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581A -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581A
KR20120019581A KR1020100082853A KR20100082853A KR20120019581A KR 20120019581 A KR20120019581 A KR 20120019581A KR 1020100082853 A KR1020100082853 A KR 1020100082853A KR 20100082853 A KR20100082853 A KR 20100082853A KR 20120019581 A KR20120019581 A KR 20120019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address
guide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formation
exter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옥
Original Assignee
송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옥 filed Critical 송영옥
Priority to KR102010008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581A/ko
Priority to PCT/KR2011/005898 priority patent/WO2012026697A2/ko
Publication of KR2012001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내부망의 관리자 단말기가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FORMATION MANAGING SERVER COMPRISED IN TH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박물관이나 기타 공공장소 등을 방문한 고객들에게 해당 위치의 박물관 또는 기타 공공장소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박물관이나, 기타 공공장소의 안내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박물관을 예로 든다면, 과거에는 박물관 입구에 유로 또는 무료 팜플렛을 구비해두고서 방문자들이 그 팜플렛을 읽으면서 박물관의 각 층별 전시내용 등을 알 수 있도록 하였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의 현재 위치와 관련한 주요 정보들을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등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구비하고, 이동통신망에서는 그 GPS 모듈의 동작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 후에 해당 위치에 있는 박물관이나 기타 공공장소 등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GPS 모듈을 이용하는 것은 GPS 인공위성과의 통신을 전제로 하는 것이어서, 건물 안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박물관과 같은 곳에서는 각 층 또는 각 건물마다 별도의 전시관을 마련하여 종류별로 전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건물 안 또는 전시관으로 들어선 사람들은 해당 건물 또는 전시관에 어떠한 전시물들이 전시되어 있는지 상술한 GPS 모듈을 이용한 방식으로는 안내 정보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GPS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도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관한 안내 정보가 자동으로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내부망의 관리자 단말기가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가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요청 신호를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통신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관리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로부터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와;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안내 정보를 관리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고,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전송한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안내 정보를 관리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는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요청 신호를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고,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전송한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통신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관리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로부터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등록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관리자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선택하는 안내 정보 선택부와; 상기 등록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에서 선택된 안내 정보의 위치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위치 정보 등록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안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GPS 모듈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현재의 장소에 대한 안내 정보를 통신 단말기를 통해 쉽게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GPS 방식과는 달리 건물 안에서도 정확한 안내 정보를 수신/확인할 수 있고, 각 건물 안의 구분된 영역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안내 정보를 수신/확인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10),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 고객 통신 단말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고객이 박물관을 방문하여 박물관에 관한 안내 정보를 확인하는 상황인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는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는 예를 들어 사설 아이피 주소(Private Internet Protocol Address)에 해당할 수 있고,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는 공인 아이피 주소(Public Internet Protocol Address)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는 사설 아이피 주소를 가진 내부망 장치들이 외부망으로 접속하는 경우 그 중계 및 관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외부망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주소 즉, 발신 주소를 사설 아이피 주소에서 공인 아이피 주소로 변환하여 발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공인 아이피 주소는 예를 들어 인터넷 회선 제공 업체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는데 할당된 공인 아이피 주소 중에는 고정 아이피 주소도 있지만 유동 아이피 주소도 있다.
고정 아이피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가 다시 부팅되거나 또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변하지 않는 고정된 주소에 해당하지만, 유동 아이피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가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부팅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다른 주소로 바뀔 수 있는 주소에 해당한다.
즉,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일 예로, 공인 아이피 주소)는 해당 외부망 연결을 지원하는 인터넷 회선 제공 업체의 선택에 따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는 내부망 장치들에게 사설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는 기능도 수행하는데, 여기서 내부망 장치에는 후술하는 관리자 단말기(210)는 물론 고객 통신 단말기(220)도 포함된다.
물론, 사설 아이피 주소와 공인 아이피 주소의 구분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내부망의 각기 다른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는 장치들의 요청 신호를 어느 하나의 동일한 외부용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망으로 전송하는 모든 경우에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가 이용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10)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통해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기(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기준으로 내부망에 속한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박물관의 운영 관리자가 조작하는 단말기이다. 예를 들어 운영 관리자는 출근시마다 관리자 단말기(210)를 조작 및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패스워드 등이 포함된 로그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관리자 단말기(210)는 내부망에 속한 단말기로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경유할 수밖에 없고, 이때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되어 있던 관리자 단말기(210)의 주소(예를 들어 사설 아이피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에 의해 외부망 네트워크 주소(예를 들어 공인 아이피 주소)로 변환된다.
