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414A -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414A
KR20120023414A KR1020100086524A KR20100086524A KR20120023414A KR 20120023414 A KR20120023414 A KR 20120023414A KR 1020100086524 A KR1020100086524 A KR 1020100086524A KR 20100086524 A KR20100086524 A KR 20100086524A KR 20120023414 A KR20120023414 A KR 20120023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eye
eyeglass
righ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1026B1 (ko
Inventor
이천석
Original Assignee
이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천석 filed Critical 이천석
Priority to KR102010008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10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구동신호 케이블을 제외한 구동제어장치 및 밧데리를 입체 영상 시청용 안경과 분리하여 제작함으로써 안경의 세련된 디자인 구현 및 무게를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브릿지와 좌우 안경렌즈테 및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의 각 측단에서 후방절곡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D 안경본체와, 상기 안경본체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좌우 안경다리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에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좌우 눈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을 보여주는 좌우 안경렌즈와, 상기 좌우 안경다리의 내부를 따라 상기 좌우 안경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과, 상기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안경본체와 분리되면서 착탈이 가능하게 각종 구동회로 및 밧데리를 내장하고 동작 스위치를 갖는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stereoscopic display device of patterned retarder typ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련된 디자인 구현과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20세기를 전후하여 창안된 이래 점진적으로 발전되어 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셔터 안경, micro polarizer, patterned retarder type 등), 무안경식 입체 영상 표시 장치(parallax barrier, lenticular lens type 등), 그리고 홀로그램 등 각종 방식의 기술이 출현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중 안경식는 무안경식에 비해 시야각이 넓고 감상 시 어지러움 증 유발이 적으며 비교적 저렴한 원가, 특히 홀로그램에 비해서는 매우 저렴한 원가로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3D 감상 시에는 안경을 착용하고 2D는 안경을 착용치 않고 그냥 감상하면 되기 때문에 한 개의 디스플레이로 2D, 3D를 겸용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들이 있어서 현재 그 시장이 확대 일로에 있다.
현재 안경식 3D의 대표적 방식으로는 시교차 방식인 셔터 안경 방식(shutter glasses)과 시분할 방식인 편광분할 방식이 있다.
상기 셔터 안경 방식은 좌우 영상을 한 개의 화면에서 번갈아 표시되게 하면서 셔터 안경의 좌안과 우안의 순차적 개폐 타이밍(timing)을 표시되는 영상의 시교차 시간과 일치시켜서 각 영상이 좌안과 우안에 따로 인식되게 함으로써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상기 편광분할 방식은 한 화면에서 화소를 열, 행, 또는 화소 단위로 2분할하여 2개의 서로 다른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방향으로 표시되게 하고 역시 서로 다른 편광방향을 갖은 좌,우의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안경을 통하여 좌안, 우안이 2개의 서로 다른 영상만을 각각 인식하도록 하거나 상기 셔터 안경 방식과 동일하게 시교차 방식으로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방식이다.
상기 셔터 안경 방식은 감상 시 피로감을 줄이고 입체감을 높이기 위해 단위 시간 당 시교차의 횟수를 높일 필요가 있는데 이 방식을 현행하는 LCD에 적용하는 경우 액정의 느린 응답속도와 스캔(scan)방식의 화면 어드레싱 타이밍(addressing timing)이 시교차 타이밍에 완전히 일치하지 못하는데 기인한 명멸 현상(flicker)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감상 시 어지러움 증과 같은 피로(fatigue)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편광 분할 방식은 위와 같은 명멸 현상(flicker) 발생 요인이 없으므로 감상 시 피로 유발이 적으나 한 화면에서 동시에 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행, 열, 또는 화소를 2 분할해야 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시교차 표시를 위하여 안경 내에 하드웨어를 포함한 구동회로 및 밧데리 등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안경 자체의 크기 및 무게가 상승하여 착용감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구동제어장치 및 밧데리가 안경테 안에 삽입되어 있어 안경테가 두꺼워지므로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가 없고, 무게가 무거워 장시간 착용하고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가 어렵다.
