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044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044A
KR20120019044A KR1020100082141A KR20100082141A KR20120019044A KR 20120019044 A KR20120019044 A KR 20120019044A KR 1020100082141 A KR1020100082141 A KR 1020100082141A KR 20100082141 A KR20100082141 A KR 20100082141A KR 20120019044 A KR20120019044 A KR 20120019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viewing device
signal
righ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692B1 (ko
Inventor
이강섭
김운영
이형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692B1/ko
Priority to EP11176387.6A priority patent/EP2418865A3/en
Priority to US13/197,939 priority patent/US9036012B2/en
Priority to CN2011103001267A priority patent/CN102572460A/zh
Publication of KR20120019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7Calibr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순서로 배열되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3D 영상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3D 영상의 시청을 위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입력에 따라, 3D 영상을 반전시키는 단계와, 반전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3D 영상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3D 영상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입체 영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환경 및 기술에서도 입체 영상 기술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3D 영상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순서로 배열되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와, 3D 영상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3D 영상의 시청을 위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입력에 따라, 3D 영상을 반전시키는 단계와, 반전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3D 영상 시청을 위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입력에 따라, 3D 영상을 반전시키며, 반전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3D 시청을 위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이동 입력에 따라 3D 영상을 반전하여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편하게, 3D 영상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열 순서 변경 표시 이전에, 3D 영상을 90도 회전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3D 영상이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포맷에 따라 3D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시청장치와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3D 시청장치와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20c는 도 11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튜너(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촬영부(190), 및 3D 시청장치(19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7-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190)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3D 시청장치(195)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 제공자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 TV와 접속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제스처, 터치 또는 3D 시청 장치(19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160)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 사용자의 제스처, 터치 또는 3D 시청 장치(195)의 위치 신호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도면과 달리,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190),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3D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다른 깊이를 가지도록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D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도록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190)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3차원 영상 시청을 위해 디스플레이(180)는,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추가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안경(glass) 등이 없이, 디스플레이(180) 단독으로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디스플레이(180) 외에 3D 시청장치(195)로서 추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타입, 안경 타입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안경 타입은, 편광 안경 타입 등의 패시브(passive) 방식과, 셔터 글래스(ShutterGlass) 타입 등의 액티브(active) 방식으로 다시 나뉠 수 있다. 한편,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타입에서도 패시브 방식과 액티브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입체 영상 시청을 위해, 3D 시청장치(195)로 3D용 글래스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3D용 글래스(195)는, 패시브 방식의 편광 글래스 또는 액티브 방식의 셔트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헤드 마운트 타입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부(190)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190)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190)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19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제어부(170)는, 촬영부(190)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160)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7-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장치는, TV 수상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3은 3D 영상의 다양한 포맷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포맷에 따라 3D 시청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210), 영상 처리부(220), OSD 생성부(240), 믹서(2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 및 포맷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2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2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디코더(225), 및 스케일러(2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2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2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2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225)는, MPEG-2 디코더, H.264 디코더, MPEC-C 디코더(MPEC-C part 3), MVC 디코더, FTV 디코더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90)으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영상 신호 또는 튜너(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방송 영상 신호가, 2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가 혼합된 경우, 및 3D 영상 신호만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후의 제어부(170), 특히 영상 처리부(220) 등에서 신호 처리되어, 각각 2D 영상 신호,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의 혼합 신호, 3D 영상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2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다양한 포맷의 3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으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복수 시점 영상 신호로 이루어진 3D 영상 신호 등일 수 있다. 복수 시점 영상 신호는, 예를 들어,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은, 도 3과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를 좌,우로 배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도 3a), 상,하로 배치하는 탑 다운(Top / Down) 포맷(도 3b), 시분할로 배치하는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도 3c),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라인 별로 혼합하는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도 3d), 좌안 영상 신호와 우안 영상 신호를 박스 별로 혼합하는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도 3e) 등일 수 있다.
