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389A -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Google Patents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389A
KR20120017389A KR1020110054919A KR20110054919A KR20120017389A KR 20120017389 A KR20120017389 A KR 20120017389A KR 1020110054919 A KR1020110054919 A KR 1020110054919A KR 20110054919 A KR20110054919 A KR 20110054919A KR 20120017389 A KR20120017389 A KR 20120017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linear vibration
vibration generating
yok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5356B1 (en
Inventor
최천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ublication of KR2012001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3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2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brakes
    • H02K7/1021Magnetically influenced friction brakes
    • H02K7/1023Magnetically influenced friction brakes us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5Yoke or polar piece between coil bobbin and armature having a gap, e.g. filled with non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generating linear vibration is provided to reduce the risk of disconnection by manufacturing a coil to be arranged in a fixing unit. CONSTITUTION: A coil(414) is fixed to a base(410). A center yoke(416) is arranged in the coil. A magnet(420) offers a vibration force along with the coil. An elastic body(430) is arranged between a stator and a vibrator and supports the vibrator. The vibrator includes an upper yoke(424). A lower plane yoke(426) is formed in a ring shape between the elastic body and the magnet.

Description

선형 진동 발생장치{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Linear Vibration Generator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진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최근에 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휴대폰, PDA, 게임기 등에 채용되는 선형진동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employed in a mobile phone, a PDA, a game machine, and the like, which are recently increasing in use.

일반적으로 최근 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대중들에게 가장 널리 보급된 정보 기기들 중, 잘 알려진 것들은 휴대폰, 개인정보단말기(PD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보 기기들은 그 크기가 갈수록 작아져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음성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수 휴대 장치로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In general, among the information devices that are most widely distributed to the public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well-known ones include mobile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These information devices are becoming smaller as their size, which is easy to carry, and they are becoming an essential portable device because they can be used for voice and data input / output anywhere and anytime.

요즘은 공공 에티켓으로 진동 기능이 필수로 되었을 뿐 아니라, 터치형으로 전화 번호와 같은 데이터를 입력할 때나, 게임을 할 때에도 진동 기능을 이용하는 것들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일반 게임 기능에서도 총을 쏘거나 스포츠 게임에서 공을 칠 때 등의 경우에 진동을 발생시켜 게임자가 보다 실감나게 게임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Nowadays, not only vibrating function is required for public etiquette, but also vibrating function is provided when inputting data such as phone number or playing game by touch type. In addition, the general game function has started to provide the ability to play the game more realistically by generating a vibration in the case of shooting a gun or hitting a ball in a sports game.

이런 경우 보통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채용하는데, 이와 같이 다양한 경우에 진동 기능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진동 발생장치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게 되어, 장수명화, 높은 신뢰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In this case, a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usually generates vibration is employed, and the use of the vibration function in such various cases increases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hich increases the demand for long life and high reliability.

종래의 브러시를 사용하는 회전형의 진동 발생 장치로는 브러시 및 정류자와 같은 접점 부품의 마모를 수반하여 기술적으로 긴 수명을 보장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의 한 방법으로 선형 진동 발생장치가 등장하였다.As a conventional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ing a brush has a limitation in ensuring a technically long life with wear of contact parts such as a brush and a commutator,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a countermeasure. Appeared.

