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228A -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 Google Patents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228A
KR20120023228A KR1020100085354A KR20100085354A KR20120023228A KR 20120023228 A KR20120023228 A KR 20120023228A KR 1020100085354 A KR1020100085354 A KR 1020100085354A KR 20100085354 A KR20100085354 A KR 20100085354A KR 20120023228 A KR20120023228 A KR 20120023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using
foaming
urinal
diffu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택
Original Assignee
(주)고려엘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엘앤에스 filed Critical (주)고려엘앤에스
Priority to KR1020100085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3228A/en
Publication of KR2012002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2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PURPOSE: A bubble-washing type urinal is provided to improve durability by forming the exterior of the urinal using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CONSTITUTION: A bubble-washing type urinal comprises a foaming housing(11), a collecting box(16), a guide tube(15), an inlet tube(17), a gas supplier(14), an outlet tube(19), a distribution box(12), and a toilet bowl(13). The foaming housing accepts water and a foaming agent. The collecting box is installed inside the foaming housing. One end of the guide tub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foaming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ox. The inlet tube is installed inside the foaming housing. A diffusion device(18) is attached on the end of the inlet tube. The gas supplier supplies gas to the diffusion device. One end of the outlet tube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ox,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distribution box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outlet tube. The toilet bowl receives foam(F) from the distribution box.

Description

포세 방식의 소변기{Bubble-Washing Type of Urinal}Force-type urinal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본 발명은 포세 방식의 소변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물과 거품 발생제가 혼합된 용액에 기체가 공급되어 발생된 거품으로부터 세정될 수 있는 포세 방식의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e type ur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e type urinal which can be cleaned from bubbles generated by supplying gas to a solution in which water and a foaming agent are mixed.

소변기는 주로 공중 화장실에 좌변기와 함께 다수 개가 설치되지만 좌변기가 설치되기 어려운 공간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좌변기와 달리 소변기는 별도로 세척을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기 어려우므로 예를 들어 인체를 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와 같은 장치가 설치되어 세척되도록 한다. 그러나 인체 탐지 센서에 의하여 소변기를 세척하는 방법은 불필요한 작동으로 인하여 세척수가 낭비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는 한편 센서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제조 및 유지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아울러 전력 공급이 어려운 곳에 설치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인체 감지에 의한 세척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품에 의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포세 방식이 개발되었다. 포세 방식은 배출되는 물에 일정량의 계면 활성제를 투입하여 발생된 거품으로 소변기를 세척하는 방식을 말한다. 공지의 포세 방식은 불필요한 물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계면 활성제를 일정량으로 투입하기 위하여 전자 방식의 계측기가 사용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거품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방식의 조절기가 설치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Many urinals are installed in the public toilet together with the toilet, but may be installed independently in a space where the toilet is difficult to install. Unlike the toilet seat, the urinal is difficult to install a separate switch for cleaning, so for example to install a device such as an infrared sensor that can detect the human body to be cleaned. However, the method of washing the urinal by the human body detection sensor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washing water may be wasted due to unnecessary operation, while the sensor has to be installed separately, and the manufacturing and maintenance cost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power supply is difficul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washing method by detecting the human body has been developed a washing method that is washed by the foam. Posing method is a method of washing the urinal with the foam generated by adding a certain amount of surfactant to the discharged water. Known posing method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unnecessary discharge of water, but electronic measuring instrument must be used to add a certain amount of surfactant, and electronic regulator is installed to control the amount of foam dis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should be.