OSD 생성부(2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245)는, OSD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2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2D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3D 영상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프레임 레이트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260)는, 믹서(2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3D 영상 신호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오브젝트의 예로는 PIP(picuture in picture)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나타내는 EPG,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텍스트, 영상 내의 사물, 인물, 배경, 웹 화면(신문, 잡지 등)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포맷터(2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다양한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포맷에 따라, 도 4와 같이, 안경 타입의 3D 시청장치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4(a)는, 포맷터(260)가 도 3의 포맷 중 프레임 시퀀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셔터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즉, 디스플레이(180)에 좌안 영상(L)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개방, 우안 글래스가 닫히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180)에 우안 영상(R)이 표시된 경우, 셔터 글래스(195)의 좌안 글래스가 닫히고, 우안 글래스가 개방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4(b)는, 포맷터(260)가 도 3의 포맷 중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3D용 글래스(195), 특히 편광 글래스(195)의 동작을 예시한다. 한편, 도 4(b)에서 적용되는 3D용 글래스(195)는, 셔터 글래스일 수 있으며, 이때의 셔터 글래스는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 모두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편광 글래스 처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포맷터(260)는,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2D 영상 신호 내에서 에지(edge)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지(edge)에 따른 오브젝트 또는 선택 가능한 오브젝트를 3D 영상 신호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3D 영상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 신호(L)와 우안 영상 신호(R)로 분리되어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맷터(260) 이후에,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신호 처리를 위한 3D 프로세서(미도시)가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3D 프로세서(미도시)는, 3D 효과의 개선을 위해,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프로세서의 기능은, 포맷터(260)에 병합되거나 영상처리부(220) 내에 병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돌비(Dolby) AC-3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2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OSD 생성부(240)와 영상 처리부(2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2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2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영상 처리부(220)의 출력을 포맷터(260)에서 3D 처리하고, OSD 생성부(240)는 OSD 생성과 함께 3D 처리를 수행한 후, 믹서(245)에서 각각의 처리된 3D 신호를 믹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250), 및 포맷터(2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영상 신호의 다양한 스케일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3D 효과(3-dimensional effect) 증대를 위해, 제어부(170)는 3D 효과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특히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3D 영상 신호 또는 3D 영상 신호 내의 3D 오브젝트(510)를 일정 비율로 전체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512)할 수 있으며, 또한 도 5(b) 및 도 5(c)와 같이, 3D 오브젝트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사다리꼴 형상, 514, 516)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d)와 같이, 3D 오브젝트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평행 사변형 형상, 518)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스케일링(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을 통해, 3D 영상 또는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입체감 즉,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강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울기(slope)가 커질수록, 도 5(b) 또는 도 5(c)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514,516)의 평행한 양변의 길이 차가 커지거나, 도 5(d)와 같이, 회전각이 더 커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은, 포맷터(260)에서 3D 영상 신호가 소정 포맷으로 정렬된 후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영상처리부(220) 내의 스케일러(235)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OSD 생성부(240)는, 3D 효과 강조를 위해, 생성되는 OSD를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3D 효과(3-dimensional effect)를 위한 신호 처리로서, 도 5에서 예시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 외에, 영상 신호 또는 오브젝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의 신호 처리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근거리는 선명하게, 원거리는 흐리게 만드는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거나, 별도의 3D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 상술한 크기 조절 또는 기울기 조절 등과 함께, 포맷터(260)에서 수행되거나, 또는 영상처리부((220) 내에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서 수직하게(vertical) 배치되다가, 지면과 수평하게(horizontal) 배치되는 경우, 3D 영상 또는 3D 영상 내의 3D 오브젝트의 밝기, 명암, 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거나,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의 수직 배치시 보다, 수평 배치시에,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입체감이 더 향상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의해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간격에 따른 3D 영상의 깊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들(615,625,635,645)이 예시된다.