또한, IR 방식으로 전송된 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주변의 형광등으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하여 입체 영상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입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안경테 내에 각종 구동회로 및 밧데리를 내장한 셔터 안경의 무게 및 사이즈에 의해 일반 안경위에 착용하기가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구동신호 케이블을 제외한 밧데리를 포함하는 구동제어장치를 입체 영상 시청용 안경과 분리하고 탈부착이 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안경의 세련된 디자인 구현 및 무게를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브릿지와 좌우 안경렌즈테 및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의 각 측단에서 후방절곡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D 안경본체와, 상기 안경본체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좌우 안경다리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에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좌우 눈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을 보여주는 좌우 안경렌즈와, 상기 좌우 안경다리의 내부를 따라 상기 좌우 안경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과, 상기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안경본체와 분리되면서 착탈이 가능하게 각종 구동회로 및 밧데리를 내장하고 동작 스위치를 갖는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브릿지와 좌우 안경렌즈테 및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의 각 측단에서 후방절곡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D 안경본체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에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좌우 눈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을 보여주는 좌우 안경렌즈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와 브릿지 및 연장부의 상측을 연결하며 착용자의 안면이마의 굴곡에 맞게 내측방 돌출하게 상기 안경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안경테 걸림부와, 상기 안경테 걸림부 양쪽에 구성되는 커넥터 홀더부와, 상기 커넥터 홀더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좌우 안경렌즈에 선택적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안경본체와 분리되면서 착탈이 가능하게 각종 구동회로 및 밧데리를 내장하고 동작 스위치를 갖는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은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수직동기신호의 기수번째 또는 우수번째 인에이블 시점에 해당하는 제 1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온 시간에 도달하는 제 2 시점에 좌안 온신호를 출력하여 좌영상 또는 우영상 드라이버로 공급하고, 이후 상기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오프 시간에 도달하는 제 3 시점에 좌안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좌영상 또는 우영상 드라이버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좌안 또는 우안 온신호에 응답하여 하이 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좌안 또는 우안 오프신호에 응답하여 로우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좌안 또는 우안 온신호의 출력시점과 좌안 또는 우안 오프신호의 출력시점 사이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하이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이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좌안 또는 우안 안경렌즈가 열리고, 로우상태의 좌안 또는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좌안 또는 안경렌즈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동신호가 인가되는 구동신호 케이블을 제외한 구동제어장치 및 밧데리를 입체 영상 시청용 안경과 분리하여 제작함으로써 안경의 세련된 디자인 구현 및 무게를 줄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RF 전송 방식을 통해 영상을 제공받아 입체 영상을 시청함으로써 동기신호의 에러를 줄이면서 전송 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밧데리를 포함하는 구동제어장치를 안경테 내에 내장하지 않음으로써 착용자를 위한 안경다리를 구성하지 않고 일반 안경에 결합하여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넷째, 밧데리를 내장하지 않기 때문에 밧데리의 크기에 상관없이 입체 영상을 장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다섯째, 밧데리를 포함하는 구동제어장치를 입체 영상 시청용 안경과 분리하여 제작하고 상기 구동제어장치를 안경걸이끈에 연결되게 구성함으로써 안경이 착용자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동기신호의 전후로 온/오프 시간을 달리하여 데이터 전송시간이 길어져서 동기신호보다 안경의 온/오프 타임이 지연되어 발생하는 고스트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좌우 안경렌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구동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111)와 좌우 안경렌즈테(112) 및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112)의 각 측단에서 후방절곡 연장된 연장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D 안경본체(110)와, 상기 안경본체(110)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좌우 안경다리(120)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112)와 브릿지(111) 및 연장부(113)의 상측을 연결하며 착용자의 안면이마의 굴곡에 맞게 내측방 돌출하게 상기 안경본체(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안경테 걸림부(114)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112)에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좌우 눈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을 보여주는 좌우 안경렌즈(130)와, 상기 좌우 안경다리(120)의 내부를 따라 상기 좌우 안경렌즈(13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140)과, 상기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140)과 연결되고 상기 안경본체(110)와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종 구동회로 및 밧데리를 내장하고 동작 스위치를 갖는 구동제어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경본체(110)의 내측 중앙부에는 안경착용 유무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착용자(안경미착용자)와 안경착용자의 코 위에 안착되는 코받침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코받침부(150)는 안경 코받침 위치에 장착 및 탈리가 가능한 조립형으로 구성되는데, 좌우 코받침이 다리 연결된 좌우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레탄이나 라텍스와 같은 연결수지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경테 걸림부(114)는 시력보정용 안경착용자가 그 시력보정용 안경을 착용하였을 경우 시력보정용 안경의 렌즈테에 걸리게 된다.