본 발명은 물 세척 방식의 소변기와 공지의 포세 방식의 소변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urine of the water washing method and the known urination method of urine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 방식으로 작동하여 제조 및 유지가 간단하면서 설치 장소의 제한이 없는 포세 방식의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e type urinal which is operated in a mechanical manner, which is simple to manufacture and maintain, and which is not restricted in the installation site.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세 방식의 소변기는 물과 거품 발생제가 수용되는 거품 발생 하우징; 거품 발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포집 통; 한 쪽 끝이 거품 발생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한쪽 끝이 포집 통에 연결된 유도 튜브; 유도 튜브를 통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끝 부분에서 확산 장치가 부착된 유입 튜브; 유입 튜브를 통하여 확산 장치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기; 포집 통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 배출관의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된 분배 통; 및 분배 통으로부터 거품이 공급되는 변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uring type urinal includes: a foaming housing in which water and a foaming agent are accommodated; A collecting container installed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An induction tube,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vessel; An inlet tube installed inside the foaming housing through the induction tube and having a diffusion device attached at an end thereof; A gas supply for supplying gas to the diffusion apparatus through the inlet tube; A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A dispensing pai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a toilet in which foam is supplied from the dispensing pail.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거품은 다수 개의 배출 홀을 통하여 변기로 공급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oam is fed to the toilet throug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낮으면서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FRP)으로 외관을 형성하여 내구성이 높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전자식이 아닌 기계식으로 작동하므로 고장의 우려가 없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면서 지속적인 거품 발생으로 인하여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appearance is made of glass-reinforced fiber plastic (FRP) high durability. In addition, the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hygienicity can be improved due to the continuous foam generation while having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because there is no fear of failure because it is operated mechanically rather than electroni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의 하나의 실시 예에 대한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하우징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하우징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하우징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foamin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foamin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oamin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을 참조하면, 소변기는 물과 거품 발생제가 수용되는 거품 발생 하우징(11);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에 설치되는 포집 통(16); 한 쪽 끝이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한쪽 끝이 포집 통(16)에 연결된 유도 튜브(15); 유도 튜브(15)를 통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고 끝 부분에서 확산 장치(18)가 부착된 유입 튜브(17); 유입 튜브(17)를 통하여 확산 장치(18)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기(14); 포집 통(16)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19); 배출관(19)의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된 분배 통(12); 및 분배 통(12)으로부터 거품(F)이 공급되는 변기(1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urinal includes a foaming housing 11 in which water and a foaming agent are accommodated; A collecting container 16 installed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An induction tube 15 whose one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vessel 16; An inlet tube (17) installed inside the foaming housing (11) via an induction tube (15) and attached with a diffusion device (18) at the end; A gas supplier 14 for supplying gas to the diffusion device 18 through an inlet tube 17;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16, the other end is discharge pipe 19 exposed to the outside; A distribution barrel 12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19; And a toilet 13 to which foam F is supplied from the dispensing pail 12.

거품 발생 하우징(11)은 물과 거품 발생제의 혼합액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합성수지 또는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FRP는 폴리에스터 수지에 섬유 등의 강화재를 혼합하여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향상시킨 플라스틱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공지의 소재를 말한다.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최대량은 제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포집 통(16)의 아래쪽 부분까지 채워지는 것이 유리하다. 거품 발생제는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가 될 수 있고 계면활성제는 거품의 발생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카르복시산 염, 술폰산 염 또는 인산염 구조를 가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친수기로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설포베타인 또는 알킬카르복시베타인과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글리콜과 같은 저분자 계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고분자 계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foaming housing 11 may be of any shape capable of containing a mixture of water and the foaming agent,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 have. FRP refers to a known material that is used as a building material as a plastic material in which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re improved by mixing reinforcing materials such as fibers with polyester resin. The maximum amount of water and foam generating agent contained within the foaming housing 11 can be limited and advantageously filled up to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ng pail 16, for example. The foaming agent can be, for example, a surfactant and the surfactant is for foaming, for example anionic surfactants having a carboxylic acid salt, sulfonic acid salt or phosphate structure, cationic surfactant comprising a quaternary ammonium salt as a hydrophilic group. Amphoteric surfactants, such as alkylsulfobetaines or alkylcarboxybetaines, and low-molecular series such as alkylglycols or nonionic surfactants consisting of polymer system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and polyvinyl alcohol.

포집 통(16)은 속이 빈 원통 형상이 될 수 있고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의 위쪽에 형성될 수 있다. 포집 통(16)은 발생된 거품을 수용하는 한편 배출관(19)을 통하여 거품을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 또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collecting cylinder 16 may be of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formed above the in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The collecting container 1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r structures to receive the generated bubbles and to discharge the bubbles to the out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through the discharge pipe 19.