먼저, 제1 오브젝트(615)는, 제1 좌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제1 우안 영상(613,R)를 포함하며, 제1 좌안 영상(611,L)과 제1 우안 영상(613,R)의 간격은 디스플레이(180) 상에서 d1 인 것이 예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좌안(601)과 제1 좌안 영상(61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603)과 제1 우안 영상(60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61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2 오브젝트(625)는, 제2 좌안 영상(621,L)과 제2 우안 영상(623,R)를 포함하며, 서로 겹쳐져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므로, 그 간격은 0 인 것이 예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625)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는, 각각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2 우안 영상(633,R),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를 포함하며, 그 간격이 각각 d3, d4 인 것이 예시된다.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는 상이 맺히는 위치에, 각각 제3 오브젝트(635)와 제4 오브젝트(645)가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도면에서는, 각각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4 오브젝트(645)가 제3 오브젝트(635) 보다 더 앞에, 즉 더 돌출되는 것으로 인식되며, 이는 제4 좌안 영상(641,L)과 제4 우안 영상(643,R)의 간격(d4)이, 제3 좌안 영상(631,L)과 제3 우안 영상(633,R)의 간격(d3) 보다 더 큰 것에 기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80)와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오브젝트(615,625,635,645) 사이의 거리를 깊이(depth)로 표현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보다 뒤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하며, 디스플레이(180)보다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경우의 깊이(depth)는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즉,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 정도가 더 클수록, 깊이의 크기는 더 커지게 된다.
도 7을 보면, 도 7(a)의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a)이, 도 7(b)에 도시된 좌안 영상(701)과 우안 영상(702) 간의 간격(b)이 더 작은 경우, 도 7(a)의 3D 오브젝트의 깊이(a') 보다, 도 7(b)의 3D 오브젝트의 깊이(b')가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예시되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간격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상이 맺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표시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되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도 8(a)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직하게(vertical)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직 배치를 위한 지지대(8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직 배치를 위한 지지대(810)는, 셋탑 박스로서, 튜너(110), 복조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160), 제어부(17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 등은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와 달리, 셋탑 박스로서의 지지대(810)에서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셋탑박스로서의 지지대(81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로 유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8(b)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horizontal)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100)는, 수평 배치를 위한 지지대(8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지지대(820) 상이 아닌, 예를 들어, 탁자나 책상, 평평한 가구 또는 바닥 위에 놓여질 수도 있다.
도 8(b)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horizontal) 배치되는 경우,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 등은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와 달리, 도 8(a)에서 기술한 셋탑 박스로서의 지지대(810)에서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셋탑박스로서의 지지대(81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8(b)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horizontal) 배치되는 경우, 3D 영상 표시시 사용자는 3D 시청 장치(195a,195b)를 이용하여,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3D 시청장치(195a, 195b)의 위치에 따라, 가변하는 3D 시청장치(195a 또는 195b)의 구동 방법,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구동방법은, 도 11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시청장치와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3D 시청장치와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시청장치(195)는, 전원 공급부(910), 스위치(918), 제어부(920), 무선 통신부(930), 좌안 글래스(940), 및 우안 글래스(9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910)는,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좌안 글래스(940)에 구동 전압(VthL)을 인가하고, 우안 글래스(960)에 구동 전압(VthR)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가 개방되게 된다.
구동 전압(VthL)과 구동 전압(VthR)은 서로 다른 기간에 교호하게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편광 방향이 다르도록 하기 위해, 서로 다른 레벨일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910)는, 3D 시청 장치(195) 내의 제어부(920), 무선 통신부(930)의 동작을 위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918)는, 3D 시청장치(195)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특히, 동작 전원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스위치(918)가 온 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910)가 동작하여, 제어부(920), 무선 통신부(930), 좌안 글래스(940), 및 우안 글래스(960)에 해당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제어부(92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는 좌안 영상 프레임, 우안 영상 프레임과, 3D 시청장치(195)의 좌안 글래스(940), 우안 글래스(960)가 동기되어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무선 통신부(198)로부터 수신된 동기 신호(Sync)에 동기하여,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전원 공급부(910)와, 무선 통신부(9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918)가 온 되는 경우, 제어부(920)는 전원 공급부(910)가 동작하여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20)는, 영상표시장치(100)와의 페어링(pairing)을 위해, 무선 통신부(930)를 제어하여, 페어링 신호가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영상표시장치(100)로부터 페어링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93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IR(InfraRed) 방식 또는 RF(Radio Frequency) 방식 등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98)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98)로부터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의 개폐를 위한 동기 신호(Sync)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동기 신호(Sync)에 따라,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의 개폐 동작이 제어되게 된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930)는, 영상표시장치(100)와의 페어링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3D 시청장치(195)의 사용 여부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는,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따라 편광되는 능동형 좌안 글래스와 능동형 우안 글래스일 수 있다. 