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144A - Portable toilet - Google Patents

Portable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144A
KR20120005144A KR1020100065744A KR20100065744A KR20120005144A KR 20120005144 A KR20120005144 A KR 20120005144A KR 1020100065744 A KR1020100065744 A KR 1020100065744A KR 20100065744 A KR20100065744 A KR 20100065744A KR 20120005144 A KR20120005144 A KR 20120005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ubble
bucket
foa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인택
Original Assignee
(주)고려엘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엘앤에스 filed Critical (주)고려엘앤에스
Priority to KR102010006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144A/en
Publication of KR20120005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1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Abstract

PURPOSE: A toilet bowl structure for a bubble flush toilet using FRP(Fiber Reinforced Plastic) is provided to keep a toilet by employing a bubble flush method and ensure convenient assembly and installation. CONSTITUTION: A toilet bowl structure for a bubble flush toilet using FRP comprises a bubble guide pipe(41), a bubble guide channel(132), an outer sheath(131), a guide channel cover(133), and a sewage drainage(134). The bubble guide pipe conducts bubble provided from a water tank(11) to a toilet bowl. The bubble guide channel conducts the bubble provided from the bubble guide pipe to the boundary surface of the toilet bowl. The guide channel cover protects the bubble guide channel.

Description

이동식 화장실{Portable toilet}Portable toilet {Portable toilet}

본 발명은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작업장에서 조립 방식으로 만들어져 정해진 장소로 이동되어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거품으로 변기의 내부를 세척하는 거품 세척이 가능한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oile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by moving to a predetermined place made in an assembly manner in the workplace and can be washed with foam to wash the inside of the toilet with foam.

이동식 화장실 또는 간이 화장실은 주로 분리된 공간을 형성하여 정해진 장소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임시 화장실을 말한다. 이동식 화장실은 공사현장, 임시 공연장 또는 군사 훈련장과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이동식 화장실은 변기, 물탱크, 액체 위생 분배 장치 또는 방취 장치와 같은 단위 유닛으로 조립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편의성을 증가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부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mobile toilet or a simple toilet refers to a temporary toilet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in a predetermined place mainly by forming a separate space. Mobile toilets may be installed at construction sites, temporary performance halls or military training grounds. The mobile toilet may be assembled into a unit unit such as a toilet, a water tank, a liquid sanitary dispensing device or a deodorizing device, bu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auxiliary devices for increasing convenience as necessary.

이동식 화장실의 단점은 수세식으로 만들어지기 어려워 변기의 위생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동식 화장실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거품으로 변기를 세척하는 포세식 화장실(bubble flush toilet)이 개발되었다. 포세식 화장실은 변기 청결의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거품 발생에 필요한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어야 하고 변기 내부에 거품이 이동될 수 있는 수로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면 개발이 요구되는 이동식 화장실은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하고, 위생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아야 하며, 이동 가능한 부피를 가지도록 만들어져야 하고 그리고 설치와 철거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이동식 화장실은 임시로 설치되어 사용 후 철거가 되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낮아야 한다. 아울러 이동식 화장실은 주로 실외에 설치되므로 충격과 외부 기후 조건에 따른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는 가질 필요가 있다. Disadvantages of portable toilets are that they are difficult to flush and toilet hygiene can be a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of portable toilets, a bubble flush toilet has been developed to flush the toilet with foam. The toilet washout has solved the problem of toilet cleanliness,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separate device for generating bubbles must be installed and a channel through which foam can be moved is formed inside the toilet. In view of this, mobile toilets that need to be developed should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should not cause hygiene problems, should be made to have a movable volume, and should be simple to install and dismantle. It is advantageous. In addition, mobile toilets should be temporarily installed and removed after use, so manufacturing costs should be low. In addition, since the mobile toilet is mainly installed outdoors, it is necessary to have durability that can prevent damage due to impact and external weather conditions.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식 화장실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이동식 화장실 또는 간이 화장실의 구조에 기초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a mobile toilet or a simple toilet that meets the above conditions while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obile toilet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발명의 목적은 포세 방식으로 되어 청결성이 유지되면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과 설치가 용이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oilet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install while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possence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세 방식이 적용되면서 이와 동시에 제조 단가가 낮고 그리고 내구성이 뛰어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oilet having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excellent durability while applying a posh method.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동식 화장실은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리고 수용된 물과 거품 발생제로부터 내부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 수단이 설치된 물통; 거품 발생 수단에 거품 발생을 유도하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 및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물통에 연결되어 거품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내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변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oilet comprises a housing; A bucket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 foaming means for generating bubbles therein from the received water and the foaming agent;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gas for inducing bubble generation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a toilet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bucket so that the foam generated from the foam generating means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통과 변기통의 적어도 일부는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ucket and the toilet bowl are made of glass reinforced fiber plastic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거품 발생 수단은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공급하는 유입 튜브의 끝에 설치되고 유입 튜브는 유도관에 통하여 물통 내부로 유입된다. According to another suitabl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let tube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and the inlet tube is introduced into the bucket through the induction tub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낮으면서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FRP)으로 외관을 형성하여 내구성이 높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전자식이 아닌 기계식으로 작동하므로 고장의 우려가 없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지면서 지속적인 거품 발생으로 인하여 위생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the appearance is made of glass reinforced fiber plastic (FRP) high durability. In addition, the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hygienicity can be improved due to the continuous foam generation while having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intain and repair because there is no fear of failure because it operates mechanically rather than electroni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실시 예에 대한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거품을 발생시키는 물통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거품을 발생시키는 물통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거품 발생 수단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에서 거품이 발생되는 변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shows an embodiment of a bucket for generating bubbles.
Figure 2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bucket for generating bubbles.
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bubble generating means.
Figure 4 illustrates the structure of the toilet in which the foam is generated in the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for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아래에서 본 발명은 포세 방식의 화장실에 기초하여 설명이 된다. 포세 방식은 거품으로 변기를 세척하는 모든 형태의 화장실을 의미하며 설치 장소, 부피 또는 설치 목적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모든 형태의 포세 방식의 화장실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toilet of the pose type. Posing means any type of toilet that flushes the toilet with foam and is not limited to the installation site, volume, or installation purpose. Therefore, the portab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ypes of pose type toile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10)의 실시 예에 대한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toi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식 화장실(10)은 하우징(H), 하우징(H)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리고 수용된 물을 흡입하여 내부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 수단이 설치된 물통(11); 거품 발생 수단에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이 거품 발생을 유도하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12); 하우징(H)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물통(11)에 연결되어 거품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내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변기(13) 및 변기(13)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수거함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oilet 10 includes a housing H and a bucket 11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H and provided with bubble generating means for sucking bubbles contained therein to generate bubbles therein; Air supply means (12) for supplying gas for inducing bubble generation, such as oxygen or air,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H) and connected to the bucket (11) comprises a collection box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toilet 13 and the toilet 13, the foam generat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flows along the inner surface.

