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828A -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 Google Patents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828A
KR20120020828A KR1020100084697A KR20100084697A KR20120020828A KR 20120020828 A KR20120020828 A KR 20120020828A KR 1020100084697 A KR1020100084697 A KR 1020100084697A KR 20100084697 A KR20100084697 A KR 20100084697A KR 20120020828 A KR20120020828 A KR 2012002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latch
coupled
wire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8230B1 (en
Inventor
윤현철
이창수
이재훈
윤석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8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230B1/en
Publication of KR2012002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anti-drop device of spare tire carrier which can absorb vibration and noise in a low rpm band is provided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yawing movement and rolling movement. CONSTITUTION: An anti-drop device of spare tire carrier comprises a latch fixing device(10) which is coupled to a spare tire in order to detachably attach the spare tire to a vehicle body, a latch release device(20)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regulates the attachment and removal of the spare tire, and a pipe(30) which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latch fixing devi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atch release device.

Description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on device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 스페어 타이어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carrier device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are tire carrier fall prevention device that can prevent a further accident by preventing the spare tire from falling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예기치 못한 사고의 유발로 인해 타이어가 펑크나 손상을 입게 되어 더 이상의 주행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손상된 타이어와 교체될 수 있는 여분의 스페어 타이어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스페어 타이어는 승용 자동차의 경우에 트렁크 룸의 내부에 보관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승합이나 상용 자동차의 경우에는 차체의 하부에 별도의 캐리어 장치를 매개로 착탈가능하도록 보관하여 필요시 각각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cars are equipped with spare tires that can be replaced with damaged tires in case the tires are punctured or damaged due to an unexpected accident while driving and the vehicle cannot continue any further. The same spare tire is usually stored inside the luggage compartment in the case of passenger cars, and in the case of a commercial or commercial vehicle, the spare tire is detachably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body via a separate carrier device so that each can be taken out and used when necessary. It is.

도1a, 1b, 1c 는, 종래 승합이나 상용 자동차에서 사용되고 있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종래 사용되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는, 차량의 후방 저면에 부착되어 차량의 주행시에는 차체에 고정되고, 필요시에는 분리하여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1A, 1B, and 1C show a spare tire carrier device conventionally used in a commercial vehicle or a commercial vehicle, the conventional spare tire carrier device is attached to the rear bottom of the vehicle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vehicle is driven. If necessary, the tire can be removed and replaced.

즉, 상기 스페어 타이어(1)는 와이어(2) 또는 체인 등에 의하여 차체와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2)와 상기 스페어 타이어(1)는 서포트 브라켓(3)에 의하여 상호 고정 결합된다.That is, the spare tire 1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by a wire 2 or a chain, and the wire 2 and the spare tire 1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support bracket 3.

또한, 상기 와이어(2)는 파이프(5)에 의하여 감싸져서 차체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기어박스(6)에 의하여 조임과 풀림을 조절하며, 샤프트(7)에 의하여 차체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wire (2) is wrapped by a pipe (5)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by adjusting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by the gear box (6)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ire (2), the shaft (7) Is coupled with the bodywork.

또한, 상기 와이어(2)는 상기 기어박스(6)로부터 상기 스페어 타이어(1) 까지 연장된 파이프(5)에 의하여 둘러싸여져 있으며, 상기 파이프(5)의 일측은 브라켓 파이프(4)에 의하여 차체와 고정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wire 2 is surrounded by a pipe 5 extending from the gearbox 6 to the spare tire 1, one side of the pipe 5 by the bracket pipe 4 It is fixed to and serves to fix the spare tire (1).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는, 와이어(2) 또는 체인 등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1)의 착탈 및 고정이 제공되기 때문에, 스페어 타이어(1)의 안전을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2)가 단단하게 고정되어야 하지만, 상기 와이어(2)가 절손될 경우에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1)가 낙하하게 되어 이로 인한 2차적인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spare tire carrier device, since the detachment and fixation of the spare tire 1 are provided by the wire 2 or a chain or the like, the wire 2 is hard for the safety of the spare tire 1. However, when the wire 2 is broken, the spare tire 1 may fall, causing secondary accidents to occur frequently.