따라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수신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는 관리자 단말기(210)의 원래 주소인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아닌,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동작에 의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는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210)가 또한 주기적으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의 변경 또는 변경 가능성이 판단되는 경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통해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210)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주기적으로 응답 신호를 요청하고,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가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가 전원 차단되었다고 판단하고 이 경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전원이 온(공급) 되는 경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것이다.
이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에 유동 아이피 주소가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써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재부팅과 함께 새로운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될 수 있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다른 예로써 관리자 단말기(210)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주기적으로 응답 신호를 요청하고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해당 관리자 단말기(210)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210)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210)는 응답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확인함으로써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예를 들어 박물관을 방문한 고객이 소유하거나 이용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박물관 내부망에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폰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지국을 통해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에 접속하여 외부망의 소정 서버 등과 통신할 수 있는 것을 그 주요 특징으로 한다.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통해 외부망으로 접속한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고객 통신 단말기(220) 역시 박물관 내부망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경유하여 외부망에 접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과 달리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서는 근거리 무선 랜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즉, 고객 통신 단말기(220)와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 간에는 WIFI(Wireless Fidelity)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랜 통신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그렇게 생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외부망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고객 통신 단말기(22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액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가 더 구비될 필요가 있는데,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은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가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는 일종의 유무선 공유기에 해당할 수 있다.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특히,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통해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와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데, 이렇게 형성된 통신 채널을 통해 외부망(예를 들어 인터넷망)에 구비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이다.
고객 통신 단말기(220)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소정의 처리 과정을 통해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해당 고객이 위치한 박물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이러한 박물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여기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의 인터넷 주소는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통신 단말기(220)의 기능 즉,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그 요청 신호에 따라 수신되는 안내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은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 설치되거나 외부의 소정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의 인터넷 주소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미리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박물관이나 기타 공공장소 등에 대한 안내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각 안내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등록시키고, 안내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요청 신호를 전송한 위치를 판단한 후에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박물관이나 기타 공공장소 등에 대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기(210)가 전송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그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인증 처리를 먼저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21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의 인증 정보에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한 후(즉, 기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한 후), 해당 사용자 아이디에 대응되어 저장된 안내 정보와 해당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매칭시켜 등록할 수 있다. 즉,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기 저장된 각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위치정보로써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고객 통신 단말기(220)가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통해 전송한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고객 통신 단말기(220)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각 안내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관리자 단말기(210)의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매칭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고객 통신 단말기(220)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해당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 제공하는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210)와 고객 통신 단말기(220)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갖고 있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내부망에 있는 경우, 그 관리자 단말기(210)와 고객 통신 단말기(220)가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하는 요청 신호(즉,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 또는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는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기 때문에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이러한 외부요 네트워크 주소를 일종의 위치 정보로써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의 세부 기능 블록을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부(150), 요청 수신부(110), 안내 정보 선택부(120), 위치 정보 등록부(130), 안내 정보 제공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데이터베이스부(150)에는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부(150)에는 관리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안내 정보가 관리자 아이디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이처럼 소정의 인증 정보와 안내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형태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첫 번째 레코드는 박물관에 관한 것으로서, 박물관 운영자 아이디는 'sky88'이고, 패스워드는 'ag115q3'이며, 이러한 인증정보에 매칭된 박물관의 안내 정보는 "박물관.flv" 파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레코드는 서울 시청에 대한 것으로서, 서울 시청 관리자 아이지는 "bluecook"이고, 패스워드는 "3319uy"이며, 이러한 인증정보에 매칭된 서울 시청의 안내 정보는 "서울시청.jpg" 파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정보는 일종의 파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고, 그 파일의 형태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정보가 하나의 파일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안내 정보는 복수개의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요청 수신부(110)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여러 장치들로부터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관리자 단말기(210)로부터는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고객 통신 단말기(220)로부터는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안내 정보 선택부(120)는 등록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관리자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안내 정보 선택부(120)는 관리자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로그인 인증 처리를 먼저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안내 정보 선택부(120)는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안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위치 정보 등록부(130)는 등록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안내 정보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안내 정보의 위치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는 발신측 네트워크 주소 즉,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에 의해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데, 위치 정보 등록부(130)는 이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일종의 위치정보로써 데이터베이스부(150)에 등록하는 것이다. 이때 위치 정보 등록부(130)는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안내 정보 선택부(120)에서 선택된 안내 정보를 매칭시켜 등록하게 된다.