하우징(H)은 속이 빈 사각 박스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목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우징(H)은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간단하게 정해진 장소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H)의 전체 높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이동을 고려하여 3 m 이하가 될 수 있다. 하우징(H)에 출입을 위한 문 또는 계단(S)이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하우징(H)의 지붕에 단열 소재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H)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상 또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특정한 하우징(H)의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housing H may have a hollow rectangular box shape or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in various shapes and may be made of wood, plastic, or metal. The housing H may be made in a movable form and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 simply at a predetermined place. The overall height of the housing 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3 m or less in consideration of movement. Doors or stairs (S) for entry and exit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H),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disposed on the roof of the housing (H) as necessary. The housing H can be made in any shape or structure known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particular housing H.

물통(11)은 내부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거품을 발생시켜 변기(13)에 거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H)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물통(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품 발생 수단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물통(11)은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진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H)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물통(11)은 측면 벽 또는 바닥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뒤쪽 면의 위쪽에 고정되어 거품 이송 도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변기(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통(11)은 변기(13)에 거품을 공급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하우징(H) 내부의 공간 활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The bucket 11 may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H, as shown in FIG. 1, to provide foam to the toilet 13 by generating bubbles using water contained there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bucket 11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The bucket 1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but may be any suitable shape that can be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using H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Alternatively, the bucket 11 may be fixed to the side wall or the bottom or to the top of the rear face and connected to the toilet 13 by a foam conveying conduit (not shown). As such, the bucket 11 may have any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foam to the toilet 13 and may be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housing H.

물통(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품 발생 수단은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거품 발생을 유도하는 기체를 이용하여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거품 발생 수단에 산소 또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공기 공급 수단(12)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고 그리고 일정량의 산소 또는 공기가 거품 발생 수단에 공급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거품 발생이란 물과 계면활성제와 같은 거품 발생제의 작용에 의하여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거품 발생 수단은 이와 같은 거품 발생을 유도하거나 촉진시키기 위한 임의의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거품 발생 수단은 물통(11)에 수용된 물과 계면활성제의 작용에 의하여 거품이 발생이 촉진되도록 하는 에어스톤(air stone)이 될 수 있다. 공기 공급 수단(12)은 거품 발생을 유도하거나 촉진하기 위하여 공기와 같은 기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산소 발생기 또는 공기 펌프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고 유입 튜브(121)를 통하여 물통(11)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다. 유입 튜브(121)에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 조절기(122)가 설치될 수 있고 유입 튜브(12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관 유입 홀(14)의 외부로 돌출되는 유도관의 내부로 투입되어 물통(11)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공기 공급 수단(12)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는 산소 또는 질소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nstalled inside the bucket 11 may generate bubbles by using a gas for inducing bubble generation such as oxygen or air injected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inject oxygen or air in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 air supply means 12 is install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a certain amount of oxygen or air needs to be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Bubble generation herein refers to the generation of foam by the action of a foaming agent such as water and surfactant, and the means for generating bubbles means any means for inducing or promoting such foaming. For example, the bubble generating means may be an air stone in which bubbles are promoted by the action of water and a surfactant contained in the bucket 11. The air supply means 12 is a device for injecting a gas such as air to induce or promote foaming, which may be, for example, an oxygen generator or an air pump, and the water tank 11 through the inlet tube 121. Air can be injected into the inside. An inflow regulator 122 may be installed in the inflow tube 121 to adjust the inflow amount, and the inflow tube 121 is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pip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ipe inflow hole 14 described below. (11) can be connected internally.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means 12 may be oxygen or nitroge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변기(13)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구조가 될 수 있지만 거품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거품이 내부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변기(13) 내부에 거품이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야 하며 유로로부터 변기 내부로 거품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변기(13)의 내부에 흐르는 거품은 화장실의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흐르도록 조절될 수 있다. 변기(13)의 내부 표면을 따라 거품이 흐르도록 하는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The toilet 13 may be of any structure known in the art, but should have a structure in which bubbles generated by the foaming means can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In detail, a flow path through which bubbles may flow may be formed in the toilet 13, and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bubbles may be discharged from the flow path into the toilet may be formed. Foam flowing inside the toilet 13 may be adjusted to always flow regardless of whether the toilet is used. The structure that allows bubbles to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13 is described again below.