유도 튜브(15)는 한 쪽 끝이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한쪽 끝은 포집 통(16)에 연결된다. 유도 튜브(15)는 속이 관로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관로를 따라 유입 튜브(17)가 배치될 수 있다. 유입 튜브(17)의 한 쪽 끝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에 위치하는 기체 발생기(14)에 연결되고 다른 한 쪽 끝에 유도 튜브(15)의 내부로 유도된 확산 장치(18)가 부착된다. 유입 튜브(17)는 기체 발생기(14)로부터 발생된 기체를 확산 장치(18)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기체가 흐를 수 있으면서 유입 튜브(17)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 또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induction tube 15 has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ail 16. Induction tube 15 has a structure that can form a conduit can be disposed along the inlet tube 17 along the conduit. One end of the inlet tube 17 is connected to a gas generator 14 located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is attached with a diffuser 18 guided into the induction tube 15. do. The inlet tube 17 is for supplying the gas generated from the gas generator 14 to the diffusion device 18 and is made of any shape or material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tube 17 while the gas can flow therethrough. Can lose.

확산 장치(18)는 기체 발생기(14)로부터 유입 튜브(17)를 통하여 공급된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에어 스톤 또는 라임 우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에어 스톤은 탱크 내부로 산소를 점진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라임우드(limewood) 또는 다공성 돌(poros stone)을 말한다. 에어 스톤은 유리 비드(bonded glass beads) 또는 유리섬유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형상, 크기 또는 크기 비율(coarseness)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스톤은 적절한 직경의 공기 호스를 가진 플라스틱 노즐에 연결된 푸른색을 띠는 세라믹 소재의 다공성 돌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크기 또는 색깔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에어 스톤은 미세한 틈을 가진 고형 집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압축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산 장치(18)는 에어 스톤에 제한되지 않고 물과 거품 발생제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한다. Diffusion device 18 is for diffusing gas supplied from gas generator 14 through inlet tube 17 and may be, for example, air stone or lime wood. Air stone refers to limewood or poros stone used for the purpose of gradually diffusing oxygen into the tank. Air stones can be made from bonded glass beads or glass fibers and can generate various kinds of bubbles depending on shape, size or coarseness. For example, the air stone can be a blue-colored porous porous stone of ceramic material connected to a plastic nozzle with an air hose of the appropriate diameter, but can be made in various shapes and sizes or colors. The air stone can be mechanically compressed to form a solid aggregate with fine gaps and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Diffusion device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means capable of generating bubbles from water and foam generators, without being limited to air stones.

배출관(19)은 포집 통(16)에 채워진 거품을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거품을 이송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관이 될 수 있다. 배출관(19)의 한쪽 끝은 포집 통(16)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분배 통(1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ipe 19 is for discharging the bubbles fill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16 to the out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may be any type of pipe capable of transferring the foam made of synthetic resin, for example.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19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16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container 12.

분배 통(12)은 배출관(19)을 통하여 공급되는 거품을 변기(13)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 형상 또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수 개의 분배 홀(121)을 통하여 변기(13)에 거품(F)을 제공할 수 있다. 다수 개의 분배 홀(121)로 배출되는 거품(F)은 변기(13)의 내부 면을 타고 흐르면서 변기(13)를 세척하게 된다. 거품(F)은 지속적으로 배출관(19)을 통하여 분배 통(12)으로 공급되어 분배 홀(121)을 통하여 변기(13)를 세척하게 된다. 분배 홀(121)은 예시적인 것으로 거품(F)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기(13)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 형태로 틈을 형성하여 거품(F)이 변기(13)로 공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거품(F)은 변기(13)에 공급될 수 있고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거품(F)을 변기(13)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거품(F)의 공급 방식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Dispensing bin 12 is for supplying the foam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9 to the toilet bowl 13 may have a cylindrical or hexahedral shape and the foam in the toilet 13 through a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121 ( F) may be provided. The foam F discharged into the plurality of distribution holes 121 flow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13 to clean the toilet 13. Foam (F)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barrel 12 through the discharge pipe 19 to clean the toilet 13 through the distribution hole 121. The dispensing hole 121 is exemplary and the foam F may be supplied to the toilet 13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bubble F may be supplied to the toilet 13 by forming a gap in a lattice form. As such, the foam F may be supplied to the toilet 13 in various ways,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provide the foam F to the toilet 13 in an appropriate manner as need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eeding method of F).