이처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매칭되어 등록된 예가 도 4에 도시되었다.
도 4의 첫 번째 레코드를 살펴보면, 위치 정보 필드에는 "121.135.232.201"이라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저장되어 있고, 안내 정보(파일명) 필드에는 "박물관.flv"라는 파일명이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박물관의 관리자 단말기(210)가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와 통신하기 위해 경유해야 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외부 네트워크 주소가 "121.135.232.201"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박물관의 관리자 단말기(210)와 동일한 내부망을 이용하는 장치들이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소정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그 요청 신호에는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써 "121.135.232.201"가 포함될 것임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안내 정보 제공부(140)는 요청 수신부(110)에 수신된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220)로부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박물관의 관리자 단말기(210)와 동일한 내부망을 이용하는 고객 통신 단말기(220) 즉, 동일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이용하여 외부망과 통신하는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때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는 박물관의 관리자 단말기(210)에 의해 미리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주소인 "121.135.232.201"가 포함되어 있게 되는데, 안내 정보 제공부(140)는 이러한 네트워크 주소 비교를 통해 어떠한 안내 정보를 추출해야 할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내 정보 제공부(140)는 도 4의 경우에는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인 "박물관.flv" 파일을 추출하여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박물관.flv"라는 파일을 재생하여 고객이 박물관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관리자 단말기(210)는 관리자의 명령(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한 명령)에 따라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경유하여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1).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3),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한다(단계 S5).
그리고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인증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고(단계 S7), 등록 완료 응답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210)에 전송한다(단계 S9).
한편, 관리자 단말기(210)와 동일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를 이용하는 고객 통신 단말기(220)는 예를 들어 고객이 명령에 따라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11).
이때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는 그 수신된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단계 S13), 그 추출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며(단계 S15), 추출한 안내 정보를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 전송한다(단계 S17).
이에 따라 고객 통신 단말기(220)에는 안내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단계 S19).
한편, 관리자 단말기(210)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21), 변경된 경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재전송한다(단계 S23).
즉, 관리자 단말기(210)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인증정보(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를 임시 저장해 두고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 관리자의 명령이 없더라도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의 재전송에 따라 단계 S3부터의 처리 과정을 다시 수행된다.
이처럼,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에 할당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위치를 판단하고,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의하면, 건물 내에서 즉, GPS 모듈이 동작할 수 없는 곳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안내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 고객 통신 단말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은 별도의 관리자 단말기(210)가 필요치 않다는 점이다.
즉, 제1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기(210')가 수행하던 기능, 즉,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에 포함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 전송 기능은 앞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관리자 단말기(210)의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므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박물관 내의 전시관마다 독립적인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를 설치하고, 각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마다 서로 다른 공인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는 관리자 등의 별다른 명령이 없더라도 자체적으로 저장된 인증 정보를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저장된 안내 정보의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는 회선 제공 업체 서버(미 도시함)로부터 할당되는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200_1~200_3)의 상술한 기능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없고, 고객 통신 단말기(220')가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에 요청하여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각 실시예들에서 안내 정보 관리 서버(100,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인증 정보에는 관리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만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의 장치 번호가 데이터베이스부의 인증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수신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 및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도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 장치 번호가 포함될 수 있는데,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안내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 장치 번호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물관에 여러 개의 서브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가 하나의 메인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안내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경우, 각각의 서브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들은 자신의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자신(서브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의 장치 번호를 포함시켜 메인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박물관의 어떤 서브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한 안내 정보 요청인지를 기 저장된 서브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 장치 번호에 의해 확인하여, 확인된 서브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는 안내 정보(예를 들어 박물관의 특정 전시관의 안내 정보) 만을 해당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예에서는 박물관이나 관공서 등에 대한 언급만 하였으나, 식당이나 기타 상품 또는 서비스 업체에 고객이 방문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식당 주인이 식당 컴퓨터로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해 두면, 해당 식당에 진입한 고객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해당 고객이 위치한 식당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안내 정보 관리 서버 200 :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
210 : 고객 통신 단말기 220 : 관리자 단말기
110 : 요청 수신부 120 : 안내 정보 선택부
130 : 위치 정보 등록부 140 : 안내 정보 제공부
150 : 데이터베이스부

Claims (9)

  1.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내부망의 관리자 단말기가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의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의 변경 또는 변경 가능성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
  3.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가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요청 신호를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가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가 회선 제공 업체 서버로부터 할당되는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의 변경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의 제어방법.