도 1은 종래의 회전형 진동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의 편평형 진동 발생장치는 크게 고정 부재인 고정자와 회전 부재인 회전자로 이루어진다. 즉, 원형의 평판인 베이스(1)의 상부면으로 하부기판(6)이 결합되고, 이 하부기판(6)의 상부에는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는 리드 와이어(4a,4b), 리드 와이어의 끝단 도체선(5a,5b),브러시(7a,7b)가 전기적으로 도통 연결되게 결합되고, 또, 동심원을 갖는 와셔형상의 마그네트(16)가 결합된다. 베이스(1)의 상부 중심에는 사프트(2)가 조립되며 샤프트(2)를 중심으로 베이스(1) 반대 면에 케이스(3)가 조립되어 베이스(1)와 케이스(3)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곽 구조를 구성한다. 샤프트(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회전자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회전자는 상부기판(8)을 중심으로 한 측면에 정류자(9)가 기판의 패턴으로 구성되고 반대 면에 동(구리)선으로 권선한 권선 코일(10) 2개를 결합하고 2개의 권선 코일(10) 사이에 중량체(12)를 결합하고 중심에 베어링(13)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수지 절연물(11)로서 통상 사출을 통해 몰딩되어 기구적으로 일체화되어 진다. 회전자가 회전시에 베이스(1)이나 케이스(3)에 의한 접촉부의 회전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 마찰저항이 적은 재질로 만든 상부 와셔(14), 하부 와셔(15)를 추가하기도 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rotary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e conventional flat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s composed of a stator which is a fixed member and a rotor which is a rotating member. That is, the lower substrate 6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 which is a circular flat plate, and the upper ends of the lower substrate 6 have lead wires 4a and 4b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ends of the lead wires. The conductor wires 5a and 5b and the brushes 7a and 7b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washer-shaped magnets 16 having concentric circl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haft 2 is assembl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1, and the case 3 is assemb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1 around the shaft 2 so that the entire outer structure is formed by the base 1 and the case 3. Configure The shaft 2 serves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or described below, in which the commutator 9 is formed in a pattern of the substrate on the sid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bstrate 8 and is moved on the opposite side. Resin insulator 11 in a state in which two winding coils 10 wound by a (copper) line are coupled, a weight body 12 is coupled between two winding coils 10, and a bearing 13 is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It is usually molded through injection and mechanically integrated. The upper washer 14 and the lower washer 15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frictional resistance may be added to reduce the rotational resistance of the contact portion caused by the base 1 or the case 3 when the rotor rotates.

전류의 흐름을 따라서 설명을 하면, 외부의 전류가 리드 와이어(4a,4b)에 인가되고 이 전류는 하부기판(6)의 패턴을 따라 브러시(7a,7b)로 흐른 후 회전자의 상부기판(8)의 한쪽 면의 정류자(9)에 이른 후 상부기판(8)의 패턴을 따라 권선 코일(10)에 이르러 권선 코일(10) 내부를 흘러 전자기력을 발생하여 전자석 기능을 하게 되어 베이스(1) 상부에 위치하고 권선 코일(10)과 면 대항하게 배치된 마그네트(16)가 상호 작용을 하여 회전력을 발생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flow of current, an external current is applied to the lead wires 4a and 4b, and this current flows along the pattern of the lower substrate 6 to the brushes 7a and 7b, and then the upper substrate of the rotor ( After reaching the commutator 9 on one side of 8), it reaches the winding coil 10 along the pattern of the upper substrate 8 and flows inside the winding coil 10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orce, thereby acting as an electromagnet. The magnet 16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disposed to face the winding coil 10 interacts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이 회전자는 권선 코일(10), 중량체(12)들을 대체적으로 한쪽으로 몰아 배치하므로 무게 중심이 회전 중심보다 편심되어 회전시 진동을 동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진동 발생장치를 브러시 타입 평편형 진동 발생장치라고 한다.The rotor is arranged to drive the winding coil 10, the weight body 12 to one side in general,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than the center of rotation will be accompanied by vibration during rotation. Such a vibration generator is referred to as a brush type flat vibration generator.

이런 브러시 타입의 진동 발생기는 브러시(7a.7b)와 정류자(9)의 습동 접점에 의해 전류의 방향을 바꾸어 주므로 기계적 마모를 피할 수 없어 장수명 요구에 대응할 수가 없어 마모를 수반하는 전기적 접점이 없는 선형진동 발생장치가 등장하게 된다.This brush-type vibration generator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by the sliding contact of the brush 7a.7b and the commutator 9, so that mechanical wear can not be avoided and it cannot respond to long life requirements. Vibration generators will emerge.

선형 진동발생기로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제1997-205763호에서 진동발생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유형의 참증에서 제시하는 구조는 도 2와 도 3에서 개념적으로 도시되었다. As a linear vibration generator, a vibration generator has been prop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997-205763, and the structure presented in this type of reference is conceptually shown in FIGS. 2 and 3.

도 2를 참조하여 그 작용을 살펴보면, 진동 발생장치는 케이스(112) 내부에 스프링(120)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120)에 마그네트(142), 요크(141) 및 평면 요크(143)에 의해서 자기장이 발생된다. 상기 자기장 내에 코일(130)이 배치되는데 코일(130) 한 끝단은 상기 베이스(111)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자기장의 방향과 상기 코일(130)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130)에 전류가 흐르면,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 따라 상기 자기장방향과 전류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도 2에서는 아래 또는 위로 스프링(120)에 의해 지지되는 자기장 형성부품이 움직이게 된다. 코일(130)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바꿔 주면 피가진체는 연속적으로 상하 진동을 발생하게 된다, 이런 선형 진동 발생기는 회전형 진동발생기와 달리 습동 접점이 없으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spring 120 disposed inside the case 112, and a magnet 142, a yoke 141, and a flat yoke 143 disposed on the spring 120. Magnetic field is generated. Coil 130 is disposed in the magnetic field, one end of the coil 130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111.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has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and the current flowing along the coil 130 are formed vertically, and when the current flows in the coil 130, the magnetic field direction and the current according to the law of the left hand of Flem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that is, in FIG. 2, the magnetic field forming component supported by the spring 120 is moved. Whe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30 is continuously changed, the to-be-generated body continuously generates vertical vibration. Such a linear vibration generator can improve durability because there is no sliding contact unlike a rotary vibration generator.