특히, 차량의 저면은 도로상의 수분이 다량으로 접촉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2)의 부식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차량의 진동으로 인한 지속적인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2)가 절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1994년 이래로 미국 도로 교통 안전국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 사례가 약 400건 이상에 달하는 등 안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In particular,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s likely to cause corrosion of the wire 2 due to a large amount of contact on the road, and often the wire 2 is broken due to the continuous impact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As a result, since 1994, more than 400 cases of consumer complaints have been filed with the US Road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and the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is increas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 부착되는 스페어 타이어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서, 와이어의 절손시에도 스페어 타이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fixing the spare tire attached to the vehicle more firmly, spare tire carrier drop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the spare tire from falling even when the wire is broken It is to provide a preven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스페어 타이어를 차량에 고정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에 있어서, 스페어 타이어와 결합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래치 고정 장치,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결합 및 탈거를 조절하며 차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래치 해제 장치 및 일측이 상기 래치 고정 장치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래치 해제 장치와 연결되는 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pare tire carrier device for fixing a spare tire to a vehicle, the latch fixing device to be coupled to the spare tire to secure the spare tire to the vehicle body, the spare The latch release device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controls the coupling and removal of the tire, and one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pe connected to the latch fixing device,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atch release device.

또한, 상기 래치 고정 장치는, 차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 및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는 브라켓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래치 해제 장치와 연결되고 타측은 스페어 타이어와 연결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 및 착탈을 조절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끝단에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 스페어 타이어를 결합시키는 서포트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 파이프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의 이동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래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atch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bracket pipe for supporting the pipe and the spare tire, located inside the pip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atch release device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to the A wire for controlling fixing and detachment,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to fix the spare tire, a support bracket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to couple the coupling part and the spare tire, and a hinge to the bracket pi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atch that is fixed to be possible to enable the movement and fixing of the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래치 및 힌지는 상기 결합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2개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에는 각각 스프링이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변형 및 복귀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atch and the hinge are two are formed so as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pring is coupled to each of the hinge to adjust the deformation and return of the latch.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결합하는 일측은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끝단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래치의 내부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one side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is formed in a wid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coupled, the other side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coupled, the end of the wire is coupled to the irregular shape It is preferably made to be caught inside the latch.

또한, 상기 래치 해제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샤프트, 일측 끝단이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압축 및 해제되는 릴리즈 스프링 및 일측 끝단이 상기 릴리즈 스프링과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래치와 연결되는 릴리즈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atch release device, a housing, a shaf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to be rotatab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aft, the release spring and one end is compressed and releas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is the release More preferably, it comprises a release cable connected to the sp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atch.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스페어 타이어가 결합되는 와이어의 끝단에 래치 고정 장치를 부가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스페어 타이어가 쉽게 낙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가 절손되더라도 상기 래치 고정 장치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2차적인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adding a latch fixing device to the end of the wire to which the spare tire is coup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pare tire easily falls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wire Even if the damage to the spare tire can be fixed by the latch fixing device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econdary safety accidents.

또한, 회전에 의하여 압축 및 해제되는 릴리즈 스프링을 사용하여 와이어의 압축 및 해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mpression and release of the wire by using a release spring that is compressed and released by rotation, thereby ensuring operability, and the spare tir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vehicle body.