한편,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편광 방향이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동기 신호(Sync)에 따라,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가 교호하게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3D 시청장치(19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 글래스 타입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98), 제어부(170), 및 디스플레이(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D 시청장치(195)와의 동작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무선 통신부(198)는, 3D 시청장치(195)로 동기 신호(Sync)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에 동기되어, 3D 시청장치(195)의 좌안 글래스(940)와 우안 글래스(960)가 개방되도록 하는 동기 신호(Sync)가, 무선 통신부(198)에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좌안 영상 프레임과 우안 영상 프레임에 맞추어, 해당 동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무선 통신부(198)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3D 시청장치(195)와의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무선 통신부(198)를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20c는 도 11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0). 해당하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의 3D 효과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S1115). 그리고,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1120). 한편, 디스플레이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바로 제1120 단계(S1120)가 수행되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60) 또는 촬영부(14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가 지면에 수평하게(도 8(b) 참조), 배치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한지 여부를 감지한다. 센서부(160)에서 감지 신호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3D 영상 표시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상술한 도 5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의 선명도, 밝기, 명암, 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거나,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는 신호 처리일 수 있다.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수행되지 않다가,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비로소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수평 배치된 경우에 비해,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 3D 효과 신호 처리가 더 강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2a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에 3D 오브젝트(11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3D 시청 장치(195) 착용시, 소정 깊이(da)를 갖는 3D 오브젝트(1110), 특히 3D 오브젝트(1110)의 제1 면(1110a)이 돌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2b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에 3D 오브젝트(11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3D 시청 장치(195) 착용시, 소정 깊이(db)를 갖는 3D 오브젝트(1120)가 돌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12a와 비교하여, 3D 오브젝트(1120)의 제1 면(1120a) 외에, 제2 면(1120b), 및 제3 면(1120c)이 돌출되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에, 3D 오브젝트(1120)를 둘러싸는 그래픽적인 배경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치한 실제 공간을 배경으로 하여, 홀로그램과 같이, 3D 오브젝트(1120)가 서있는 듯한 생생한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12c는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를 예시한다.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에, 오브젝트(1130)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의 양안 시차에 의한 깊이(da)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도 12a와 같이, 3D 오브젝트(1110)가 돌출되어 보이게 된다. 그 외,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수행되지 않거나, 미미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1130)의 제1 영역(1130a)은, 도 5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스케일링 또는 기울기 조절 등이 수행되지 않거나 미미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에, 오브젝트(1140)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의 양안 시차에 의한 깊이(db)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도 12b와 같이, 3D 오브젝트(1120)가 돌출되어 보이게 된다. 그 외,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가 수행된다. 또는 수직 배치시에 비해 더 강화된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1140)의 제1 영역(1140a)은 도 5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일부 회전 처리되어, 직사각형에서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가변할 수 있다. 그 외, 입체 효과를 위해, 제1 영역(1140a)의 에지 부근에, 제2 영역(1140b), 및 제3 영역(1140c)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이때의 제2 영역(1140b), 제3 영역(1140c)은 제1 영역(1140a)의 에지를 기반으로 새롭게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3D 효과를 위한 신호 처리는, 새로운 시점(view)의 영상을 복호화하고, 이를 원 영상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MVC(multi-view video coding) 등에 따라, 복수 시점 영상으로 부호화된 경우, 복수 시점 영상 중, 도 12c의 제2 영역(1140b)에 해당하는 시점(view)의 영상과, 제3 영역(1140c)에 해당하는 시점(view)의 영상을 각각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각 시점의 영상을, 도 12c의 제1 영역(1140a)에 해당하는 시점(view)의 영상, 즉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부가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경우에 비해, 3D 오브젝트의 입체감을 향상시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3D 영상 시청을 위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의 위치를 감지한다(S1125). 그리고,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디스플레이에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130). 해당하는 경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을 수신한다(S1135). 그리고, 이동 입력이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의 3D 영상 이동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0). 해당하는 경우, 3D 영상 을 반전시킨다(S1145). 그리고, 반전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S1150).