또한, 이러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종래의 회전형 구조를 탈피하여, 공진을 이용하여 최대변위를 발생시켜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량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공진주파수는(fn)는 아래 [식 1]에서 보듯이 피가진체의 질량(m)과 스프링 상수(k)에 영향을 받는다.In addition, such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has a structure that can obtain the amount of vibration in a desired frequency band by generating a maximum displacement by using a resonance, away from the conventional rotary structure. Here, the resonance frequency (fn) is influenced by the mass (m) and the spring constant (k) of the subject body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식 1]

Figure pat00001
[Formula 1]
Figure pat00001

그러나, 종래의 회전형 구조의 진동발생장치와 달리 마모하는 전기적 접점이 없는 반면, 운동을 가이드하는 축이나 베어링도 없이 스프링에 매달려 상하진동하는 형태가 되는데 휴대폰에서와 같이 외경 10밀리미터(mm)나 8밀리미터와 같이 초소형 부품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내부 부품 밀집도를 최대한 올려 소형화가 가능한 기구 구조설계를 해내는 것이 선형 진동기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conventional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ere is no wearable electrical contact, but there is no shaft or bearing for guiding the movement, so it hangs up and down on the spring. In the case of requiring an ultra-small component such as 8 millimeters, the core technology of the linear vibrator is to design a mechanical structure that can be miniaturized to maximize the internal component density.

도 2의 종래의 선형진동 발생기 기술에서는 운동을 가이드하는 축이나 베어링이 없는 상태에서 단순히 진동자가 스프링에만 매달려 진동하는 구조이므로 지름 10밀리미터처럼 아주 작은 구조로 만들게 되면, 진동자와 고정자 간에 상하 또는 좌우에서 간섭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따라서 진동력이 떨어지거나 듣기 싫은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치명적 결함이 있다. 따라서, 소형구조에 고안의 기구 구조로만 제작시는 실용성이 크게 떨어진다.In the conventional linear vibration generator technology of FIG. 2, since the vibrator is simply suspended only by a spring in the absence of a shaft or bearing for guiding the motion, when the oscillator is made of a very small structure such as a diameter of 10 millimeters, the oscillator and the stator may be moved up, down, left or right. There is a fatal defect in which the interference is liable to occur, and thus the vibration force is reduced or an unpleasant noise is generated. Therefore, the practicality is greatly reduced when manufacturing only the mechanism structure of the invention in a compact structure.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시된 종래의 선형진동 발생장치가 도 4에 도시되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자 중심부에 내부가 채워진 원통 형상의 마그네트(242)를 배치하고, 상기 마그네트(242) 외측 면에 자성 유체(245b)를 도포하여 진동자의 상하 운동시 충격과 소음을 줄이고, 선택적으로는 스프링(220)이 결합되는 요크(212) 상부에도 자성유체(245a)를 도포하여 진동 진폭이 크게 되어 기구적으로 접촉이 발생하게 되면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능면에서 진동자의 상하 진동시 좌우 또는 상하 간섭이 발생시에도 충격과 소음을 줄여 실용성을 개선한 장치라 할 수 있으나, 도 4의 진동 발생장치에서 제시한 설계 구조적 요인으로 코일(230)의 안 쪽으로 마그네트(242)를 사이에 두고 두 부품이 부딪히지 않게 하는 일정한 공간이 있어야 하고, 또, 코일(230)의 바깥으로 요크(241)와의 사이에도 두 부품이 부딪히지 않게 하는 일정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 The conventional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proposed as a countermeasur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4, a cylindrical magnet 242 filled with an insid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vibrator, and a magnetic fluid 245b is appli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magnet 242 to prevent shock and noise during vertical movement of the vibrator. The magnetic fluid 245a is also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yoke 212 to which the spring 220 is coupled, thereby suggesting a method of reducing the shock and noise generated when the vibration amplitude increases and mechanical contact occurs. have. In terms of function, it can be said to improve the practicality by reducing the impact and noise even when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interference of the vibrato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esign structural factors presented in the vibration generator of Figure 4 toward the inside of the coil 230 There should be a certain space to prevent the two parts from colliding with the magnet 242 therebetween, and there must be a certain space to prevent the two parts from colliding with the yoke 241 out of the coil 230.