아래에서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거품 발생 하우징(11)은 전체적으로 밑면적이 넓은 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고 FRP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물과 계면활성제와 같은 거품 발생제의 혼합액이 채워질 수 있다. 거품 발생제제는 물과 함께 주입구(P)를 통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로 주입되거나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에 채워지는 혼합액의 만수위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액은 수위 제한선(L)까지만 채워질 수 있고 내부 측면(113)에 형성되는 수위 제한선(L)은 포집 통(16)의 가장 낮은 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아래로 설정될 수 있다. 수위 제한선(L)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채워지는 혼합액의 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특정한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2a shows an embodiment of a foaming housing 11 according to the invention. Referring to FIG. 2A, the foaming housing 11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 wide base surface and may be made of FRP or plastic. A mixture of water and a foaming agent such as a surfactant may be filled in the foaming housing 11. The foaming agent may be injected into the foaming housing 11 through the injection hole P together with water, or may be injected into the foaming housing 11 in various ways. The full water level of the mixed liquid filled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may be limited. For example, the mixed liquid may be filled only up to the level limit line L, and the level limit line L formed on the inner side 113 may be set equal to or below the lowest position of the collecting barrel 16. The level limit line L is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the mixed liquid filled in the foaming housing 11 and may be displayed in any form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위쪽 또는 내부 윗면(111)에 인접한 곳에 포집 통(16)이 설치되고 포집 통(16)의 내부는 거품을 발생시키면서 거품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 튜브(15a, 15b)가 연결될 수 있다. 유도 튜브(15a, 15b)는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다시 위쪽으로 연장되어 관 유입 홀(I)을 통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 연결된다.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에 노출된 유도 튜브(15a, 15b)의 한쪽 끝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고 유도 튜브(15a, 15b)의 다른 한쪽 끝은 포집 통(16)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a의 A로 표시된 상세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 튜브(15a, 15b)의 내부에 도 1에서 설명한 기체 공급기에 연결되는 유입 튜브(17)가 유도 튜브(15a, 15b)의 일정 깊이까지 투입될 수 있고 유입 튜브(17)의 끝에 확산 장치(18)가 고정될 수 있다. Induction tubes (15a, 15b)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oam generating housing 11 or adjacent to the inner upper surface 111, and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cylinder 16 induces the flow of bubbles while generating bubbles Can be connected. The induction tubes 15a, 15b extend downwardly in the interior of the foaming housing 11 and again upwards and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11 through the tube inlet hole I. One end of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exposed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11 may be open or closed and the other end of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may be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ail 16. . As shown in detail shown by A in FIG. 2A, an inlet tube 17 connected to the gas supply described in FIG. 1 is introduced to the inside of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to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And diffusion device 18 may be secured at the end of the inlet tube 17.