제1125 단계(S1125)와 관련하여, 센서부(160) 또는 촬영부(190)는, 3D 영상 시청을 위한 3D 시청 장치(195)의 위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 내의 위치 센서로, 사용자 또는 3D 시청 장치(195)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3D 시청 장치(195)의 무선 통신부(930)와 통신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무선 통신부(198)를 이용하여, 3D 시청 장치(195)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시청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13a는,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3D 오브젝트(131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촬영부(190) 없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서, 3D 시청 장치(195)를 착용한 경우, 3D 오브젝트(1310)는 디스플레이(180) 상의 지점(P1)에 이격되어, 돌출되어 보이게 된다.
한편, 도 13b는,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경우, 3D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촬영부(190) 있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서, 3D 시청 장치(195)를 착용한 경우, 3D 오브젝트(1320)는 디스플레이(180) 상의 지점(P1)에 이격되어, 함몰되어 보이게 된다.
도 14a는 사용자의 위치, 즉, 3D 시청 장치(195)의 위치에 따라, 3D 오브젝트의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사용자, 즉 제1 시청 장치의 위치는, 도 13a에서의 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촬영부(190) 없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인 것으로 가정하고, 제2 사용자, 즉 제2 시청 장치의 위치는, 도 13b에서의 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의 상부(촬영부(190) 있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1 오브젝트(1425)는, 제1 좌안 영상(1421,L)과 제1 우안 영상(1423,R)를 포함하며, 서로 겹쳐져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므로, 그 간격은 0 인 것이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는 제1 오브젝트(1425)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2 오브젝트(1435)는, 제2 좌안 영상(1431,L)과 제2 우안 영상(1433,R)을 포함하며, 그 간격이 각각 d3인 것이 예시된다.
이때, 제1 사용자는, 좌안(1401)과 제2 좌안 영상(143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1403)과 제2 우안 영상(143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제1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143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여, 돌출되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제2 사용자는, 좌안(1405)과 제2 좌안 영상(143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1407)과 제2 우안 영상(143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따라서, 제2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143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뒤에 위치하여, 함몰되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한다.
즉, 디스플레이(180)가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디스플레이(18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어느 한 시청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표시되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를 돌출되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하나, 나머지 하나의 시청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표시되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를 함몰되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시청 장치들을 위해, 3D 시청 장치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변경하거나, 3D 영상을 반전시켜 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도 14b는 사용자의 위치, 즉, 3D 시청 장치(195)의 위치에 따라, 3D 오브젝트의 상이 맺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와 비교하여, 제2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을 변경한 것에 그 차이가 있다. 한편, 제2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을 변경하는 것이 아닌, 제2 사용자가 착용한 3D 시청 장치의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오브젝트(1425)는, 도 14a와 같이,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모두 제1 오브젝트(1425)가 디스플레이(180) 상에 위치 것으로 인식한다.
다음, 제2 오브젝트(1435)에 대해, 제1 사용자는, 좌안(1401)과 제2 좌안 영상(143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1403)과 제2 우안 영상(143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즉, 도 14a와 같이, 제1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143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여, 돌출되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제2 오브젝트(1435)에 대해, 제2 사용자는, 좌안(1405)과 제2 좌안 영상(1431)을 연결하는 연장선, 및 우안(1407)과 제2 우안 영상(1433)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교차되는 지점에, 상이 맺히는 것처럼 인식한다. 도 14a에 비해, 제2 사용자의 좌안(1405)과 우안(1407)의 위치가 변경되었기에, 제2 사용자는 제2 오브젝트(1435)가 디스플레이(180) 보다 앞에 위치하여, 돌출되어 보이는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도 14b에서의 제2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을 변경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2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3D 영상의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변경하는 것에 그대로 대응한다.
제1130 단계(S1135)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3D 시청 장치(195)의 위치 또는 사용자 위치 감지에 의해,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디스플레이(18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15a는 제1 시청 장치(195a)를 착용한 제1 사용자와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80)의 하부(촬영부(190) 없는 위치)와 상부(촬영부(190) 있는 위치)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1135 단계(S1135) 및 제1140 단계(S1140)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3D 영상 이동 입력이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의 3D 영상 이동 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센서부(160) 또는 촬영부(190)는 사용자의 3D 영상 이동 입력을 감지하거나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손 동작에 의한 제스처 또는 터치 동작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3D 영상 또는 3D 오브젝트의 이동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에 입력되며, 제어부(170)는 해당 이동 입력을 판단한다.