이런 설계 구조는 예를 들어, 직경 10밀리미터 또는 8밀리미터와 같이 초소형 구조의 진동발생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는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다시 말하면, 코일(230)의 안 쪽과 바깥 쪽 모두에 공간을 주지 않아도 되는 설계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면 제품을 더욱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고, 같은 크기의 제품이라면 제품의 특성을 더욱 좋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uch a design structure is a fatal weakness in implementing a vibration generator of a very small structure, for example, 10 millimeters or 8 millimeters in diameter. In other words, if the design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without giving space to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il 230, the product can be made more compact, and if the product of the same size can re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better will be.

이런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출현한 진동 발생 장치가 도 5에 도시되었다.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hich appeared to meet this demand is shown in FI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채워진 원통 형상의 마그네트(342)를 고정자인 케이스(312) 중앙부에 배치하고, 코일(330)을 진동자 측에 배치하여 코일(312)이 마그네트(342)를 안쪽으로 감싸고 상하진동을 하게 하였다. 도 4의 진동 발생 장치와 비교하여, 코일(312) 바깥으로는 불필요한 공간을 없게 하였으나, 코일(312)을 진동자 측에 배치하여 코일(312)에 전류를 흐르게 하기가 무척 까다롭게 되었다. 코일(312) 하부에 상측 PCB(311b)를 두고 하측에 베이스(311c) 상면에 하측PCB(311a) 부착시킨 후에 하측 PCB(311a)와 상측PCB(311b)를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을 또 강구하여야 한다. 유연성이 있는 PCB로 하측 PCB(311a)와 상측PCB(311b)를 일체형으로 하던지, 어렵게 중간의 스프링(320)을 통전 수단으로 삼을 수도 있겠지만, 양 쪽 방식 모두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제조 비용이 올라갈 뿐 아니라 통전 수단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므로 단선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ylindrical magnet 342 filled with the insid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ase 312, which is a stator, and the coil 330 is disposed at the side of the vibrator so that the coil 312 may move the magnet 342. It was wrapped inside and vibrated up and down. Compared with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f FIG. 4, the unnecessary space is not provided outside the coil 312, but it is very difficult to arrange the coil 312 on the vibrator side to flow a current through the coil 312. After the upper PCB 311b is placed under the coil 312 and the lower PCB 311a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311c at the lower side, a means for connecting the lower PCB 311a and the upper PCB 311b to the circuit is further provided. shall. The flexible PCB can be integrated into the lower PCB (311a) and the upper PCB (311b), or it may be difficult to use the middle spring 320 as a power supply means, but both methods only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the complex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energization means is to move up and down, it causes another problem that increases the risk of disconnec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선형진동 발생장치와는 달리, 불필요한 공간을 줄이면서도 도 5의 진동 발생장치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간단한 구조로 설계하여 코일 단선의 위험성을 제거한 선형 진동 발생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f Figure 4, while reducing the unnecessary space and designed in a simple structure in another way different from th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f Figure 5 proposes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that eliminates the risk of coil breakage I would like to.

따라서, 본 발명은 베이스에 고정된 코일 및 상기 코일 내에 배치된 중심 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tor including a coil fixed to a base and a center yoke disposed in the coil; A vibrator including a magnet providing a vibration force together with the coil;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vibrator to support the vibrator.

또한, 본 발명은 브라켓에 고정된 코일 및 상기 코일에 배치된 중심 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부 요크와, 상기 코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 요크 및 상부 요크와 함께 자기 폐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배치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를 진동축과 동심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or including a coil fixed to the bracket and a center yoke disposed on the coil; A vibrator including an upper yoke, a magnet disposed on the coil to provide a magnetic closed circuit together with the center yoke and the upper yoke and to provide a vibration force with the coil, and a weight body disposed on the magnet;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vibrator to support the vibrator, wherein the center yoke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magnet concentrically with the vibration axis.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하고, 같은 크기의 제품이라면 진동력을 세게 하던지 아니면 전류를 낮게 하는 것과 같이 제품의 특성을 더욱 좋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이 진동부 측이 아닌 고정부측에 배치하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 지고 단선의 위험성이 줄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을 안내하는 부위가 연약한 코일이 아니라, 금속 가공부품이므로, 조립과정과 동작과정에 코일의 입구 부위와 진동부의 접촉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때문에 코일의 내경 입구부는 물론이고, 외경 입구 부위에서 끓어지는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iniaturized, and if the product of the same 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can be better implemented, such as increasing the vibration force or lowering the current.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il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xing part instead of the vibrating par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risk of disconnection is reduc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soft coil, but a metal guided part of the vibration guide part, since the contact between the inlet part of the coil and the vibration part is fundamentally blocked during the assembly and operation processes, as well as the inner diameter inlet part of the coil. It can prevent the poor boiling at the entrance.

