) * 2008-12-15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map overhead in a broad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R112012022204B1 (pt) * 2010-03-01 2022-04-19 IOT Holdings, Inc Gateway entre máquinas
CN102883404B (zh) * 2011-07-14 2015-07-08 华为终端有限公司 实现机器对机器业务的方法、m2m终端、ap和系统
KR101617557B1 (ko) * 2011-09-12 2016-05-02 인텔 코포레이션 M2m 디바이스를 위한 그룹 매체 액세스 제어 메시지 및 그룹 식별자 업데이트 방법
KR101191220B1 (ko) * 2011-10-27 2012-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속적 스케줄링 변경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30121275A1 (en) * 2011-11-16 2013-05-1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andom access identifier for fixed m2m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00209B (zh) * 2012-01-06 2018-05-25 华为技术有限公司 成员资源的访问方法、群组服务器和成员设备
GB2498575A (en) * 2012-01-20 2013-07-24 Renesas Mobile Corp Device-to-device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cells in a device-to-device discovery area
US9131480B2 (en) * 2012-03-30 2015-09-0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group controling signaling for machine-to-machine devices
WO2014042345A1 (en) * 2012-09-17 2014-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4138292A (ja) * 2013-01-17 2014-07-28 Hitachi Ltd 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193092A1 (ko) * 2013-05-30 2014-12-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그룹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6181859B2 (ja) 2013-05-30 2017-08-16 チャング−アング ユニバーシティー−アカデミ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ァンデーション 無線ネットワークでマルチキャストグループを管理する装置及び方法
EP3158823B1 (en) * 2014-06-23 2020-04-08 Telecom Italia S.p.A. Fronthaul load dynamic reduction in centralized radio access networks
US10021008B1 (en) 2015-06-29 2018-07-10 Amazon Technologies, Inc. Policy-based scaling of computing resource groups
US10148592B1 (en) * 2015-06-29 2018-12-04 Amazon Technologies, Inc. Prioritization-based scaling of computing resources
CN107734518A (zh) * 2016-08-11 2018-02-23 株式会社Ntt都科摩 服务指示与发现方法、基站以及用户设备
US10298448B2 (en) 2016-09-20 2019-05-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service capabiliti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0396967B2 (en) * 2016-09-29 2019-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ownlink to uplink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182027B (zh) * 2017-06-05 2019-12-10 北京交通大学 基于分组的m2m通信非连续传输方法
EP4322484A3 (en) * 2018-01-03 2024-05-0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in 5g networks for iot applications
CN111148061B (zh) * 2018-11-02 2021-09-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资源指示方法及通信设备
US11792813B2 (en) * 2021-04-01 2023-10-17 Qualcomm Incorporated Retransmission of semi-persistent scheduled group common downlink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63560B2 (en) * 2002-08-30 2007-08-28 Sun Microsystems, Inc. Decentralized peer-to-peer advertisement
US7206934B2 (en) * 2002-09-26 2007-04-17 Sun Microsystems, Inc. Distributed indexing of identity information in a peer-to-peer network
US7813746B2 (en) * 2003-10-24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network using shared traffic channel mode of operation for broadcast services
US20060067275A1 (en) * 2004-09-30 2006-03-30 University Of Surrey Mobile network coverage
KR100697617B1 (ko) * 2004-12-30 2007-03-22 주식회사 디씨아이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제어 방법
US7873044B2 (en) * 2005-04-25 2011-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136671A1 (en) * 2005-10-21 2017-03-01 Apple Inc. Multiplexing schemes for ofdma
KR101208133B1 (ko) * 2006-04-26 2012-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정보 전송 방법
WO2007148930A1 (en) * 2006-06-21 2007-12-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to transmit downlink signaling message on cellular systems for packet transmission and method for receiving the message
CN100542139C (zh) * 2006-12-31 2009-09-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任务分组的资源分配方法和装置
JP4671982B2 (ja) * 2007-01-09 2011-04-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送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100177717A1 (en) * 2007-04-19 2010-07-15 Lg Electronics Inc. Group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metho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the same, and grouping based resource allocation controller
WO2008140235A2 (en) * 2007-05-10 2008-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s of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65029B2 (en) * 2007-06-15 2012-09-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resources in a wireless system
BRPI0815862A2 (pt) * 2007-09-11 2015-09-29 Wi Lan Inc alocação persistente de recursos
CN101389061B (zh) * 2007-09-13 2013-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广播组播业务的实现方法及装置
EP2083534A1 (en) * 2008-01-25 2009-07-29 Alcatel Lucent Transmission of multicast and broadcast content and method thereof
JP5185735B2 (ja) * 2008-08-28 2013-04-17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374625B2 (en) * 2008-09-09 2013-02-12 Nokia Siemens Networks Oy Neighborhood paging group design for wireless networks
CN101815253B (zh) * 2009-02-19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息及单播业务控制信道区域信息的传输方法
US20120014244A1 (en) * 2009-03-31 2012-01-19 Panasonic Corporation Base station, mobile station, pilot transmission method,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CN101860967A (zh) * 2009-04-09 2010-10-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组资源分配的处理方法
US8730925B2 (en) * 2009-04-09 2014-05-20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eference signals for accurate time-difference of arrival estimation
WO2010118383A1 (en) * 2009-04-10 2010-10-14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ng for multi-dimension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CN102388666B (zh) * 2009-04-30 2015-07-29 诺基亚公司 用于管理设备到设备干扰的方法和装置
US8238323B2 (en) * 2009-06-11 2012-08-07 Intel Corporation OFDMA cellular network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ference
US8582593B2 (en) * 2009-12-29 2013-11-12 Nokia Corporation Multicast transmission within a hybrid direct 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A2793065A1 (en) * 2010-04-15 2011-10-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istent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8750886B2 (en) * 2010-05-06 2014-06-1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resolution of secondary communication system resources
WO2011150549A1 (en) * 2010-06-01 2011-12-0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beam groups and subset of beams in communication system
KR20120010961A (ko) * 2010-07-27 2012-0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캐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120028672A1 (en) * 2010-07-30 2012-02-02 Tao Ch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er Power Contro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37378A (ja) 2013-09-30
CN103098533A (zh) 2013-05-08
WO2012033367A3 (en) 2012-06-28
CN103098533B (zh) 2018-03-23
WO2012033367A2 (en) 2012-03-15
JP5815711B2 (ja) 2015-11-17
US20120066396A1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6982A (ko) 기기 간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632559B1 (ko) 기기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멀티캐스트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43646B1 (ko) 무선접속시스템에서 mac 제어 메시지 전송방법 및 장치
US94197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RQ for ran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10552B2 (en) Method for receiving multicast data in M2M device includ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2M device therefor
KR101191220B1 (ko) 지속적 스케줄링 변경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103051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multicast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US8699440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broadband wireless connec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KR20090072607A (ko) 자동 재전송 요구를 위한 자원할당방법
US2023007454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6170941A (zh) 数据处理的方法及装置
US8493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007988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방송 메시지 전송 방법
US91919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
CN104735720A (zh) 一种机器类通信业务信息的传输方法、基站、终端和系统
US202400080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CN109923893B (zh) 单小区点到多点反馈
US115893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357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cast resource
US89378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multicast resour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multicast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KR20060074011A (ko)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및 방송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KR102025727B1 (ko)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5379395A (zh) 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13055067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정상적 전원 차단에 따른 네트워크 진입 방법 및 장치
CN113595689B (zh) 通信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