이동식 화장실(10)에 출입을 위한 문이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계단(S)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면의 아래쪽에 수거함이 설치되어 오물과 거품과 같은 세척액이 수거되어 일정 시간의 경과 후 오물 취합 통로(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정화시설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화장지 고정을 위한 장치 또는 손의 세척을 위한 세척 시설이 이동식 화장실(1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대 편의 시설은 필요에 따라 설치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부대 편의 시설의 설치 여부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A door for entrance and exit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toilet 10, and a staircase S may be install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collection box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cleaning liquid, such as dirt and foam is collected,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collection passage 15 to be transferred to the purification facility. In addition, if necessary, a device for fixing toilet paper or a washing facility for washing hands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side the mobile toilet 10. Such auxiliary facilities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installed as nee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of such auxiliary facilities.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10)은 다양한 소재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지만 적어도 물통(11) 및 변기(13)는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FRP는 폴리에스터 수지에 섬유 등의 강화재를 혼합하여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향상시킨 플라스틱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공지의 소재를 말한다. FRP로 물통(11) 또는 변기(13)를 제조하는 경우 내구성과 내열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이동식 화장실은 제조된 이후 이동이 되어야 하고 야외에 설치되므로 손상의 우려가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물통(11) 또는 변기(13)가 FRP로부터 제조되는 것에 따른 장점은 명백하다. 필요에 따라 이동식 화장실의 지붕 또는 외부 벽면의 일부도 FRP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물통(11) 또는 변기(13)가 반드시 FRP로 제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물통(11) 또는 변기(13)의 소재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The mobile toil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from various materials, but at least the bucket 11 and the toilet bowl 13 may be made of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 FRP refers to a known material that is used as a building material as a plastic material in which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are improved by mixing reinforcing materials such as fibers with polyester resin. When manufacturing the bucket 11 or the toilet 13 by FRP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mproved durability and heat resistance. In particular, the mobile toilet is to be moved after it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in the open ai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is the advantage that the bucket 11 or the toilet 13 is manufactured from the FRP. If necessary, part of the roof or exterior wall of the mobile toilet may also be made of FRP. However, the bucket 11 or the toilet 13 is not necessarily to be made of FRP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terial of the bucket 11 or the toilet 13.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을 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물통(11)의 내부에서 거품을 발생시켜 변기(13)를 세척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internal cleanliness to be maintained by washing the toilet bowl 13 by generating bubbles in the water tank 11.

아래에서 거품의 발생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bubble generat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물통(11)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a shows an embodiment of a bucket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물통(11)은 전체적으로 밑면적이 넓은 육면체 형상이 될 수 있고 FRP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물통(11)의 내부에 물 또는 계면활성제와 같은 거품 발생제가 채워질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거품의 발생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카르복시산 염, 술폰산 염 또는 인산염 구조를 가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친수기로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설포베타인 또는 알킬카르복시베타인과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글리콜과 같은 저분자 계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고분자 계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와 같은 거품 발생제는 물과 함께 물 주입구(24)를 통하여 물통(11) 내부로 주입되거나 또는 다양한 방법으로 물통(11)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물통(11)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만수위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은 수위 제한선(25)까지만 채워질 수 있고 내부 측면(113)에 형성되는 수위 제한선(25)은 거품 포집 통(21)의 가장 낮은 위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아래로 설정될 수 있다. 수위 제한선(25)은 물통(11)의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임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특정한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2A, the bucket 11 may have a hexahedron shape having a large bottom surface as a whole and may be made of FRP or plastic. A foaming agent such as water or a surfactant may be filled in the bucket 11. Surfactants are intended for the generation of foam and include, for example, anionic surfactants having a carboxylic acid salt, sulfonic acid salt or phosphate structure, cationic surfactants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salts as hydrophilic groups, amphoteric surfactants such as alkylsulfobetaines or alkylcarboxybetaines. Active agents and nonionic surfactants consisting of low molecular weights such as alkylglycols or polymeric systems such as polyethylene glycols and polyvinylalcohols. Foaming agents such as surfactants may be injected into the bucket 11 through the water inlet 24 together with water or into the bucket 11 in various ways.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filled inside the bucket 11 may be limited. For example, water may only be filled up to the level limit line 25 and the level limit line 25 formed on the inner side 113 may be set equal to or below the lowest position of the bubble trap 21. The level limit line 25 is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water to be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bucket 11 and may be represented in any form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method.