도 15a는, 디스플레이(180)의 제1 영역(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제1 시청 장치(195a)를 착용한 제1 사용자를 위한, 3D 영상(1510a)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표시되는 3D 영상(1510a)은, 방송 영상, 인터넷 화면(특히 뉴스 화면, 잡지 화면, 광고 화면 등등), 전자 문서 화면, 재생되는 동영상 화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 관련된 화면 등,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이때, 도 15a와 같이, 제1 사용자가 표시되는 3D 영상(1510a)을,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제2 시청 장치(195b) 방향으로의 3D 영상 이동 제스처를 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이동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제1145 단계(S1145)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3D 영상을 반전시킨다. 그리고, 제1150 단계(S1150)와 관련하여, 반전된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를 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반전시킨다.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도 3에서 기술한 3D 영상 포맷에 따라 영상 배열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도 3(c)에 예시된 프레임 시퀀셜 포맷 하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반전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도 16(a)와 같이, 3D 영상(1600a)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1610a)과 우안 영상(11620a) 중, 좌안 영상(1610a)을 시간 순서로 먼저 배열한다.
다음,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상술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6(b)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반전(180도 회전)시켜, 반전된 좌안 영상(1610b)과 반전된 우안 영상(1620b)으로 구성된 반전된 3D 영상(1600b)을 생성한다.
도 17은, 도 3(a)에 예시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하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반전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도 17(a)와 같이, 3D 영상(1700a)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1710a)과 우안 영상(1720a) 중, 좌안 영상(1710a)을 좌측에, 우안 영상(1720a)을 우측에 배열한다.
다음,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상술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7(b)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반전(180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각각 반전된 좌안 영상(1710b)과 반전된 우안 영상(1720b)을 구비하는 중간 3D 영상(1700b)이 생성된다. 한편,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하에서는, 프레임 시퀀셜 포맷에 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반전시킨 이후, 다음 단계가 더 요구된다.
다음,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도 17(c)와 같이, 배열 순서를 변경한다. 즉, 반전된 우안 영상(1720b)을 좌측에 배열하고, 반전된 좌안 영상(1710b)을 우측에 배열하여, 새로운 3D 영상(1700c)을 구성한다.
결국, 도 17(c)의 3D 영상(1700c)은, 도 17(a)의 3D 영상(1700a) 전체를 반전(180도 회전)시킨 것에 대응한다.
다음, 도 18은 도 3(b)에 예시된 탑 다운 포맷 하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반전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도 18(a)와 같이, 3D 영상(1800a)을 구성하는 좌안 영상(1810a)과 우안 영상(1820a) 중, 좌안 영상(1810a)을 상측에, 우안 영상(1820a)을 하측에 배열한다.
다음,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상술한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8(b)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반전(180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각각 반전된 좌안 영상(1810b)과 반전된 우안 영상(1820b)을 구비하는 중간 3D 영상(1800b)이 생성된다. 한편, 탑 다운 포맷 하에서는, 프레임 시퀀셜 포맷에 비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반전시킨 이후, 다음 단계가 더 요구된다.
다음,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도 18(c)와 같이, 배열 순서를 변경한다. 즉, 반전된 우안 영상(1820b)을 상측에 배열하고, 반전된 좌안 영상(1810b)을 하측에 배열하여, 새로운 3D 영상(1800c)을 구성한다.
결국, 도 18(c)의 3D 영상(1800c)은, 도 18(a)의 3D 영상(1800a) 전체를 반전(180도 회전)시킨 것에 대응한다.
한편, 도 15d는, 디스플레이(180)의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를 위한, 3D 영상(1510d)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의, 3D 영상(1510d)은, 상술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의 반전에 의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로부터 추천받은 3D 영상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반전 단계 없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배열 순서를 변경한 경우는, 도 15c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3D 영상(1510c)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좌,우가 바뀌어 표시되게 된다.
