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017A -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 - Google Patents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017A
KR20120026017A KR1020110091394A KR20110091394A KR20120026017A KR 20120026017 A KR20120026017 A KR 20120026017A KR 1020110091394 A KR1020110091394 A KR 1020110091394A KR 20110091394 A KR20110091394 A KR 20110091394A KR 20120026017 A KR20120026017 A KR 2012002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ouble
blade
blades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상
Original Assignee
조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8815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10027611A/ko
Application filed by 조원상 filed Critical 조원상
Publication of KR2012002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18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blades with two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37Details or parts covering the blades, e.g. caps for storage; Attach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2Actuating members, e.g. switches or control knobs; Adjus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2Ergonomic details, e.g. shape, ribs or rubbe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헤드의 양면 중, 헤드의 한쪽 면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조밀하게 하고,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는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초벌면도를 하고,
또한,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마무리 면도를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헤드에 설치되는 면도날들과 스페이서들의 구조를 특수하게 함으로써, 면도기의 청소시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양면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THE TWO SIDED RAZOR FOR ROUGH AND FINISHING SHAVE}
본 발명은 양면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헤드의 양면 중, 헤드의 한쪽 면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조밀하게 하고,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는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초벌면도를 하고,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마무리 면도를 함으로써 좀더 효율적이고 편리한 면도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헤드에 설치되는 면도날들과 스페이서들의 구조를 특수하게 함으로써, 면도기 청소시에 오물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양면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헤드에 설치되는 면도날들과 스페이서들의 구조를 특수하게 함으로써, 면도기의 청소시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양면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양면 면도기는 하나의 면도기로써 헤드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할 수 있음으로써, 면도기 또는 카트리지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소시켜주고, 또한 물자절약 및 공해방지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단순히 헤드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커팅 에지들을 사용하여 면도하는 방식보다는 헤드의 양면에 각각 설치되는 블레이드 및 그 커팅 에지들의 간격을 다르게 하여,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넓음으로써 오물의 배출이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초벌 면도를 하고,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좁게 구비된 헤드의 다른 한 쪽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마무리 면도를 한다면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면도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면도기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나의 면도기로써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를 할 수 있는 양면면도기에 대한 선행기술(실용신안 출원번호:20-2004-0033856)이 있으나, 상기의 선행기술에 의한 양면면도기는 헤드의 양면 중 헤드의 한쪽 면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을 더 넓게 하고,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는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초벌면도를 하고,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마무리 면도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블레이드들이 설치되는 헤드의 면에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들이 설치되게 하면서도 그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넓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레이드들이 설치되는 헤드 면이 넓어지게 되는데, 그와 같이 헤드 면이 일정 면적이상으로 넓게 되면 피부의 굴곡 된 면 등을 면도하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각 한정된 헤드의 양면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하고, 또한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는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서들의 좌우의 높이를 다르게 하고 또한 설치되는 면도날들도 상기 스페이서들의 형태에 따라 굽은 형태가 되게 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제품의 제작이 복잡하고 곤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양면면도기는 헤드에 설치된 면도날들 사이의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주기 위한 스페이서들에 의해 면도날들에 구비된 배출구가 폐쇄됨으로써 면도기 청소시에 오물의 배출 및 세척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헤드의 양면 중, 헤드의 한쪽 면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조밀하게 하고,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는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초벌면도를 하고,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마무리 면도를 함으로써 좀더 효율적이고 편리한 면도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헤드에 설치되는 면도날들과 스페이서들의 구조를 특수하게 함으로써, 면도기 청소시에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양면면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잡이로부터 헤드의 착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양면면도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면도기가 헤드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1개 이상의 커팅에지가 구비되어 노출된 양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면은 위에서 아래로 벌어져 일정 각을 이루고; 상기 헤드는 1개의 기초부(40B)와 1개의 덮개(50)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40B)와 덮개(50) 사이에 2개 이상의 양날면도날이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적층된 양날면도날 사이에 각각 외날면도날이 1개씩 설치되고;
상기 헤드의 양면 중 외날면도날의 커팅에지를 포함하여 더 많은 수의 커팅에지가 구비된 쪽의 헤드면의 커팅에지들 사이의 간격이 그 반대쪽 헤드면의 커팅 에지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되고; 또한, 상기의 면도날들 사이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상기 면도날들에 구비된 소통구와 스페이서들 사이의 상하방향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기초부의 소통구의 상하방향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스페이서들은 폭이 좁고 전후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의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 는 1개의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37)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에는 일정 폭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블레이드의 지지부(16)의 구멍(29')의 가장자리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들은 2개 이상의 스페이서(30')들이 1 개의 가늘고 길쭉한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의 커넥팅 라드(31)의 좌우 양쪽의 상하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라드(31)의 폭(W2)은 바람직하게 0.01 ~ 4mm 로 한다.