도1a 는 종래 사용되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가 차량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1b 는 종래 사용되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1c 는 종래 사용되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2 는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3a 및 3b 는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의 래치 고정 구조를 확대한 측면도.
도4 는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의 래치 해제 구조를 확대한 사시도.
도5a 및 5b 는 스페어 타이어를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a 및 6b 는 스페어 타이어를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a 및 7b 는 스페어 타이어를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 장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a 및 8b 는 스페어 타이어를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서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a 및 9b 는 스페어 타이어를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서 탈거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are tire carrier device attached to a vehicle.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re tire carrier device conventionally used.
Figure 1c is a side view showing a spare tire carrier device conventionally use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and 3b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latch fixing structure of the spare tire carrier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atch release structure of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show a state before the spare tire is mounted on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show a state in which the spare tire is mounted on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show a state after the spare tire is attached to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show a state in which the spare tire is removed from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9A and 9B show a state after removing the spare tire from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방치는, 스페어 타이어와 결합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래치 고정 장치(10),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결합 및 탈거를 조절하며 차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래치 해제 장치(20) 및 일측이 상기 래치 고정 장치(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와 연결되는 파이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pare tire carrier fall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pare tire latch fixing device 10 for fixing the spare tire detachably to the vehicle body, a latch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to control the engagement and removal of the spare tire The release device 2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atch fixing device 10 and the other side comprises a pipe 30 is connected to the latch release device 20.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30)의 일측에는 스페어 타이어와 결합할 수 있는 래치 고정 장치(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차체의 저면과 결합할 수 있는 래치 해제 장치(20)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one side of the pipe 30 is formed with a latch fixing device 10 that can be coupled with a spare tire, and on the other side with a latch release device 20 that can be coupled with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Formed.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끝단에 추가적인 장치를 형성하여, 도1b 및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서, 와이어 만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킴에 따라, 와이어가 절손될 경우 야기되는 2차적인 안전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dditional device at the end of a conventionally used spare tire carrier, and in the conventional spare tire carrier as shown in Figs. 1B and 1C to fix the spare tire only with wires, it causes when the wire is broken. This is to prevent secondary safety accidents.

즉,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역할을 하기 위한 파이프, 와이어, 샤프트 등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와 동일하며, 와이어와 스페어 타이어가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래치 고정 장치(10)를 더 형성하고, 와이어와 차체가 결합되는 부위에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를 더 형성하였다.That is,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pipe, a wire, a shaft, etc. for serving as a spare tire carrier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spare tire carrier, and further forms the latch fixing device 10 at a portion where the wire and the spare tire are coupled. The latch release device 20 is further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wire and the vehicle body are coupled.

상기 래치 고정 장치(10)에 대한 것이 도3a 및 3b 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latch lock 10 is shown in FIGS. 3A and 3B.

즉, 상기 래치 고정 장치(10)는, 차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30) 및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는 브라켓 파이프(11), 상기 파이프(3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스페어 타이어와 연결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 및 착탈을 조절하는 와이어(12), 상기 와이어(12)의 끝단에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는 결합부(13), 상기 결합부(13)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와 스페어 타이어를 결합시키는 서포트 브라켓(14) 및 상기 브라켓 파이프(11)에 힌지(1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13)의 이동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래치(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at is, the latch fixing device 10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o support the pipe 30 and the spare tire bracket pipe 11, which is located inside the pipe 30, one side of the latch release device Is connected to the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wire 12 to control the fixing and detachment of the spare tire, the coupling portion 13 is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12 to secure the spare tire, the coupling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ortion 13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14 for coupling the coupling portion 13 and the spare tire and the bracket pipe 11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hinge 16 to the coupling portion 13 And a latch 15 to enable movement and fixation of the < RTI ID = 0.0 >

상기 브라켓 파이프(11)는 일측면이 차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30) 및 와이어(12)의 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racket pipe 1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body, and serves to support the spare tire to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while simultaneousl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pipe 30 and the wire 12. .

상기 브라켓 파이프(11)의 내부로는 상기 파이프(30)의 일측 끝단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30)는 내부에 와이어(12)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브라켓 파이프(11)와 결합되는 부분이 아래쪽(지면)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pipe 30 extends into the bracket pipe 11, and the pipe 30 includes a wire 12 therein so that a portion of the pipe pipe 11 is coupled to the bracket pipe 11. It is preferable to bend to face downward (ground).

상기 파이프(30)의 내부에는 와이어(12)가 위치하는데, 상기 와이어(12)의 일측은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스페어 타이어와 연결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 및 착탈을 조절하며, 상기 브라켓 파이프(11)의 내부에서 상기 파이프(30)의 끝단에서 일부가 상기 파이프(30)의 외부로 연장된 채로 형성된다.The wire 12 is located inside the pipe 30, one side of the wire 12 is connected to the latch release device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to control the fixing and detachment of the spare tire. The inside of the bracket pipe 11 is formed with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pipe 30 to the outside of the pipe 30.