도 1은 종래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회전형 진동 발생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선형진동 발생장치에 채용되는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tational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ior art.
3 is a plan view showing a spring employed in a conventional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ior art.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ior ar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선형진동 발생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the configuration of various linear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40)는 휴대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서 무음의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소형이고, 슬림한 진동 모터이다.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40)는 외관이 코인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외관은 후술하는 베이스와 케이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shown in Fig. 6 is a compact and slim vibration motor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used as a silent receiver.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is made of a coin shape, the appearance is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base and the case to be described later.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선형 진동 발생장치(40)는 고정자와 진동자로 구분되는데,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상기 고정자는 상기 진동자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진동자는 상기 고정자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진동자와 고정자 사이에는 탄성체(430)가 배치되어서 상기 진동자를 지지한다.Referring to FIG. 6,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is divided into a stator and a vibrator. The stator and the vibrator are relative to each other, and the stator refers to a part fixed to the vibrator, and the vibrator is the The part vibrates with respect to the stator. An elastic body 430 is disposed between the vibrator and the stator to support the vibrator.

상기 고정자는 베이스(410)와, 상기 베이스(410) 상측에 조립되는 통상 얇은 연성 PCB로 구현되는 통전 수단(418)과, 상기 베이스(410) 상에 결합되어 외형을 제공하는 케이스(412)와, 상기 통전 수단(418)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410) 상에 고정된 코일(414)과, 상기 코일(414) 내부 중심 공간에 배치되는 중심 요크(416)를 포함한다. The stator includes a base 410, a power supply means 418 implemented as a general thin flexible PCB assembled on the base 410, and a case 412 coupled to the base 410 to provide an appearance. And a coil 414 coupled to the energization means 418 and fixed to the base 410, and a central yoke 416 disposed in a central space inside the coil 414.

상기 진동자는 상부 요크(424)와, 마그네트(4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는 중량체(422)와, 하부 평면 요크(4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420)는 상기 코일(414)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 요크(416) 및 상부 요크(424)와 함께 자기 폐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414)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마그네트(420) 저면에는 링 형상의 하부 평면 요크(426)가 더 구비되며, 상기 마그네트(420)와 함께 자기 폐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하부 평면 요크(426)는 상기 탄성체(430)와 마그네트(420) 저면 사이에 배치된다.The vibrator includes an upper yoke 424 and a magnet 420. The vibrator further includes a weight body 422 and a lower planar yoke 426. The magnet 420 is disposed above the coil 414 to provide a magnetic closed circuit together with the center yoke 416 and the upper yoke 424, and to provide a vibration force together with the coil 414. Further,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4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ing-shaped lower planar yoke 426, together with the magnet 420 to provide a magnetic closure circuit. The lower planar yoke 426 is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body 43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420.

상기 마그네트(420)와 베이스(410) 사이,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평면 요크(426)와 베이스(410) 사이에 상기 코일(414) 외주를 감싸게 탄성체(430)를 배치시켜서 상기 진동자를 지지한다. 상기 통전 수단(418)의 상부에는 코일(414)을 통상적으로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며, 상기 코일(414) 내부 중심 공간에 연자성체 재질의 중심 요크(416)를 결합시킨다. 상기 중심 요크(416)의 결합은 단순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An elastic body 430 is disposed between the magnet 420 and the base 410, specifically, between the lower planar yoke 426 and the base 410 to support the vibrator. The coil 414 is typic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nergizing means 418 by using an adhesive, and the center yoke 416 of the soft magnetic material is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coil 414. The combination of the center yoke 416 may be combined in a simple fitting manner.

