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642A -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642A
KR20120024642A KR1020117028007A KR20117028007A KR20120024642A KR 20120024642 A KR20120024642 A KR 20120024642A KR 1020117028007 A KR1020117028007 A KR 1020117028007A KR 20117028007 A KR20117028007 A KR 20117028007A KR 20120024642 A KR20120024642 A KR 20120024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base station
downlink
dci
st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5844B1 (ko
Inventor
데쯔오 마부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5Timing of allocation when channel conditions 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부처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장치(1)는 변경부(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설정되어 있다. 변경부(2)는 그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소정의 처리 수순에 따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MAPP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련된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LTE(Long Term Evolution)라고 불리는 통신 방식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검토되어 표준화되어 있다(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참조). 그 LTE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나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의 후계로 되는 통신 방식이다.
LTE에서는 복수의 유저 장치(UE)가 상향 링크, 하향 링크 모두 1개 내지 2개 이상의 물리 채널을 공유하여 통신을 행한다. 복수의 유저 장치(UE)에서 공유하는 채널은 일반적으로 공유 채널이라고 불린다. LTE에서는, 상향 링크에 있어서는 상향 공유 물리 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이라고 불리며, 하향 링크에 있어서는 하향 공유 물리 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라고 불린다.
또한, 상술한 공유 채널을 사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서브 프레임(Sub-frame)마다 어느 유저 장치(UE)에 대하여 상기 공유 채널을 할당할지를 시그널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시그널링을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 채널은, LTE에서는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이라고 불린다. 또는, 그 제어 채널은 DL L1/L2 CCH(Downlink L1/L2 Control CHannel)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에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가 맵핑된다.
기지국은 DCI가 맵핑된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유저 장치(UE)에 송신한다. 유저 장치(UE)는 PDCCH에 맵핑되어 있는 DCI에 기초하여 상향 공유 물리 채널(PUSCH)을 기지국에 송신한다. 기지국은 유저 장치(UE)로부터 송신된 상향 공유 물리 채널(PUSCH)을 수신하여 복호한다.
또한, 최근에는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와 같이 하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 폭과 상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 폭이 상이한 경우에,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효율적으로 송신(전달)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제어 채널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량을 통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기지국 장치(200)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채널을 할당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에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다중하고,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834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7119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49539호 공보
3GPP TS 36.212(V8.5.0),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December 2008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채널에 사용하는 무선 리소스량을 통지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만,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 3에는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는,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소정의 처리 수순에 따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상기 본 발명의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맵핑 제어 방법은,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정보와 소정의 처리 수순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기지국 장치에,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소정의 처리 수순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a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1c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에서의 맵핑 제어 처리의 수순을 나타낸 도면.
도 1d는 제1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기지국 장치와 이동국의 내부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의 주파수 대역의 구분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CC(Component Carrier)에 맵핑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DCI를 CC에 맵핑하는 그 밖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 실시 형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1)는 변경 수단인 변경부(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설정되어 있다. 변경부(2)는 그러한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소정의 처리 수순에 따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 장치(1)는 상기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예를 들어, 우선, 상기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취득한다(도 1c의 스텝 S1).
이어서, 그 취득한 정보와 소정의 처리 수순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한다(스텝 S2).
이러한 기지국 장치(1)의 동작(제어) 수순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도 1b의 점선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은 프로그램 기록 매체(3)에 기록되어 있다. 기지국 장치(1)는 그 프로그램 기록 매체(3)의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한다.
