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402A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402A
KR20120017402A KR1020110079580A KR20110079580A KR20120017402A KR 20120017402 A KR20120017402 A KR 20120017402A KR 1020110079580 A KR1020110079580 A KR 1020110079580A KR 20110079580 A KR20110079580 A KR 20110079580A KR 20120017402 A KR20120017402 A KR 20120017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service
video
configura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준
윤정일
김광용
이광순
허남호
송윤정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3/212,67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044321A1/en
Publication of KR20120017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5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 H04H60/59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monitoring, identification or recognition covered by groups H04H60/29-H04H60/54 of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1Encoding,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different imag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2013/0074Stereoscopic 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및 이동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에서의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에,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실시간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3D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3D 스트림에서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여 상기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3D 스트림을 상세 분석하여 상세 분석된 값을 생성하고, 상기 분리된 3D 스트림을 복호하여 소정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영상으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상세 분석된 값과 상기 깊이 정보를 표현하며, 상기 소정 영상을 재생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및 이동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시스템에서의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에,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실시간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및 이동방송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Three Dimensions)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도 1a 및 1b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3D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3D 디지털 방송 서비스(이하 '3D 방송 서비스'라 함)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2D 영상 제공부(11)와 3D 영상 및 부가데이터 제공부(12)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2D 영상과 3D 영상 및 부가데이터를 다중화부(13)가 다중화한 후, 송신부(14)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이렇게 송신부(14)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부(15)를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신호의 다중화된 영상들을 역다중화부(16)가 역다중화하여, 2D 영상 재생부(17) 및 3D 영상 재생부(18)를 통해 각각 재생함으로써 3D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일 예의 3D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영상 합성부(21)가 2D 영상과 3D 영상 및 부가데이터를 합성하여 2D 영상 제공부(22)로 입력하며, 이렇게 합성된 영상을 다중화부(23)가 다중화한 후, 송신부(24)를 통해 송신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이렇게 송신부(24)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부(25)를 통해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신호의 다중화된 영상을 역다중화부(26)가 역다중화하여 영상분리부(27)로 제공하고, 상기 역다중화된 영상을 영상 분리부(27)가 2D 영상 및 3D 영상으로 분리한 후, 각각 2D 영상 재생부(28) 및 3D 영상 재생부(29)를 통해 재생함으로써 3D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3D 방송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2D 방송 서비스와 역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2D 방송 서비스와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3D 방송 서비스를 위한 부가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영상을 구성할 시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장의 화면을 합성하고, 3D 수신기에서 합성한 영상을 두 개의 영상으로 분리하여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현재 2D 방송을 위한 수신기에서는 두 개의 화면(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이 붙어서 있는 모습으로 재생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3D 방송 서비스에서는 2D 방송과 역호환성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3D 방송 서비스를 위한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가 비디오 서비스와 같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3D 구성 정보를 기존의 2D 구성 정보에 포함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별도의 3D 구성 정보를 정의하여 별도로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특히, 도 1a 및 1b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제공하는 3D 방송 서비스에 대해 정확하게 분석된 데이터가 방송 시스템 운용자에게 제공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의 분석을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프로그램 분석기들은, 2D 방송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분석이 어려우며, 그에 따라 3D 방송 서비스만을 위한 특정 분석 데이터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시청자가 3D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고 느끼기 위한 두 영상(좌측 영상 및 우측 영상)간의 깊이(Depth) 정보는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정보이므로,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3D 방송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운용자에게 운용상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3D 방송 서비스를 분석 및 모니터링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서는 제공하지 않는 3D 방송만의 특징, 예컨대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3D 방송 서비스를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3D 스트림에서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고, 상기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분리하는 스트림 분리부; 상기 분리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상세 분석하는 구성 정보 분석부; 상기 분리된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소정 영상으로 복호하는 2D 영상 복호화부; 상기 복호된 소정 영상의 하나의 화면을 두 개의 화면으로 분리하여 각각 두 개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 