상기 중심 요크(416)는 상기 코일(414) 내부 중심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410) 상에 진동축과 동심으로 진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중심 요크(416)는 원통형으로서, 내부가 충만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요크(424)는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마그네트(420)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center yoke 416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space inside the coil 414 and is disposed on the base 410 so as to extend in the vibration axis direction concentrically with the vibration axis. In addition, the center yoke 416 is cylindrical, and is configured to be full inside. In addition, the upper yoke 424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420 in the shape of a disk.

상기 마그네트(420)는 외경면에 중량체(422)를 더 구비한다. 상기 중량체(422)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트(420)를 수용한다.The magnet 420 further includes a weight body 422 on the outer diameter surface. The weight body 422 has an upper portion closed and a lower portion formed in an open shape to accommodate the magnet 420.

상기 마그네트(420)와, 하부 평면 요크(426)와, 중심 요크(416)와, 상부 요크(424)는 폐(閉)루프 형상의 자기 회로를 형성하고, 중심에 상기 코일(416)이 배치되게 하여, 상기 코일(414)에 교번 전류가 흐르면, 상기 자기(磁氣) 폐(閉)루프와 상호 작용을 하여 상기 진동자가 상하 진동을 하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평면 요크(426) 내측과 코일(414) 사이 또는 상기 중량체(422) 상부에 각각 자성유체(440,442)를 도포하여 진동의 안정성을 추가적으로 도모할 수도 있다. The magnet 420, the lower planar yoke 426, the center yoke 416, and the upper yoke 424 form a closed loop-shaped magnetic circuit, and the coil 416 is disposed at the center. When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414, the coil interacts with the magnetic closed loop to cause the vibrator to vibrate up and down. In addition, magnetic fluids 440 and 442 may be applied between the lower plane yoke 426 and the coil 414 or on the weight body 422 to further stabilize vibration.

다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핵심 내용은 상기 마그네트(420)의 형상을 내부가 빈 파이프형으로 하고, 상기 코일(414)을 상기 마그네트(420) 내부에 배치시키는 동시에 상기 코일(414) 내부 중심 공간에 상기 중심 요크(416)를 배치하여 상술한 자기(磁氣) 폐(閉)루프를 구성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hape of the magnet 420 is a hollow pipe shape, and the coil 414 is disposed inside the magnet 420 and at the same time in the central space inside the coil 414. The center yoke 416 is arranged to form the above-described magnetic closed loop.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5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40)의 구성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50)는 탄성체(530)와 자성유체(542)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4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530)와 자성유체(542)만을 설명하기로 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shown in FIG. 6,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shown in FIG. 7 will not be provided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 shown in FIG. 7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body 530 and the magnetic fluid 542,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shown in FIG. 6. Therefore, only the elastic body 530 and the magnetic fluid 542 will be describ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530)는 마그네트(520) 상부, 구체적으로 중량체(522) 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탄성체(530)는 상기 중량체(522)와 케이스(512) 사이에 배치되어서, 진동자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530)에는 자성 유체(542)가 도포된다. 상기 자성유체(542)는 상기 탄성체(530) 상면에 점 도포 또는 링 형상으로 도포되어서, 진동자의 수직방향 충돌을 최소화한다.As shown in FIG. 7, the elastic body 530 is disposed above the magnet 520, specifically, above the weight body 522. That is, the elastic body 530 is disposed between the weight body 522 and the case 512 to support the vibrator. In this case, a magnetic fluid 542 is applied to the elastic body 530. The magnetic fluid 542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ody 530 in a dot coating or a ring shape, thereby minimizing the vertical impact of the vibrator.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60)는 도 7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50)의 구성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60)는 중량체(622)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5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중량체만을 설명하기로 한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6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 shown in FIG. 8,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60 shown in FIG. 8 will not be identical to the configuration, and only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Since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60 shown in FIG. 8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eight body 622,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50 shown in FIG. I will explain only.

상기 중량체(622)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중량체(622)는 내부 공간이 비어있는 중공형으로서, 상기 내부 공간에 상부 요크(624)와, 마그네트(620)와, 하부 평면 요크(626)가 수용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630)는 상기 상부 요크(624)와 밀접하게 배치된다.The weight body 622 is provided in a ring shape. That is, the weight body 622 is a hollow type of the inner space is empty, the upper yoke 624, the magnet 620, and the lower plane yoke 626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630 is disposed closely to the upper yoke 624.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7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70)는 도 6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40)의 구성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70)는 중심 요크(716)와, 상부 요크(724)와, 중량체(722)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4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중심 요크(716)와, 상부 요크(724)와, 중량체(722)만을 설명하기로 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7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40 shown in FIG. 9,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70 shown in FIG.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70 shown in FIG. 9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er yoke 716, the upper yoke 724, and the weight body 722,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on shown in FIG.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40 is the same, only the center yoke 716, the upper yoke 724, and the weight 722 will be described.