이 제1 실시 형태의 기지국 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하므로,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신 상대에게 송신할 수 있다. 즉, 하향 링크용의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는 각각 회선 품질(회선 상태)이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변화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맵핑 대상으로서 고정적으로 설정된 컴포넌트 캐리어의 회선 품질이 악화되어 있는 상태가 계속되면,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는 회선 품질의 감시 정보에 기초하여 회선 품질이 좋은 컴포넌트 캐리어에 하향 링크 제어 정보가 맵핑되도록 맵핑 대상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 장치(1)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신(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지국 장치(1)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시스템(5)을 구축할 수 있다. 즉, 통신 시스템(5)은 기지국 장치(1)와 이동국(6)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국(6)은 기지국 장치(1)로부터 취득한 상향 링크 제어용의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 장치(1)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통신 시스템(5)에 있어서는 기지국 장치(1)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기지국 장치(1)로부터 이동국(6)에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효율적으로 송신(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1)와 이동국(6)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우선, 도 2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기지국 장치)(100)과 이동국(200-1 내지 200-n)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지국(100)은 변경부(변경 수단)(11)와 송신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변경부(11)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하는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를 변경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송신부(12)는 CC를 변조한 물리 하향 링크 제어 채널(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이동국(200-1 내지 200-n)을 향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국(200-1 내지 200-n)은 수신부(21)와 취득부(22)와 송신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21)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PDCCH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취득부(22)는 PDCCH의 CC에 맵핑된 DCI를 취득하는(디맵핑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송신부(23)는 취득부(22)가 취득한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향 공유 물리 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기지국(100)에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기지국(100)은 이동국(200-1 내지 200-n)에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시스템 구성)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UTRAN(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에 적용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과 이동국(200-1 내지 200-n)(n은 임의의 정수임)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100)의 관리 하에 존재하는 이동국(200-1 내지 200-n)은 기지국(100)에 접속하고, 당해 기지국(100)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CN)와 통신을 행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기지국(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생성부(101)와 부호화부(102)와 CC(Component Carrier) 맵핑부(103)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기지국(100)은 제어부(104)와 송수신부(105)와 CC 디맵핑부(106)와 복호부(10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이동국(200-1 내지 200-n)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수신부(201)와 CC 디맵핑부(202)와 블라인드 복호부(203)와 DCI 검출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당해 이동국(200-1 내지 200-n)은 UL-SCH(UpLink-Shared CHannel) 생성부(205)와 부호화부(206)와 CC 맵핑부(207)를 더 구비하고 있다.
기지국(100)의 DCI 생성부(101)는 DCI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DCI 생성부(101)는 상향 링크나 하향 링크의 리소스 할당 정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관한 정보,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에 관한 정보 등을 DCI로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화 상에서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DCI)에 다중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는 format0으로 정의되어 있다.
도 4에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에서 상정되어 있는 LTE를 확장한 주파수 할당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LTE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기본 주파수 대역을 20MHz 대역 폭의 컴포넌트 캐리어(CC(Component Carrier))로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하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 폭은 100MHz 대역 폭이다. 그 하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에는 5개의 CC(하향 CC)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 폭은 40MHz 대역 폭이다. 그 상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에는 2개의 CC(상향 CC)가 설정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CC마다 HARQ나 AMC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 CC마다 독립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는 상향 링크에는 2개의 상향 CC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가 2개 필요하다. 이 경우, 기지국(100)은 그 2개의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format0의 제어 정보)를 각각 하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5개의 하향 CC 중 어느 곳에 DCI로서 맵핑하게 된다. 그 맵핑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도 3에 도시되는 기지국(100)의 제어부(104)는, 이동국(200)으로부터 보고된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이동국(200)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CC)을 확인한다. 이에 의해, 제어부(104)는 상향 링크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가 2개 필요한 것을 파악한다.
DCI 생성부(101)는 상향 링크에서 필요로 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format0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를 생성한다. 부호화부(102)는 DCI 생성부(101)에서 생성된 DCI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04)는 하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5개의 하향 CC 중에서 DCI를 맵핑하는 CC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정한다. 즉, 제어부(104)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를 맵핑하는 CC를 변경하는 변경부(변경 수단)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CC 맵핑부(103)는 제어부(104)가 결정한 CC에 DCI를 맵핑한다. 송수신부(105)는 하향 링크에 사용하는 CC를 변조 처리하고, 당해 변조 후의 CC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로서 송신한다.
이동국(200)은 기지국(100)이 송신한 PDCCH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1)는 이동국(200)이 수신한 PDCCH를 복조한다. CC 디맵핑부(202)는 다중되어 있는 하향 CC로부터 DCI를 디맵핑한다. 블라인드 복호부(203)는 DCI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 DCI 검출부(204)는 자국(200) 앞의 DCI를 검출한다. 즉, DCI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포함되어 있다. 당해 CRC에는 DCI의 수신처인 이동국(200) 고유의 번호가 다중화되어 있다. 그 고유한 번호에 의해 자국(200) 앞의 DCI만이 CRC OK로 되므로, DCI 검출부(204)는 자국(200) 앞의 DCI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DCI 검출부(204)에서 검출한 자국(200) 앞의 DCI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format0의 제어 정보)를 상향 링크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제어에 이용한다.