상기 좌우 안경렌즈(13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순차적으로 좌우측 눈에 서로 다른 시각의 양상을 보여주도록 점멸 즉, 좌안과 우안의 시각 위치에서 각각 촬영한 2개의 영상을 모니터에 출력시키고, 이를 좌우에서 순차적으로 점멸하는 좌우 안경렌즈(130)로서 입체 영상을 시청한다.
상기 구동제어장치(200)는 상기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140)을 통해 상기 좌우 안경렌즈(130)를 제어하여 상기 좌우 안경렌즈(130)의 점멸 순서를 제어함과 함께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즉, 상기 구동제어장치(200)는 좌우 안경렌즈(130)가 좌영상을 좌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고 우영상을 우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되, 좌영상 및 우영상이 교대로 좌우 안경렌즈(130)에 표시되도록 좌우 안경렌즈(13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제어장치(200)가 좌영상을 좌우 안경렌즈(130)의 좌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왼쪽 눈만으로 좌영상을 보게 되고, 구동제어장치(200)가 우영상을 좌우 안경렌즈(130)의 우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오른쪽 눈으로만 우영상을 보게 된다.
그리고, 좌영상과 우영상이 교대로 좌우 안경렌즈(130)를 통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를 3D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좌우 안경렌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안경렌즈(130)는 상부 투명 전극(131)이 형성된 상부 투명기판(132)과, 하부 투명 전극(133)이 형성된 하부 투명 기판(134)과, 상기 상부 투명 전극(131)과 하부 투명 전극(133)의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13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투명 기판(132)과 하부 투명 기판(134)은 유리 또는 플렉서블 투명 필름으로 제작된다.
도 3은 도 1의 구동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제어장치(200)는 RF 수신부(210), A/D 변환부(220), 좌영상 변환회로부(231), 우영상 변환회로부(232),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 좌영상 감마 제어부(251), 우영상 감마 제어부(252),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 좌영상 드라이버(271), 우영상 드라이버(272), 마이크로 프로세서(280), 디지털 스위치(290) 및 밧데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RF 수신부(210)는 모니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영되는 3D 영상 신호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모니터를 통해 상영되는 3D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수신한다.
상기 A/D 변환부(220)는 상기 RF 수신부(21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받아 좌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영상 신호와 우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영상 신호를 디지털화, 예컨대, 디지털 RGB 형태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RF 수신부(210)를 통해 좌영상 신호 및 우영상 신호가 혼합된 입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는 상기 A/D 변환부(220)가 RF 수신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입체영상신호를 좌영상 신호 및 우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디지털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A/D 변환부(220)를 통해 분리되어 디지털화된 좌영상 신호는 좌영상 변환 회로부(231)를 거쳐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로 인가된다.