분리부;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을 재생하는 3D 영상 재생부;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으로부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는 깊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상세 분석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분석된 값들, 및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를 표현하는 3D 정보 표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3D 스트림에서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고, 상기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및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는 스트림 분리부; 상기 분리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세 분석하는 구성 정보 분석부; 상기 분리된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을 복호하여 2D 영상을 생성하는 2D 영상 복호화부; 상기 분리된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및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하여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3D 부가 영상 복호화부; 상기 생성된 2D 영상 및 부가 영상을 재생하는 3D 영상 재생부; 상기 생성된 2D 영상 및 부가 영상, 또는 상기 분리된 부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는 깊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상세 분석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분석된 값들, 및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를 표현하는 3D 정보 표현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3D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3D 스트림에서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여 상기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3D 스트림을 상세 분석하여 상세 분석된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3D 스트림을 복호하여 소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영상으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분석된 값과 상기 깊이 정보를 표현하며, 상기 소정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에 실시간으로 3D 방송서비스를 분석 및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 제공자 및 방송 시스템 운용자의 서비스 운용상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고품질의 다양한 3D 방송 서비스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3D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서 구성 정보 분석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서 3D 정보 표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고품질의 다양한 3D 방송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3D 방송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에 3D 방송만의 특징, 다시 말해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 및 모니터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품질의 다양한 3D 방송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방송 시스템 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분석 및 모니터링하여 제공하는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및 이동 방송 시스템에서 공히 적용될 수 있으며, 송신 신호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수신 신호의 모니터링에도 활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2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두 개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된 3D 스트림을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장치, 즉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분석 및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2D 화면과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스트림을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장치, 즉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분석 및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 입력되는 3D 스트림은,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D 방송 스트림으로, 두 개의 화면이 하나로 화면으로 구성된 3D 스트림(110), 즉 3D 영상 스트림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스트림(210), 즉 3D 영상 스트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각의 경우에 대한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를 모두 제안한다. 또한, 입력되는 3D 스트림(110, 210)은 송신단에서 추출된 스트림이거나 수신단에서 RF 신호 수신 및 복조한 후에 생성되는 스트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송신단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먼저, 도 2는 입력 스트림(110)이 두 개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된 3D 스트림일 경우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를 참조하면,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는, 스트림 분리부(120), 전세 스트림 분석부(130), 구성 정보 분석부(140), 2D 영상 복호화부(150), 영상 분리부(160), 깊이 정보 추출부(170), 3D 정보 표현부(180), 및 3D 영상 재생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 개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3D 스트림(110)은, 스트림 분리부(120)로 입력되고, 스트림 분리부(120)는 입력된 3D 스트림(110)에서 전체 스트림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여 전체 스트림 분석부(130)로 전송한다.
상기 전체 스트림 분석부(130)는, 스트림 분리부(120)로부터 전송된 일부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3D 스트림(110)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구성 정보를 스트림 분리부(120)로 전송한다.
상기 스트림 분리부(120)는, 상기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입력된 3D 스트림(110)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분리하여 다음 단계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스트림 분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이 두 개의 화면이 하나로 화면으로 구성된 하나의 3D 스트림이므로, 상기 2D 영상 복호화부(150)는, 상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일반적인 비디오 영상과 마찬가지로 복호화하여 영상 분리부(160)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 분리부(160)는, 하나의 화면 안에 존재하는 두 개의 화면을 분리하여 각각 두 개의 완전한 영상으로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두 개의 영상은, 3D 영상 재생부(190)로 전송되며, 하나의 3D 영상 또는 두 개의 2D 영상으로 재생하여 운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3D 영상 재생부(190)에서 재생된다.
또한, 상기 깊이(Depth) 정보 추출부(170)는, 영상 분리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영상으로부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여 3D 정보 표현부(180)로 전송한다.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140)는, 스트림 분리부(120)로부터 전송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며, 이렇게 상세 분석된 값들을 3D 정보 표현부(180)로 전송한다.