상기 와이어(12)의 끝단에는 결합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와이어(12)와 스페어 타이어에 고정되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4)을 서로 결합시켜 준다.A coupling portion 13 is formed at an end of the wire 12, and the coupling portion 13 couples the wire 12 and the support bracket 14 fixed to the spare tire to each other.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4)과 결합하는 일측은 상기 와이어(12)가 결합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12)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13)가 상기 래치(15)의 움직임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서포트 브라켓(14)에 큰 지지력을 전달할 수 있어 스페어 타이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13 has one side that is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14 is formed wid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2 is coupled, the other side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2 is coupled It is preferable to have a 'T' shaped cross section, so that the coupling part 13 can be easily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atch 15, and is large in the support bracket 14. The bear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o prevent the spare tire from falling.

또한,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와이어(12)가 결합되는 끝단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래치(15)의 내부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portion 13 is formed such that an end to which the wire 12 is coupled has an uneven shape to be caught inside the latch 15.

물론, 상기 결합부(13)의 끝단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결합부(13)를 상기 래치(15)에 의하여 높은 압력으로 붙잡아 지지할 수 있지만, 차량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3)를 고정하는 지지력이 약해져 순간 스페어 타이어가 낙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Of course, even if th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13 is not formed in the uneven shape, the engaging portion 13 can be held by the latch 15 at a high pressure, but the pressur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vehicle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that the support force for fixing the engaging portion 13 is weakened and the spare tire falls momentarily.

따라서, 상기 결합부(13)의 끝단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서, 상기 래치(15)의 내부에 단단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나아가, 상기 래치(15)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13)의 요철이 큰 힘을 지지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스페어 타이어가 낙하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13 in an uneven shape so as to be firm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latch 15, and furthermore, to the inside of the latch 15.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grooves are formed so that the unevenness of the grooves can support a large force, so that the spare tire does not fall even if a large impact is applied.

상기 결합부(13)와 맞물리는 상기 래치(15)는 상기 브라켓 파이프(11)의 내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결합부(13)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1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된다.The latch 15 engaged with the coupling part 13 is located inside the bracket pipe 11, and is rotatable by the hinge 16 to enable the coupling part 13 to move up and down. It is fixed.

즉, 상기 결합부(1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래치(15)가 상기 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결합부(13)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경우에는 상기 래치(15)가 상기 결합부(13)와 맞물려 회전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latch 15 rotates around the hinge 16 when the coupling part 13 moves up and down, and the latch 15 when the coupling part 13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ortion 13 so as not to rotate.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하여, 상기 래치(15) 및 힌지(16)는 상기 결합부(13)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2개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16)에는 각각 스프링(17)이 결합되어 상기 래치(15)의 변형 및 복귀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is operation, the latch 15 and the hinge 16 are formed in two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13, the spring 16 is coupled to the hinge 16,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deformation and return of the latch 15 can be adjusted.

상기 스프링(17)은 상기 힌지(16)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일측 끝단은 상기 래치(15)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브라켓 파이프(11)에 결합되어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pring 17 may be fitted into the hinge 16 and coupled to each other, one end of which may be coupled to the latch 15, and the other end of which may be coupled to the bracket pipe 11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결합 및 탈거를 조절하기 위하여 래치 해제 장치(20)가 형성되며, 차체의 일측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의 중심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샤프트(22), 일측 끝단이 상기 샤프트(22)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하여 압축 및 해제되는 릴리즈 스프링(23) 및 일측 끝단이 상기 릴리즈 스프링(23)과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래치(15)와 연결되는 릴리즈 케이블(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release device 20 is formed to control the engagement and detachment of the spare tire, the latch release device 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housing 21, the housing 21 The shaft 2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otation and is rotatab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aft 22, the release spring 23 and one end is compressed and releas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22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release cable 24 connected to the release spring 2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atch 15.