또한, 상기 외날면도날은 한쪽에만 커팅에지(21b), 블레이드(22b), 그리고 블레이드 부재(24)가 구비되고, 그 반대쪽에는 지지부((26),(26'))들 사이에 한쪽이 트인 소통구(2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부의 전면의 높이(H4)가 후면의 높이(H5)보다 더 낮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팅 에지 수가 더 적게 구비된 쪽의 헤드(304)의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이 상기 헤드의 덮개의 날개(52a)와 평행을 이루거나, 또는 블레이드(22a-3)가 피부(12)의 표면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블레이드(22a-3)의 커팅 에지부에는 내측(F1)에서만 연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팅 에지 수가 더 적게 구비된 쪽의 헤드 면의 블레이드의 길이가 그 반대쪽 헤드면의 블레이드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800)의 일단부에 구비된 체결돌기(75)의 양측에 각각 걸림홈(76)이 구비되고; 손잡이(700) 상부의 하우징(750)의 전후면((88a),(88b))에는 각각 일정 길이와 폭으로 슬릿(89)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750) 내의 양쪽에 각각 돌기(86a)와 돌기(86b)가 구비되고; 또한, 걸림돌기(81a), 걸림돌기부재(17a), 걸림돌기부재(84a), 그리고 탄성부(83a)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재(17a) 또는 걸림돌기부재(84a)의 일단에는 구멍(19a)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19a)에 상기 돌기(86a)가 삽입되고; 또한, 걸림돌기(81b), 걸림돌기부재(17b), 걸림돌기부재(84b), 그리고 탄성부(83b)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재(17b) 또는 걸림돌기부재(84b)의 일단에는 구멍(19b)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19b)에 상기 돌기(86b)가 삽입되고; 또한, 버튼(770A)과 버튼(770B) 사이에는 밀대((85a),(85b))와 가이드레일(87)이 구비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가이드레일(87)이 하우징 양면((88a),(88b))에 각각 구비된 슬릿(89)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게 되면 상기 밀대((85a),(85b))가 걸림돌기 부재((84a),(84b))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걸림돌기(81a), 걸림돌기부재(17a), 그리고 걸림돌기부재(84a),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81b), 걸림돌기부재(17b), 그리고 걸림돌기부재(84b)가 상기 돌기(86a)와 돌기(86b)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탄성부(83a)와 탄성부(83b)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각도 탄력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양쪽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헤드의 체결돌기(75)가 손잡이 상부의 하우징(750)에 방향(D11)으로 구비된 삽입구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돌기(75)의 양 측면부에 각각 구비된 걸림홈(76) 내에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손잡이(700)와 헤드(800)가 체결되고;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된 헤드(800)와 손잡이(700)는,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으로써, 상기의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걸림홈(7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손잡이(700)로부터 헤드(800)을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돌기부재(17a) 또는 걸림돌기부재(84a)의 일단부에 탄성부(82a)가 구비되고, 또한 걸림돌기부재(17b) 또는 걸림돌기부재(84b)의 일단부에 탄성부(82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81a),(81b))가 걸림홈(7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될 때, 상기의 탄성부((82a),(82b))가 체결돌기(75)의 저면부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에 따라, 걸림돌기부재((84a),(84b)) 및 가이드레일(87)의 전방부가 체결돌기(75)의 저면부를 밀어줄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63) 또는 연결부(73)의 좌우 양쪽에 대칭하여 각각 1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연결부(63) 또는 연결부(7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일정 각도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헤드가 연결부(6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젖혀질 때, 그 젖혀지는 각도는 가장자리부(61a)와 가장자리부(61b)가 서로 맞닿거나 또는 가장자리부(62a)와 가장자리부(62b)가 서로 맞닿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헤드가 연결부(7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젖혀질 때, 그 젖혀지는 각도는 가장자리부(71b')가 헤드 저면 일단부(71a')와 접하거나 또는 가장자리부(72b')가 헤드 저면 일단부(72a')와 접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63) 또는 연결부(73)의 폭은 바람직하게 0.5 ~ 3 mm 로 한다.
또한, 헤드의 양면 중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을 다른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과 다르게 함으로써, 헤드의 한쪽 면을 다른 한쪽 면과 식별이 용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 위에 씌워 면도날을 보호할 수 있는 면도날 보호캡(900)이 구비되고,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전후면에는 각각 덮개면(93a)과 덮개면(93b)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상부에는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별도의 손잡이(95)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95)에는 탈착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9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양면면도기는 하나의 헤드의 양면 중, 헤드의 한쪽 면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게 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조밀하게 하고,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는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동시에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초벌면도를 하고,
상기의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은 쪽의 헤드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마무리 면도를 함으로써 좀더 효율적이고 편리하며, 안전한 면도가 가능하고, 또한, 상기 헤드에 설치되는 면도날들과 스페이서들의 구조를 특수하게 함으로써, 면도기 청소시에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양면면도기는 손잡이에 설치된 양면버튼을 이용하여 손잡이로부터 헤드의 착탈이 간단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양면면도기는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체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헤드와 손잡이 사이의 연결부의 좌우 양쪽에 대칭하여 각각 1개 씩 홈이 형성됨으로써, 헤드가 좌우 양쪽을로 일정 각도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음으로써, 조립 공정의 단순화로 인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양면면도기는 헤드의 양면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헤드의 양면 중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을 다른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과 다르게 함으로써, 헤드의 한쪽 면을 다른 한쪽 면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 위에 씌워 면도날을 보호할 수 있는 면도날 보호캡의 손잡이에 탈착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된 재질이 설치됨으로써, 면도기 헤드로부터 면도날보호캡의 착탈이 더욱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면도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
도 2는 헤드의 양면에 각각 블레이드와 커팅 에지들이 구비된 양면 헤드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3은 헤드의 양면 중 한쪽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 및 그 커팅에지의 수가 다른 한쪽 면보다 더 많게 구비된 양면 헤드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면도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면도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의 조립도.
도 6은 양날면도날의 위 쪽에 상부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아래쪽에는 하부 스페이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7은 도 6에서의 양날면도날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8은 양날면도날의 모습과 구조를 나타낸 것.
도 9는 외날면도날의 모습과 구조들을 나타낸 것.
도 10은 외날면도날의 위 쪽에 상부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아래쪽에는 하부 스페이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11은 도 10의 외날면도날의 모습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
도 12는 도 10에 설치된 상부 스페이서와 하부 스페이서의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13은 도 10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외날면도날만 별도로 나타낸 것.
도 15는 도 13에서 일부가 절단된 스페이서들과 온전한 스페이서를 별도로 나타낸 것.
도 16은 2개의 개별스페이서들이 1개의 가늘고 길쭉한 형태의 커넥팅 라드에 의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17의 도 16의 스페이서들과 커넥팅라드의 확대 부분단면도
도 18은 양날면도날 위에 커넥팅 라드가 얹혀진 모습을 나타낸 것.
도 19는 외날면도날 위에 커넥팅 라드가 얹혀진 모습을 나타낸 것.
도 20은 기초부의 모습과 구조를 나타낸 것.
도 21은 기초부의 소통구들의 상하방향으로 세척수가 이동 가능한 것을 나타낸 것.
도 22 내지 도 24는 양면 헤드의 구조들을 나타낸 것.
도 25 내지 도 32는 블레이드가 피부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절삭력과 피부 베임 등의 부상 가능성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것.
도 33은 헤드의 저면부와 손잡이 상부 사이의 연결부 양쪽에 각각 1개의 홈이 대칭하여 형성된 양면면도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
도 34 또는 도 35는 도 33의 양면면도기의 헤드가 좌 또는 우로 일정 각도 젖혀진 것을 나타낸 것.
도 36은 손잡이로부터 헤드가 착탈 가능한 양면면도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
도 37은 도 36의 양면면도기에서 손잡이로부터 헤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탄내 것.
도 38은 도 36과 같은 양면면도기의 상태에서 손잡이 상부의 하우징의 한쪽 면을 제거하고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39는 손잡이의 모습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
도 40은 도 39의 손잡이의 상태에서 하우징의 한쪽 면을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1은 헤드의 저면부와 결합돌기부재 사이의 연결부의 좌우 양쪽으로 각각 1개의 홈이 대칭하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
도 42의 (a)와 (b)는 도 41의 결합돌기가 연결부를 중심으로 좌 또는 우로
일정 각도 젖혀진 상태를 나타낸 것.
도 43은 손잡이 상부의 하우징에 설치된 부품들의 모습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44는 도 43의 상태에서, 양쪽의 걸림돌기가 양쪽으로 다소 벌어진 상태를 나탄내 것.
