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167A -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167A
KR20120024167A KR1020100086909A KR20100086909A KR20120024167A KR 20120024167 A KR20120024167 A KR 20120024167A KR 1020100086909 A KR1020100086909 A KR 1020100086909A KR 20100086909 A KR20100086909 A KR 20100086909A KR 20120024167 A KR20120024167 A KR 20120024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drainage means
pipe
water
moistur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창건
Original Assignee
반창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창건 filed Critical 반창건
Priority to KR1020100086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4167A/ko
Publication of KR2012002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1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의 수분 자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화분에 공급된 물량을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와 취급이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일률적인 물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식물의 생장 속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고품질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식재용 화분(10)과, 상기 화분의 저부에 구비되어 화분에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20)과, 상기 배수수단에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배수수단의 높이와 같거나 높은 방향으로 굴절 가능한 수분 조절관(100)이 결합된 것이 제1특징인 화분의 수분 자동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화분의 수분량 조절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화분을 적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화분 케이스(200)와, 상기 화분 케이스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에서 배수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20) 및 상기 수분 조절관(100)이 상기 배수수단(20)에 연결된 것이 제2특징인 화분의 수분 자동 조절장치가 함께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DEVICE OF AUTO WATER CONTROLL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에 공급된 물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필요에 따라 완전 배수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동으로 화분의 수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화분의 자동 수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관엽, 야생화, 어린 묘목, 삽목 등은 그 생장 특성상 물 빠짐이 좋고 식물 뿌리 전체에 골고루 물이 잘 스며들도록 하기 위해, 마사토나 작은 돌 알갱이 모양의 흙을 사용하여 화분에 심는다.
그러나 물조리개 등으로 화분에 물을 급수하면 마사토 등으로 물이 빠르게 하강하여 화분 하단의 배수구멍을 통해 순식간에 배수가 이루어져 단시간 내에 화분 내부 수분이 없어지므로 식물에 충분한 물과 영양분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하루에도 여러번 시간에 맞추어 물주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수분 관리가 번거롭게 어려움이 있으며, 적절한 수분 공급을 하지 못하게 되어 발육상태가 좋지 않아 고품질의 식물을 재배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 1988-0018869호에는 화분의 하부 몸통에 소정의 물을 주입하게 되면 주입된 물이 내부몸통에 장입되면서 제반 내부에 설치된 장치에 의해 화분 상부로 연결된 호스를 통해 반복해서 자동으로 급수할 수 있게 된 자동 수분 조절 화분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자동 수분 조절 화분'은, 비틀림스프링, 압축스프링, 스프링 고정끈, 내부물통, 내부물통고정끈, 하부물통, 스톱퍼, 체크밸브, 일방통행호오스, 조절기통, 카바, 연결호스, 스프링, 조절밸브, 추, 물조절그릇, 유동대, 안내호스, 다수의 분사구, 원형호스 등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높을 뿐 아니라, 그 구조도 매우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고가이기 때문에 실제 실용화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비효율적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1988-0018869호 공개공보
상기의 일반적인 화분 형태 및 종래 기술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분에 공급된 물량을 식물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와 취급이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일률적인 물공급이 가능하게 하여 식물의 생장 속도를 증가시킴은 물론 고품질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식재용 화분(10)과, 상기 화분의 저부에 구비되어 화분에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20)과, 상기 배수수단에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배수수단의 높이와 같거나 높은 방향으로 굴절 가능한 수분 조절관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분 조절관(100)은, 배수수단(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120)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굴절 가능한 조절관(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수단(20)은, 중앙 관통홀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 형태이고,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형 연결관(1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수단(20)은,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이고,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에 마찰력에 의해 결속되도록 한 소켓형 연결관(122)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배수수단(20)은 화분(10)의 하부 측면에서 수평방향 또는 하부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조절관(110)은, 내부에 철망사가 결합된 연질의 합성수지 튜브관(111)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주름관(112)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관(11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되어 육안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분(10)의 저면은 배수수단(20)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을 가지도록 하여 화분 내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수분 조절관(100)의 입구에 필터(130)가 구비되어 흙 등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화분을 적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화분 케이스(200)와, 상기 화분 케이스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에서 배수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조절관(100)이 상기 배수수단(20)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화초에 따라 수일(예컨대 3일~1개월)동안 물을 갈아 주지 않아도 수분 관리가 되므로 시간 관리가 용이하고, 물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둘째, 화분 내 수분 유지로 물에 녹은 비료, 밑거름, 미네랄 등의 영양분이 장시간 유지 가능하므로 빈번하게 분갈이를 할 필요가 없고, 식물의 발육상태가 양호하여 고품질의 식물 재배가 가능하다.
셋째, 외부에 설치된 투명관을 통해 수분 높낮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식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수분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넷째, 꽃이 피어 있는 화초의 경우 꽃잎이 물에 직접 닿지 않으므로 싱그러운 꽃잎을 장시간 유지 할 수 있다.