UL-SCH 생성부(205)는 상향 데이터 채널을 생성한다. 부호화부(206)는 상향 데이터 채널의 부호화 처리를 행한다. CC 맵핑부(207)는 DCI 검출부(204)에서 검출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리소스 할당, HARQ, AMC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CC 맵핑부(207)는 상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2개의 상향 CC에 제어 정보를 맵핑한다. 송수신부(201)는 상향 링크에 사용하는 CC의 변조 처리를 행하여, 변조 후의 CC를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로서 송신한다.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이 송신한 PUSCH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5)는 기지국(100)이 수신한 PUSCH를 복조한다. CC 디맵핑부(106)는 다중화되어 있는 상향 CC로부터 제어 정보를 디맵핑한다. 복호부(107)는 제어 정보의 복호 처리를 행한다. 제어부(104)는 복호부(107)에서 복호 처리를 행하여 얻어진 제어 정보(예를 들어,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이용하여 하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5개의 하향 CC 중에서 DCI를 맵핑하는 CC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결정한다.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의 맵핑의 처리 동작)
이어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를 CC에 맵핑할 때의 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를 CC에 맵핑하는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표에 있어서, 각 행은 하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에 설정된 CC의 『하향 CC 번호』를 나타내고, 각 열은 하향 CC에 맵핑하는 『DCI 번호』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하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 폭은 100MHz 대역 폭이다. 하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20MHz 대역 폭의 하향 CC(CC#0 내지 CC#4)가 5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 폭은 40MHz 대역 폭이다. 상향 링크용의 주파수 대역에는 20MHz 대역 폭의 상향 CC(CC#0 내지 CC#1)가 2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하향 CC와 상향 CC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의 상향 CC를 위한 제어 정보(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하향 CC에 할당하는 조합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가지의 조합으로 된다.
도 5에 있어서, 동그라미(○)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를 맵핑하는 하향 CC의 장소, 및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로서 사용하는 DCI의 번호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2개의 DCI를 동일한 하향 CC에 맵핑하는 경우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표 (1)은 하향 CC 번호=0에 2개의 DCI를 맵핑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1개의 이동국(200)에 대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시킨 DCI를 하향 CC에 맵핑하는 경우의 맵핑 예를 나타내었다. 이에 대해, 복수의 이동국(200)에 대하여 각각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각 이동국(200)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를 동적으로 하향 CC에 맵핑하게 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상기와 같은 도 5에서의 맵핑 대상의 CC의 조합의 모두 또는 일부를 사용하여 주기적(예를 들어, TTI (Transmit Time Interval)마다)으로 DCI를 맵핑하는 CC를 변경한다. 이와 같이 맵핑 대상의 CC를 주기적으로 변경함으로써, 기지국(100)은 제어를 간단하게 하면서 어느 정도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이동국(200)에서 측정하여 기지국(100)에 보고되는 회선 품질을 나타내는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이 CC마다 측정한 CQI를 기초로 회선 품질이 좋은 주파수 대역(하향 CC)을 검지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그 회선 품질이 좋은 하향 CC로부터,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한 DCI를 우선적으로 맵핑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200)으로부터 취득한 CQI를 기초로 회선 품질이 좋은 하향 CC의 순서가 CC#2→CC#4→CC#0→CC#1→CC#3이면 기지국(100)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2개의 DCI를 각각 CC#2와 CC#4에 맵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복수의 이동국(200)이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100)은 각 이동국(200)의 하향 CQI를 기초로 스케줄링을 행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각 이동국(200)에 필요한 하향 CC를 각 이동국(200)에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그 각 이동국(200)에 할당한 하향 CC에 DCI를 맵핑한다. 단, 하향 CC에 맵핑 가능한 DCI의 수는 한정된다. 이로 인해, 하향 CC에 맵핑 가능한 DCI의 수도 고려하여 각 이동국(200)에 하향 CC를 할당하도록 스케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향 링크에 사용하는 CC#0과 CC#1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2개의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에 우선도를 갖게 하는 경우에는, 그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에 우선도를 갖게 하도록 규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DCI에 우선도를 갖게 하는 경우에는, DCI를 맵핑하는 하향 CC의 조합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가지로 된다.
