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350A -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350A
KR20120026350A KR1020100088515A KR20100088515A KR20120026350A KR 20120026350 A KR20120026350 A KR 20120026350A KR 1020100088515 A KR1020100088515 A KR 1020100088515A KR 20100088515 A KR20100088515 A KR 20100088515A KR 20120026350 A KR20120026350 A KR 2012002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ixel
terminal
data fi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경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350A/ko
Priority to US13/228,704 priority patent/US20120062737A1/en
Publication of KR2012002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6112Constructional details the marking being simulated using a light source, e.g. a barcode shown on a display or a laser beam with time-varying intensity profi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the scanner comprising adaptations for scanning a record carrier that is displayed on a display-screen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고, 총합을 생성한 후 코드 전환하여 부호화하는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카메라를 통해 초당 프레임 수로 캡쳐(capture)하여 복호화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FILE}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가 점차 대형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강의용 또는 광고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강의 용으로 사용될 경우, 강사는 강의에 필요한 영상을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면서 강의를 진행하게 된다. 이럴 경우, 강사는 과제나 강의자료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관련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의 URL을 알려주거나, 게시판에 파일을 업로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광고용으로 사용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광고와 관련된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는 사이트의 URL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추후 집에서 광고와 관련된 사이트를 접속하여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기 위해, 사용자는 별도의 기기를 이용한 관련 사이트 접속 과정을 거쳐 자료를 다운로드 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기기 간의 복잡한 설정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공유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고, 즉각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제1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를 제2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픽셀 데이터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위한 픽셀 챠트를 통해 상기 제2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단말의 화면 출력 이미지 데이터의 실제 프레임별 픽셀 데이터들 간의 차이들을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케이블 등) 및 설정 없이도 단말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고, 총합을 생성한 후 코드 전환하여 부호화하는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카메라를 통해 초당 프레임 수로 캡쳐하여 복호화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여 총합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별 정보를 파싱하여 바이너리(binary)의 헥사(hex) 코드 데이터를 전환하여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타겟 데이터를 초당 프레임 수로 캡쳐하여 소정의 비트로 역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변환시켜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 시 픽셀 데이터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위한 픽셀 챠트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화면 출력 이미지 데이터의 실제 프레임별 픽셀 데이터들 간의 차이들을 보정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케이블 등) 및 설정 없이도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겟 데이터 파일의 바이너리 헥사 코드 데이터를 픽셀을 이용하여 소정의 비트단위로 끊어서 부호화하여 전송한 후 이를 수신한 수신측에서 소정의 비트 단위로 역변환하여 복호화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복호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를 제2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동작을 보인 화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의 부호화/복호화 처리 과정을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송수신 가능한 단말 간의 데이터 전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1단말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 별 코드 데이터를 전환한 후 소정의 비트 단위로 분할하여 부호화하면, 이를 캡쳐한 제2단말기가 상기 타겟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로 역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복호화하여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연결(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케이블 등) 및 설정 없이도 단말 간의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휴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1단말기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송신측의 단말을 의미하고, 제2단말기는 상기 제1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를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아 화면 출력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단말기로 구분하여 설명함을 전제로 하는 바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에 관한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단말기(110)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를 제2단말기(120)의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동작을 보인 화면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10) 예컨대, 모니터, 전광판,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선택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 가능한 모든 디스플레이 기기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를 상기 제2단말기(120)에 구비된 예컨대, 객체에 대한 촬영 수행이 가능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다.
상기 제1단말기(110)은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 별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각 데이터 필드 별 크기의 총합을 생성한 후 코드 전환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부호화는 상기 타겟 데이터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 별 코드 전환 시 데이터 파일의 픽셀 데이터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위한 복수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픽셀 챠트를 추가하고, 상기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분할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말기(110)에 디스플레이된 타켓 데이터 파일(303)의 텍스트(예컨대, test_transfer)의 바이너리(binary)의 헥사(hex) 값(예컨대, 0000 74 65 73 74 5F 74 72 61 6E 73 66 65 72)은 30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제1단말기(110)은 타겟 데이터 파일의 필드별 예컨대, 헤더, 파일 명, 파일 크기, 파일 내용 정보를 파싱하여 바이너리의 헥사값을 픽셀 값을 이용하여 소정 비트 단위 예컨대, 3bit 단위로 분할하여 부호화한다.
이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상기 도 3의 (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단말기(110)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의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면 헤더(고정길이, 310)는 4byte 크기의 (0x0000000A)이고, 파일명(가변길이, 312)는 10byte 크기의 (0x74 0x64 0x73 0x74 0x31 0x2E 0x74 0x78 0x74 0xll)이고, 파일 크기(314, 고정길이)는 4byte 크기의 (0x0000000D)이고, 파일 내용(316, 가변길이)은 13byte 크기의 (74 65 71 74 5F 74 72 61 6E 73 66 65 72)이다.