즉,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차체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21)의 중심에는 상기 하우징(21)을 관통하며 차체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샤프트(22)가 형성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4, the housing 21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the center of the housing 21 passes through the housing 21 and the vehicle body The shaft 22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기 샤프트(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기어 장치들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샤프트(22)의 일측에는 나선형의 릴리즈 스프링(23)이 결합되어 있다.More preferably, gears for rotating the shaft 22 are embedded in the housing 21, and a spiral release spring 2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aft 22.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은 상기 샤프트(22)와 결합된 부분에서 시작하여 원형의 나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이 모두 풀려있을 경우 상기 하우징(21)의 외곽을 벗어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The release spring 23 has a circular spiral structure starting from the portion coupled with the shaft 22, and does not depar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 when the release springs 23 are all released.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의 타측 끝단에는 릴리즈 케이블(24)이 연결되어 상기 래치(15)와 결합되어 있다.A release cable 24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spring 23 to be coupled to the latch 15.

따라서,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을 압축 또는 해제하게 되면, 이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이 압축 또는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 래치(15)가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결합부(13)가 이동하면서 스페어 타이어의 결합 및 해제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elease spring 23 is compressed or released, the release cable 24 connected thereto is compressed or released, and accordingly, the latch 15 may rotate, and thus, the coupling portion 13 may be rotated. You can adjust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spare tire as you move.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은 태엽 스프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에 일정 장력이 항상 유지되어, 상기 래치(15)의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스페어 타이어를 결합 또는 해제하기 위한 작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The release spring 23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spring spring, and thus a constant tension is always maintained in the release cable 24 to maintain a constant position of the latch 15, thereby coupling the spare tire. Or it is easier to ensure operability to release.

뿐만 아니라,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의 압축성을 통하여 상기 샤프트(22)의 회전량 대비, 필요한 릴리즈 케이블(24)의 길이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제작 과정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quired length of the release cable 24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shaft 22 through the compressibility of the release spring 23, the required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made simpler.

이와 같은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의 보다 상세한 작동 과정이 도5a 내지 9b 에 도시되어 있다.A more detailed operation of such a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on device is shown in Figs. 5A to 9B.

즉, 스페어 타이어를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 장착하기 전에는, 도5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이 상기 샤프트(22)에 밀착하도록 완전히 감겨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의 장력은 최대에 이르게 된다.That is, before the spare tire is mounted on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A, the release spring 23 is completely wound to closely contact the shaft 22, and thus the release cable The tension of 24 reaches a maximum.

이에 따라 도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15)의 외측 둘레가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의 장력에 의하여 위쪽으로 회전하게 되어 해제 상태가 되며, 상기 와이어(12)는 완전히 풀린 상태가 되어 상기 결합부(13)가 가장 하단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B,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atch 15 is rotated upward by the tension of the release cable 24 to be released, and the wire 12 is completely released. The coupling part 13 is moved to the lowest position.

따라서, 상기 결합부(13) 및 이에 연결된 서포트 브라켓(14)에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spare tire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13 and the support bracket 14 connected thereto.

이후, 스페어 타이어를 본 발명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2)를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이 감겨져 있는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은 점차적으로 풀리게 되어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에 전달되는 장력이 감소한다.Then, in order to mount the spare tire to th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A, the shaft 2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lease spring 23 is wound (counterclockwise). As a result, the release spring 23 is gradually released to reduce the tension transmitted to the release cable 24.

이에 따라 도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팽하게 위쪽을 향하여 회전되어 있던 상기 래치(15)가 점차적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며 내려오면서 잠기게 되고, 상기 래치(15)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와이어(12)가 점차 위쪽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감기게 되어 상기 결합부(13)를 고정시키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B, the latch 15, which has been rotated upwards and is tightened, is gradually locked downward and locked, and the wire 12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atch 15 is locked. ) Is gradually wound upward while winding to secure the coupling portion (13).

이와 같은 장착 과정이 모두 종료된 후의 모습이 도7a 및 7b 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은 완전히 풀려서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에 가해지는 장력은 최소를 유지하게 된다.Figures 7a and 7b are shown after all of these mounting procedures are completed. That is, the release spring 23 is fully released so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release cable 24 is kept to a minimum.