도 6에 있어서, 동그라미(○) 중의 번호가 DCI의 우선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DCI가 우선도를 갖는 경우에는, 우선도 1의 DCI(즉, 우선도가 높은 DCI)부터 순서대로 하향 링크의 CC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상향 CC#0→CC#1의 우선도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에서의 표 (1)에서는 하향 CC 번호=0, DCI 번호=0의 DCI가 우선도 1이고, 하향 CC 번호=0, DCI 번호=1의 DCI가 우선도 2이다. 이 경우, 하향 CC 번호=0, DCI 번호=0의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상향 링크의 CC#0에 할당한다. 또한, 하향 CC 번호=0, DCI 번호=1의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상향 링크의 CC#1에 할당한다. 또한, 이동국(200)으로부터 취득한 CQI를 기초로 회선 품질이 좋은 하향 CC의 순서가 CC#2→CC#4→CC#0→CC#1→CC#3이면 기지국(100)이 판단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회선 품질이 좋은 하향 CC#2부터 우선적으로 DCI를 맵핑한다.
(통신 시스템의 작용ㆍ효과)
LTE-A와 같이 하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폭과 상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 폭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실시 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100)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하는 맵핑 대상의 CC(Component Carrier)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맵핑 대상의 CC를 주기적으로 변경한다. 이에 의해, 제어를 간단하게 하면서 어느 정도의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이동국(200)으로부터 취득한 CQI(Channel Quality Information)에 따라 CC를 변경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국(200-1 내지 200-n)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지국(100)은, 예를 들어 각 이동국(200-1 내지 200-n)의 CQI나 하향 CC에 맵핑 가능한 DCI의 상한수 등을 고려하여 각 이동국(200-1 내지 200-n)에 하향 CC를 동적으로 할당한다. 그리고, 기지국(100)은 그 각 이동국(200-1 내지 200-n)에 동적으로 할당한 하향 CC에 DCI를 맵핑한다. 이렇게 DCI를 CC에 맵핑함으로써, 기지국(100)은 각 이동국(200-1 내지 200-n)을 향하여 효율적으로 DCI를 송신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이며, 상기 실시 형태로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실시한 형태에서의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3GPP의 버전에는 의존하지 않고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서의 제어 동작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혹은 양자의 복합 구성을 이용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처리 시퀀스(처리 수순)를 기록한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인스톨된다. 그리고, 그 컴퓨터가 메모리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상기 처리가 실행된다. 혹은, 각종 처리가 실행 가능한 범용 컴퓨터의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그 범용 컴퓨터에 의해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 디스크나 ROM(Read Only Memory)에 미리 기록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는, 소위 팩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리무버블 기록 매체로서는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게 된다. 또는,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컴퓨터에 무선 전송하게 된다.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처리 동작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를 실행하는 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은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의 처리 능력, 혹은 필요에 따라 병렬적으로 혹은 개별적으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으로 하거나,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하우징 내에 존재하는 구성으로 하도록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 기지국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하는 CC(Component Carrier)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가져도 된다.
또한,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 이동국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한 CC(Component Carrier)를 변조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PDCCH의 상기 CC에 맵핑된 상기 DCI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과 이동국을 적어도 갖고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기지국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하는 CC(Component Carrier)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과,
상기 CC를 변조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 제어 방법은 기지국에서 행하는 제어 방법이며,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하는 CC(Component Carrier)를 변경하는 변경 공정을 갖는다.
또한, 이동국에서 행하는 제어 방법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한 CC(Component Carrier)를 변조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는 수신 공정과,
상기 PDCCH의 상기 CC에 맵핑된 상기 DCI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한 상기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갖는다.
또한,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 기지국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하는 CC(Component Carrier)를 변경하는 변경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 이동국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한 CC(Component Carrier)를 변조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수신하는 수신 처리와,
상기 PDCCH의 상기 CC에 맵핑된 상기 DCI를 취득하는 취득 처리와,
상기 취득 처리에 의해 취득한 상기 DCI에 포함되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기초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킨다.
전술한 특허문헌 1 내지 3이나 비특허문헌 1에는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맵핑하는 CC(Component Carrier)를 변경하는 점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도 시사도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대해, 상기와 같은 그 밖의 실시 형태의 기지국이나 통신 시스템이나 제어 방법이나 프로그램을 구비함으로써,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맵핑하는 CC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원 발명의 구성이나 상세는 본원 발명의 스코프 내에서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여러가지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2009년 5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25435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인용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기지국 장치를 통한 무선 통신의 시스템에 유효하다.