도 48와 도 46은 손잡이 상부의 하우징 내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걸림돌기와 그 부재 및 탄성부들이 일체를 이루어 형성된 모습을 별도로 나타낸 것.
도 47은 양면 버튼의 모습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
도 48은 양면면도기와 면도날보호캡의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
도 49는 도 48의 양면면도기의 헤드 위에 면도날보호캡이 덮어씌워진 모습을 나타낸 것.
도 50은 도 48의 면도날보호캡의 모습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
도 51은 도 50의 면도날보호캡에서, 손잡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된 재질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
본 발명은 양면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양면면도기의 사시도로서, 면도기가 헤드(300)와 손잡이(20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300)는 도 2의 헤드(301) 또는 도 3의 헤드(302)처럼 헤드의 양면에 1개 이상의 블레이드(22)와 그 커팅에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300)의 양면은 도 2의 헤드(301)처럼 위에서 아래로 일정 각도(A2) 벌어져 있다.
도 2와 도 3은 도 1과 같은 양면면도기에 있어서, 헤드의 모습과 구조의 일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2의 헤드(301)는 도 6에서처럼 양날면도날(20A')이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양날면도날들의 사이에는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7과 같은 양날면도날(20A')에 도 12와 같은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날면도날(20A')에는 세척수의 이동 및 오물의 배출을 위한 1개 이상의 소통구(28)들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소통구(28)의 상하 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스페이서(30a)들 사이의 전후 방향과 하부 스페이서(30b)들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도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의 헤드에는 도 8과 같은 양날면도날(20A)이 2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양날면도날(20A)들 사이에는 도 16에서처럼 2개 이상의 스페이서들(30')이 1개의 가늘고 길쭉한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8에서처럼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양쪽의 상하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원할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301)의 양면은 위에서 아래로 벌어져 일정 각(A2)을 이루고 있는데, 상기의 각(A2)은 50 ~ 75 도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 헤드(301)의 각도(A2)는 도 3의 헤드(30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양면면도기의 사용에 있어서, 헤드의 양면 중, 한쪽 면을 다른 한쪽 면과 구별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그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헤드의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을 헤드의 다른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과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301)의 덥개(50)의 상부 전면(51a)의 색상을 상부 후면(51b)의 색상과 다르게 하거나, 또는 덮개(50)의 전면 좌우 양쪽의 날개(52a)의 색상을 덮개(50)의 후면 좌우 양쪽의 날개(52b)의 색상과 다르게 하거나, 또는 기초부(40A)의 전면(43a)의 색상을 후면(43b)의 색상과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드의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을 헤드의 다른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과 다르게 하는 것은 도 3에서와 같은 헤드(302)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헤드(302)는, 도 2의 헤드(301)와 비교해 볼 때, 헤드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블레이드와 그 커팅 에지의 수가 다르게 되어 있다.
도 3의 헤드에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면도날과 스페이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헤드(302)의 한쪽 면에는 다섯 개의 블레이드((22a1),(22b2),(22a3),(22b4),(22a5))와 크 커팅 에지들이 구비되어 노출되어 있고, 또한, 상기 헤드(302)의 다른 한쪽 면에는 세 개의 블레이드((22a1),(22a3), (22a5))와 그 커팅 에지들이 구비되어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302)의 양면 중,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 ((22a1),(22a3), (22a5))가 구비된 쪽의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 사이의 간격은 그 반대 쪽의 헤드면, 즉,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22a1),(22b2),(22a3),(22b4),(22a5))가 구비된 쪽의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 사이의 간격이보다 더 넓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헤드(302)의 양면 중,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그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된 쪽의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할 경우, 그 반대 쪽의 헤드 면, 즉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그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된 쪽의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하는 것보다 블레이드들의 틈 사이에 낀 수염 찌기 등의 배출이 더 용이함으로써 세척력이 더 높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헤드(302)의 양면 중, 먼저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그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된 쪽의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수염이 긴 상태에서의 초벌면도를 한 후, 상기 헤드(302)의 다른 한쪽 면, 즉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그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된 쪽의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상기 초벌면도에서 남은 그루터기 수염들에 대해 마무리 면도를 하면,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한 면도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도 3의 헤드(302)처럼 헤드의 양면에 각각 다른 수의 커팅 에지들이 구비된 헤드의 조립도들이다.
도 4의 헤드의 조립도에 의하면, 1개의 기초부(40B)와 1개의 덮개(50) 사이에 양쪽에 각각 커팅 에지가 구비된 2개 이상의 양날면도날((20a1),(20a3),(20a5))들이 설치되고, 양날면도날((20a1),(20a3),(20a5)) 사이에는 한쪽에만 커팅 에지가 구비된 1 개의 외날면도날(20b2),(20b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면도날들 사이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상부 스페이서(30a) 또는 하부 스페이서(30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면도날들 사이의 일정 간격을 유지해 주고 있다.
한편, 도 5의 조립도는, 도 4의 조립도와 비교해볼 때, 면도날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스페이서의 구조가 다르다. 도 5의 조립도에서는 각각의 면도날들 사이에 폭이 좁고 전후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의 2 개 이상의 개별 스페이서(30')들이 가늘고 길쭉한 1개의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도 4 또는 도 5의 조립도에서와 같은 양날면도날들에 있어서, 그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양날면도날(20A)은 양쪽에 각각 블레이드(22a)와 그 커팅 에지(21a)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쪽의 블레이드(22a)에는 각각 블레이드부재(24)가 연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22a) 또는 블레이드부재(24)는 1개 이상의 지지부(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지지부(23)의 일단에는 1개의 체결구멍(29)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체결구멍(29)의 둘레에는 커플링(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2a)는 블레이드부재(24)와 서로 연접하면서 일정 각도(A3)만큼 아래로 굽어 있다. 또한, 상기의 양날면도날(20A)에는 1개 이상의 소통구(28)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소통구(28)를 통하여 세척수의 이동 및 오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9는 도 4 또는 도 5의 조립도에서와 같은 외날면도날들에 있어서, 그 구조의 일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외날면도날(20B1)은 한쪽에만 블레이드(22b)와 커팅 에지(21b)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22b)는 블레이드부재(24)와 연접하면서 일정 각도(A3)만큼 아래로 굽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2b) 또는 블레이드부재(24)는 1개 이상의 지지부((26),(26'))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6),(26'))의 일단에는 체결구멍(29)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구멍(29)의 둘레에는 컬플링(2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부재(24)와 지지부((26),(26'))들 사이에는 한쪽이 트인 소통구(28')가 1 개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통구(28')를 통하여 세척수의 이동 및 오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도 4에서처럼 외날면도날의 위아래에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11과 같은 외날면도날(20B)에 도 12와 같은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가 설치된 것이다.
