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684A -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684A
KR20120026684A KR1020100088711A KR20100088711A KR20120026684A KR 20120026684 A KR20120026684 A KR 20120026684A KR 1020100088711 A KR1020100088711 A KR 1020100088711A KR 20100088711 A KR20100088711 A KR 20100088711A KR 20120026684 A KR20120026684 A KR 2012002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bus bar
finger line
pedest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섭
송석현
양수미
이경원
서준모
신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684A/ko
Publication of KR2012002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01L31/0201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module bus-bar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수광면적을 극대화함과 함께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형성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모듈 기판과, 상기 모듈 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와,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에 장착된 태양전지 셀 및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의 양측에 구비된 버스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버스바 받침대 상에는 버스바가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 상에 핑거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버스바와 핑거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의 수광면적을 극대화함과 함께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형성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소자로서, 기본적으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다이오드(diode)라 할 수 있다. 태양광이 태양전지에 의해 전기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태양전지의 p-n 접합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고, 전기장에 의해 전자는 n층으로, 정공은 p층으로 이동하게 되어 p-n 접합부 사이에 광기전력이 발생되며, 이 때 태양전지의 양단에 부하나 시스템을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p-n 접합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구조를 태양전지 셀(cell)이라 하며,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직렬 연결한 형태를 태양전지 모듈(module)이라 한다. 태양전지 모듈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면적을 갖는 모듈 기판(110) 상에 복수의 태양전지 셀(12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각각의 태양전지 셀(120)은 직렬 연결된다. 이 때, 각각의 태양전지 셀(120)은 금속 리본(도시하지 않음)을 매개로 전기로 연결되며, 금속 리본은 태양전지 셀(120)의 버스바와 납땜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태양전지 셀의 전면전극은 세부적으로 버스바(bus bar)(121)와 핑거라인(finger line)(122)으로 구성된다. 핑거라인(122)은 태양전지 셀(120)의 전면 상에 고르게 배치되어 광전 변환된 전하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며, 버스바(121)는 수집된 전하를 외부의 전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버스바(12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셀(120)의 전면 상에 핑거라인(122)과 함께 구비됨에 따라, 버스바(121)가 구비되는 영역만큼 태양전지의 수광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태양전지의 수광면적을 극대화함과 함께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형성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모듈 기판과, 상기 모듈 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와,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에 장착된 태양전지 셀 및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의 양측에 구비된 버스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버스바 받침대 상에는 버스바가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 상에 핑거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버스바와 핑거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은 태양전지 셀 안착부 및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의 양측에 버스바 받침대가 구비된 모듈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 내에 태양전지 셀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 받침대, 태양전지 셀 표면 상에 각각 버스바, 핑거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스바와 핑거라인은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며, 스크린 인쇄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받침대의 표면과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버스바가 태양전지 셀의 전면 이외의 곳에 형성됨에 따라, 태양전지 셀의 수광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버스바와 핑거라인을 동시에 형성함에 따라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은 모듈 기판(200)과, 상기 모듈 기판(200)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3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 기판(200)은 복수의 태양전지 셀(31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기판(200)에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210)가 구비되며 각각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210) 내에 태양전지 셀(3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210)의 양측에는 버스바 받침대 받침대(220)가 구비된다. 달리 표현하여, 상기 버스바 받침대(220)에 의해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210)의 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버스바 받침대(220)의 높이는 태양전지 셀(310)의 높이에 상응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210) 내에 태양전지 셀(310)이 안착되는 경우, 태양전지 셀(310)의 표면은 상기 버스바 받침대(22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는 갖는다.
또한, 상기 버스바 받침대(220) 상에는 버스바(321)가 구비되며, 상기 태양전지 셀(310)의 전면 상에는 핑거라인(322)이 구비되며, 상기 버스바(321)와 핑거라인(322)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듈 기판(200)이 준비된 상태에서(S401) 모듈 기판(200)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210)에 태양전지 셀(310)을 안착시킨다(s402). 그런 다음, 상기 버스바 받침대(220) 및 태양전지 셀(310)의 전면 상에 금속 페이스트를 스크린 인쇄하여 버스바(321) 및 핑거라인(322)을 동시에 형성한다(S403).
태양전지 셀(310)의 양측부에 버스바 받침대(220)가 구비되고, 태양전지 셀(310)의 표면과 버스바 받침대(220)의 표면이 동일 높이에 구비됨에 따라, 한 번의 스크린 인쇄를 통해 버스바(321) 및 핑거라인(322)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스바 받침대(220) 상에는 버스바(321)가 형성되고, 태양전지 셀(310)의 표면 상에는 핑거라인(322)이 형성되며, 버스바 받침대(220)와 태양전지 셀(310)이 이웃하여 구비됨에 따라, 형성된 버스바(321)와 핑거라인(322)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200 : 모듈 기판 210 : 태양전지 셀 안착부
220 : 버스바 받침대 310 : 태양전지 셀
321 : 버스바 322 : 핑거라인

Claims (6)

  1. 모듈 기판;
    상기 모듈 기판의 일측에 구비된 복수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
    상기 각각의 태양전지 셀 안착부에 장착된 태양전지 셀; 및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의 양측에 구비된 버스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버스바 받침대 상에는 버스바가 구비되고,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 상에 핑거라인이 구비되며, 상기 버스바와 핑거라인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받침대의 표면과 태양전지 셀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
  3. 태양전지 셀 안착부 및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의 양측에 버스바 받침대가 구비된 모듈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태양전지 셀 안착부 내에 태양전지 셀을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버스바 받침대, 태양전지 셀 표면 상에 각각 버스바, 핑거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와 핑거라인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와 핑거라인은 스크린 인쇄방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받침대의 표면과 상기 태양전지 셀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KR1020100088711A 2010-09-10 2010-09-10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26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711A KR20120026684A (ko) 2010-09-10 2010-09-10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711A KR20120026684A (ko) 2010-09-10 2010-09-10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684A true KR20120026684A (ko) 2012-03-20

Family

ID=4613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711A KR20120026684A (ko) 2010-09-10 2010-09-10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66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3675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ssembly and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EP3588585B1 (en) P-type perc double-sided solar cell, assembly thereof, system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EP3591714B1 (en) P-type perc double-sided solar cell, assembly thereof, system thereof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US20140295612A1 (en) Solar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31303B1 (ko) 후면전극형 태양전지 모듈
EP3591715B1 (en) Method of preparing a bifacial p-type perc solar cell
CN102983179A (zh) 太阳能电池片的上下式电极结构
KR101125435B1 (ko) Mwt형 태양전지
CN105529374A (zh) 一种晶硅太阳能电池的正面电极
CN103296097A (zh) 一种高效率聚光光伏电池
KR20120131301A (ko) 태양전지 모듈
JP2011096968A (ja) 個別に最大電力点追尾を実行する太陽発電機及びその太陽電池
KR20120053239A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N104205351B (zh) 太阳电池
JP3198451U (ja) 4本バスバー太陽電池
CN113345976A (zh) 一种基于背接触电池的多并联电路组件
KR20120026684A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5498A (ko) 태양전지 모듈
KR101157768B1 (ko) 후면전극형 태양전지 모듈
KR101613364B1 (ko) 태양전지의 전면전극 구조
KR101231441B1 (ko) 태양전지 모듈
KR101358513B1 (ko) 도금전극을 가지는 태양전지의 접착력 개선 구조 및 그 방법
JP2013229359A (ja) 太陽電池パネ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
TWI548106B (zh) 光伏電池模組及其製造方法
KR101371787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