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730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730A
KR20120020730A KR1020100084542A KR20100084542A KR20120020730A KR 20120020730 A KR20120020730 A KR 20120020730A KR 1020100084542 A KR1020100084542 A KR 1020100084542A KR 20100084542 A KR20100084542 A KR 20100084542A KR 20120020730 A KR20120020730 A KR 20120020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ouch
touch operation
characters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아
이철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730A/ko
Publication of KR2012002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문자들 각각을 상기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과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사용자는 여러 번의 터치 동작 없이 한 번의 터치 동작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ING CHARACTER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증가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들이 메시지, 이메일, 메모 및 스케줄 관리 등과 같은 부가 기능들을 선호함에 따라, 문자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들이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3×4 형태의 키패드에 복수 개의 문자들을 할당하여, 사용자가 각각의 키를 선택한 횟수에 따라 해당 키에 할당된 문자들을 입력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해당 키를 여러 번 선택해야하는 단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키패드에서 사용자가 문자 "L"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문자 "L"이 속한 키를 연속적으로 세 번 선택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동일한 키에 할당된 문자를 연속적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하나의 문자를 입력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 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방향키 혹은 공백문자가 할당된 키를 입력해야만 동일한 키에 할당된 다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고정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키패드를 축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 및 제공되고 있다. 일 예로, 휴대용 단말기에서 별도의 키패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터치스크린에 키패드 자판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문자를 터치하면, 해당 문자가 입력되는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력 방식은 상기 키패드 장치에서 키를 눌러 입력하는 방식을 단순히 터치스크린에서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전환한 것에 불과하여, 종래의 키패드의 구성으로 인한 단점을 그대로 갖게 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도 소정 영역에 할당된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기 소정 영역을 여러 번 터치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이동에 따라 문자를 간편하게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 번의 터치 동작으로 동일한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문자들 각각을 상기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과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드와, 복수 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키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문자들 각각을 상기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과 매핑하여 상기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상기 터치가 발생된 키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여러 번의 터치 동작 없이 한 번의 터치 동작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 수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을 분할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 수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을 분할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변경되는 입력 예정 문자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 번의 터치 동작으로 동일한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스크린(200), 제어부(210), 터치신호 수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터치스크린(200)은 표시부(202)와 터치 패널(20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210)는 문자 입력 제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며, 특히 문자 입력 제어부(212)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2)는 문자 입력을 위해 화면이 터치될 시, 상기 터치 신호 수신부(210)로부터 터치된 위치 데이터를 입력받아 대응되는 키 영역을 검사하고, 해당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검사한다. 이후,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2)는 상기 표시부(202)를 통해 상기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j, k, l, 5"가 할당된 키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표시부(202)를 제어하여 상기 "j, k, l, 5"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2)는 상기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표 문자를 입력 예정 문자로 나타내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 예정 문자는 해당 시점에 터치 동작이 완료될 경우, 문자 입력 창에 입력될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로서, 해당 문자의 두께, 색상, 크기 혹은 바탕 색상을 변경시키거나 상기 해당 문자에 밑줄 혹은 애니메이션 효과 부여 등과 같은 강조 표시를 함으로써 상기 해당 문자를 입력 예정 문자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202)를 제어하여 "g, h, i, 4"를 포함하는 팝업 창 디스플레이 시, 미리 설정된 대표 문자 "g"를 크게 표시하여 입력 예정 문자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표 문자는 키 영역에 관계없이 첫 번째 문자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해당 키 영역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h, i, 4"를 포함하는 키 영역은 왼쪽 첫 번째에 위치하므로 첫 번째 문자인 "g"가 대표 문자로 설정될 수 있고, "j, k, l, 5"를 포함하는 키 영역은 왼쪽 두 번째에 위치하므로 두 번째 문자인 "k"가 대표 문자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각 키 영역의 대표 문자는 설계자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0)는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 혹은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을 포함하는 좌우의 키 영역을 상기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에 대응하는 수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들 각각과 임시 매핑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문자들 각각과 임시 매핑할 수도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과 좌우 키 영역들을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들 각각과 임시 매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0)는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되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표시부(202)를 제어하여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대응되는 문자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0)는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터치 동작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 