도 11의 외날면도날은 도 9의 외날면도날처럼 지지부(16)들 사이에 1개 이상의 트인 소통구(28')들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소통구를 통하여 세척수의 이동 및 오물의 배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0에서처럼 외날면도날(20B)에 도 12와 같은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가 설치될 경우, 도 6에서처럼 상부 스페이서(30a)들 사이의 상하방향과 하부 스페이서(30b)들 사이의 상하방향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또한 상부 스페이서(30a)들 사이의 전후방향과 하부 스페이서(30b)들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도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의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는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37)의 둘레에는 일정 폭과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의 외날면도날(20B)의 지지부(16)에 구비된 구멍(29')의 둘레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연결부(37) 둘레의 홈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의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의 일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구멍(39)이 1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구멍(39)에 기초부(40B)의 체결봉(41) 관통됨으로써, 상기 기초부(40B)와 덮개(50)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부(37)의 둘레에 홈이 형성될 때, 상기 연결부(37) 둘레의 전체에 홈이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상기 연결부(37) 둘레의 일부에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외날면도날(20B)에 도 12와 같은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도 6에서처럼 도 7의 양날면도날(20A')에 도 12와 같은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외날면도날과 그 위 아래 설치되는 상부 스페이서와 하부 스페이서들에 있어서, 부분들이 절단된 모습을 타낸 것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들이 제거된 상태의 부분 절단된 외날면도날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13에서 부분 절단 된 외날면도날을 제거한 상태에서, 부분 절단 된 상부 스페이서들과 하부 스페이서들, 그리고 온전한 상태의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스페이서(30b)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의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의 각각의 높이는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도 16은 도 5의 조립도에서처럼 각각의 면도날들 사이에 설치되는 스페이서의 구조의 일 예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서는 폭이 좁고 전후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의 2개 이상의 개별 스페이서(30')들이 1개의 가늘고 길쭉한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의 개별 스페이서들(30')은 상면으로부터 전면과 후면이 일정 각도((A4),(A4'))만큼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상기와 같은 개별 스페이서(30')들이 커넥팅 라드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와 같이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개별 스페이서(30')들이 연결된 구조는 조립공정을 단순화시켜줌으로써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7은 도 16에서의 개별 스페이서(30')들과 그와 일체로 연결된 커넥팅라드(31)를 선분(xy) 방향으로 절단하고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8과 같은 양날면도날(20A) 위에 도 16에서처럼 2 개 이상의 개별 스페이서(30')들이 가늘고 길쭉한 1개의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양날면도날(20A)의 소통구(28)들과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좌우 양쪽 상하 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는 도 9과 같은 외날면도날(20B1) 위에 도 16에서처럼 2 개 이상의 개별 스페이서(30')들이 가늘고 길쭉한 1개의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외날면도날(20B1)의 한쪽이 트인 소통구(28')들과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좌우 양쪽 상하 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주요 기능과 역할은 2개 이상의 개별 스페이서(30')들을 서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데 있다. 그런데, 도 18 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날면도날 또는 외날면도날들에 구비된 소통구 또는 한쪽이 트인 소통구들과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좌우 양쪽의 상하 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원활하게 함으로써, 면도기 사용 중 또는 사용 후 면도기의 세척수의 이동 및 오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커넥팅 라드(31)의 좌우 양쪽으로 구비되는 면도날의 소통구들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커넥팅 라드(31)의 좌우 양쪽으로 구비되는 면도날의 소통구들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폭(W2)은 면도기 조립시에 상기 커넥팅 라드(31)가 휘어져 처지거나 또는 부러짐 등으로 조립이 곤란하게 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가능한 한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폭(W2)을 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폭은 0.01 ~ 3 mm 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폭을 0.01 ~ 2 mm 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팅 라드(31)의 폭을 0.01 ~ 1 mm 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다.
*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면도기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헤드의 기초부(40B)의 모습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1의 기초부(40B)는 1개 이상의 체결봉(41)이 구비되어 있고, 기초부와 면도날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융기부(42)들이 1개 이상 형성되어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부(40B)에는 1개 이상의 소통구(48)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소통구(48)를 통하여 도 21에서처럼 상하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부(40B)의 체결봉(41)들이 면도날과 스페이서들에 구비된 체결구멍을 관통한 다음, 상기 체결봉(41)들의 끝부분이 덥개(50)의 체결구멍들 위로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체결봉(41)의 끝부분이 리벳의 머리처럼 됨으로써 결합된다. 상기에서처럼 기초부(40B) 위에 체결봉(41)들이 설치되고 또한 덮개에 체결구멍들이 구비되는 대신, 덮개(40B)의 저면 아래에 체결봉들이 설치되고 또한 기초부에 체결구멍들이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초부(40B)의 전면(43a)의 높이(H4)는 후면(43b)의 높이(H5) 보다 더 낮은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헤드의 양면 중 상기 기초부(43)의 전면(43a)이 속하는 헤드면에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들과 그 커팅 에지들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 및 그 커팅 에지들 사이의 간격이 다소 크게 될 경우, 그에 비례하여 상기 기초부(40B)의 전면(43a) 상부와 맨 아래 위치한 블레이드 및 그 커팅 에지 사이의 간격을 다소 크게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기초부(40B)의 전면(43a)의 높이(H4)와 후면(43b)의 높이(H5)이 차이는 0.5 ~ 3 m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한편, 습식 다중날 면도기에 있어서, 면도기 헤드에 설치되는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수염 찌기 등의 오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세척의 효율성이 높아지나,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그만큼 더 면도시에 커팅 에지들에 의한 피부 베임 등의 부상을 입을 가능성 또한 높아지게 된다.
또한, 도 26 내지 도 28에서처럼 블레이드가 피부의 표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뉘어져 있는 경우보다 도 25 또는 도 29에서처럼 블레이드가 피부로부터 일정 각도 세워져 있는 경우에 커팅 에지가 좀더 피부 깊숙이 수염의 밑동을 절삭할 수 있게 됨으로써, 더욱 깔끔한 면도를 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이 블레이드가 피부로부터 일정 각도 세워져 있는 경우에는 커팅 에지에 의한 피부 베임 등의 상처를 입을 가능성 또한 더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면도시에 피부 베임 등의 부상을 입을 가능성은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이 피부로부터 일정 각도 세워져 있을 때 가장 높게 된다.