또한, 상기 릴리즈 케이블(24)과 연결되어 있는 상기 래치(15)는 아래쪽으로 완전히 회전하여 잠긴 상태가 되며, 상기 와이어(12)는 모두 감겨지고,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래치(15)와 완전하게 결합되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latch 15 connected to the release cable 24 is completely rotated downward and locked, the wires 12 are all wound, and the coupling part 13 is the latch 15. It is completely combined with and fixed.

평상시의 차량 운행시에는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종래와 같이 와이어만으로 스페어 타이어가 고정되는 경우에 비하여, 상기 와이어(12)가 절손되더라도 상기 래치(15)와 결합하고 있는 상기 결합부(13)에 의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스페어 타이어의 낙하로 인한 2차적인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This state is maintained during normal vehicle operation, and the coupling part 13 which is engaged with the latch 15 even when the wire 12 is broke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pare tire is fixed only with a wire as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spare tire can be fixed, the secondary safety accident due to the fall of the spare tire can be prevented.

추후, 스페어 타이어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도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2)를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이 감기도록(시계방향) 회전하여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이 감기게 되며,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에 가해지는 장력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spare tire is to be used, as shown in FIG. 8A, the release spring 23 is wound by rotating the shaft 22 so that the release cable 24 is wound (clockwise). In addition, the tension applied to the release cable 24 is gradually increased.

따라서, 도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래치(15)가 위쪽으로 회전하면서 해제되기 시작하며, 상기 래치(15)의 중심에 위치하는 상기 와이어(12) 및 결합부(13)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Thus, as shown in FIG. 8B, the latch 15 connected to the release cable 24 starts to release as it rotates upwards, and the wire 12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atch 15 is released. And the coupling part 13 is moved downward.

이후, 도9a 및 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릴리즈 스프링(23)이 완전히 감기게 되면, 상기 릴리즈 케이블(24)에 가해지는 장력이 최대에 다다르고, 상기 릴리즈 케이블(24)과 연결된 상기 래치(15)가 위쪽을 향하여 최대한 상승하여 해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와이어(12) 및 결합부(13)는 완전히 풀려진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9A and 9B, when the release spring 23 is completely woun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22, the tension applied to the release cable 24 reaches a maximum, and Since the latch 15 connected to the release cable 24 is lifted upward as far as possible to release it, the wire 12 and the coupling part 13 are completely releas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래치 고정 장치 11 : 브라켓 파이프
12 : 와이어 13 : 결합부
14 : 서포트 브라켓 15 : 래치
16 : 힌지 17 : 스프링
20 : 래치 해제 장치 21 : 하우징
22 : 샤프트 23 : 릴리즈 스프링
24 : 릴리즈 케이블 30 : 파이프
10 latch latch 11 bracket pipe
12: wire 13: coupling portion
14: support bracket 15: latch
16: hinge 17: spring
20: latch release device 21: housing
22: shaft 23: release spring
24: release cable 30: pipe

Claims (5)