이와 같이 산출된 필드별 크기를 총합하여 예컨대, 4byte(file_name_len) + 10byte(file_name) + 4byte(file_len) + 13byte(file_data) = 31byte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파일로 생성한 후 헥사 코드 데이터를 이진수로 풀어 3bit 단위로 분할할 경우 상기 필드별 코드 데이터는 각각 311, 313, 및 3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계속해서, 상기 제2단말기(120)는 상기 제1단말기(110)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카메라를 통해 초당 프레임 수로 캡쳐하여 복호화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단말기(110)로부터 캡쳐한 타겟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로 역변화하여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여 복호화하는 것으로, 상기 제1단말기(110)로부터 캡쳐한 타겟 데이터 파일에 대한 각 프레임별 프레임 인덱스(index)를 파싱하여 상기 프레임 내 픽셀 데이터들을 탐색하고, 상기 타겟 데이터 파일 내에 포함된 픽셀 챠트를 이용하여 픽셀 별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소정의 비트 단위로 복호화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 3의 도시된 제2 단말기(120)에서 복호화된 파일(320)은, 상기 제1단말기(110)로부터 캡쳐된 제1단말기(110)의 부호화된 타겟 데이터 파일(318)을 소정의 비트 단위 즉, 8bit로 역변환하여 필드 별(322, 324 및 326)로 보인 것으로, 이와 같이 복호화된 제2단말기(120)의 타겟 데이터 파일(320)은 상기 제2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저장 혹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상기 제1단말기(110)에서 부호화되어 전송된 타켓 데이터 파일이 제2단말기(120)에서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복호화된 것을 보인 예시도로서, 타겟 데이터 파일의 필드 중에서 파일 내용에 해당하는 필드의 픽셀 데이터(410)들이 코드 전환되어 부호화되어 전송되면, 이는 다시 코드 전환되어 복호화되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2단말기(120)는 픽셀 데이터(420)의 프레임 인덱스를 파싱하여 픽셀 데이터(420들을 탐색하고, 상기 제1단말기(110)에서 추가된 픽셀 챠트(415)를 이용하여 해당 프레임 내 픽셀 데이터(420)들을 차례대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픽셀 데이터들(420)의 해상도(resolution)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수행을 통해 상기 제2단말기(120)의 화면 출력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외부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데이터에 대한 촬영 수행만으로도 별도의 연결(예컨대, 유/무선 네트워크, 케이블 등) 및 설정 없이 실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단말기(110)에 표시된 화면 출력 이미지(112)와 동일한 이미지 데이터가 제2단말기(120)에 출력되므로 상기 제1단말기(110)와 제2단말기(120)간에 데이터 전송이 용이하게 수행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 전송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단말기 간의 데이터 파일 전송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210 과정에서 제1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여 총합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10)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의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여 헤더(고정길이)는 4byte 크기이고, 파일명(가변길이)는 10byte 크기이고, 파일 크기(고정길이)는 4byte 크기이고, 파일 내용(가변길이)은 13byte 크기일 경우, 이들의 총합인 31byte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이후 212 과정에서는 상기 타겟 데이터 파일의 픽셀 데이터에 캘리브레이션을 위한 복수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픽셀 챠트를 추가하고, 상기 픽셀값을 이용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분할하여 코드 전환한다. 즉, 헥사 코드 데이터를 이진수로 풀어 3bit 단위로 분할하여 코드 전환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 수행되는 동작이며, 색상 수에 따라 달라진다.(16색 4bit, 8색 3bit)
다음으로, 214 과정에서 212 과정에서 코드 전환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부호화한다.
상기 제1 단말기에서 부호화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제2단말기에서 캡쳐하고(216 과정), 픽셀값을 이용하여 소정의 비트로 역변환한다. 상기 역변환된 타겟 데이터 파일에 대한 각 프레임별 프레임 인덱스를 파싱하여 상기 타겟 데이터 파일의 각 프레임 내에 포함된 픽셀 챠트를 이용하여 픽셀 별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변환한다(220 과정).