도 22의 헤드(303)는 헤드의 양면 중 헤드의 한쪽 면에는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들((22a1),(22b2),(22a3),(22b4),(22a5))과 그 커팅에지들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22a1),(22b2),(22a3),(22b4),(22a5))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되어 있는 반면,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는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과 그 커팅 에지들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의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 사이의 간격이 더 넓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1과 같은 헤드(303)가 구비된 양면면도기를 사용하여 면도할 경우, 상기 헤드의 양면 중 상대적으로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은 쪽의 헤드 면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하면,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 즉,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된 쪽의 헤드 면의 블레이드들((22a1),(22b2),(22a3),(22b4),(22a5))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할 경우보다, 수염 찌기 등의 오물의 배출이 더 용이하고 세척효율성이 높아지나, 피부 베임 등의 부상을 입을 가능성도 더 높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303)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블레이드들의 경사각은 덮개의 날개((52a),(52b))의 경사각보다 작기 때문에, 면도시에 도 25 또는 도 29에서처럼
블레이드가 피부로부터 일정 각도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커팅 에지가 좀더 피부 깊숙이 수염의 밑동을 절삭하게 됨으로써, 더욱 깔끔한 면도를 할 수 있지만, 상기 커팅 에지들에 대한 피부 베임 등의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상기 헤드의 양면 중, 블레이들 사이의 간격이 더 넓은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할 경우에는 피부 베임 등의 상처를 입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도 23의 헤드(304)는, 도 22의 헤드(303)에 비해, 헤드의 양면 중 더 적은 수의 블레이드들이 설치된 쪽의 헤드 면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경사각이 상기 헤드의 반대쪽 면에 설치된 더 많은 수의 블레이드들((22a1),(22b2),(22a3),(22b4),(22a5))의 경사각보다 더 크게 되거나 또는 상기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경사각이 상기 헤드의 날개(52a)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2의 헤드(304)의 경우처럼 상기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경사각이 상기 헤드의 날개(52a)의 경사각과 동일할 경우, 즉, 날개(52a)의 면과 블레이드들의 면이 평행을 이룰 경우에는, 상기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 사이의 간격이 다소 넓다 하더라도, 도 26 또는 도 30에서처럼, 상기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면이 피부 표면과 평행을 이루게 됨으로써, 면도시에 커팅 에지에 의한 피부 베임 등의 부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은 그 커팅 에지부들이 양측에서 연마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경사각이 상기 헤드의 날개(52a)의 경사각과 동일하고, 또한 상기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커팅 에지부들이 양측에서 연마된 경우에는, 도 26 또는 도 30에서처럼, 커팅 에지부가 피부 표면과 충분히 접촉되지 않고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되기 쉬움으로써, 면도시에 수염들에 대한 절삭력이 떨어짐으로 인해 효율적인 면도가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도 30에서처럼 수염(11)이 일정 각도 뉘어 있거나 또는 쓰러져 있을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도 24의 헤드(305)는 도 23의 헤드(304)와 유사하나, 도 24의 헤드(305)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은 그 커팅 에지부들에 대한 연마가 도 27 또는 도 31에서처럼 내측(F1)에서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헤드(305)의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할 경우에는, 상기 블레이드들((22a1"),(22a3"),(22a5")) 사이의 간격이 다소 넓다 하더라도, 면도시에 커팅 에지에 의한 피부 베임 등의 부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동시에 또한 도 27 또는 도 31에서처럼 상기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커팅 에지부들이 피부면과 접촉될 수 있음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절삭력을 유지할 수 있다. 물론, 도 24의 헤드(305)의 양면 중,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이 구비된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할 경우, 상기 헤드의 다른 한쪽 면에 구비된 블레이들((22a1),(22b2),(22a3),(22b4),(22a5))의 커팅에지들을 이용하여 면도하는 것보다는 절삭력이 떨어짐으로써 깔끔한 면도를 기대할 수 없지만, 상기와 같이 헤드(305)의 양면 중 블레이드들((22a1"),(22a3"),(22a5"))의 간격이 더 넓음으로 인해 오물의 배출과 세척력이 뛰어난 쪽의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초벌 면도를 한 후, 상기 헤드(305)의 다른 한쪽의 헤드 면 즉, 좀더 조밀한 간격으로 그리고 좀더 경사 각이 큰 블레이드들((22a1),(22b2),(22a3),(22b4),(22a5))이 구비된 헤드 면의 커팅 에지들을 이용하여 상기의 초벌 면도 후 남아있는 수염의 그루터기들에 대한 마무리 면도를 하면, 좀더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면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5 또는 도 29는 양날면도날(20A-1)의 블레이드(22a)가 피부 표면(12)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워져 있음으로써, 도 25에서처럼 수염(11)이 상기 피부 (12)의 표면 위로 똑바로 솟아 오른 경우뿐만 아니라 또한 도 29에서처럼 수염이 (11)이 다소 쓰러져 있는 경우에도, 상기 블레이드(22a)의 커팅 에지(21a)가 상기 수염(11)의 밑동을 효율적으로 절삭할 수 있음으로써, 좀더 깔끔한 면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22a)가 피부 표면(12)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워진 상태에서 면도할 경우에는 도 26 내지 도 28에서처럼 블레이드가 피부 표면과 평행하게 뉘어져 있는 경우보다 피부 베임 등의 부상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되는데, 그와 같은 피부 베임 등의 가능성은 상기와 같이 피부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 세워져 있는 블레이드들의 간격이 넓을수록 그만 큼 더 증가하게 된다.