물통(11)의 위쪽 또는 내부 윗면(111)에 인접한 곳에 거품 포집 통(21)이 설치되고 거품 포집 통(21)의 내부는 거품을 발생시키면서 거품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도관(22a, 22b)과 연결될 수 있다. 유도관(22a, 22b)은 물통(11)의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다시 위쪽으로 연장되어 관 유입 홀(221)을 통하여 물통(11)의 외부로 연결된다. 물통(11)의 외부에 노출된 유도관(22a, 22b)의 한쪽 끝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될 수 있고 유도관(22a, 22b)의 다른 한쪽 끝은 거품 포집 통(2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a의 A로 표시된 상세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관(22a, 22b)의 내부에 도 1에서 설명한 공기 공급 수단(12)에 연결되는 투입 튜브(32)가 유도관(22a, 22b)의 일정 깊이까지 투입될 수 있고 유입 튜브(32)의 끝에 거품 발생 수단(33)이 고정될 수 있다. 거품 발생 수단(33)은 예를 들어 에어 스톤(air stone)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 스톤은 탱크 내부로 산소를 점진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라임우드(limewood) 또는 다공성 돌(poros stone)을 말한다. 에어 스톤은 유리 비드(bonded glass beads) 또는 유리섬유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형상, 크기 또는 크기 비율(coarseness)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스톤은 적절한 직경의 공기 호스를 가진 플라스틱 노즐에 연결된 푸른색을 띠는 세라믹 소재의 다공성 돌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크기 또는 색깔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에어 스톤은 미세한 틈을 가진 고형 집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압축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수단(33)은 에어 스톤에 제한되지 않고 물과 계면활성제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한다. Bubble trap 21 is installed above the water tank 11 or adjacent to the inner top surface 111, and the inside of the bubble trap 21 to induce the flow of bubbles while generating bubbles induction pipe (22a, 22b) It can be connected with. Induction pipes 22a and 22b extend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11 and again upward, and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1 through the pipe inlet hole 221. One end of the induction tubes 22a and 22b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1 may be opened or closed and the other end of the induction tubes 22a and 22b may be connected to the bubble trap 21. As shown in the detail section indicated by A of FIG. 2A, an introduction tube 32 connected to the air supply means 12 described in FIG. 1 inside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is used for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It can be introduced to a certain depth and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 can be fixed to the end of the inlet tube 32. The foaming means 33 may be, for example, an air st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ir stone refers to limewood or poros stone used for the purpose of gradually diffusing oxygen into the tank. Air stones can be made from bonded glass beads or glass fibers and can generate various kinds of bubbles depending on shape, size or coarseness. For example, the air stone can be a blue-colored porous porous stone of ceramic material connected to a plastic nozzle with an air hose of the appropriate diameter, but can be made in various shapes and sizes or colors. The air stone can be mechanically compressed to form a solid aggregate with fine gaps and can be made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y means capable of generating bubbles from water and a surfactant, without being limited to air stones.

도 2a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거품 발생 수단(33)은 산소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튜브(32)의 끝 부분에 설치될 수 있고 유도관(22a, 22b)에 형성된 유입 홀(222)을 통하여 유도관(22a, 22b)의 내부로 유입된 거품 발생제를 포함하는 물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유도 관(22a, 22b)은 내부 아랫면(112)에 인접하는 위치를 경유하여 거품 포집 통(21)으로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유도관(22a, 22b)의 연결 경로는 물통(11) 내의 물이 유입 홀(222)을 통하여 쉽게 유도관(22a, 22b)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발생된 거품이 쉽게 거품 포집 통(21)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발생된 거품은 거품 포집 통(21)에 수집될 수 있고 거품 포집 통(21)에 채워진 거품은 거품 배출 관(23)을 통하여 변기로 배출될 수 있다. 거품 배출 관(23)의 한쪽 끝은 배출구(231)를 통하여 거품 포집 통(21)에 연결되고 그리고 다른 한쪽 끝은 T자 연결 튜브와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관 연결 수단(T)에 의하여 물통(11)의 외부로 유도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2A,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flow tube 32 into which oxygen or air is introduced, and the inflow hole 222 formed in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may be formed. Bubbles may be generated from water including the bubble generator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are advantageously connected to the bubble trap 21 via a position adjacent the inner bottom 112. The connection paths of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not only allow water in the water tank 11 to easily flow into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through the inlet hole 222, but also simultaneously generate bubbles easily. It can be collected in the bubble collecting container (21). The generated bubbles may be collected in the bubble collecting container 21 and the bubbles filled in the bubble collecting container 21 may be discharged to the toilet through the bubble discharge pipe 23. One end of the foam discharge pipe 23 is connected to the bubble collecting container 21 through the discharge port 23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by the pipe connecting means T known in the art, such as a T-shaped connecting tube. Can be derived outside of (11).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배출구(231)는 유도관(22a, 22b)이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편 쪽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물통(11)이 설치된 상태에서 거품 포집 통(21)의 위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구(231)의 위치는 거품 포집 통(21)에 충분한 양의 거품이 채워진 이후에 거품이 변기로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거품 포집 통(21)의 거품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관 연결 수단(T)은 물통(11)의 설치된 상태에서 물통(11)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근에 설치될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관 연결 수단(T)은 거품 포집 통(21)의 아래쪽과 변기의 위쪽 부분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As shown in FIG. 2A, the outlet 231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to which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are connected, and is also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bble trap 21 with the water container 11 installed. Can be. Such a position of the outlet 231 allows the foam to be continuously discharged into the toilet after the foam collecting container 21 is filled with a sufficient amount of foam. In addition, the pipe connecting means (T) for guiding the bubbles of the bubble collecting container 21 to the outside may be installed near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water container 11 in the installed state of the water container 11,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However, the pipe connecting means (T) is advantageous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oam trap (2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bowl.

물통(11)의 위쪽에 설치된 입구(24)는 물 또는 계면활성제의 유입을 위한 것으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inlet 24 installed above the bucket 11 is for the inflow of water or surfactant and can be installed by any suitable method known in the art and a cover can be installed as necessary.

