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339A -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339A
KR20120025339A KR1020100087663A KR20100087663A KR20120025339A KR 20120025339 A KR20120025339 A KR 20120025339A KR 1020100087663 A KR1020100087663 A KR 1020100087663A KR 20100087663 A KR20100087663 A KR 20100087663A KR 20120025339 A KR20120025339 A KR 20120025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line service
information
authentication information
termina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0297B1 (ko
Inventor
배주윤
이훈
김철회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297B1/ko
Priority to PCT/KR2011/006533 priority patent/WO2012033311A2/en
Priority to EP18213744.8A priority patent/EP3483765B1/en
Priority to ES18213744T priority patent/ES2785048T3/es
Priority to EP11823744.5A priority patent/EP2614476B1/en
Priority to US13/226,958 priority patent/US9769145B2/en
Publication of KR20120025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297B1/ko
Priority to US15/696,955 priority patent/US2017036653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8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delegation of authentication, e.g. a proxy authenticates an entity to be authenticated on behalf of this entity vis-à-vis an authentication e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단말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online 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패스워드를 통하여 각각의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바이스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온라인 접속이 가능한 서비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수도 그만큼 증가하게 되었다.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만큼 기억해야 할 아이디와 패스워드의 종류도 많아지고, 한 개인이 서비스 접속이 가능한 디바이스를 여러 개 소유함으로써 디바이스 접속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인터넷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 반복적인 로그인 작업을 없애서 하나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서비스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디바이스 간 또는 디바이스 서버 간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동기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중복적인 작업을 없앨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단말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인증 정보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일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상기 외부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단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상기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단말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들을 송신한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는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는 단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는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수신부; 및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는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정보들을 송신한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패스워드 등록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에 대한 동기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패스워드 등록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사용자는 제 1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제 1 인증 정보는 통합 패스워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패스워드는 각각의 서비스 별 인증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하나의 패스워드 입력으로 각각의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단계 120에서, 사용자는 단말에서 지원 가능한 어느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를 선택한다.
단계 130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제 2 인증 정보는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아이디는 온라인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이름(username) 또는 이메일(email)일 수도 있다. 기존에 이미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제 2 인증 정보 입력으로 기존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수정될 수 있다.
단계 14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제 1 인증 정보 및 제 2 인증 정보를 데이터 필드로 단말에 저장한다.
단계 150에서, 단말은 제 1 인증 정보, 제 2 인증 정보 및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단말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에는 고유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일 수 있다. 그 후, 서버에서 단말의 인증 과정을 거친 후에는, 제 1 인증 정보, 제 2 인증 정보 및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는 데이터 필드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인증과정은 문자서비스나 이메일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단말은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의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특정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특정 온라인 서비스가 선택되었다는 선택 신호를 의미하고, 제 1 인증 정보는 통합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단계 220에서, 단말은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한다. 단말은 제 1 인증 정보의 입력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에, 저장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중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한다. 제 2 인증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단계 230에서, 단말은 호출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각각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하여 각각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 없이 한 번의 통합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로그인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단말에 접속이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 A, B, C 중에 사용자가 서비스 B에 로그인하고자 선택하고, 통합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서비스 B에 자동으로 로그인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자체에서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하는 도 2와 달리, 도 3은 단말이 서버에 저장된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단말은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 즉, 서버로 송신한다.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특정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특정 온라인 서비스가 선택되었다는 선택 신호를 의미하고, 제 1 인증 정보는 통합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은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더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서버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기초로 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응되는 제 2 인증 정보를 송신한다. 제 2 인증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단계 330에서, 단말은 수신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리스트 인터페이스 화면(400)에는 선택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로 tumblr(401), facebook(402) 및 twitter(403)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twitter(403)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이를 선택한 경우, 통합 패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410)이 나타난다. 이 때, 사용자는 한 번의 통합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twitter 서비스(420)로 자동으로 로그인된다. 만약, 사용자가 tumblr(401) 또는 facebook(402) 서비스로 로그인하고자 선택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통합 패스워드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410)이 나타난다. 따라서, tumblr(401), facebook(402) 및 twitter(403)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 없이, 통합 패스워드를 한 번만 입력함으로써 선택한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이 단말 측에서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도시한 것이라면, 도 5는 서버 측에서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서버는 단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특정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특정 온라인 서비스가 선택되었다는 선택 신호를 의미하고, 제 1 인증 정보는 통합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또한, 서버는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단계 520에서, 서버는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제 1 인증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한다.