도 2a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 장치(18)는 산소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튜브(17)의 끝 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유도 튜브(15a, 15b)에 형성된 유입 홀(151)을 통하여 유입 튜브(15a, 15b)의 내부로 유입된 혼합액으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입 튜브(15a, 15b)는 내부 아랫면(112)에 인접하는 위치를 경유하여 포집 통(16)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유도 튜브(15a, 15b)의 연결 경로는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의 혼합액이 유입 홀(151)을 통하여 쉽게 유도 튜브(15a, 15b)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발생된 거품이 쉽게 거품 포집 통(16)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발생된 거품은 포집 통(16)에 수집될 수 있고 포집 통(16)에 채워진 거품은 배출관(19)을 통하여 변기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19)의 한쪽 끝은 배출구(O)를 통하여 포집 통(16)에 연결되고 그리고 다른 한쪽 끝은 T자 연결 튜브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관 연결 수단(T)에 의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 유도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2A, the diffusion device 18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let tube 17 into which oxygen or air is introduced and through an inlet hole 151 formed in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Bubbles may be generated from the mixed liquid introduced into the inflow tubes 15a and 15b. The inlet tubes 15a, 15b are advantageously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in 16 via a position adjacent the inner bottom 112. Such a connection path of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not only allows the mixed liquid in the foaming housing 11 to easily enter the inside of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through the inlet hole 151 but also simultaneously generates bubbles. This can be easily collected in the bubble collection container 16. The generated bubbles may be collect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16 and the bubbles fill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16 may be discharged to the toilet through the discharge pipe 19. One end of the discharge tube 19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barrel 16 via an outlet O, and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tube 19 is connected by a tube connecting means T known in the art, such as a T connecting tube. 11) can be induced outside.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배출구(O)는 유도 튜브(15a, 15b)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편 쪽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거품 발생 하우징(11)이 설치된 상태에서 포집 통(16)의 위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구(O)의 위치는 포집 통(21)에 충분한 양의 거품이 채워진 이후에 거품이 변기로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포집 통(16)의 거품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관 연결 수단(T)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설치된 상태에서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근에 설치될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관 연결 수단(T)은 포집 통(16)의 아래쪽과 변기의 위쪽 부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As shown in FIG. 2A, the outlet O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are connected, and also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cylinder 16 with the foaming housing 11 installed. Can be formed. Such a position of the outlet O allows the foam to be continuously discharged to the toilet bowl after a sufficient amount of foam is filled in the collecting container 21. In addition, the pipe connecting means (T) for guiding the foam of the collecting barrel 16 to the outside can be installed near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oaming housing 11 in the installed state of the foaming housing 11, but in particular It is not limited. However, the pipe connecting means (T) is advantageous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llecting container 16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위쪽에 설치된 주입구(P)는 혼합액의 유입을 위한 것으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inlet (P) installed above the foaming housing (11) is for the inflow of the mixed liquid and can be installed by a suitable method known in the art, and a cover may be installed as necessary.

도 2a에서 유도 튜브(15a, 15a)가 2개인 경우가 실시 예로 제시되어 있지만 유도 튜브(15a, 15b)는 하나가 되거나 또는 여러 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유도 튜브(15a, 15b)의 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In FIG. 2A, two induction tubes 15a and 15a are shown as an example, but the induction tubes 15a and 15b may be one or severa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number of induction tubes 15a and 15b. It is not limited by.

거품 발생 하우징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foaming housing can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도 2b는 거품 발생 하우징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B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foaming housing.

도 2b를 참조하면, 거품 발생 하우징(11)은 발생된 거품을 수집하는 포집 관(16a);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포집 관((16a)에 연결된 유도 튜브(15a), 유도 튜브(15a)의 내부로 유도되는 유입 튜브(17)의 끝 부분에 부착된 확산 장치(18) 및 포집 관(16a)의 거품을 변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9)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includes a collecting tube 16a for collecting the generated bubbles; Diffusion device attached to the end of inlet tube 17 which extends from the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11 to the inside a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ube 16a and guided into the inside of the induction tube 15a 18 and a discharge tube 19 for discharging the bubbles of the collecting tube 16a to the toilet bowl.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는 투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투입된 혼합액은 수위 제한선(L)까지 채워질 수 있다. 도 2의 B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 튜브(15a)는 유입 튜브(17)의 끝 부분에 결합된 확산 장치(18)가 포집 관(16a)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유도 튜브(15a)는 속이 빈 관 형상으로 한쪽 끝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다른 한 쪽 끝은 포집 관(16a)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한 쪽 끝을 통하여 끝 부분에 확산 장치(18)가 설치된 유입 튜브(17)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도록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의 B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확산 장치(18)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기체 유입 튜브(17)는 유도 튜브(15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 튜브(15a)는 내부로 기체가 이동될 수 있는 속이 빈 관 구조를 가지면서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체 공급기에 연결될 수 있다. 기체 공급기에서 공급되는 기체는 유도 튜브(15a)를 통하여 포집 관(16a)의 내부에 위치하는 확산 장치(18)에 공급되어 거품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may be filled up to the level limit line L of the mixed liq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not shown). As shown in part B of FIG. 2, the induction tube 15a can induce a diffusion device 18 coupled to the end of the inlet tube 17 to be fixed at a fixed position of the collection tube 16a. . The induction tube 15a is a hollow tube shape, one end of which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11 and the other end thereof can be connected to the collecting tube 16a. Through one end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injected so that the inlet tube 17 is provided with a diffusion device 18 installed at the end. For example, as shown in part B of FIG. 2B, the gas inlet tube 17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induction tube 15a so that the diffusion device 18 is located slightly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foaming housing 11. Can be introduced inside. The inlet tube 15a may be connected to the gas supplier describ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while having a hollow tube structure through which gas can move.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ier may be supplied to the diffusion device 18 located inside the collection tube 16a through the induction tube 15a to induce the generation of bubbles.