동작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이동에 대응되는 영역에 임시 매핑된 문자를 입력 예정 문자로 변경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0)는 사용자가 첫 번째 영역(801)을 터치하면, 상기 첫 번째 영역(801)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 "g, h, i, 4" 를 포함하면서 대표 문자 "g"를 강조하여 나타내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가 화면에서 손(혹은 터치 도구)을 떼지 않은 채로 세 번째 영역(803)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팝업 창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들 "g, h, i, 4" 중에서 상기 세 번째 영역(803)에 임시 매핑된 문자 "i"를 강조하여 나타내고, 상기 "g"에 대한 강조 표시를 해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0)는 상기 터치 동작의 이동에 따라 문자가 오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시점부터 터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기본적인 키패드 기능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첫 번째 영역(801)에 할당된 문자 "i"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첫 번째 영역(801)을 터치하여 화면에서 손(혹은 터치 도구)을 떼지 않은 채로 두 번째 영역(802)을 거쳐 세 번째 영역(803)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두 번째 영역(802)과 세 번째 영역(803)에 기본적으로 할당된 문자들 "j, k, l, 5, m, n, 6"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번째 영역(802)과 세 번째 영역(803)을 통해 "j, k, l, 5, m, n, 6" 중 어느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기본적인 키패드 기능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문자 입력 제어부(210)는 상기 터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 입력 예정 문자로 설정된 문자를 입력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은 사용자의 손(혹은 터치 도구)이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을 의미한다.
상기 터치스크린(200)은 상기 표시부(202)와 상기 표시부(202) 위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touch pannel)(2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2)는 액정 표시창(LCD : Liquid Crystal Display)으로,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문자, 숫자, 상태 정보 및 다양한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터치 동작이 발생된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j, k, l, 5"가 할당된 키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표시부(202)는 상기 "j, k, l, 5"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202)는 상기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대표 문자를 입력 예정 문자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g, h, i, 4"를 포함하는 팝업 창 디스플레이 시, 미리 설정된 대표 문자 "g"를 크게 표시하여 입력 예정 문자임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202)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동작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입력 예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202)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되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임시 매핑된 문자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을 분할하여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임시 매핑된 영역으로 표시할 수도 있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과 좌우 키 영역들을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들 각각에 임시 매핑된 영역으로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204)은 화면에 접촉에 따른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 혹은 압력을 인식하여 상기 터치 신호 수신부(120)로 전달한다.
상기 터치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터치스크린(200)에 포함된 터치 패널(204)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고, 화면의 접촉 위치에 따른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1단계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 진입하고, 303단계에서 터치 패널(204)을 통해 화면 터치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화면 터치가 발생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키 영역을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j, k, l, 5"가 할당된 키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j, k, l, 5"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화면의 소정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대표 문자를 설정하여,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상기 대표 문자를 입력 예정 문자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 예정 문자는 해당 시점에 터치 동작이 완료될 경우, 문자 입력 창에 입력될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로서, 해당 문자의 두께, 색상, 크기 혹은 바탕 색상을 변경시키거나 상기 해당 문자에 밑줄 혹은 애니메이션 효과 부여 등과 같은 강조 표시를 함으로써 상기 해당 문자를 입력 예정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각 키 영역의 대표 문자는 설계자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수에 따라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거나,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을 포함하는 좌우의 키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키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 각각과 임시 매핑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수가 4개인 경우 해당 키 영역을 4개의 영역(401, 402, 403, 404)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키와 임시 매핑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수가 3개인 경우 해당 키 영역을 3 개의 영역(501, 502, 503)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키와 임시 매핑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수가 4개인 경우 해당 키 영역을 포함하는 좌우 키 영역들을 4 개의 영역(601, 602, 603, 604)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키와 임시 매핑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동작이 발생된 키 영역에 할당된 문자들의 수가 3개인 경우 해당 키 영역을 포함하는 좌우 키 영역들을 3 개의 영역(701, 702, 70)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키와 임시 매핑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에서 터치 동작의 이동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터치 동작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을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기 315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동작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반면, 상기 터치 동작의 이동이 감지될 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에서 상기 터치가 이동된 영역을 확인하고,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복수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터치가 이동한 영역에 임시 매핑된 문자를 입력 예정 문자로 표시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 동작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동작의 종료는 사용자의 손(혹은 터치 도구)이 화면에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터치 동작이 종료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9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터치 동작이 종료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터치 동작이 종료되는 시점에 입력 예정 문자로 표시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임시 매핑한 복수의 문자들과 해당 영역들의 매핑 관계를 해제한다. 