거품 발생 수단(33)에서 발생되는 거품의 양은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 can be controlled by the air supply means.

도 2b는 거품을 발생시키는 물통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bucket for generating bubbles.

도 2b를 참조하면, 물통(11)에 물과 거품 발생제의 채워질 수 있는 한계선이 수위 제한 선(25)이 설정될 수 있고 유입 튜브(32)의 끝 부분에 설치되는 거품 발생 수단(33)은 유도관(22)의 통하여 거품 수집 관(27)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거품 수집 관(27)은 도 2a와 관련된 실시 예에서 거품 수집 통(21)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물통(11)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거품 수집 관(27)의 위쪽 부분은 물통(11)의 외부로 노출되어 개폐 가능한 캡(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다. 필요시 캡을 개방하여 물과 거품 발생제가 물통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캡이 설치되는 경우 도 2a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입구(24)가 별도로 설치될 필요가 없다. 다른 한편으로 거품 수집 관(27)의 아래쪽은 물통(11)의 내부 아랫면(112)으로부터 일정 간격(t)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간격(t)의 이격은 물통(11) 내부의 물과 거품 발생제가 거품 수집 관(27)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정 간격(t)을 이격시키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거품 수집 관(27)의 아래쪽에 개폐 가능한 유입 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품 수집 관(27)의 내부로 물과 거품 발생제를 유입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추가로 거품 수집 관(27)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양을 제한하여 예를 들어 거품 발생 수단(33)의 바로 위쪽 부분까지만 물과 거품 발생제가 채워지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 in which the water level limiting line 25 can be set and the end of the inflow tube 32 can be set in the water tank 11, which can be filled with water and the bubble generating agent. The silver may be installed below the foam collecting pipe 27 through the induction pipe 22. The foam collecting tube 27 ha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foam collecting container 21 in the embodiment related to FIG. 2A, and may be installed to cross the bucket 11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of. Although not shown in FIG. 2B, the upper portion of the foam collection tube 27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cket 11 and closed by an openable cap (not shown). If necessary, the cap may be opened to allow water and foaming agent to be introduced into the bucket. When such a cap is installed, the inlet 24 as described in FIG. 2A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bubble collecting tube 2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112 of the bucket 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 The spacing of the predetermined interval (t) is to allow the water and the foaming agent inside the bucket 11 to be introduced into the foam collection pipe (27). As an alternative to spaced apart t, an inlet hole (not show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may be installed below the foam collection tube 27. As such, the method of introducing the water and the bubble generating agent into the bubble collecting tube 27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is exemplar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imit the amount of water and the foaming agent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oam collecting tube 27 so that the water and the foaming agent are filled only up to a portion just above the foaming means 33, for example.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거품 발생 관(27)에 채워지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양은 물통(11) 내부에 존재하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수위와 일치한다. 예를 들어 물통(11)의 내부에 최초로 물과 거품 발생제가 수위 제한 선(25)까지 채워지는 경우 거품 발생 관(27)의 내부에 물과 거품 발생제가 만수위 면(271)까지 채워지게 된다. 거품 발생 관(27)에서 만수위 면(271)의 위쪽 부분에 거품이 채워지기 시작하면서 물통(11) 내부의 수위가 조금씩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물통(11) 전체의 부피가 거품 발생 관(27)의 부피에 비하여 충분히 크고 이로 인하여 물통(11)의 수위가 내려가면서 거품 발생 관(27) 내부의 수위도 하강하지만 거품 발생 관(27)의 위쪽은 수위의 하강과 함께 거품으로 채워지게 된다. 거품이 충분히 채워지면 거품은 거품 배출 관(23)을 통하여 변기로 배출될 수 있다. 거품 배출 관(23)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관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거품 배출 관(23)의 배출구(231)는 거품 발생 관(27)의 위쪽 또는 만수위 면(271)의 위쪽에 설치되고 그리고 외부 연결 출구(232)는 아래쪽 또는 적어도 물통(11)의 중간 높이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연결 출구(231)는 도 2a와 관련된 실시 예에서 관 연결 수단(T)이 설치되는 위치와 유사하다.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거품 발생을 위하여 필요한 구성요소는 도 2a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도 2b에 도시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the amount of water and bubble generating agent filled 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27 coincides with the level of water and bubble generating agent present in the bucket 11. For example, when the water and the bubble generator is initially filled up to the water level limit line 25 inside the bucket 11, the water and the bubble generator are filled up to the full water level surface 271 inside the bubble generating tube 27. In the bubble generating tube 27, bubbles are fi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ull water surface 271, and the water level inside the bucket 11 is lowered little by little. However, the volume of the entire bucket 11 is large enough to be larger than the volume of the foaming tube 27, and as a result, the water level of the bucket 11 is lowered. The top of is filled with bubbles as the water level drops. When the foam is sufficiently filled, the foam can be discharged to the toilet through the foam discharge pipe (23). The foam discharge tube 23 can be of any shape known in the art, such as, for example, a plastic tube, and the outlet 231 of the foam discharge tube 23 is the top or full surface of the foam generating tube 27 ( It is installed above 271 and the external connection outlet 232 can be installed below or at least below the middle height of the bucket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xternal connection outlet 231 is similar to the position where the pipe connection means T is installed in the embodiment associated with FIG. 2A.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B,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generating bubbles may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B in the same or similar form as thos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FIG. 2A.