다섯째,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물을 즉시 배수할 수 있는 등, 설치, 관리 및 취급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로서, (a)는 수분 조절장치의 조립상태를, (b)는 분리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단면도로서, (a)는 수분 조절장치의 조립상태를, (b)는 분리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D'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화분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화분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의 예시 구조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형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로서, (a)는 수분 조절장치의 조립상태를, (b)는 분리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재 가능하도록 내부에 흙이 채워진 화분(10)과, 상기 화분(10)의 저부에서 분에 공급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는 배수수단(20)과, 상기 배수수단(20)의 외측에 연결되는 수분 조절관(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수분 조절관(100)은 배수수단(20)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은 방향으로 굴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수분 조절관(100)을 배수수단(20)의 높이보다 낮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과 같이 수분 조절관(100)이 배수수단(20)과 수평상태, 즉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경우 화분(10)에 공급된 물이 완전 배수되고, 화분(100)의 외벽에 가까이 있도록 거의 90°로 굴절된 경우 화분(10)에 공급된 물이 배수되지 않고 저장되며, 또한 수분 조절관(100)이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수분 조절관(100)의 최고 높이 위치에서 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되고, 그 높이가 화분(1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를 이룬다.
더욱 세부적으로, 상기 수분 조절관(100)은, 배수수단(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120)과, 상기 연결관(120)에 연결되어 굴절 가능한 조절관(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배수수단(20)을 비롯하여 상기 연결관(120)과 조절관(110) 등의 각 형태나 재질은 제한이 없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수단(20)은, 중앙 관통홀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일종의 너트와 같은 관 형태이고,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20)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형 연결관(121)일 수 있으며, 상기 조절관(110)이 굴절된 상태에서 또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내부에 철망사가 결합된 연질의 합성수지 튜브관(111)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 조절관(100)이 최고 각으로 굴절된 상태, 즉 물을 배수하지 않는 상태에서 화분(10) 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조절관(110)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소재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수분 조절관(100)을 회전시킴에 따라 연결관(120)과 배수수단(20)이 도 2의 (a)와 같이 상호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또한 도 2의 (b)와 같이 상호 분리될 수도 있다.
화분(10) 내의 흙이 배수수단(20)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분 조절관(100)의 입구측, 예를 들면 연결관(120)의 입구 혹은 배수수단(20)의 입구 등에 그물망사 형태의 필터(1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배수수단(20)으로 물이 원활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화분(10)의 저면은 배수수단(20)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11)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후술하는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구조에서 배수수단(20)의 위치를 변경한 형태이다. 즉, 제1실시예의 경우 배수수단(20)이 화분(10)의 저부 벽에서 내측으로 설치된 것이지만, 상기 배수수단(20)은 제2실시예의 도 3 및 도 4와 같이 화분(10)의 벽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이 상기 배수수단(20)은 화분(10) 내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설치 위치에 제한이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단면도로서, (a)는 수분 조절장치의 조립상태를, (b)는 분리 상태를 나타낸다.
제3실시예에서는, 수분 조절관(100)의 또 다른 형태를 보인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수단(20)은,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이다. 이때 상기 중앙 배수구의 내벽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밋밋한 형태이고 합성수지관 또는 금속관일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연결관(120)은,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 내벽에 마찰력으로 결속되도록 한 소켓형 연결관(122)이며, 그 재질은 고무나 실리콘 등, 루버(rubber)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켓형 연결관(122)에 연결된 조절관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주름관(112)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주름관에 굴절 가능함과 동시에 굴절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도 6과 같이 수분 조절관을 회전시킬 필요 없이 소켓형 연결관(122)과 배수수단(20)을 곧바로 착탈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D'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배수수단(20)이 화분(10)의 하단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것으로, 앞서 설명된 실시예의 수평 방향 설치와 대비된다.
이때, 상기 배수수단(20)은 제1 또는 제 2실시예와 같이 중앙 관통홀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연결관(120)은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형 연결관(121)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수수단(20)이 화분(1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화분(10)의 하단면은 배수수단(20)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제4실시예와 같이 상기 배수수단(20)은 화분(10)의 하부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이때 전술한 제 3실시예와 같이 배수수단(20)은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이고, 연결관(120)은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20)에 마찰력에 의해 결속되도록 한 소켓형 연결관(12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소켓형 연결관(122)이 화분(10) 중앙에 설치된 배수수단(20)에 수직 방향으로 착탈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화분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복수 개의 화분에 대해 동시에 수분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분을 적재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화분 케이스(200)를 구성하고, 상기 화분 케이스(200)의 저부 일측에 상기 제1 내지 제5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배수수단(20)을 마련한다. 이때 화분 케이스(200) 내에 적재되는 화분(10)은 하부에 배수구멍만 형성된 일반적인 화분이다.
또한, 화분 케이스(200)에 설치된 배수수단(20)에는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5실시예의 수분 조절관(100) 중 선택된 하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면, 화분(10)에 공급된 물이 화분 케이스(200) 내에 저장되고, 수분 조절관(100)에 의해서 수위가 조절되므로 사용자는 복수 개의 화분에 대해 수분 공급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화분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는, 앞서 설명된 수분 조절관(100)이 배제되고, 화분(10) 내에 물 저장공간(310)을 형성하는 격리수단(300)이 형성된다.