유도 튜브(15a)는 포집 관(16a)의 아래쪽 부분에 연결되고 유도 튜브(15a)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 튜브(17)의 끝 부분에 설치된 확산 장치(18)는 포집 관(16a)의 아래쪽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포집 관(16a)은 물과 거품 발생제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포집 관(16a)의 아래쪽 끝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 아랫면(112)로부터 일정 간격(t)만큼 이격되어 있고 그리고 이격 된 틈을 통하여 혼합액이 포집 관(16a)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포집 관(16a)의 내부로 혼합액을 유입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2b에 제시된 유입 구조에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집 관(16a)의 아래쪽 면 또는 측면의 아래쪽 부분에 유입 홀을 형성하여 혼합액을 포집 관(16a)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The induction tube 15a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llection tube 16a and the diffusion device 18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let tube 17 which flows into the induction tube 15a is located below the collection tube 16a. It can be located in the part. As shown in FIG. 2B, the collection tube 16a has a structure in which water and a foaming agent can be introduced.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the hollow cylindrical collecting tube 16a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112 of the foaming housing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 and the mixed liquid is collected through the spaced apart gap 16a. ) Can flow into the interior. The method of introducing the mixed solution into the collection tube 16a may be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let structure shown in FIG. 2B. For example, an inflow hole may b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r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ollection tube 16a to introduce the mixed liquid into the collection tube 16a.