상기 좌영상 변환회로부(231)는 상기 A/D 변환부(220)를 통해 디지털화된 좌영상신호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로 전달한다.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는 상기 좌영상 변환회로부(231)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형태의 좌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는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이 초당 240프레임 이상이 되도록 그 처리 속도가 초당 240프레임 이상의 처리 속도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는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로부터 출력되는 좌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좌우 안경렌즈(도 1의 130)이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에 의해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되는 좌영상신호는 좌우 안경렌즈(130)로 인가된다.
한편, 상기 A/D 변환부(220)를 통해 분리되어 디지털화된 우영상신호는 우영상 변환회로부(232)를 거쳐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로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우영상 변환회로부(232)는 상기 A/D 변환부(220)를 통해 디지털화된 우영상신호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분리하여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로 전달한다.
상기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는 상기 우영상 변환회로부(232)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형태의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는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이 초당 240프레임 이상이 되도록 그 처리 속도가 초당 240프레임 이상의 처리 속도로 동작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는 상기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로부터 출력되는 우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좌우 안경렌즈(130)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에 의해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되는 우영상신호는 좌우 안경렌즈(130)로 인가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는 상기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 상기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가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좌우 안경렌즈(130)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 및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 안경단자(130)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좌영상 및 우영상 드라이버(271,272)는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로부터 출력되는 좌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좌우 안경렌즈(13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좌영상 모듈드라이버(271)와, 상기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로부터 출력되는 우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좌우 안경렌즈(130)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우영상 드라이버(27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는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 및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가 상기 좌영상 드라이버(271) 및 우영상 드라이버(272)에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좌우 안경렌즈(130)에 좌영상 및 우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좌우 안경렌즈(130)를 통해 3D영상을 볼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좌영상 감마 제어부(251) 및 우영상 감마 제어부(2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영상 감마 제어부(251) 및 우영상 감마 제어부(252)는 각각 상기 좌영상 스캔 제어부(261) 및 우영상 스캔 제어부(262)의 전단에 마련되어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 및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화된 영상신호에 대해 감마보정을 수행함으로써, 좌우 안경렌즈(130)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구동조건 등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다수의 감마 보상곡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외부구동조건은 모니터 외부의 온도, 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값이나 기 설정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디지털 스위치(29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좌영상 프레임 메모리(241) 또는 우영상 프레임 메모리(242)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RF 수신부를 하나의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IR 수신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는 수직동기신호(Vsync)의 기수번째 인에이블시점에 해당하는 제 1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온 시간에 도달하는 제 2 시점에 좌안 온신호를 출력하여 좌영상 드라이버(271)로 공급하고, 이후 상기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오프 시간에 도달하는 제 3 시점에 좌안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좌영상 드라이버(271)로 공급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는 수직동기신호(Vsync)의 우수번째 인에이블시점에 해당하는 제 1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온 시간에 도달하는 제 2 시점에 우안 온신호를 출력하여 우영상 드라이버(272)로 공급하고, 이후 상기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오프 시간에 도달하는 제 3 시점에 우안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우영상 드라이버(272)로 공급한다.
상기 좌영상 드라이버(27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로부터의 좌안 온신호에 응답하여 하이 상태의 좌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좌안 오프신호에 응답하여 로우상태의 좌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좌영상 드라이버(271)는 좌안 온신호의 출력시점과 좌안 오프신호의 출력시점 사이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하이상태의 좌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하이상태의 좌안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좌안 안경렌즈(130)가 열리고, 로우상태의 좌안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좌안 안경렌즈(130)가 닫힌다.