상기 격리수단(300)은, 화분(10)의 내의 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도록 원판 형태로 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통공(301)이 형성된 격판(302)과, 상기 격판(302)의 테두리에서 화분 바닥까지 하향 연장된 지지대(303)로 구성되며, 상기 격판(302) 하부와 지지대(303) 사이에는 물 저장공간(3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화분(10) 내에 격리수단(300)을 설치하면 격판(302)의 상부공간은 흙이 충진되고 하부는 물이 충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식재된 화분에 물을 공급하면 물은 통공(301)을 통해 물 저장공간(310)에 충진되고, 흙은 격판(302) 위에 머물러 있게 되면서도 격판(302)과 인접한 흙은 통공(301)을 통해 수분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장치는, 흙이 수분에 직접 닿아 젖어 있는 것을 싫어하는 식물을 위해 마련되어 수분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10..화분 11..경사면
20..배수수단
100..수분 조절관 110..조절관
111..튜브관 112: 주름관
120..연결관 121..너트형 연결관
122..소켓형 연결관
200..화분 케이스
300..격리수단 301..통공 302..격판
303..지지대 310..물 저장공간

Claims (11)

  1. 식재용 화분(10);
    상기 화분의 저부에 구비되어 화분에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20);
    상기 배수수단에 연결되고 적어도 상기 배수수단의 높이와 같거나 높은 방향으로 굴절 가능한 수분 조절관(100);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조절관(100)은, 배수수단(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120)과,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굴절 가능한 조절관(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20)은, 중앙 관통홀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 형태이고,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암나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볼트형 연결관(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20)은,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이고,
    상기 연결관(120)은, 상기 배수구가 형성된 관 형태의 배수수단에 마찰력에 의해 결속되도록 한 소켓형 연결관(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20)은 화분(10)의 하부 측면에서 수평방향 또는 하부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110)은, 내부에 철망사가 결합된 연질의 합성수지 튜브관(111)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 주름관(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관(11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0)의 저면은 배수수단(20) 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1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조절관(100)의 입구에 필터(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10. 적어도 하나의 화분을 적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화분 케이스(200);
    상기 화분 케이스의 저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분에서 배수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수단(20);
    청구항 1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분 조절관(100)이 상기 배수수단(2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11. 식재용 화분(10);
    상기 화분(10) 내에 흙과 격리된 물 저장공간(310)을 형성하는 격리수단(300);을 포함하되, 상기 격리수단(300)은,
    화분(10)의 내의 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격리하도록 원판 형태로 되고 내부에 복수 개의 통공(301)이 형성된 격판(302)과,
    상기 격판(302)의 테두리에서 화분 바닥까지 하향 연장된 지지대(3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KR1020100086909A 2010-09-06 2010-09-06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KR201200241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09A KR20120024167A (ko) 2010-09-06 2010-09-06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909A KR20120024167A (ko) 2010-09-06 2010-09-06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167A true KR20120024167A (ko) 2012-03-14

Family

ID=4613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909A KR20120024167A (ko) 2010-09-06 2010-09-06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41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21B1 (ko) * 2013-08-30 2014-02-27 (주)록키 삿갓형 메쉬 수중보와 수위조절 배수구를 갖는 농작물 재배기
CN108157014A (zh) * 2018-02-12 2018-06-15 许景垣 一种家用盆景自动灌溉装置
US20230403989A1 (en) * 2022-06-21 2023-12-21 Kevin Fitzgerald Johnson Planter system enhancing growth, care and maintenance of pla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21B1 (ko) * 2013-08-30 2014-02-27 (주)록키 삿갓형 메쉬 수중보와 수위조절 배수구를 갖는 농작물 재배기
CN108157014A (zh) * 2018-02-12 2018-06-15 许景垣 一种家用盆景自动灌溉装置
US20230403989A1 (en) * 2022-06-21 2023-12-21 Kevin Fitzgerald Johnson Planter system enhancing growth, care and maintenance of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8274B2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JP6479841B2 (ja) 複合鉢植物自己給水システム
US20160120139A1 (en) Cultivation apparatus having automatic rainwater supply function
KR20160003218A (ko) 통 형상 녹화 유닛
KR101248076B1 (ko)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CN110475470A (zh) 水培种植单元
KR20120024167A (ko) 화분의 자동 수분 조절장치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JP4203064B2 (ja) 家庭内植物水耕栽培法及び容器
KR101245232B1 (ko) 파이프 타입 식물재배기
KR101344914B1 (ko) 수분 자동 공급장치
KR101136612B1 (ko) 수분 자동 공급 기능성 식물 재배기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JP6170291B2 (ja) 自動水遣り装置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200475509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KR200473373Y1 (ko) 식재용 상자 조립체
CN209251426U (zh) 潮汐式鱼菜共生装置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CN201667866U (zh) 自动浇水花盆
KR101976380B1 (ko) 화분용 뚜껑
JP6535663B2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CN217657238U (zh) 一种组装式植被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