한편, 도 15d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이동된 3D 영상을 표시하기 전에, 그 중간 과정으로서, 90도 회전된 3D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b는, 디스플레이(180)의 제3 영역(디스플레이의 우측 영역)에, 도 15a에 비해, 90도 회전된 3D 영상(1510b)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 내의 포맷터(260)는, 예를 들어, 도 16a에 예시된 좌안 영상(1610a)과 우안 영상(1620a)을 포함하는 3D 영상을 90도 회전시켜, 배열할 수 있다. 물론, 17a 또는 도 18a에 예시된 좌안 영상(1710a 또는 1810a)과 우안 영상(1720a 또는 1820a)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90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이동 입력에 의해, 3D 영상이 이동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도 15b와 달리, 디스플레이(180)의 제4 영역(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에, 도 15a에 비해, 90도 회전된 3D 영상(1510b)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9a 내지 도 20c는,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두 사용자 사이에서 3D 영상의 이동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먼저, 도 19a는, 디스플레이(180)의 제1 영역(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제1 시청 장치(195a)를 착용한 제1 사용자를 위한, 3D 영상(1910a)이 표시되고,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를 위한, 3D 영상(1920a)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9a는 도 15a와 달리, 제2 영역에도 3D 영상(1920a)이 표시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때, 표시되는 3D 영상(1910a 또는 1920a)은, 방송 영상, 인터넷 화면(특히 뉴스 화면, 잡지 화면, 광고 화면 등등), 전자 문서 화면, 재생되는 동영상 화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 관련된 화면 등,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이때, 도 19a와 같이, 제1 사용자가 표시되는 3D 영상(1910a)을,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제2 시청 장치(195b) 방향으로의 3D 영상 이동 제스처를 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이동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9b는, 도 15b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180)의 제3 영역(디스플레이의 우측 영역)에, 도 19a에 비해 90도 회전된 3D 영상(1910b)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의 제2 영역에 표시되던 3D 영상(1920a)은, 제2 영역에 표시되는 3D 영상(1920a과 제3 영역에 표시되는 3D 영상(1910b)의 오버레이(overlay)를 방지하기 위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c는, 도 15c와 유사하게, 상술한 반전 단계 없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배열 순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180)의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3D 영상(1910c)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3D 영상이, 좌,우 대칭인 경우, 상술한 반전 동작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도 19d는, 도 15d와 유사하게,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포함하는 3D 영상 전체를 반전시켜, 디스플레이(180)의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추천한 3D 영상을 왜곡 없이, 돌출된 상태 그대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3D 영상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3D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0a 내지 도 20c는 도 19a 내지 도 19d와 유사하게,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를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20a는, 디스플레이(180)의 제1 영역(디스플레이의 하부 영역)에, 제1 시청 장치(195a)를 착용한 제1 사용자를 위한, 3D 영상(2010a)이 표시되고,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를 위한, 3D 영상(2020a)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3D 영상(2010a 또는 2020a)은, 방송 영상, 인터넷 화면(특히 뉴스 화면, 잡지 화면, 광고 화면 등등), 전자 문서 화면, 재생되는 동영상 화면,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 관련된 화면 등,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일 수 있다.
이때, 도 20a와 같이, 제1 사용자가 표시되는 3D 영상(2010a) 내의 특정 오브젝트(2015a)를,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기 위해, 해당 오브젝트(2015a)를 선택하는 제스처를 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상술한 센서부(160) 또는 촬영부(190)를 통해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0b는, 선택된 오브젝트(2015b)가 3D 영상(2010a)과 깊이를 달리하여,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오브젝트(2015b)가 3D 영상(2010a) 보다 더 돌출되어 보일 수 있다.