도 26 내지 도 28, 그리고 도 30 내지 도 32의 양날면도날들은 한쪽의 블레이드가 그 블레이드부재와 접하여 이루는 각(A3)보다 다른 한쪽의 블레이드가 그 블레이드부재와 이루는 각(A3')이 더 작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부재와 작은 각(A3')을 이루는 쪽의 블레이드들은 피부 표면(12)과 평행하게 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데, 그와 같은 상태에서는 블레이드들 사이의 간격이 다소 넓더라도 면도 시에 피부 베임 등의 부상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러나 도 26의 양날면도날(20A-2)의 블레이드(22A-2)는 그 커팅 에지(21a-2)에 대한 연마가 양측에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상기 커팅 에지(21a-2)가 피부(12)의 표면과 제대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됨으로써, 면도시에 수염들에 대한 절삭력이 떨어짐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도 30에서처럼 수염(11)이 쓰러지거나 일정 각도 뉘어 있을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도 27의 양날면도날(20A-3)의 블레이드(22a-3)는 피부(12)의 표면과 평행하게 뉘어 있는 상태로 되어있지만, 그 커팅 에지(21a-3)부의 연마가 내측(F1)에서만 이루어 짐으로써, 상기 커팅 에지(21a-3)가 피부(12)의 표면에 접촉 될 수 있음으로써 도 26에서처럼 수염(11)이 상기 피부(12)의 표면 위로 똑바로 솟아 오른 경우 뿐만 아니라 도 31에서처럼 수염(11)이 다소 쓰러져 있는 있는 경우에도 상당한 절삭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의 양날면도날(20A-4)의 블레이드(22a-4)는 그 커팅 에지(21a-4)부의 연마가 외측에서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커팅 에지(21a-4)가 피부 표면(12)과 제대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간격 떨어져 있게 됨으로써, 면도시에 수염(11)에 대한 절삭력이 떨어짐으로써 효율적인 면도가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도 32에서처럼 수염(11)이 일정 각도 뉘어 있거나 쓰러져 있을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한편, 커팅 에지 수가 더 적게 구비된 쪽의 헤드 면의 블레이드의 길이를 그 반대쪽 헤드면의 블레이드의 길이보다 다소 더 길게 함으로써, 블레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양면면도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헤드(300)의 일단부와 손잡이(200) 상부의 일단부 사이가 일정 폭(W4)의 연결부(6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63)의 좌우 양쪽에 각각 대칭하여 일정 깊이와 폭으로 홈이 1개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300)가 상기 연결부(6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일정 각도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300)가 상기 연결부(6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일정 각도 젖혀질 때, 그 젖혀지는 각도는 도 34 또는 도 35에서처럼 홈의 가장자리부(61a)와 홈의 가장자리부(61b)가 서로 맞닿거나 또는 홈의 가장자리부(62a)와 홈의 가장자리부(62b)가 서로 맞닿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가 연결부(W4)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젖혀질 때,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폭(W4)은 너무 크게 하지 않고, 0.5 ~ 3mm 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홈의 폭(W5)은 0.5 ~ 3.5mm 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도 33과 같은 구조의 양면면도기는 헤드와 손잡이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조립공정의 단순화 및 재료의 절감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양면면도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잡이(700)로부터 헤드(800)의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7은 도 36의 양면면도기에 있어서, 면도기 손잡이(700)와 헤드(80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700)의 상부에 구비된 하우징(750)의 삽입구에 헤드 저면부에 구비된 체결돌기(75)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손잡이(700)와 헤드(8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8은 도 36과 같이 헤드(800)와 손잡이(7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700) 상부의 하우징의 한쪽 면(88a)을 절단하여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9는 상기 손잡이(700)의 모습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손잡이(700) 상부에는 하우징(750)이 구비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88a)과 후면(88b)에는 각각 도 47과 같은 양면 버튼((770A),(770B))이 설치되기 위한 슬릿(slit)(89)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우징(750)의 상부는 화살표 방향(D11)으로 헤드(800)의 체결돌기(75)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삽입구가 구비되어 있다.
*도 40은 도 39에서의 손잡이(700) 상부의 하우징(750)의 전면(88a)부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단면도로서, 도 40에서 보듯이 상기 손잡이(700)의 하우징(750) 내의 양쪽 일지점들에는 각각 돌기(86a)와 돌기(86b)가 구비되어 있다.
도 41은 상기 헤드(800)의 저면부와 체결돌기 부재(74)가 연결부(7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73)의 좌우 양쪽에 대칭하여 각각 일정 폭과 깊이로 홈이 1개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헤드(800)가 상기 연결부(7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도 42의 (a) 또는 (b)처럼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800)가 연결부(7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일정 각도 젖혀질 때, 그 젖혀지는 각도는 홈의 가장자리부(71b')가 헤드 저면 일단부(71a')와 접하거나 또는 홈의 가장자리부(72b')가 헤드 저면 일단부(72a')와 접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가 연결부(7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젖혀질 때, 유연하고 탄력적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의 폭은 너무 크게 하지 않고, 도 33의 연결부(63)의 폭(W4)처럼 0.5 ~ 3mm 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방식은,도 33의 양면면도기에서처럼, 별도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조립공정의 단순화 및 재료의 절감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 효과가 있다.
도 43은 상기 손잡이(700)의 상부의 하우징(750)의 한쪽 면(88a)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750) 내에 설치된 부품들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43의 하우징(750) 내의 한쪽에는, 도 45 또는 도 46에서처럼 걸림돌기(81a), 걸림돌기부재(17a), 걸림돌기부재(84a), 탄성부(82a), 그리고 탄성부(83a)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재(17a) 또는 걸림돌기부재(84a)의 일단에는 구멍(19a)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19a)에 돌기(86a)가 삽입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750) 내의 다른 한쪽에는 걸림돌기(81b) 걸림돌기부재(17b), 걸림돌기부재(84b), 탄성부(82b), 그리고 탄성부(83b)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재(17b) 또는 걸림돌기부재(84b)의 일단에는 구멍(19b)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19b)에 돌기(86b)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750)에는 도 47과 같은 양면 버튼((770A),(770B)의 가이드레일(87)이 상기 하우징의 슬릿(89)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44는 도 43의 상태에서, 상기 양면 버튼((770A),(770B)의 가이드레일(87)이 슬릿(89)을 따라 전방으로 일정 거리 밀어 올려짐에 따라,