물통(11)의 둘레 면을 따라 밀폐를 위한 커버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 면(29)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Along the circumferential face of the bucket 11 an attachment face 29 may be formed to which a cover for sealing may be attached and the cover may be made of any materia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glass or plastic. have.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도 2a의 실시 예와 달리 유도관(22)은 하나만 설치된다. 그리고 유도관(22)과 내부에 설치되는 유입 튜브(32)와 거품 발생 수단(33)도 마찬가지로 하나만 설치된다. 거품 발생 수단(33)은 거품의 발생 양을 고려하여 다양한 수로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거품 발생 수단(33)의 설치 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2A, only one induction pipe 22 is installed. In addition, only one of the induction tube 22 and the inflow tube 32 and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 installed therein are similarly provided.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 can be installed in various numbers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such bubble generating means 33.

아래에서 거품의 발생을 유도하기 위한 공기 공급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air supply means for induc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거품의 발생을 유도하기 위한 공기 공급 수단(31)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embodiment of an air supply means 31 for inducing the generation of bubbles.

도 3의 설명에서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장치는 서로 다른 부호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동일 또는 유사한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의 유입 튜브(121)와 유입 조절기(122)는 도 3의 유입 튜브(32a, 32b) 및 유입 조절기(34a, 34b)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장치를 나타낸다. 다른 도면과 관련된 실시 예의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다. In the description of FIG. 3, a device describ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with the same or similar name as the embodiment of FIG. 1 represents the same or similar device despite the use of different symbols. For example, inlet tube 121 and inlet regulator 122 of FIG. 1 represent the same or similar devices to inlet tubes 32a and 32b and inlet regulators 34a and 34b, respectively, of FIG. The same is true for the embodiments related to other drawings.

도 3을 참조하면, 공기 공급 수단(31)으로부터 2개의 공기 배출관(311a, 311b)을 통하여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가 거품 발생 수단(33a, 33b)에 공급될 수 있다.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거품 발생 수단(33a, 33b)은 유도관(22a, 22b)의 내부로 일정 깊이만큼 유입되어 물통(11)의 내부 바닥면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하여 공기 공급 수단(31)의 앞쪽에 비교적 견고한 소재로 만들어진 유입 튜브(32a, 32b)가 연결되고 유입 튜브(32a, 32b)의 앞쪽 끝에 거품 발생 수단(33a, 33b)이 결합될 수 있다. 유입 튜브(32a, 32b)는 예를 들어 물통(11)의 외부로 한쪽 끝이 돌출된 유도관(22a, 22b)의 내부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유입될 수 있고 거품 발생 수단(33a, 33b)이 유도관(22a, 22b) 내부의 정해진 곳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관(311a, 311b)과 유입 튜브(32a,32b) 사이에 거품 발생 수단(33a, 33b)에서 확산되는 산소 또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 조절기(34a, 34b)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 공급 수단(31)은 예를 들어 산소 발생기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고 유입 조절기(34a, 34b)는 압력 조절 또는 유입 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공기 공급 수단(31)은 플러그(P)에 의하여 연결되는 외부 전원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건전지와 같은 내장 전원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gas such as oxygen or air may be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a and 33b from the air supply means 31 through two air discharge pipes 311a and 311b. As shown in FIG. 2A or FIG. 2B,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a, 33b is advantageously introduced into the guide tubes 22a, 22b by a predetermined depth and located near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ucket 11. To this end, inlet tubes 32a and 32b made of a relatively rigid material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air supply means 31, and bubble generating means 33a and 33b may be coupled to the front ends of the inlet tubes 32a and 32b. The inflow tubes 32a and 32b can be introduced by, for example, by pushing into one of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protruding from one en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11, and the foaming means 33a and 33b are introduced. It can be located in a predetermined place inside the guide pipe (22a, 22b). Inlet regulators 34a and 34b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air discharge pipes 311a and 311b and the inlet tubes 32a and 32b to control the amount of oxygen or air diffus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a and 33b. The air supply means 31 can be, for example, a device such as an oxygen generator, and the inlet regulators 34a, 34b can be any device known in the art capable of regulating pressure or adjusting the inlet speed. The air supply means 31 may be oper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connected by a plug P or by a built-in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공기 공급 수단(31)에서 공급되는 산소 또는 공기는 유입 조절기(34a, 34b)에 의하여 적절한 양으로 조절되어 물통(11)(도 2a 참조)의 내부에 설치된 유도관(22a, 22b)의 내부에 위치하는 유입 튜브(32a, 32b)를 경유하여 거품 발생 수단(33a, 33b)에 공급될 수 있다. 거품 발생 수단(33a, 33b)에서 유도관(22a, 22b)으로 확산되는 산소 또는 공기는 물통(11)에서 유도관(22a, 22b)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거품발생제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거품은 거품 포집 통(21)(도 2a참조)에 수집이 되고 그리고 지속적으로 일정량이 변기로 공급되어 세척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Oxygen or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31 is regulated to an appropriate amount by the inflow regulators 34a and 34b, and inside the induction pipes 22a and 22b installed inside the water tank 11 (see FIG. 2A). It may be supplied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a, 33b) via the inlet tube (32a, 32b) located. Oxygen or air diffused from the bubble generating means (33a, 33b) to the induction pipe (22a, 22b) will generate bubbles from the water and the foaming agent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induction pipe (22a, 22b) from the bucket (11) Can be. The generated foam is collected in the bubble collecting vessel 21 (see FIG. 2A) and continuously supplied to a toilet in a certain amount to be used for cleaning.