한편, 제1 사용자가 선택된 오브젝트(2015b)에 대해, 제2 시청 장치(195b) 방향으로의 3D 영상 이동 제스처를 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이동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0c는, 제2 영역(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에, 제2 시청 장치(195b)를 착용한 제2 사용자를 위한, 3D 영상(2020a)이 계속 표시된 상태에서, 도 20b에서 이동 입력된 오브젝트(2015c)가 3D 영상(2020a)과 다른 깊이를 가지며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3D 오브젝트(2015c) 표시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0b의 3D 오브젝트(2015b)가 반전(180도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3D 영상(2020a) 및 오브젝트(2015c)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 가능한 오브젝트(2015c)는, 방송 영상 시청 중 방송 정보인 EPG 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EPG 내의 특정 프로그램 정보일 수도 있다. 즉, 다른 사용자에게 방송 정보 추천 또는 특정 프로그램 추천을 위해, 상술한 오브젝트 이동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들은, 3D 영상 시청시 해당 영상 또는 그 일부의 이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순서로 배열되는 3D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3D 영상의 시청을 위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반전시키는 단계;
    상기 반전된 3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단계는,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상기 3D 영상을 180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3D 영상의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90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전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단계는,
    상기 제1 시청 장치를 통해 시청 가능한 제1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시청 장치를 통해 시청 가능한 제2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반전시키며,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반전된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단계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상기 제1 영상을 180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입력은,
    제스처 입력 또는 터치 입력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3D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가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3D 영상을 표시시, 상기 3D 영상의 선명도, 밝기, 명암, 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거나, 상기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9.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3D 영상 시청을 위한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1 시청 장치와 제2 시청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3D 영상을 반전시키며, 상기 반전된 3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상기 3D 영상을 180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3D 영상의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90도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3D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1 영역에 상기 제1 시청 장치를 통해 시청 가능한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제2 영역에 상기 제2 시청 장치를 통해 시청 가능한 제2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상을 반전시키며, 상기 반전된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 상기 3D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의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상기 제1 영상을 180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스처 입력 또는 터치 입력에 의한, 상기 제1 시청 장치 방향에서 상기 제2 시청 장치 방향으로의 상기 3D 영상의 이동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3D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3D 영상을 표시시, 상기 3D 영상의 선명도, 밝기, 명암, 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거나, 상기 3D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크기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는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입력에 따라, 상기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비하는 상기 3D 영상을 반전시키는 포맷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00082141A 2010-08-09 2010-08-2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0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41A KR101708692B1 (ko) 2010-08-24 2010-08-2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11176387.6A EP2418865A3 (en) 2010-08-09 2011-08-03 3D viewing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3/197,939 US9036012B2 (en) 2010-08-09 2011-08-04 3D viewing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1103001267A CN102572460A (zh) 2010-08-09 2011-08-09 3d观看设备、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41A KR101708692B1 (ko) 2010-08-24 2010-08-2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44A true KR20120019044A (ko) 2012-03-06
KR101708692B1 KR101708692B1 (ko) 2017-02-21

Family

ID=4612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141A KR101708692B1 (ko) 2010-08-09 2010-08-2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6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0390A1 (ko) * 2013-10-04 2015-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70005980A (ko) 2015-07-07 2017-01-17 양성홍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5978A (ko) 2015-07-07 2017-01-17 양성홍 상점 단말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170027336A (ko) 2017-02-28 2017-03-09 양성홍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8400A1 (en) * 2001-02-28 2002-08-29 Fuji Xerox Co., Ltd. Optical write apparatus and optical write method
KR20030079598A (ko) * 2002-04-04 2003-10-10 거래주식회사 입체영상반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82429A1 (en) * 2008-05-07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views
US20100188489A1 (en) * 2009-01-29 2010-07-29 Sanyo Electric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nd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18400A1 (en) * 2001-02-28 2002-08-29 Fuji Xerox Co., Ltd. Optical write apparatus and optical write method
KR20030079598A (ko) * 2002-04-04 2003-10-10 거래주식회사 입체영상반전처리장치 및 그 방법
US20090282429A1 (en) * 2008-05-07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views
US20100188489A1 (en) * 2009-01-29 2010-07-29 Sanyo Electric Co., Ltd. Stereoscopic Image Display System and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0390A1 (ko) * 2013-10-04 2015-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70005980A (ko) 2015-07-07 2017-01-17 양성홍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5978A (ko) 2015-07-07 2017-01-17 양성홍 상점 단말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KR20170027336A (ko) 2017-02-28 2017-03-09 양성홍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택시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692B1 (ko)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6012B2 (en) 3D viewing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803954B2 (en) Image display device, viewing device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06255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US8797390B2 (en) Image display device, 3D view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337366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34927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5277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17490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2003499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0869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3042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781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30323B1 (ko) 3d 시청 장치,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6242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14994A (ko) 2d/3d 변환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와 그 동작제어방법
KR10173042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3736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3483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3408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17650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1614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33296A (ko) 3d 영상시청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01414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781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15652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