  5.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통신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관리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로부터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
  6. 관리자 단말기와;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안내 정보를 관리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고,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전송한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
  7.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안내 정보를 관리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는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요청 신호를 외부망의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안내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되어 있던 안내 정보에, 상기 위치 등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위치 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고,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전송한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안내 시스템.
  8.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망 장치의 요청 신호에서 내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망에 전송하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통신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에 있어서,
    관리자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와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관리자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관리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를 통해 통신하는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로부터 안내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등록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관리자 인증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선택하는 안내 정보 선택부와;
    상기 등록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에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를 상기 안내 정보 선택부에서 선택된 안내 정보의 위치정보로써 매칭시켜 등록하는 위치 정보 등록부와;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된 내부망의 고객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 포함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와 동일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가 위치 정보로써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등록된 외부용 네트워크 주소에 매칭된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고객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안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관리자 인증 정보에는 관리자 아이디, 패스워드와,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 장치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요청 수신부에 수신되는 위치 정보 등록 요청 신호 및 안내 정보 요청 신호에는 네트워크 주소 공유기 장치 번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정보 관리 서버.
KR1020100082853A 2010-08-26 2010-08-26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19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53A KR20120019581A (ko) 2010-08-26 2010-08-26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CT/KR2011/005898 WO2012026697A2 (ko) 2010-08-26 2011-08-11 자동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정보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53A KR20120019581A (ko) 2010-08-26 2010-08-26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81A true KR20120019581A (ko) 2012-03-07

Family

ID=45723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53A KR20120019581A (ko) 2010-08-26 2010-08-26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19581A (ko)
WO (1) WO20120266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9442B (zh) * 2018-11-20 2022-01-18 网宿科技股份有限公司 流量分类引导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643B2 (ja) * 2000-05-30 2005-02-16 株式会社 ネットピア.コム 実名を利用した地域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593058B1 (ko) * 2005-08-03 2006-07-05 주식회사 가원아이 의사 위성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전시 안내 시스템
KR100773976B1 (ko) * 2005-12-29 2007-11-08 뮤텔테크놀러지 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09158B2 (ja) * 2007-03-30 2012-04-04 日本放送協会 サービス案内提供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6697A3 (ko) 2012-05-10
WO2012026697A2 (ko)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8802B2 (ja) 位置マッパを介してwifiホットスポットの位置及び性能メトリックのデータベースを生成し且つ動的に更新すること
JP2010506266A (ja) コンテンツを挿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645751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volving the creation of virtual spaces
KR20090066259A (ko) 이동통신단말수단과의 연동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콘텐츠 제공서비스 시스템
WO2019216356A1 (ja) サーバ及び受付用画面の表示方法
JP2002318808A (ja) 個人情報登録支援システム
KR20070090410A (ko) Poi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278973A (ja) 位置情報管理装置および位置情報参照端末
KR20120019581A (ko) 자동 안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자동 안내 시스템에 포함된 안내 정보 관리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8972A (ko)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37068A (ko) 와이파이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6196A (ko) 단말기의 실제 위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008919A1 (en) Value added services system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KR20110002152A (ko) 바이너리 씨디엠에이를 이용한 영상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150072664A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19079270A (ja) 通訳支援システム
JP6964842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位置情報サービス方法及び端末プログラム
JP6459491B2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88923A (ko) 개인용 무선공유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1305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910737B1 (ko)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통신 품질 확인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90681A (ko) 무선 통신서비스 이용 희망자의 가입신청 접수방법
JP2007116319A (ja) 通信システム、網管理サーバ、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CN1573766A (zh) 用于为用户提供定制帮助的方法和设备
KR102430136B1 (ko)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액세스 포인트 등록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