도 3의 실시 예에서 하나의 공기 공급 수단(31)에 2개 공기 배출 관(311a, 311b)과 유입 튜브(32a, 32b)가 연결된 실시 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공기 배출 관(311a, 311) 및 그에 따른 유입 튜브(32a, 32b)의 수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실시 예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수단(31)의 경우 하나의 공기 배출 관 하나의 유입 튜브가 공기 공급 수단(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공급 수단(31)에 연결되는 공기 배출 관과 그에 따른 유도관 또는 유입 튜브의 수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embodiment of FIG. 3, an embodiment in which two air discharge pipes 311a and 311b and inlet tubes 32a and 32b are connected to one air supply unit 31 is provided. The number of inlet tubes 32a, 32b accordingly can be set arbitrari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air supply means 31 connec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B, one inlet tube and one inlet tube may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means 31.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number of air discharge pipe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means 31 and thus the number of induction pipes or inlet tubes.

아래에서 거품에 의하여 세척되는 변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toilet bowl washed by the foam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는 변기(13)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toilet 13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물통(11)의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은 관 연결 수단(T)(도 2a 참조) 또는 외부 연결 출구(232)를 통하여 변기(13)로 공급될 수 있다. 변기(13)는 물통(11)으로부터 공급된 거품을 변기에 유도하기 위한 거품 유도관(41), 외피(131), 거품 유도관(41)으로부터 공급되는 거품을 변기(13)의 둘레 면으로 유도하는 거품 유도로(132), 거품 유도로(132)를 보호하는 유도로 덮개(133) 및 오물의 배출을 위한 오물 배출구(13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bubbles generated inside the bucket 11 may be supplied to the toilet 13 through pipe connecting means T (see FIG. 2A) or through an external connection outlet 232. The toilet 13 is a foam induction pipe 41 for introducing the foam supplied from the bucket 11 to the toilet, the shell 131, the foam supplied from the foam guide tube 41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13 Inducing foam induction furnace 132, including the induction furnace cover 133 to protect the foam induction furnace 132 and the waste outlet 134 for the discharge of dirt.

외부 연결 출구(232)는 관 연결 수단(T)(도 2a 참조)의 일부가 되거나 또는 거품 배출 관(23)(도 2b 참조)의 일부가 되거나 또는 별도의 배출 튜브가 될 수 있고 거품 유도관(41)은 외부 연결 출구(232)의 일부가 되거나 별도의 튜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연결 출구(232)와 거품 유도관(41)은 물통(11)의 내부에서 발생된 거품을 변기로 유도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연결 수단 또는 튜브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러한 연결 수단 또는 튜브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외피(131)는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기(13)를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거품 유도로(132)는 거품 유도관(41)의 거품을 변기(13)의 위쪽 둘레 면을 따라 배분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직경을 가진 도관의 형상으로 변기(13)의 위쪽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변기의 내부 표면으로 지속적으로 일정양의 거품의 배출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도로 덮개(133)는 변기(13)의 내부 표면 위쪽에 형성되어 거품 유도로(132)를 보호하는 한편 거품(B)이 변기(13)의 내부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거품 유도로(132)와 유도로 덮개(133)는 변기(13)의 내부 표면을 따라 일정량의 거품(B)이 지속적으로 흐르도록 하여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거품 유도로(132) 또는 유도로 덮개(133)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특정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external connection outlet 232 may be part of the tube connection means T (see FIG. 2A) or part of the foam discharge tube 23 (see FIG. 2B) or may be a separate discharge tube and the bubble induction tube 41 may be part of the external connection outlet 232 or may be a separate tube. As such, the external connection outlet 232 and the foam guide tube 41 may be any type of connecting means or tubes capable of directing the foam generated inside the bucket 11 to the toilet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uch a connection. It is not limited by means or tubes. The outer shell 131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lass-reinforced fiber plastic as described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y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toilet bowl 13 to the bottom surface. The bubble guide path 132 is for distributing the bubbles of the bubble guide pipe 41 along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oilet bowl 13 and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toilet bowl 13 in the shape of a conduit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ny structure capable of continuously discharging a certain amount of foam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An induction furnace cover 133 is form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13 to protect the bubble induction furnace 132 while allowing the bubble B to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13. The foam induction furnace 132 and the induction furnace cover 133 allow a certain amount of foam B to continuously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13 to maintain cleanliness. Bubble induction furnace 132 or induction furnace cover 133 may be made in any form known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structure.