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서버는 제 1 인증 정보 및 단말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 2 인증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단계 530에서, 서버는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단말로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에 대한 동기화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제 1 단말 또는 서버가 제 2 단말로부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단말과 제 2 단말 또는 서버와 제 2 단말은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소정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단말은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서버도 제 2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다만, 서버는 제 2 단말로부터 제 1 인증 정보에 부가하여 제 2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서버는 제 1 인증 정보 및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단계 620에서, 제 1 단말 또는 서버는 저장부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제 2 단말로 송신한다. 제 2 인증 정보는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서비스 접속 시스템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온라인 서비스 접속 시스템은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 서버(720) 및 외부 단말(730)을 포함하고,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는 수신부(711), 저장부(712), 제어부(713), 송신부(714) 및 표시부(715)를 포함하고, 서버(720)는 수신부(721), 데이터베이스(722), 제어부(723) 및 송신부(724)를 포함한다. 도 7에서, 제 1 인증 정보는 통합 패스워드로 각각의 서비스 별 인증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하나의 패스워드 입력으로 각각의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의미하고, 제 2 인증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 정보로써, 예를 들어, 각각의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의미한다. 아이디는 온라인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이름(username) 또는 이메일(email)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 및 서버(720)에 제 1 인증 정보, 제 2 인증 정보를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에서 표시부(715)에 표시된 지원 가능한 어느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를 선택하고, 선택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입력한다. 기존에 이미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제 2 인증 정보 입력으로 기존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수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제어부(713)는 제 1 인증 정보 및 제 2 인증 정보를 데이터 필드로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저장부(712)에 저장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송신부(714)는 제 1 인증 정보, 제 2 인증 정보를 서버(720)로 송신한다. 또한,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송신부(714)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 사용자의 인증을 위하여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버(720)로 더 송신할 수도 있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이 모바일 기기인 경우에는 고유 식별 정보는 전화 번호일 수 있다. 그 후, 서버(720)의 제어부(723)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인증 과정을 거친 후,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 제 2 인증 정보 및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데이터 필드로 서버(720)의 데이터베이스(722)에 저장한다. 인증과정은 문자서비스나 이메일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에서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는 제 1 방법 및 제 2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에서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는 제 1 방법은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는 방법이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수신부(71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특정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하여 특정 온라인 서비스가 선택되었다는 선택 신호를 의미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제어부(713)는 입력된 제 1 인증 정보와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저장부(712)에 저장된 제 1 인증 정보와 비교한다. 양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제어부(713)는 사용자 인증을 한다.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후에,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제어부(713)는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저장부(712)에 저장되어 있는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한다. 그 후,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제어부(713)는 호출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에서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는 제 2 방법은 서버(720)에 저장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서비스에 접속하는 방법이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송신부(71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서버(720)의 수신부(721)로 송신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송신부(711)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서버(720)의 수신부(721)에 더 송신할 수도 있다.
서버(720)의 제어부(723)는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서버(720)의 제어부(723)는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를 서버(720)의 데이터베이스(722)에 저장된 제 1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서버(720)의 데이터베이스(722)에 저장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한다.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서버(720)의 제어부(723)는 제 1 인증 정보 및 단말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720)의 송신부(724)는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로 송신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수신부(711)는 2 인증 정보를 서버(720)로부터 수신하고,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제어부(713)는 수신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한다.
이하에서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 또는 서버(720)와 외부 단말(730)과의 동기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와 외부 단말(730)은 Wi-Fi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수신부(711)는 외부 단말(730)로부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제어부(713)는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가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저장부(712)에 저장된 제 1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외부 단말(730) 사용자를 인증한다. 그 후,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송신부(724)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710)의 저장부(712)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외부 단말(73)로 송신한다.
서버(720)와 외부 단말(730)은 인터넷과 같은 소정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720)의 수신부(721)는 외부 단말(730)로부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720)의 수신부(721)는 외부 단말(73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제 1 인증 정보에 부가하여 외부 단말(73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서버(720)의 제어부(723)는 수신한 제 1 인증 정보를 서버(720)의 데이터베이스(722)에 저장된 제 1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는,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서버(720)의 제어부(723)는 제 1 인증 정보 및 단말 고유 식별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서버(720)의 송신부(724)는 서버(720)의 데이터베이스(72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외부 단말(730)로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0)

  1. 단말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5. 단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2. 단말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7.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들을 송신한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들을 송신한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19.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온라인 서비스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외부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3. 단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외부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0.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수신부; 및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호출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증 정보는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상기 제 2 인증 정보 및 상기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외부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5.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수신부가 상기 정보들을 송신한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정보들을 송신한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외부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외부 단말이 인증된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장치.