상기 픽셀 챠트는 이에 기반하여 해당 프레임 내 픽셀 데이터를 차례대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해상도(resolution), 속도, 가로 및 세로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인덱스는 해당 프레임 정보와 그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취합하여 통합해 놓은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프레임 인덱스 정보를 파싱해서 해당 프레임이 어떤 형태로 압축이 되어 있는 지 확인 가능하며, 해당 프레임 내 포함되어 있는 다수의 픽셀 데이터로의 접근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 파일 변환 시 소정 프레임 내 픽셀 데이터를 상기 픽셀 챠트에 기반하여 차례대로 비교함으로써 픽셀 별 대표 밝기값 또는 컬러 값이 결정되기 때문에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해상도가 향상되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보다 화면 출력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가 실제 최초 디스플레이된 화면 출력 이미지 데이터와 거의 동일한 프레임 인덱스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복호화된 타겟 데이터는 제2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제1단말기 120.제2단말기

Claims (9)

  1.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고, 총합을 생성한 후 코드 전환하여 부호화하는 제1단말기와,
    상기 제1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카메라를 통해 초당 프레임 수로 캡쳐(capture)하여 복호화하는 제2단말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의 부호화는,
    상기 타겟 데이터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별 정보를 파싱(parsing)하여 바이너리(binary)의 헥사(hex) 코드 데이터를 상기 헥사 코드 데이터와는 상이한 코드 데이터로 전환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말기의 부호화는,
    데이터 필드별 코드 전환 시 데이터 파일의 픽셀 데이터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위한 복수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픽셀 챠트를 추가하고, 상기 픽셀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분할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제1단말기로부터 캡쳐한 타겟 데이터를 소정의 비트로 역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변환하여 복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말기는,
    제1단말기로부터 캡쳐한 타겟 데이터 파일에 대한 각 프레임별 프레임 인덱스(index)를 파싱하여 상기 프레임 내 픽셀 데이터들을 탐색하고, 상기 픽셀 데이터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위한 복수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픽셀 챠트를 이용하여 픽셀 별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복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은,
    프레임 내 픽셀 데이터를 픽셀 챠트에 기반하여 차례대로 비교하여 프레임의 해상도(resolution)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시스템.
  7.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타겟 데이터 파일을 프레임 단위를 기반으로 데이터 필드별 크기를 산출하여 총합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데이터 파일의 각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 별 정보를 파싱하여 바이너리(binary)의 헥사(hex) 코드 데이터를 상기 헥사 코드 데이터와는 상이한 코드 데이터로 전환하여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타겟 데이터를 초당 프레임 수로 캡쳐하여 소정의 비트로 역변환하여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변환시켜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하는 과정은,
    데이터 필드별 코드 전환 시 데이터 파일의 픽셀 값을 이용하여 소정 비트 단위로 분할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하는 과정은,
    상기 캡쳐한 타겟 데이터 파일에 대한 각 프레임별 프레임 인덱스(indes)를 파싱하여 상기 프레임 내 픽셀 데이터들을 탐색하고, 상기 픽셀 데이터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위한 복수의 픽셀 데이터를 포함하는 픽셀 챠트를 이용하여 픽셀 별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소정의 비트 단위로 복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KR1020100088515A 2010-09-09 2010-09-09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515A KR20120026350A (ko) 2010-09-09 2010-09-09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13/228,704 US20120062737A1 (en) 2010-09-09 2011-09-09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515A KR20120026350A (ko) 2010-09-09 2010-09-09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350A true KR20120026350A (ko) 2012-03-19

Family

ID=4580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515A KR20120026350A (ko) 2010-09-09 2010-09-09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62737A1 (ko)
KR (1) KR20120026350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8330B2 (en) * 2003-05-02 2011-05-10 Yutaka Kiuchi Methods and execution programs for reading and displaying a two-dimensional code
JP2004333957A (ja) * 2003-05-09 2004-11-25 Hitachi Ltd 携帯端末
JP3846488B2 (ja) * 2004-05-10 2006-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圧縮装置、エンコーダ、電子機器及び画像データ圧縮方法
GB2451434B (en) * 2007-07-27 2012-09-19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A method of generating a sequence of display frames for display on a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62737A1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5594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comunicaciones multimedia con información de la orientación de la imagen
CN111343460B (zh) 接收装置、显示设备及接收方法
JP6686438B2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7147942B (zh) 视频信号传输方法、设备、装置以及存储介质
US86893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transmitting video data
KR102117445B1 (ko) 패킷 헤더 압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429983B (zh) 采集媒体数据的方法、媒体终端及音乐教学系统
EP2332336A1 (en) Multi-view media data
CN109104243B (zh) 一种像素通信方法、信息发送终端及信息接收终端
WO2018141116A1 (zh) 编解码方法及装置
US98136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in portable terminal
JP6980054B2 (ja) 画像データ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3795015A (zh)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计算可读存储介质
TW200713127A (en) Image transmission mechanis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KR20120026350A (ko) 데이터 파일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1896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웹 페이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TW201441935A (zh) 視訊截圖系統及方法
WO2007137479A1 (fr) Procédé et appareil destinés à corriger le caractère gamma d'un flux vidéo
CN107211129A (zh) 对彩色图片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和装置
CN105245511B (zh)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09547845A (zh) 一种视频标记方法及装置
CN104902248B (zh) 一种灵活的多分屏显示方法和装置
KR101201114B1 (ko) 원 소스 멀티 유즈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원 소스 멀티 유즈 중계 장치
CN117676146A (zh) 一种编解码方法及装置
KR20220093467A (ko) 저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데이터 전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