오물 배출구(134)를 통하여 배출된 거품 및 오물은 수거함(도시되지 않음)에 수집될 수 있고 이후 오물 취합 통로(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물 취합 통로(15)는 예를 들어 압력에 의하여 오물을 오물 수집 차량으로 배출하는 적절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대안으로 수거함 자체가 교체 가능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Foam and dirt discharged through the waste outlet 134 may be collected in a collection box (not shown)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ste collection passage 15. The waste collecting passage 15 may be in a suitable form for discharging the waste to the waste collecting vehicle by, for example, pressure. Alternatively, the bin itself may be installed in a replaceable manner.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면서 거품 세척에 의하여 화장실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거품의 발생을 위한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면서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nufacture and install while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the toilet by foam washing. In addition, the mobil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for the generation of foam is simple and easy to maintain and repair, made of glass-reinforced fiber plastic material to improve durability.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only limit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이동식 화장실 H:하우징 11: 물통 12: 공기 공급 수단
13: 변기 121: 유입 튜브 122: 유입 조절기
14: 관 유입 홀 15: 오물 취합 통로
24: 물 주입구 25: 수위 제한선 21: 거품 포집 통 22a, 22b: 유도관
221: 관 유입 홀 32: 투입 관 33: 거품 발생 수단 222: 유입 홀
23: 거품 배출 관 111: 내부 윗면 112: 내부 아랫면 113: 내부 측면
231: 배출구 23: 거품 배출 관 T: 관 연결 수단
232: 외부 연결 출구 27: 거품 수집 관
31: 공기 공급 수단 311a, 311b: 공기 배출 관
33a, 33b: 거품 발생 수단 22a, 22b: 유도관 32a, 32b: 유입 튜브
34a, 34b: 유입 조절기 P: 플러그
41: 거품 유도관 13: 변기
131: 외피 132: 거품 유도로 133: 유도로 덮개
134: 오물 배출구 15: 오물 취합 통로
10: removable toilet H: housing 11: bucket 12: air supply means
13: toilet bowl 121: inlet tube 122: inlet regulator
14: pipe inlet hole 15: dirt collection passage
24: water inlet 25: water level limit line 21: bubble trap 22a, 22b: induction pipe
221: tube inlet hole 32: input tube 33: foaming means 222: inlet hole
23: bubble discharge tube 111: upper inner side 112: inner lower side 113: inner side
231: outlet 23: foam outlet tube T: pipe connection means
232: Outer connection outlet 27: Foam collection tube
31: air supply means 311a, 311b: air exhaust pipe
33a, 33b: foaming means 22a, 22b: induction tubes 32a, 32b: inflow tubes
34a, 34b: Inlet regulator P: plug
41: bubble guide tube 13: toilet bowl
131: jacket 132: bubble induction furnace 133: induction furnace cover
134: waste discharge port 15: waste collection passage

Claims (3)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그리고 수용된 물과 거품 발생제로부터 내부에서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 발생 수단이 설치된 물통;
거품 발생 수단에 거품 발생을 유도하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 및
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물통에 연결되어 거품 발생 수단으로부터 발생된 거품이 내부 표면을 따라 흐르는 변기를 포함하는 이동식 화장실.
housing;
A bucket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 foaming means for generating bubbles therein from the received water and the foaming agent;
Air supply means for supplying gas for inducing bubble generation to the bubble generating means; And
A mobile toile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a bucket, the toilet comprising a toilet in which bubbles generated from the foaming means flow along the inner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물통과 변기의 적어도 일부는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The mobile toilet of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bucket and the toilet are made of glass reinforced fiber plastic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거품 발생 수단은 공기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공급하는 유입 튜브의 끝에 설치되고 유입 튜브는 유도관에 통하여 물통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The mobile toil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bble generating means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inlet tube for supplying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means, and the inlet tube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through the induction tube.
KR1020100065744A 2010-07-08 2010-07-08 Portable toilet KR201200051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44A KR20120005144A (en) 2010-07-08 2010-07-08 Portable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744A KR20120005144A (en) 2010-07-08 2010-07-08 Portable toil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144A true KR20120005144A (en) 2012-01-16

Family

ID=4561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744A KR20120005144A (en) 2010-07-08 2010-07-08 Portable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1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2243A1 (en) 2012-05-22 2013-11-28 Hyundai Motor Company Shock absorber device for vehicle, has valve mechanism that is operated to open and close to connect upper chamber of cylinder selectively with oil flow chamber of piston r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2243A1 (en) 2012-05-22 2013-11-28 Hyundai Motor Company Shock absorber device for vehicle, has valve mechanism that is operated to open and close to connect upper chamber of cylinder selectively with oil flow chamber of piston r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4013A1 (en) Flush toilet
KR20120005144A (en) Portable toilet
JP5625197B1 (en) Disaster prevention flush toilet system
KR20120022302A (en) Structure for generating bubble in a bubble-washing type toilet
KR100564921B1 (en) Hume pipe connect manhole
EP2402516A1 (en) A plumbing for discharging waste water
WO2007016721A1 (en) Storage of water, rainwater or grey water or other liquids beneath a concrete floor slab
JP6989195B1 (en) Flush toilet system for storage-type disasters
CN105908956B (en) A kind of automatic spray apparatus of waterproof material
KR200424087Y1 (en) A concrete sewage disposal tank
CN210507754U (en) Integrated pump station
CN202544063U (en) Closestool capable of being directly flushed by tap water without water tank
CN206483608U (en) A kind of rainwater utilizes device
CN106703157B (en) Construction method of rainwater recycling and comprehensive utilizing structure
CN219508773U (en) Anti-pollution water supplementing overflow device for buried water storage pool
KR20120023228A (en) Bubble-washing type of urinal
KR102419587B1 (en) Rotational stirring induction water tank 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pressure and the internal water pressure
KR102628452B1 (en) Toilet equipment for construction sites in high-rise buildings
JP2001140329A (en) Flush toilet stool, drain socket, and toilet
JP4077001B2 (en) Tank structure with an inclined part in the step part
CN214078065U (en) Building engineering is with novel stone desilt device that washes
CN216866145U (en) Ecological PC assembled washroom that dashes groove
CN218757843U (en) Water seal structure and water seal floor drain
CN102720265A (en) High water seal inner core drainage control device
CN1932175A (en) Non-leaking water-saving cistern according to requirement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