  37.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8.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 로그인하기 위한 제 2 인증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9.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에서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제 1 인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제 2 인증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된 제 2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온라인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0.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 상기 제 1 인증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들을 송신한 단말과 다른 외부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서비스에 대한 제 2 인증 정보를 상기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87663A 2010-09-07 2010-09-07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101770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663A KR101770297B1 (ko) 2010-09-07 2010-09-07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11/006533 WO2012033311A2 (en) 2010-09-07 2011-09-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online service
EP18213744.8A EP3483765B1 (en) 2010-09-07 2011-09-02 Automatically connecting to online service
ES18213744T ES2785048T3 (es) 2010-09-07 2011-09-02 Conexión automática a un servicio en línea
EP11823744.5A EP2614476B1 (en) 2010-09-07 2011-09-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online service
US13/226,958 US9769145B2 (en) 2010-09-07 2011-09-0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online service
US15/696,955 US20170366535A1 (en) 2010-09-07 2017-09-06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to onlin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663A KR101770297B1 (ko) 2010-09-07 2010-09-07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39A true KR20120025339A (ko) 2012-03-15
KR101770297B1 KR101770297B1 (ko) 2017-09-05

Family

ID=4577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663A KR101770297B1 (ko) 2010-09-07 2010-09-07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769145B2 (ko)
EP (2) EP2614476B1 (ko)
KR (1) KR101770297B1 (ko)
ES (1) ES2785048T3 (ko)
WO (1) WO2012033311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897A (ko) * 2013-11-06 2015-05-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50089786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5942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식 비콘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70096397A (ko) * 2016-02-16 2017-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연결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17004A (ko) * 2017-09-19 2017-10-20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인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WO2018194302A1 (ko) * 2017-04-21 2018-10-25 최군돈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인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83067B (zh) * 2016-05-09 2023-09-08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多网站间的自动登录方法及装置
US11144620B2 (en) * 2018-06-26 2021-10-12 Counseling and Develop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connections in a network following secure verification of interested partie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6333A (en) * 1996-03-13 1999-12-21 Sun Microsystems, Inc. Password helper using a client-side master password which automatically presents the appropriate server-side password to a particular remote server
US7137006B1 (en) * 1999-09-24 2006-11-14 Citicorp Development Center, Inc. Method and system for single sign-on user access to multiple web servers
GB2349244A (en) * 1999-04-22 2000-10-25 Visage Developments Limited Providing network access to restricted resources
US6799272B1 (en) * 1999-05-26 2004-09-28 Lucent Technologies Inc. Remote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CA2397740C (en) * 2000-01-14 2015-06-30 Catavault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registration, storage, management and linkage of personal authentication credentials data over a network
KR100406757B1 (ko) * 2000-08-30 2003-11-21 안종선 복수의 아이디 및 홈페이지를 자동으로 관리하는 웹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7610390B2 (en) * 2001-12-04 2009-10-27 Sun Microsystems, Inc. Distributed network identity
US7136490B2 (en) * 2002-02-21 2006-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password wallet
KR20050053527A (ko) * 2002-10-16 2005-06-0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암호복구 시스템
JP2004145499A (ja) * 2002-10-23 2004-05-20 Konami Online Inc 認証支援システム
US20040158746A1 (en) * 2003-02-07 2004-08-12 Limin Hu Automatic log-in processing and password management system for multiple target web sites
US7496953B2 (en) * 2003-04-29 2009-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sign-on method for web-based applications
US7577659B2 (en) * 2003-10-24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Interoperable credential gathering and access modularity
CN100437551C (zh) 2003-10-28 2008-11-26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使多个用户设备自动登录的方法和设备
US7490242B2 (en) * 2004-02-09 2009-0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managemen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KR20050086106A (ko) * 2004-02-25 2005-08-30 권영길 웹 사이트 자동 로그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증 사이트공유 서비스 방법
US7702794B1 (en) * 2004-11-16 2010-04-20 Charles Schwab & C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lent sign on across distributed applications