상기 3D 정보 표현부(180)는,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14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상세 분석된 값들과, 상기 깊이 정보 추출부(170)로부터 전송된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Depth)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운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3은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스트림일 경우의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는, 스트림 분리부(220), 전세 스트림 분석부(230), 구성 정보 분석부(240), 2D 영상 복호화부(250), 3D 부가 영상 복호화부(260), 깊이 정보 추출부(270), 3D 정보 표현부(280), 및 3D 영상 재생부(2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체 스트림 분석부(230), 구성 정보 분석부(240), 3D 정보 표현부(280), 3D 영상 재생부(290)의 기능은 도 2에서 설명한 전체 스트림 분석부(130), 구성 정보 분석부(140), 3D 정보 표현부(180), 3D 영상 재생부(190)와 유사 또는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3D 스트림(210)은, 스트림 분리부(220)로 입력되다.
그리고, 상기 스트림 분리부(220)는, 전체 스트림 분석부(230)로부터 전송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입력된 3D 스트림(210)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 및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또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하여, 다음 단계로 각각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림 분리부(220)가 입력된 3D 스트림(210)에서 전체 스트림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여 전체 스트림 분석부(230)로 전송하면, 전체 스트림 분석부(230)가 일부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3D 스트림(210)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스트림 분리부(220)로부터 출력되는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는, 구성 정보 분석부(240)로 전송되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240)는, 상기 스트림 분리부(220)로부터 전송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며, 이렇게 상세 분석된 값들을 3D 정보 표현부(28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스트림 분리부(220)로부터 출력되는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은, 2D 영상 복호화부(250)로 전송되고, 상기 2D 영상 복호화부(250)는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을 2D 영상으로 복호화한다.
아울러, 상기 스트림 분리부(220)로부터 출력되는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또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3D 부가 영상 복호화부(260)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3D 부가 영상 복호화부(260)는, 2D 영상 복호화부(250)와 3D 부가 영상 복호화를 위한 정보를 교환하여 3D 영상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을 생성한다. 이렇게 상기 2D 영상 복호화부(250)에서 복화화된 2D 영상, 및 상기 3D 부가 영상 복호화부(260)에서 생성된 부가 영상은, 3D 영상 재생부(290)로 전송되며, 하나의 3D 영상 또는 두 개의 2D 영상으로 재생하여 운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3D 영상 재생부(290)에서 재생된다.
상기 깊이(Depth) 정보 추출부(270)는, 상기 2D 영상 복호화부(250)로부터 전송된 2D 영상과, 상기 3D 부가영상 복호화부(260)로부터 전송된 부가 영상으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3D 부가영상 복호화부(260)로 입력된 부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깊이(Depth) 정보는, 상기 3D 정보 표현부(280)로 전송되며, 상기 3D 정보 표현부(280)는,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24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상세 분석된 값들과, 상기 깊이 정보 추출부(270)로부터 전송된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여 운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구성 정보 분석부(140)와 도 3에 도시한 구성 정보 분석부(2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D 구성 정보 분석부(241)와 3D 구성 정보 분석부(243)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3D 정보 표현부(180)와 도 3에 도시한 3D 정보 표현부(28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281), 3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283), 및 깊이(Depth) 정보 표현부(285)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서 구성 정보 분석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서 3D 정보 표현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트림 분리부(120,220)로부터 전송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며, 상기 2D 구성 정보 분석부(241)와 상기 3D 구성 정보 분석부(24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2D 구성 정보 분석부(241)는, 스트림 분리부(120,220)로부터 전송된 3D 스트림(110,210)에서 2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세 분석하며, 상기 3D 구성 정보 분석부(243)는, 스트림 분리부(120,220)로부터 전송된 3D 스트림(110,210)에서 3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상세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2D 구성 정보 분석부(241)와 상기 3D 구성 정보 분석부(243)는, 상세 분석된 값을 3D 정보 표현부(180,280)로 전송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3D 정보 표현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140,240)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상세 분석된 값들과, 상기 깊이 정보 추출부(170,270)로부터 전송된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여기서, 상기 3D 정보 표현부는, 2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281), 3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283), 및 깊이 정보 표현부(28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281)는,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140,240)의 상기 2D 구성 정보 분석부(241)로부터 전송된 2D 영상에 대해 상세 분석된 값을 표현하고, 상기 3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283)는,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140,240)의 상기 3D 구성 정보 분석부(243)로부터 전송된 3D 영상에 대해 상세 분석된 값을 표현하며, 상기 깊이 정보 표현부(285)는, 상기 깊이 정보 추출부(170,270)로부터 전송된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 정보를 표현한다. 그러면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3D 방송 서비스의 분석 및 모니터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10단계에서, 상기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는, 두 개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된 3D 스트림, 또는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스트림을 수신한다. 그리고, S620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3D 스트림에서 전체 스트림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일부 스트림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한 일부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입력된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한다.