포집 관(16a)의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액은 확산 장치(16a)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에 의하여 거품 형태로 만들어져 포집 관(16a)에 채워지게 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만수위는 수위 제한선(L)이 될 수 있고 포집 관(16a)의 내부에서 거품은 거품 발생 면(L1)의 위쪽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후 거품이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계속적으로 거품 발생이 되면서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거품 발생 면(L1)도 점차로 낮아지게 되고 거품은 거품 발생 면(L1)의 위쪽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거품 발생 면(L1)은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변하게 되고 거품은 거품 발생 면(L1)의 위쪽에 항상 채워지게 된다. 채워진 거품은 거품 발생 면(L1)의 위쪽에 배출 입구(191)를 통하여 포집 관(16a)에 연결되고 그리고 배출 연결구(192)에 의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분배통에 연결된 배출관(19)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The mixed liquid flowing into the collection tube 16a is made into a bubble by the gas supplied from the diffusion device 16a and filled in the collection tube 16a. As described above, the full water level of the foaming housing 11 may be the level limit line L and the bubbles are filled above the foaming surface L1 in the collecting tube 16a. Thereafter, bubbles are gener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bubbles are continuously generated, and the water level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is lowered. Accordingly, the bubble generating surface L1 is gradually lowered, and the bubble is filled above the bubble generating surface L1. In this way, the bubble generating surface L1 is chang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11, and the bubble is always filled above the bubble generating surface L1. The filled foam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9 connected to the collecting pipe 16a through the discharge inlet 191 above the bubble generating surface L1 and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container described in FIG. 1 by the discharge connector 192. Can be.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거품 발생 면(L1)은 수위에 따라 변하지만 확산 장치(18)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확산 장치(18)의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 수위에 따른 압력의 변화로 인하여 확산 장치(18)에서 배출되는 기체의 양이 달라지고 이로 인하여 거품의 발생 정도 또는 거품의 질이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확산 장치(18)의 위치가 수위에 따라 변하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아래에서 확산 장치(18)의 위치가 수위에 따라 변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the bubble generating surface L1 varies with the water level, but the diffusion device 18 is fixed at a fixed posi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diffusion device 18 is fixed, the amount of gas discharged from the diffusion device 18 is changed due to a change in pressure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which may change the degree of foaming or the quality of the foam. Therefore, if necessary, the position of the diffusion device 18 needs to be made to change with the water level. An embodiment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diffusion device 18 change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will be described below.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하우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c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foaming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를 참조하면, 확산 장치(17a)는 부유 이동구(22)에 고정되어 포집 관(16b)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부유 이동구(22)는 혼합액의 비중을 고려하여 일부가 수면 위로 노출되고 포집 관(16b)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부유 이동구(22)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내부에 빈 공간을 가져 혼합액의 비중보다 약간 작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부유 이동구(22)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확산 장치(18a)는 부유 이동구(22)에 고정되어 부유 이동구(22)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확산 장치(18a)는 수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부유 이동구(22)에 고정될 수 있고 유입 튜브(17a)의 끝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유입 튜브(17a)는 유도 튜브(15b)를 통하여 포집 관(16b)의 내부로 유입되고 포집 관(16b)의 내부에서 포집 관(16b)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연장될 수 있다. 부유 이동구(22)의 상하 방향(H)의 이동에 따라 확산 장치(18a)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포집 관(16b)의 내부에서 연장된 유입 튜브(17a)의 형태도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만수위에서 유입 튜브(17a)는 직선 형태로 연장되지만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구부러진 형상이 된다. 그러므로 유입 튜브(17a)는 고무와 같이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고 필요에 따라 구부러져 겹쳐질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수위에 따른 유입 튜브(17a)의 형상 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소재 또는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부유 이동구(22)는 확산 장치(18a)의 이동을 위한 실시 예로 제시된 것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확산 장치(18a)가 포집 관(16b)의 내부에서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C, the diffusion device 17a may be fixed to the floating port 22 and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water level of the collection pipe 16b. The floating movable tool 22 may be made to be partially movable over the water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ixed liquid and movable up and down within the collection pipe 16b. The floating mobile device 22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and may be made to have a space small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ixed liquid, if necessary, with an empty space therein. The floating mobile tool 22 may be made in any form known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The diffusion device 18a is fixed to the floating port 22 and may move alo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loating port 22. The diffusion device 18a may be fixed to the floating port 22 so that it is located slightly below the water surface and may be fixed to the end of the inlet tube 17a. The inflow tube 17a is introduced into the collection tube 16b through the induction tube 15b and can be appropriately extend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collection tube 16b inside the collection tube 16b. The diffusion device 18a moves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up-and-down direction H of the floating moving port 22, and thus, the shape of the inflow tube 17a extending in the collection tube 16b also changes. Specifically, the inflow tube 17a extends in a straight line at the full water level, but becomes bent as the water level is lowered. Therefore, the inflow tube 17a is advantageous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and needs to be made of a material which can be bent and overlapped as necessary. The shape change of the inlet tube 17a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or method presented. In addition, the floating mobile device 22 is presented as an embodiment for the movement of the diffusion device 18a and in various ways to allow the diffusion device 18a to be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inside the collecting pipe 16b. It is not limited.

포집 관(16b)의 내부로 아래쪽에 형성되는 이격 틈(G)을 통하여 혼합액이 유입되고 유입 튜브(17a)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가 확산 장치(18a)를 통하여 확산되면서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거품은 포집 관(16b)의 위쪽에 채워지게 되고 일정량이 지속적으로 거품 배출 관(19)을 통하여 변기로 배출된다. The mixed liq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spaced gap G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tube 16b and the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tube 17a diffuses through the diffusion device 18a to generate bubbles. The generated bubbles are fi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llecting tube (16b) and a certain amount is continuously discharged to the toilet through the bubble discharge tube (19).

이와 같이 혼합액의 수위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압력에서 거품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변기로 배출되는 거품의 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ion of bubbles at a constant pressure regardless of the change in the level of the mixed liquid has the advantage that the quality of the bubbles discharged to the toilet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 거품 세척에 의하여 소변기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거품의 발생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면서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simple to manufacture and install, and that the cleanliness of the urinal can be maintained by foam washing. In addition, the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for the generation of foam is made of glass-reinforced fiber plastic material while being easy to maintain and repair,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only limit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 거품 발생 하우징 12: 분배 통
13: 변기 14: 기체 공급기
15, 15a 15b: 유도 튜브 16: 포집 통
17: 유입 튜브 18, 18a: 확산 장치
19: 배출관 121: 분배 홀
16a, 16b: 포집관 22: 부유 이동구
191:배출 입구 192: 배출 연결구
113: 내부 측면 111: 내부 윗면
151: 유입 홀 112:내부 아랫면
I: 관 유입 홀 O: 배출구
P: 주입구 T: 관 연결 수단
H: 상하 이동 F: 거품 L: 수위 제한선 L1: 거품 발생 면
11: foaming housing 12: dispensing pail
13: toilet 14: gas supply
15, 15a 15b: induction tube 16: collection bin
17: inlet tube 18, 18a: diffusion device
19: discharge pipe 121: distribution hole
16a, 16b: collection tube 22: floating mobile device
191: discharge inlet 192: discharge connector
113: internal side 111: internal top surface
151: inflow hole 112: the inner lower surface
I: Pipe inlet hole O: Outlet
P: inlet T: pipe connection means
H: Up and down F: Bubble L: Water level limit line L1: Bubble generation surface