상기 중심 요크(716)는 마그네트(720)를 중심으로 진동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 요크(716)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충만하게 구성되어서, 코일(714) 내부 중심 공간에 삽입되어 베이스(710) 상에 진동축과 동심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상부 요크(724)와 중량체(722)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중심 요크(716) 외주면은 상기 마그네트(720) 내경면과 일정하게 간견지게 이격되고, 상기 상부 요크(724) 내경면과 상기 중량체(722) 내경면과 간격진 갭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 요크(716)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마그네트(720) 상면에 평행하게 동심으로 배치된다. 상기 탄성체(730)는 상기 베이스(710)와 마그네트(720) 사이에서 상기 코일(714) 외주를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720) 저면에 하부 평면 요크(726)가 더 구비되어, 상기 탄성체(730)는 베이스(710)와 하부 평면 요크(726) 사이에 배치되어 진동자를 지지한다.The center yoke 716 is disposed to penetrate in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axis about the magnet 720. The center yoke 716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full, so that the center yoke 716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space of the coil 714 so as to extend concentrically with the oscillation axis on the base 710. It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weight body 722. In additi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yoke 716 is uniforml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magnet 720, and provides a gap between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upper yoke 724 and the inner diamet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722. The upper yoke 716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and is arranged concentrically in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720. The elastic body 73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il 714 between the base 710 and the magnet 720, the lower plane yoke 726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gnet 720, the elastic body ( 730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710 and the lower planar yoke 726 to support the vibrator.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선형 진동 발생장치(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80)는 도 9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70)의 구성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은 생략하고,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80)는 탄성체(830)와 자성유체(842)만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선형 진동 발생장치(7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체(830)와 자성유체(842)만을 설명하기로 한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8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70 shown in FIG. 10,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80 shown in FIG.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80 shown in FIG. 10 differs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body 830 and the magnetic fluid 842,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70 shown in FIG. Therefore, only the elastic body 830 and the magnetic fluid 842 will be describe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830)는 상기 중량체(822) 상에 배치되어 진동자를 지지한다. 이때, 상기 중심 요크(816)는 상기 탄성체(830)를 관통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830) 상에 자성유체(842)가 도포되어서, 수직방향 충돌을 최소화한다.As shown in FIG. 10, the elastic body 830 is disposed on the weight body 822 to support the vibrator. In this case, the center yoke 816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elastic body 830. In addition, the magnetic fluid 842 is applied on the elastic body 830, thereby minimizing vertical collision.

Claims (24)