스페어 타이어를 차량에 고정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에 있어서,
스페어 타이어와 결합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를 차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래치 고정 장치(10),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결합 및 탈거를 조절하며 차체의 일측과 결합되는 래치 해제 장치(20) 및
일측이 상기 래치 고정 장치(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와 연결되는 파이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
A spare tire carrier device for fixing a spare tire to a vehicle,
Latch fixing device 10 is coupled to the spare tire to secure the spare tire detachably to the vehicle body,
The latch release device 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controls the engagement and removal of the spare tire and
Spare tire carrier falling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atch fixing device (10) and the other side comprises a pipe (30) connected to the latch release device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고정 장치(10)는,
차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파이프(30) 및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는 브라켓 파이프(11);
상기 파이프(3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은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와 연결되고 타측은 스페어 타이어와 연결되어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 및 착탈을 조절하는 와이어(12);
상기 와이어(12)의 끝단에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는 결합부(13);
상기 결합부(13)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3)와 스페어 타이어를 결합시키는 서포트 브라켓(14) 및
상기 브라켓 파이프(11)에 힌지(1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결합부(13)의 이동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래치(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atch fixing device 10,
A bracket pipe 11 coupled to and fixed to a vehicle body to support the pipe 30 and the spare tire;
Located in the pipe 3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atch release device 2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wire 12 for adjusting the fixing and detachment of the spare tire;
A coupling part 13 formed at an end of the wire 12 to fix the spare tire;
A support bracket 14 formed at an end of the coupling part 13 to couple the coupling part 13 to the spare tire;
Spare tire carrier drop preven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atch (15) rotatably fixed to the bracket pipe 11 by a hinge (16) to enable movement and fix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13).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15) 및 힌지(16)는 상기 결합부(13)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2개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16)에는 각각 스프링(17)이 결합되어 상기 래치(15)의 변형 및 복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latch 15 and the hinge 16 are formed in two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ortion 13, the spring 16 is coupled to the hinge 16, respectively, to deform the latch 15 And a return tire adjusting device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spare tire carri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14)과 결합하는 일측은 상기 와이어(12)가 결합되는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와이어(12)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12)가 결합되는 끝단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래치(15)의 내부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13,
One side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14 is w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2 is coupled, the other side is formed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12 is coupled, the wire 12 is Spare tire carrier fall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coupled to the concave-convex shape to be caught inside the latch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해제 장치(20)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21)의 중심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샤프트(22);
일측 끝단이 상기 샤프트(22)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하여 압축 및 해제되는 릴리즈 스프링(23) 및
일측 끝단이 상기 릴리즈 스프링(23)과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래치(15)와 연결되는 릴리즈 케이블(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낙하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release device 20,
A housing 21;
A shaft 22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21 to be rotatab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haft 22, the release spring 23 is compressed and releas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22 and
Spare tire carrier fall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elease spring (23), the other end comprises a release cable (24) connected to the latch (15).
KR20100084697A 2010-08-31 2010-08-31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KR101178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4697A KR101178230B1 (en) 2010-08-31 2010-08-31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4697A KR101178230B1 (en) 2010-08-31 2010-08-31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28A true KR20120020828A (en) 2012-03-08
KR101178230B1 KR101178230B1 (en) 2012-08-30

Family

ID=4612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4697A KR101178230B1 (en) 2010-08-31 2010-08-31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2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34B1 (en) * 2012-12-26 2014-04-10 현대자동차(주) Carier apparatus of spare tire for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849B1 (en) * 2016-04-07 2022-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rier apparatus of spare tire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197B1 (en) 2005-11-08 2007-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Holding device of spare ti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34B1 (en) * 2012-12-26 2014-04-10 현대자동차(주) Carier apparatus of spare ti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230B1 (en) 201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230B1 (en) Prevention apparatus for dropping spare tire carrier
CA2289378A1 (en) Spare tire lift/carrier unit with dual retainers
KR100761556B1 (en) Apparatus for falling prevention of spare tire
JP5661319B2 (en) Vehicle exit prevention device
US8839995B2 (en) Security device for a spare-wheel pick-up system
KR200418011Y1 (en) Car shackle
EP3452361B1 (en)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a spare wheel of a vehicle, having an improved actuating device
CN110520347B (en) Spare tire winch with tire self-descending mechanism and lock
KR101232497B1 (en) a spare tire supporting apparatus for a vehicle
IL190772A (en) Crash shock absorbing device
KR100536367B1 (en) Wire-winding apparatus of spare tire carrier
KR101055061B1 (en) Spare tire carrier
KR101047602B1 (en) Spare tire fixing device
JP2011126443A (en) Tank holding mechanism for high-pressure gas tank, and vehicle mounted with high-pressure gas tank using the same
KR20100009346A (en) Spare tire carrier for automobile
CN202326805U (en) Automobile universal joint protection sleeve
KR101637606B1 (en) Spare tire carrier
KR200419201Y1 (en) Apparatus Binding Stowage for Automobile
CN217415693U (en) Low-noise high-stability safety belt retractor
JP2015051846A (en) Wrecker belt recovery system
KR101354834B1 (en) Automobile door protection apparatus
JP6295032B2 (en) Wire tension device for tire slip prevention
KR101324833B1 (en) Snow chain of multi-joint belt type and mounting apparatus and mounting system thereof
JP4482733B2 (en) Wheel drop prevention clamp
US20200231228A1 (en) Crash shock absorb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