US7690026B2 (en) * 2005-08-22 2010-03-30 Microsoft Corporation Distributed single sign-on service
WO2007089503A2 (en) * 2006-01-26 2007-08-09 Imprivat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factor authentication
JP2007293760A (ja) * 2006-04-27 2007-11-08 Hitachi Ltd 個別認証を用いたシングルサインオン連携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327426B2 (en) * 2006-06-01 2012-12-04 Novell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s, Inc. Single sign on with proxy services
US20080031447A1 (en) * 2006-08-04 2008-02-07 Frank Geshwind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on of access to network products and services
US20090007248A1 (en) * 2007-01-18 2009-01-01 Michael Kovaleski Single sign-on system and method
JP4314282B2 (ja) * 2007-03-07 2009-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認証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WO2008114256A2 (en) * 2007-03-22 2008-09-25 Neocleus Ltd. Trusted local single sign-on
US8954745B2 (en) * 2007-04-03 2015-02-10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ne-time passwords
US8528064B2 (en) * 2007-06-22 2013-09-03 Springo Incorporated Web based system that allows users to log into websites without entering username and password information
US8296834B2 (en) * 2007-08-02 2012-10-23 Deluxe Corporation Secure single-sign-on portal system
US20090150983A1 (en) * 2007-08-27 2009-06-11 Infosys Technolog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uman interaction
KR101380041B1 (ko) * 2007-12-27 2014-04-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로그인 시스템 및 방법
US8966594B2 (en) * 2008-02-04 2015-02-24 Red Hat, Inc. Proxy authentication
US8365248B2 (en) * 2008-05-30 2013-01-29 Sharp Kabushiki Kaisha Data providing device, operation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US8429730B2 (en) * 2008-06-06 2013-04-23 Ebay Inc. Authenticating users and on-line sites
JP5279379B2 (ja) * 2008-07-16 2013-09-04 株式会社セフティーアングル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WO2010014386A1 (en) * 2008-07-29 2010-02-0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communication sessions
US20100174758A1 (en) * 2009-01-05 2010-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management of single sign on passwords
US8763096B1 (en) * 2009-03-26 2014-06-24 Symantec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authentication
US20100250330A1 (en) * 2009-03-29 2010-09-30 Chuck Lam Acquisition of user data to enhance a content targeting mechanism
US8255984B1 (en) * 2009-07-01 2012-08-28 Quest Software, Inc. Single sign-on system for shared resource environments
US8850554B2 (en) * 2010-02-17 2014-09-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uthentication context-based sessio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897A (ko) * 2013-11-06 2015-05-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150089786A (ko) * 2014-01-28 201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25942A (ko) * 2014-08-28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식 비콘신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70096397A (ko) * 2016-02-16 2017-08-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연결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8194302A1 (ko) * 2017-04-21 2018-10-25 최군돈 휴대용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인증 방법
KR20170117004A (ko) * 2017-09-19 2017-10-20 주식회사 마스터비디 인증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3765A1 (en) 2019-05-15
US20120060208A1 (en) 2012-03-08
EP3483765B1 (en) 2020-04-01
EP2614476A4 (en) 2017-10-11
EP2614476B1 (en) 2019-02-27
EP2614476A2 (en) 2013-07-17
US20170366535A1 (en) 2017-12-21
US9769145B2 (en) 2017-09-19
KR101770297B1 (ko) 2017-09-05
ES2785048T3 (es) 2020-10-05
WO2012033311A3 (en) 2012-05-03
WO2012033311A2 (en)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5339A (ko) 온라인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US9179312B2 (en) Registration and logi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112774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hwarting attacks on an IT environment
US10165115B1 (en) Communications handler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US10477396B2 (en) Affiliation and disaffiliation of computing devices
US20180034750A1 (en) Instant messaging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06101122A (zh) 一种登录方法和装置
CN109660567A (zh) 一种通信连接方法、服务器、终端设备及系统
CN109726545B (zh) 一种信息显示方法、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装置
US9128514B2 (en) Automatic account detection and association
JP5823185B2 (ja) 発信者情報提供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5737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2685090B (zh) 一种登录系统的方法
US89959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mobile device number lookup and modification
CN113568542A (zh) 界面显示方法和电子设备
US9270631B2 (en) Communicating via a virtual community using outside contact information
JP5069168B2 (ja) ネットワーク運用監視システム、マネージャ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運用監視方法
JP533986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ログイン管理装置、ログイン管理方法及びログイン管理プログラム
KR101379551B1 (ko) Opmd 시스템에서의 배타적 인증을 위한 방법, 단말, 서버, 및 기록 매체
US93919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CN113821284B (zh) 界面显示方法和电子设备
KR101278980B1 (ko) 전화기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관리하는 방법
JP2017004296A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CN111048196A (zh) 医院设备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CN115688064A (zh) 身份评估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