상기 우영상 드라이버(27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80)로부터의 우안 온신호에 응답하여 하이상태의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우안 오프신호에 응답하여 로우상태의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우영상 드라이버(272)는 우안 온신호의 출력시점과 우안 오프신호의 출력시점 사이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하이상태의 우안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하이상태의 우안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우안 안경렌즈(130)가 열리고, 로우상태의 우안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우안 안경렌즈(130)가 닫힌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140)이 좌우 안경다리(120)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지 않고, 안경테 걸림부(114) 양쪽에 커넥터 홀더부(160)를 구성하고, 상기 커넥터 홀더부(160)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동제어장치(200)와 연결되어 좌우 안경렌즈(130)에 선택적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신호 케이블 커넥터(17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좌우 안경다리(120)를 구성하지 않고 제 2 실시예와 같이 커넥터 홀더부(160)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동제어장치(200)와 연결되어 좌우 안경렌즈(130)에 선택적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신호 케이블 커넥터(170)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안경 본체(110)의 중앙부에는 보조 안경 결착구(180)를 구성하여 일반 안경 착용자의 안경에 걸쳐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10 : 안경본체 120 : 좌우 안경다리
130 : 좌우 안경렌즈 140 :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
200 : 구동제어장치

Claims (12)

  1. 브릿지와 좌우 안경렌즈테 및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의 각 측단에서 후방절곡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D 안경본체와,
    상기 안경본체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좌우 안경다리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에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좌우 눈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을 보여주는 좌우 안경렌즈와,
    상기 좌우 안경다리의 내부를 따라 상기 좌우 안경렌즈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가 인가되는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과,
    상기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과 연결되고 상기 안경본체와 분리되면서 착탈이 가능하게 각종 구동회로 및 밧데리를 내장하고 동작 스위치를 갖는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와 브릿지 및 연장부의 상측을 연결하며 착용자의 안면 이마의 굴곡에 맞게 내측방 돌출하게 상기 안경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안경테 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본체의 내측 중앙부에는 안경착용 유무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착용자(안경미착용자)와 안경착용자의 코위에 안착되는 코받침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장치는 상기 좌우 안경렌즈가 좌영상을 좌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고 우영상을 우영상 픽셀을 통해 표시하되, 좌영상 및 우영상이 교대로 좌우 안경렌즈에 표시되도록 좌우 안경렌즈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장치는
    모니터를 통해 상영되는 3D 영상 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와,
    상기 RF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받아 좌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영상 신호와 우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화된 좌우영상 신호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분리하는 좌우영상 변환회로부와,
    상기 좌우영상 변환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형태의 좌우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좌우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좌우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좌우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좌우 안경렌즈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좌우영상 스캔 제어부와,
    상기 좌우 영상 스캔 제어부가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좌우 안경렌즈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좌우영상 스캔 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좌우영상 스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좌우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우 안경렌즈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좌우영상 드라이버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장치는
    모니터를 통해 상영되는 3D 영상 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수신하는 IR 수신부와,
    상기 IR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받아 좌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좌영상 신호와 우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우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화된 좌우영상 신호를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분리하는 좌우영상 변환회로부와,
    상기 좌우영상 변환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형태의 좌우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좌우영상 프레임 메모리와,
    상기 좌우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좌우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교대로 처리하여 좌우 안경렌즈가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좌우영상 스캔 제어부와,