Claims (2)

물과 거품 발생제가 수용되는 거품 발생 하우징;
거품 발생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포집 통;
한 쪽 끝이 거품 발생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한쪽 끝이 포집 통에 연결된 유도 튜브;
유도 튜브를 통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끝 부분에서 확산 장치가 부착된 유입 튜브;
유입 튜브를 통하여 확산 장치에 기체를 공급하는 기체 공급기;
포집 통(16)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외부로 노출된 배출관;
배출관의 다른 한쪽 끝에 연결된 분배 통; 및
분배 통으로부터 거품이 공급되는 변기를 포함하는 포세 방식의 소변기.
A bubble generating housing containing water and a bubble generating agent;
A collecting container installed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housing;
An induction tube,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oaming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vessel;
An inlet tube installed inside the foaming housing through the induction tube and having a diffusion device attached at an end thereof;
A gas supply for supplying gas to the diffusion apparatus through the inlet tub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llecting container 16, the other end is discharge pipe exposed to the outside;
A dispensing pai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A force urinal comprising a toilet fed from the dispensing pail.
청구항 1에 있어서, 거품은 다수 개의 배출 홀을 통하여 변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 방식의 소변기.
The urinal of claim 1, wherein the foam is supplied to the toilet throug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KR1020100085354A 2010-09-01 2010-09-01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KR201200232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54A KR20120023228A (en) 2010-09-01 2010-09-01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54A KR20120023228A (en) 2010-09-01 2010-09-01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228A true KR20120023228A (en) 2012-03-13

Family

ID=4613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354A KR20120023228A (en) 2010-09-01 2010-09-01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322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8759A (en) Free-moving efficient aerator
CN205953582U (en) Dissolved gas floatator
CN102517850A (en) Method for judging pouring time for automatic pouring system of detergent and washing machine
KR200476778Y1 (en) Foaming ceramic sanitary
CN103112916B (en) The floating type case groove foam of a kind of suspension is collected and cancellation element
KR20120022302A (en)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 in a bubble-washing type toilet
KR20120023228A (en)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CN111468489B (en) Chemistry experiment waste liquid recovery processing de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200974796Y (en) Micro-porous tube oxygenation plate for water dispersion oxygenation
CN102514098B (en) Foam concrete slurry producing and conveying machine
CN100434880C (en) Correcting apparatus enhancing volume measuring accuracy of small size bell jar and correcting method thereof
CN102179181A (en) Experimental test and water production device for ultrafiltration membrane
KR20120005144A (en) Portable toilet
KR200351198Y1 (en) A bidet installed bubble generator with water line
CN210103532U (en) Air stripping mixes medicine reaction unit that adds that combines together with net flocculation
JP4790995B2 (en) Slurry dilution device
CN206483608U (en) A kind of rainwater utilizes device
CN206157840U (en) Device in succession foams
CN110078205A (en) A kind of membrane bioreactor pilot plant test device
KR200360137Y1 (en) Bubble Production Device for Bubble Toilet
KR20120057843A (en) Structure of Apparatus for Generating Bubble in Bubble Type of Toilet
CN205570955U (en) Advance abluent auxiliary device of appearance bottle
JP2001140329A (en) Flush toilet stool, drain socket, and toilet
CN205024000U (en) Automatic control formula S separates water course sewage treatment integration equipment
KR101279629B1 (en) Apparatus for making minute bub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