밀대((85a),(85b))가 상기 걸림돌기 부재((84a),(84b))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걸림돌기(81a)와 그 부재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81b)와 그 부재들이 상기 돌기(86a)와 돌기(86b)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할 때, 상기 탄성부(83a)와 탄성부(83b)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각도 탄력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양쪽으로 일정 각도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800)의 체결돌기(75)가 손잡이 상부의 하우징(750)에 구비된 삽입구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돌기(75)의 양 측면부에 각각 구비된 걸림홈(76) 내에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손잡이(700)와 헤드(800)가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700)와 헤드(800)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의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81a),(81b))가 걸림홈(7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될 때, 상기의 탄성부((82a),(82b))가 체결돌기(75)의 저면부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됨으로써, 헤드의 체결돌기(75)가 손잡이의 하우징(750)의 삽입구로부터 자동으로 빠져 나올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상기 손잡이(700)와 헤드(800)가 결합 된 상태에서, 상기의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81a),(81b))가 걸림홈(7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될 때, 걸림돌기부재((84a),(84b)) 및 가이드레일(87)의 전방부가 체결돌기(75)의 저면부를 밀어줌으로서, 헤드의 체결돌기(75)가 손잡이의 하우징(750)의 삽입구로부터 자동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도 47은 상기 손잡이(700)의 하우징(750) 내에 설치되는 양면 버튼((770A),(770B))의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버튼(770A)과 버튼(770B) 사이에는 밀대((85a),(85b))와 가이드레일(87)이 구비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도 48은 양면면도기와 상기 양면면도기의 헤드(800)에 덮어씌움으로써, 상기 헤드(800)에 구비된 커팅 에지들을 덮어 보호하거나 또는 면도기 휴대시에 상기 커팅 에지들에 의해 손의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면도날 보호캡(900)의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9는 도 48의 상태에서 헤드(800)에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이 덮어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0은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모습과 구조를 별도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은 전면(93a)과 후면(93b), 그리고 양측면((94a),(94b))을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상부에는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별도의 손잡이(95)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양측면((94a),(94b))부에는 각각 걸림돌기(92)가 구비됨으로써, 도 49에서처럼, 헤드(800)에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을 덮어씌울 때, 상기 걸림돌기(92)가 헤드 양 측면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58)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이 헐겁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51은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손잡이(95)에 탈착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된 재질(96)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면도날 보호캡의 손잡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된 재질이 설치됨으로써, 면도기 헤드로부터 면도날보호캡(900)의 착탈이 더욱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1: 수염 12: 피부
16: 지지부 16': 지지부
17a: 걸림돌기 부재 17b: 걸림돌기 부재
19a: 구멍 19b: 구멍
20A: 양날면도날 20A': 양날면도날
20A-1: 양날면도날 20A-2: 양날면도날
20A-3: 양날면도날 20A-4: 양날면도날
20a1, 20a3, 20a5: 양날면도날
20B: 외날면도날 20B1: 외날면도날
20b2: 외날면도날 20b4: 외날면도날
21a: 커팅 에지 21a-2 커팅 에지
21a-3: 커팅 에지 21a-4: 커팅 에지
22: 블레이드 22a: 블레이드
22a1, 22a2, 22a3, 22a4, 22a5: 블레이드
22a1', 22a3' 22a5': 블레이드
22a1", 22a", 22a5": 블레이드
22a-2: 블레이드 22a-3: 블레이드
22a-4: 블레이드 21b: 커팅 에지
22b: 블레이드 23: 지지부
24: 블레이드 부재 25: 커플링
26, 26' : 지지부 28: 소통구
28': 소통구 29: 체결구멍
29': 구멍 30a: 상부 스페이서
30b: 하부 스페이서 30' : 스페이서
31: 커넥팅 라드 37: 연결부
39: 체결구멍
40A: 기초부 40B: 기초부
41: 체결봉 50: 덮개
52a: 날개 52b: 날개
58: 걸림홈 59: 체결구멍
63: 연결부 73: 연결부
74: 체결돌기 부재 75: 체결돌기
*76: 걸림홈 81a: 걸림돌기
81b: 걸림돌기 82a: 탄성부
82b: 탄성부 83a:탄성부
83b: 탄성부 84a: 걸림돌기 부재
84b: 걸림돌기부재 85a, 85b: 밀대
86a: 돌기 86b: 돌기
87: 가이드레일 89: 슬릿
92: 걸림돌기 95: 손잡이
96: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200: 손잡이
300: 헤드 301: 헤드
303: 헤드 304: 헤드
305: 헤드 700: 손잡이
750: 하우징 770A, 770B: 버튼
800: 헤드 900: 면도날 보호캡

Claims (15)

  1. 면도기가 헤드와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1개 이상의 커팅에지가 구비되어 노출된 양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면은 위에서 아래로 벌어져 일정 각을 이루고;
    상기 헤드는 1개의 기초부(40B)와 1개의 덮개(50)를 포함하고;
    상기 기초부(40B)와 덮개(50) 사이에 2개 이상의 양날면도날이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적층된 양날면도날 사이에 각각 외날면도날이 1개씩 설치되고;
    상기 헤드의 양면 중 외날면도날의 커팅에지를 포함하여 더 많은 수의 커팅에지가 구비된 쪽의 헤드면의 커팅에지들 사이의 간격이 그 반대쪽 헤드면의 커팅 에지들 사이의 간격보다 더 좁게 되고;

    또한, 상기의 면도날들 사이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상기 면도날들에 구비된 소통구와 스페이서들 사이의 상하방향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기초부의 소통구의 상하방향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한 양면면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스페이서들은 폭이 좁고 전후방향으로 길쭉한 형태의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스페이서(30a)와 하부 스페이서(30b) 는 1개의 연결부(3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37)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에는 일정 폭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에 블레이드의 지지부(16)의 구멍(29')의 가장자리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은 2개 이상의 스페이서(30')들이 1 개의 가늘고 길쭉한 커넥팅 라드(31)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의 커넥팅 라드(31)의 좌우 양쪽의 상하방향((D1),(D2))으로 세척수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라드(31)의 폭(W2)이 0.01 ~ 4mm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날면도날은 한쪽에만 커팅에지(21b), 블레이드(22b), 그리고 블레이드 부재(24)가 구비되고, 그 반대쪽에는 지지부((26),(26'))들 사이에 한쪽이 트인 소통구(28')가 구비된 된 양면면도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초부의 전면의 높이(H4)가 후면의 높이(H5)보다 더 낮게 된 양면면도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 에지 수가 더 적게 구비된 쪽의 헤드(304)의 면에 구비된 블레이드들이 상기 헤드의 덮개의 날개(52a)와 평행을 이루거나, 또는 블레이드(22a-3)가 피부(12)의 표면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블레이드(22a-3)의 커팅 에지부에는 내측(F1)에서만 연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팅 에지 수가 더 적게 구비된 쪽의 헤드 면의 블레이드의 길이가 그 반대쪽 헤드면의 블레이드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된 양면면도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800)의 일단부에 구비된 체결돌기(75)의 양측에 각각 걸림홈(76)이 구비되고;
    손잡이(700) 상부의 하우징(750)의 전후면((88a),(88b))에는 각각 일정 길이와 폭으로 슬릿(89)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750) 내의 양쪽에 각각 돌기(86a)와 돌기(86b)가 구비되고;

    또한, 걸림돌기(81a), 걸림돌기부재(17a), 걸림돌기부재(84a), 그리고 탄성부(83a)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재(17a) 또는 걸림돌기부재(84a)의 일단에는 구멍(19a)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19a)에 상기 돌기(86a)가 삽입되고;
    또한, 걸림돌기(81b), 걸림돌기부재(17b), 걸림돌기부재(84b), 그리고 탄성부(83b)가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부재(17b) 또는 걸림돌기부재(84b)의 일단에는 구멍(19b)이 구비되어, 상기 구멍(19b)에 상기 돌기(86b)가 삽입되고;
    또한, 버튼(770A)과 버튼(770B) 사이에는 밀대((85a),(85b))와 가이드레일(87)이 구비되어 일체를 이루고, 상기 가이드레일(87)이 하우징 양면((88a),(88b))에 각각 구비된 슬릿(89)에 설치되고;