그런 다음, S630단계에서 상기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 및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또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한다. 여기서, 상기 3D 스트림이 두 개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된 3D 스트림일 경우,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분리하고, 상기 3D 스트림이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스트림일 경우,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 및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또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한다.
다음으로, S640단계에서, 상기 3D 스트림에서 2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세 분석하고, 상기 3D 스트림에서 3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상세 분석하며, 또한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을 복호화하고 및 3D 영상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3D 스트림이 두 개의 화면이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된 3D 스트림일 경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이 두 개의 화면이 하나로 화면으로 구성된 하나의 3D 스트림이므로, 상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일반적인 비디오 영상과 마찬가지로 복호화한 후, 하나의 화면 안에 존재하는 두 개의 화면을 분리하여 각각 두 개의 완전한 영상으로 생성한다. 또한, 상기 3D 스트림이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스트림일 경우,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을 2D 영상으로 복호화하고,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또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3D 영상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S650단계에서, 상기 복호하여 생성한 두 개의 영상으로부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며, 또한 상기 복호한 2D 영상과 상기 부가 영상으로부터 깊이 정보를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분리된 부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깊이 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S660단계에서, 하나의 3D 영상 또는 두 개의 2D 영상으로 재생하며, 또한 상기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상세 분석된 값들, 및 상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방송 시스템 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3D 방송 서비스에 대한 분석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고품질의 다양한 3D 방송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입력되는 3D 스트림이 두 개의 화면이 하나로 화면으로 구성된 스트림인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인 경우, 그리고 송신단에서 추출된 스트림이거나 수신단에서 RF 신호 수신 및 복조 후에 생성되는 스트림인 경우에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송신단 뿐만 아니라 수신단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및 이동 방송 시스템에 모두 적용시켜 활용할 수 있으며, 송신 신호의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수신 신호의 모니터링에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3D 스트림에서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고, 상기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분리하는 스트림 분리부;
    상기 분리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상세 분석하는 구성 정보 분석부;
    상기 분리된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소정 영상으로 복호하는 2D 영상 복호화부;
    상기 복호된 소정 영상의 하나의 화면을 두 개의 화면으로 분리하여 각각 두 개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영상 분리부;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을 재생하는 3D 영상 재생부;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으로부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는 깊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상세 분석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분석된 값들, 및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를 표현하는 3D 정보 표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트림은, 두 개의 화면이 하나로 화면으로 구성된 3D 영상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상기 스트림 분리부로 전송하는 전체 스트림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재생부는,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을 하나의 3D 영상 또는 두 개의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는,
    상기 3D 스트림에서 2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는 2D 구성 정보 분석부; 및
    상기 3D 스트림에서 3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는 3D 구성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3D 정보 표현부는,
    상기 2D 영상에 대해 상세 분석된 값을 표현하는 2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
    상기 3D 영상에 대해 상세 분석된 값을 표현하는 3D 구성 정보 분석 값 표현부; 및
    상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 정보를 표현하는 깊이 정보 표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7.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3D 스트림에서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고, 상기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및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는 스트림 분리부;
    상기 분리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상세 분석하는 구성 정보 분석부;
    상기 분리된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을 복호하여 2D 영상을 생성하는 2D 영상 복호화부;
    상기 분리된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및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하여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3D 부가 영상 복호화부;
    상기 생성된 2D 영상 및 부가 영상을 재생하는 3D 영상 재생부;
    상기 생성된 2D 영상 및 부가 영상, 또는 상기 분리된 부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는 깊이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상세 분석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분석된 값들, 및 상기 추출된 깊이 정보를 표현하는 3D 정보 표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트림은,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영상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상기 스트림 분리부로 전송하는 전체 스트림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재생부는,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을 하나의 3D 영상 또는 두 개의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 분석부는,
    상기 3D 스트림에서 2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는 2D 구성 정보 분석부; 및