    상기 좌우 영상 스캔 제어부가 좌영상신호 및 우영상신호를 교대로 좌우 안경렌즈에 이미지로 표출하도록 좌우영상 스캔 제어부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좌우영상 스캔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좌우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좌우 안경렌즈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좌우영상 드라이버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한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장치는 상기 좌우영상 스캔 제어부의 전단에 마련되어 상기 좌우영상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화된 영상신호에 대해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상기 좌우 안경렌즈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절하는 좌우영상 감마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부구동조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다수의 감마 보상곡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외부구동조건은 모니터 외부의 온도, 밝기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값이나 기 설정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0. 브릿지와 좌우 안경렌즈테 및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의 각 측단에서 후방절곡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3D 안경본체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에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좌우 눈에 서로 다른 시각의 영상을 보여주는 좌우 안경렌즈와,
    상기 좌우 안경렌즈테와 브릿지 및 연장부의 상측을 연결하며 착용자의 안면이마의 굴곡에 맞게 내측방 돌출하게 상기 안경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안경테 걸림부와,
    상기 안경테 걸림부 양쪽에 구성되는 커넥터 홀더부와,
    상기 커넥터 홀더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좌우 안경렌즈에 선택적으로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좌우 구동신호 케이블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안경본체와 분리되면서 착탈이 가능하게 각종 구동회로 및 밧데리를 내장하고 동작 스위치를 갖는 구동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본체의 양단에 힌지 결합되는 좌우 안경다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수직동기신호의 기수번째 또는 우수번째 인에이블시점에 해당하는 제 1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온 시간에 도달하는 제 2 시점에 좌안 온신호를 출력하여 좌영상 또는 우영상 드라이버로 공급하고, 이후 상기 카운트 된 시간이 기 설정된 오프 시간에 도달하는 제 3 시점에 좌안 오프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좌영상 또는 우영상 드라이버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좌안 또는 우안 온신호에 응답하여 하이 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좌안 또는 우안 오프신호에 응답하여 로우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좌안 또는 우안 온신호의 출력시점과 좌안 또는 우안 오프신호의 출력시점 사이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하이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하이상태의 좌안 또는 우안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좌안 또는 우안 안경렌즈가 열리고, 로우상태의 좌안 또는 액정제어신호에 의해 3D안경의 좌안 또는 안경렌즈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00086524A 2010-09-03 2010-09-03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KR101171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24A KR101171026B1 (ko) 2010-09-03 2010-09-03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24A KR101171026B1 (ko) 2010-09-03 2010-09-03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414A true KR20120023414A (ko) 2012-03-13
KR101171026B1 KR101171026B1 (ko) 2012-08-08

Family

ID=4613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524A KR101171026B1 (ko) 2010-09-03 2010-09-03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1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229B1 (ko) * 2011-11-14 2013-08-29 주식회사 이랜텍 입체영상시스템
KR101301961B1 (ko) * 2012-11-23 2013-08-30 (주)디엔알엔지니어링 입체 영상용 안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954B1 (ko) * 2013-01-10 2014-03-12 장순길 보안 영상표시장치
KR101545446B1 (ko) 2014-04-10 2015-08-18 장순길 보안 영상표시장치
KR102340794B1 (ko) 2014-05-01 2021-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에 대한 제어 방법
US10379877B2 (en) 2014-05-01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9466B2 (ja) 2008-09-02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システム及び立体映像表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229B1 (ko) * 2011-11-14 2013-08-29 주식회사 이랜텍 입체영상시스템
KR101301961B1 (ko) * 2012-11-23 2013-08-30 (주)디엔알엔지니어링 입체 영상용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1026B1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8846B (zh) 影像資料處理方法以及使用該方法的立體影像顯示裝置
KR101171026B1 (ko) 셔터 안경 방식의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구동방법
CN102918853B (zh) 用于立体三维系统中的自适应稳定图像时序的方法和装置
US20120162764A1 (en) Head-mounted display
TW200931065A (en) Three dimension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thereof
WO2015192550A1 (zh) 3d显示驱动方法及3d眼镜驱动方法
TW201128620A (en)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which adjusts backlight to generate a 3D image effect and method thereof
KR101309705B1 (ko)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KR20150070649A (ko)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CN101742347B (zh) 实现立体显示的方法、显示装置及显示系统
CN102223564A (zh) 2d/3d可切换、景深可调显示模组
US91916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using photosensitive lenses
KR20130056133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12031387A1 (zh) 一种3d图像显示方法、系统、3d电视及眼镜
US85474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video in three dimensions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US86988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ime multiplexed stereo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KR20120040947A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3차원 영상 처리방법
CN103391444B (zh) 视频显示系统和眼镜装置
US2013004410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Enhanced Depth Effect
EP2563025A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WO2013078740A1 (zh) 液晶立体显示系统及驱动方法
CN202135263U (zh) 2d/3d可切换、景深可调显示模组
KR101338238B1 (ko)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시청용 안경
US201503386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an image
KR101812721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