여기서, 만일 상기 터치 동작이 상기 복수의 문자들 각각과 임시 매핑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종료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마지막에 입력 예정 문자로 표시된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입력할 수도 있고, 상기 터치 동작을 사용자의 오 입력으로 간주하고, 상기 문자 입력 창에 문자를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되지 않을 시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는 반면, 상기 문자 입력 모드가 종료될 시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터치가 발생된 영역에 할당된 복수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팝업 창을 통해 터치 이동에 대응되는 문자를 강조 표시하여 해당 문자가 입력 예정 문자임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팝업 창을 통해 터치 이동에 따라 입력 예정 문자를 나타냄과 동시에 해당 문자를 문자 입력 창에 직접 입력하여 터치 이동시마다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j, k, l, 5"가 포함된 키 영역이 터치되는 경우 팝업 창을 통해 "j"가 입력 예정 문자임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문자 입력 창에 상기 "j"를 입력하고, 상기 터치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팝업 창을 통해 입력 예정 문자가 "5"로 변경됨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입력된 "j"를 "5"로 변경하고, 터치가 종료되면 상기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상기 문자 입력 창에 입력된 "5"를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0: 터치스크린 202: 표시부
204: 터치 패널 210: 제어부
212: 문자 입력 제어부 220: 터치 신호 수신부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문자들 각각을 상기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과 매핑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 혹은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키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들의 수만큼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 창에 포함된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터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강조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 표시는, 문자의 두께 변경, 문자의 색상 변경, 문자의 크기 변경, 문자의 바탕 색상 변경, 문자에 대한 밑줄 부여 및 문자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 부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드와,
    복수 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키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문자들 각각을 상기 분할된 복수 개의 영역과 매핑하여 상기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 터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은,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 혹은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키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동작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문자들의 수만큼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터치 동작이 감지된 키 영역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문자들을 포함하는 팝업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팝업 창에 포함된 복수 개의 문자들 중에서 상기 터치가 이동하는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강조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 표시는, 문자의 두께 변경, 문자의 색상 변경, 문자의 크기 변경, 문자의 바탕 색상 변경, 문자에 대한 밑줄 부여 및 문자에 대한 애니메이션 효과 부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84542A 2010-08-31 2010-08-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20020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42A KR20120020730A (ko) 2010-08-31 2010-08-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542A KR20120020730A (ko) 2010-08-31 2010-08-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730A true KR20120020730A (ko) 2012-03-08

Family

ID=4612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542A KR20120020730A (ko) 2010-08-31 2010-08-31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7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810A (ko) * 2013-05-14 2014-1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KR102573551B1 (ko) * 2023-04-28 2023-09-01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인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810A (ko) * 2013-05-14 2014-1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텍스트 편집방법
KR102573551B1 (ko) * 2023-04-28 2023-09-01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인셀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37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US9684448B2 (en) Device input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mpaired users
CN103064629B (zh) 能动态调整图形控件的便携电子设备及方法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EP153138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graffiti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US20100207870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special symbol in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KR102058455B1 (ko) 단말의 캐릭터 입력 모드에서 연산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902471B (zh) 一种输入界面的切换方法以及装置
WO2004010276A1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KR20100028076A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40073245A (ko)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070011387A (ko) 터칭 도구 또는 손가락의 사용에 따라 제공 정보를적합화하는 터치 스크린
CN106415469A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WO2014042247A1 (ja) 入力表示制御装置、シン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入力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06020698A (zh) 移动终端及其单手模式的实现方法
KR2011010462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20319958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key arrangement alteration method therefor
US20150062015A1 (en)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4281318A (zh) 减少软键盘按压的显示延迟的方法和装置
CN101470575B (zh) 电子装置及其输入方法
KR20140141305A (ko) 화면분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CN105468182A (zh) 虚拟键盘显示系统及方法
EP3179347A1 (en)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touch panel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