    상기 3D 스트림에서 3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는 3D 구성 정보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12.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3D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3D 스트림에서 일부 스트림을 추출하여 상기 3D 스트림에 대한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전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3D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3D 스트림을 상세 분석하여 상세 분석된 값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3D 스트림을 복호하여 소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영상으로부터 깊이(Depth)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분석된 값과 상기 깊이 정보를 표현하며, 상기 소정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트림은, 두 개의 화면이 하나로 화면으로 구성된 3D 영상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분리하며;
    상기 상세 분석된 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3D 스트림에서 2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고, 상기 3D 스트림에서 3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한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소정 영상으로 복호한 후, 상기 복호한 소정 영상의 하나의 화면을 두 개의 화면으로 분리하여 각각 두 개의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으로부터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상세 분석된 값들, 및 상기 깊이 정보를 표현하며,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영상을 하나의 3D 영상 또는 두 개의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트림은, 하나의 2D 화면과, 또 다른 3D 구성을 위한 화면 또는 부가 데이터로 구성된 3D 영상 스트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3D 스트림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3D 스트림에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및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분리하며;
    상기 상세 분석된 값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3D 스트림에서 2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를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고, 상기 3D 스트림에서 3D 영상에 대한 상세 스트림 구성 및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스트림을 필드 값 구성 단계까지 상세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2D 비디오 서비스 스트림을 복호하여 2D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분리된 3D 비디오 서비스 구성을 위한 영상 스트림 및 부가 데이터 스트림을 복호하여 부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2D 영상 및 부가 영상, 또는 상기 분리된 부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깊이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서비스 관련 정보와 3D 비디오 서비스의 상세 분석된 값들, 및 상기 깊이 정보를 표현하며, 상기 생성된 2D 영상 및 부가 영상을 하나의 3D 영상 또는 두 개의 2D 영상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방법.
KR1020110079580A 2010-08-18 2011-08-10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20017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12,674 US20120044321A1 (en) 2010-08-18 2011-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757 2010-08-18
KR20100079757 2010-08-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02A true KR20120017402A (ko) 2012-02-28

Family

ID=4583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580A KR20120017402A (ko) 2010-08-18 2011-08-10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74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613A2 (ko) * 2012-11-27 2014-06-05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깊이 정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영상 시스템
KR101865822B1 (ko) 2016-12-15 2018-06-11 에이스텔 주식회사 채널 시청 분석 데이터 실시간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4613A2 (ko) * 2012-11-27 2014-06-05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깊이 정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영상 시스템
WO2014084613A3 (ko) * 2012-11-27 2014-10-23 인텔렉추얼 디스커버리 주식회사 깊이 정보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영상 시스템
KR101865822B1 (ko) 2016-12-15 2018-06-11 에이스텔 주식회사 채널 시청 분석 데이터 실시간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19224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のステレオスコピックビデオ送受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5005917A (ja) 情報送信装置、情報送信方法、及び情報受信装置
KR102189520B1 (ko)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0978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mbedding metadata in multiplexed analog videos broadcasted through digital broadcasting medium
KR20120083260A (ko) 방송 신호 전송 방법
KR20120017402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9131281B2 (en) Method for embedding and multiplexing audio metadata in a broadcasted analog video stream
KR20150057149A (ko) 재전송망에 기초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137755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00827B1 (ko) 자막을 포함하는 재송출용 방송 데이터 생성 방법 및 서버
EP3169073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KR101966967B1 (ko) 디지털 방송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1200443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roadcasting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6309061B2 (ja) 放送システム
KR100883366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에서 통합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5652B1 (ko) 복호 정보 고속 취득이 가능한 방송 송신기와 수신기 및 그 방법
JP6137754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219216B (zh) 广播信号接收装置及广播信号接收方法、广播信号收发系统及广播信号收发方法、以及判定系统及判定方法
JP2013055479A (ja) 通信コンテンツ生成装置および通信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6279140B1 (ja) 受信装置
JP6279063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52431B1 (ko)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1559877B1 (ko) 비가청 음파가 포함된 방송영상 파일 또는 스트리밍 패킷의 생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JP6327711B2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77267B1 (ko)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