    상기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게 되면 상기 밀대((85a),(85b))가 걸림돌기 부재((84a),(84b))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걸림돌기(81a), 걸림돌기부재(17a), 그리고 걸림돌기부재(84a),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81b), 걸림돌기부재(17b), 그리고 걸림돌기부재(84b)가 상기 돌기(86a)와 돌기(86b)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탄성부(83a)와 탄성부(83b)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각도 탄력적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양쪽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헤드의 체결돌기(75)가 손잡이 상부의 하우징(750)에 방향(D11)으로 구비된 삽입구에 삽입될 때, 상기 체결돌기(75)의 양 측면부에 각각 구비된 걸림홈(76) 내에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손잡이(700)와 헤드(800)가 체결되고;

    또한, 상기와 같이 체결된 헤드(800)와 손잡이(700)는,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으로써, 상기의 걸림돌기(81a)와 걸림돌기(81b)가 걸림홈(7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됨으로써, 손잡이(700)로부터 헤드(800)을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양면면도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걸림돌기부재(17a) 또는 걸림돌기부재(84a)의 일단부에 탄성부(82a)가 구비되고, 또한 걸림돌기부재(17b) 또는 걸림돌기부재(84b)의 일단부에 탄성부(82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81a),(81b))가 걸림홈(76)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될 때, 상기의 탄성부((82a),(82b))가 체결돌기(75)의 저면부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버튼(770A) 또는 버튼(770B)을 밀어줌에 따라, 걸림돌기부재((84a),(84b)) 및 가이드레일(87)의 전방부가 체결돌기(75)의 저면부를 밀어줄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63) 또는 연결부(73)의 좌우 양쪽에 대칭하여 각각 1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가 연결부(63) 또는 연결부(7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일정 각도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헤드가 연결부(6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젖혀질 때, 그 젖혀지는 각도는 가장자리부(61a)와 가장자리부(61b)가 서로 맞닿거나 또는 가장자리부(62a)와 가장자리부(62b)가 서로 맞닿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헤드가 연결부(73)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으로 젖혀질 때, 그 젖혀지는 각도는 가장자리부(71b')가 헤드 저면 일단부(71a')와 접하거나 또는 가장자리부(72b')가 헤드 저면 일단부(72a')와 접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63) 또는 연결부(73)의 폭은 0.5 ~ 3 mm 로 된 양면면도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의 양면 중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을 다른 한쪽 면의 일부의 색상과 다르게 함으로써, 헤드의 한쪽 면을 다른 한쪽 면과 식별이 용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위에 씌워 면도날을 보호할 수 있는 면도날 보호캡(900)이 구비되고,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전후면에는 각각 덮개면(93a)과 덮개면(93b)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면도날 보호캡(900)의 상부에는 일정 길이와 폭으로 형성된 별도의 손잡이(95)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95)에는 탈착시 미끄럼 방지를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9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면도

KR1020110091394A 2010-09-08 2011-09-08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 KR201200260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58 2010-09-08
KR1020100088158A KR20110027611A (ko) 2009-09-08 2010-09-08 세척이 쉽고 조립공정이 간단한 다중날양면면도기
KR20100135064 2010-12-25
KR1020100135064 2010-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017A true KR20120026017A (ko) 2012-03-16

Family

ID=458110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394A KR20120026017A (ko) 2010-09-08 2011-09-08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
KR1020110141825A KR20120073152A (ko) 2010-12-25 2011-12-25 습식면도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825A KR20120073152A (ko) 2010-12-25 2011-12-25 습식면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20026017A (ko)
WO (1) WO20120333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2903B2 (en) * 2009-05-29 2014-07-22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 comb guard for a trimming blade
WO2014209776A1 (en) 2013-06-27 2014-12-31 Shavelogic, Inc. Shaving system
EP2875919A1 (en) * 2013-11-22 2015-05-27 Koninklijke Philips N.V. Hair cutting appliance, receptacle and connector plug
DE102016123979A1 (de) 2016-12-09 2018-06-14 Jurij Schleip-Ols Rasiersystem für die schnelle Rasur größerer Körperflächen über und unter Wasser
USD829992S1 (en) 2017-01-30 2018-10-02 Preston Hage, Llc Cartridge head for a safety razor
USD830632S1 (en) 2017-01-30 2018-10-09 Preston Hage, Llc Safety razor
USD829993S1 (en) 2017-08-15 2018-10-02 Preston Hage, Llc Handle for a safety razor
USD850723S1 (en) 2018-01-09 2019-06-04 Preston Hage, Llc Safety razor chassis
DE102021125031A1 (de) 2021-09-28 2023-03-30 Jurij Schleip-Ols Körperrasier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7396A (en) * 1972-06-01 1973-12-11 Warner Lambert Co Cartridges having tandemly mounted cutting edges on two sides thereof
JP3455143B2 (ja) * 1999-08-30 2003-10-14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安全かみそり
KR200377452Y1 (ko) * 2004-11-30 2005-03-08 정용기 양면 면도기
KR20090125686A (ko) * 2008-06-02 2009-12-07 조원상 2면날면도기
US8205344B2 (en) * 2008-08-20 2012-06-26 The Gillette Company Safety razor having pivotable blad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3362A3 (ko) 2012-06-28
WO2012033362A2 (ko) 2012-03-15
KR20120073152A (ko)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6017A (ko) 초벌 면도와 마무리 면도 겸용 양면면도기
US11224983B2 (en) Shaving blade assembly comprising a blade unit and a skin contact member and a razor comprising a razor handle and such a shaving blade assembly
RU2122491C1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бритва и режущая систем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бритвы
US5934291A (en) Mini-shaving device for grooming facial hair
US20070056167A1 (en) Blade mounting members for a razor cartridge
US9975262B2 (en) Fingertip mountable shaving device
US11351688B2 (en) Razor
WO2012161449A2 (ko) 면도기
CN103608153A (zh) 具有皮肤接触元件的剃刀刀片架
AU2005222578A1 (en) Shaving razors and other hair cutting assemblies
US20170252933A1 (en) Personal shaver
WO2015172148A1 (en) Razor comb hair tool
CA2229489A1 (en) Fingertip control mustache shaving devices
EP2358506A1 (en) Trimmer for shaving razor
EP3476559B1 (en) Razor comprising handle with through-hole
KR20110053531A (ko) 탈착 가능한 날체를 갖는 손톱깎이
EP3722056B1 (en) Razor cartridge
KR200405136Y1 (ko) 볼록면도날을 구비한 면도기
KR20120130818A (ko) 세척이 쉽고 조립공정이 간단한 양면면도기
KR101108807B1 (ko) 개방형 헤드 양면면도기
CN215093734U (zh) 一种刀网保持机构
KR101136349B1 (ko) 면도기 카트리지
CN205685362U (zh) 一种新型剃毛梳具
EP2428338A1 (en) Razor with improved functionality
KR200424100Y1 (ko) 피부 각질제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