100: 기지국
200-1 내지 200-n: 이동국
101: DCI 생성부
102: 부호화부
103: CC 맵핑부
104: 제어부
105: 송수신부
106: CC 디맵핑부
107: 복호부
201: 송수신부
202: CC 디맵핑부
203: 블라인드 복호부
204: DCI 검출부
205: UL-CSH 생성부
206: 부호화부
207: CC 맵핑부

Claims (8)

  1.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소정의 처리 수순에 따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순은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의 변경을 주기적으로 행하게 하기 위한 수순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순은 상기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회선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정하는 수순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순은, 상기 회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회선 품질이 좋은 컴포넌트 캐리어로부터 우선적으로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기 위한 수순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수단은 상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폭과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폭이 상이한 경우에,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하는, 기지국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 및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이동국을 구비하고 있는, 통신 시스템.
  7.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소정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정보와 소정의 처리 수순에 기초하여 상기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맵핑 대상의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변경하는, 맵핑 제어 방법.
  8. 기지국 장치에,
    하향 링크용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 중에서, 상향 링크용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맵핑하는 상기 컴포넌트 캐리어를 소정의 처리 수순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20117028007A 2009-05-25 2010-05-21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1365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5435 2009-05-25
JPJP-P-2009-125435 2009-05-25
PCT/JP2010/059050 WO2010137672A1 (ja) 2009-05-25 2010-05-21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マッピング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642A true KR20120024642A (ko) 2012-03-14
KR101365844B1 KR101365844B1 (ko) 2014-02-21

Family

ID=4322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007A KR101365844B1 (ko) 2009-05-25 2010-05-21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57561A1 (ko)
EP (1) EP2437562A4 (ko)
JP (1) JPWO2010137672A1 (ko)
KR (1) KR101365844B1 (ko)
CN (1) CN102440049A (ko)
WO (1) WO2010137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03452B1 (en) * 2018-02-08 2022-11-02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6067A1 (en) * 2005-08-12 2007-02-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8462758B2 (en) * 2006-12-20 2013-06-11 Intel Corporation Channel quality information feedback techniques for a wireless system
JP5036040B2 (ja) 2007-04-20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受信状態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755137B2 (ja) 2007-05-01 2011-08-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558020B2 (ja) 2007-08-14 2010-10-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JP5193571B2 (ja) 2007-11-27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ロアユニット
US8239721B2 (en) * 2008-04-25 2012-08-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HARQ process utilization in multiple 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US8311053B2 (en) * 2008-09-15 2012-11-13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s for controlling an uplink signal transmission power and communication devices
CN101404526B (zh) * 2008-11-03 2013-05-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处理方法
EP2428086B1 (en) * 2009-05-08 2017-07-2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hannel quality indication report with granularity dependent on the number of best component carr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7562A4 (en) 2016-12-28
EP2437562A1 (en) 2012-04-04
WO2010137672A1 (ja) 2010-12-02
JPWO2010137672A1 (ja) 2012-11-15
US20120057561A1 (en) 2012-03-08
KR101365844B1 (ko) 2014-02-21
CN102440049A (zh)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9876B2 (en) Mobile st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ircuit device
CN102860074B (zh) 移动通信系统、基站装置、移动站装置以及通信方法
US8693424B2 (en) Resource mapping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80115965A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935048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CE allocation method and CCE blind decoding method
EP252352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ircuit device
US201100640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multiple carrier system
KR2017005142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낮은-레이턴시, 낮은-대역폭, 및 낮은 듀티 사이클 동작
JP2020500475A (ja) 無線通信方法及び機器
KR20120127440A (ko) 참조신호 송신방법, 이동국장치 및 기지국장치
JP5574872B2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6105351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集成电路
EP3051869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harq transmission
KR101311627B1 (ko) Phich 캐리어 링크를 구성하는 방법
JP2019511889A (ja) 情報送信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装置
US9338786B2 (en)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method,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WO2016182039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CN109391355B (zh) 无线通信的方法、芯片和系统
JP2018110280A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1210021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局装置
KR101365844B1 (ko) 기지국 장치, 통신 시스템, 맵핑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WO2016182040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4828628B2 (ja) 無線リソース選択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KR201500370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고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