선형 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베이스에 고정된 코일 및 상기 코일 내에 배치된 중심 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In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A stator comprising a coil fixed to a base and a center yoke disposed in the coil;
A vibrator including a magnet providing a vibration force together with the coil; And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vibrator to support the vib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부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 요크 및 상부 요크와 함께 자기 폐회로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or further comprises an upper yoke, and the magnet is disposed on the coil to provide a magnetic closed circuit together with the center yoke and the upper yok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상기 코일 내부 중심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 진동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enter yoke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space of the coil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vibration axis on the b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충만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3.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enter yoke is cylindrical in shape and has a full interi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요크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크 상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upper yoke has a disk shape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상기 코일 외주를 감싸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elastic body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oil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bracket and the magne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와 마그네트 사이에 링 형상의 하부 평면 요크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7.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lower planar yoke between the elastic body and the mag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마그네트 상방에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body is disposed above the magn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상에 자성 유체가 도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9.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magnetic fluid is applied on the elastic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저면에 링 형상의 하부 평면 요크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9.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ring-shaped lower planar yoke on the bottom of the magn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평면 요크 내측과 상기 코일 사이에 자성 유체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1.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magnetic fluid is included between the lower plane yoke and the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크 외경면에 중량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eight bod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e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 상면에 자성 유체를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3.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magnetic fluid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eight bod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수용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weight body has a closed upper portion and an open lower portion, and accommodates the magne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weight is formed in a ring shape. 선형 진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브라켓에 고정된 코일 및 상기 코일에 배치된 중심 요크를 포함하는 고정자;
상부 요크와, 상기 코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중심 요크 및 상부 요크와 함께 자기 폐회로를 제공하고 상기 코일과 함께 진동힘을 제공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배치된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요크는 상기 마그네트를 진동축과 동심으로 관통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
In the linear vibration generator,
A stator including a coil fixed to the bracket and a center yoke disposed on the coil;
A vibrator including an upper yoke, a magnet disposed on the coil to provide a magnetic closed circuit together with the center yoke and the upper yoke and to provide a vibration force with the coil, and a weight body disposed on the magnet;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between the stator and the vibrator to support the vibrator,
And the center yoke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magnet concentrically with the vibration axi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상기 코일 내부 중심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 상에 진동축과 동심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7.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enter yoke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space inside the coil and disposed to extend concentrically with the vibration axis on the bracket.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충만하게 구성되어서, 상기 상부 요크와 중량체를 관통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8.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or 17, wherein the central yoke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figured to fill the inside, and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upper yoke and the weight bod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 외주면은 상기 마그네크 내경면과 일정하게 간격지게 이격되고, 상기 상부 요크 내경면과 상기 중량체 내경면과 간격진 갭이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7.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enter yok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 yoke, and a gap between the upper yoke inner diameter surface and the weight inner diameter surface is present.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요크는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트 상면에 평행하게 동심으로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7.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upper yoke has a ring shape and is arranged concentrically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e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서 상기 코일 외주를 감싸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of claim 16, wherein the elastic body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oil outer circumference between the bracket and the magne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저면에 하부 평면 요크가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7.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 lower planar yoke on the bottom of the magne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중량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자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17.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elastic body is disposed on the weight body to support the vibrator.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요크는 상기 탄성체를 관통하게 배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진동 발생장치.24. The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center yoke is disposed through the elastic body.
KR1020110054919A 2010-08-18 2011-06-08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11753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8564 2010-08-18
KR2020100008564 2010-08-18
KR20100009008 2010-08-30
KR2020100009008 2010-08-30
KR2020100009932 2010-09-27
KR20100009932 2010-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89A true KR20120017389A (en) 2012-02-28
KR101175356B1 KR101175356B1 (en) 2012-08-23

Family

ID=4583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919A KR101175356B1 (en) 2010-08-18 2011-06-08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35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2110A (en) * 2012-03-16 2013-09-18 可立新株式会社 Linear vibrator
KR101439937B1 (en) * 2012-03-16 2014-09-17 크레신 주식회사 Linear vibrator
CN104043575A (en) * 2013-03-12 2014-09-17 可立新株式会社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20150035896A (en) * 2015-03-02 2015-04-07 자화전자(주)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O2021080071A1 (en)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Radial magnet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7161A (en) * 2004-06-29 2006-01-12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Oscillating linear actuator
KR100793682B1 (en) 2007-01-16 2008-01-10 김정훈 Subminiature linear vibra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12110A (en) * 2012-03-16 2013-09-18 可立新株式会社 Linear vibrator
WO2013137578A1 (en) * 2012-03-16 2013-09-19 크레신 주식회사 Linear oscillator
US20130241322A1 (en) * 2012-03-16 2013-09-19 Cresyn Co., Ltd. Linear vibrator
KR101439937B1 (en) * 2012-03-16 2014-09-17 크레신 주식회사 Linear vibrator
CN104043575A (en) * 2013-03-12 2014-09-17 可立新株式会社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20150035896A (en) * 2015-03-02 2015-04-07 자화전자(주)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WO2021080071A1 (en) * 2019-10-22 2021-04-29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Radial magnet actuator
US11714490B2 (en) 2019-10-22 2023-08-01 Ck Materials Lab Co., Ltd. Radial magnet actuator with moving mass having a magnet moving vertically and a c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356B1 (en)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112B1 (en) A vertical vibrator of inner weight type
US8957558B2 (en) Linear vibration generator
CN102055297B (en) Linear vibrator
JP4939587B2 (en) Linear vibration device
KR101746007B1 (en) Linear type vibration motor vibrated Verticality
US8536745B2 (en) Linear vibrator
KR100541113B1 (en) A vertical vibrator of pattern coil type
US20140062225A1 (en) Vibration generation device
KR100593900B1 (en)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t Frequency
KR101175356B1 (en) Linear vibration generating device
KR100992264B1 (en) Linear Type Vibration Motor
KR20100119970A (en) Linear vibrator
KR101525654B1 (en) Linear vibrator
CN103379416A (en) Vibration generator
KR20120054685A (en) Linear vibrator
KR101152417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vibration
KR20120051504A (en) Linear vibrator
KR20120007552U (en) vibrator for cellular phone
KR20080108389A (en) Vibrator
KR200456605Y1 (en) Linear Type Vibrator
KR20120050362A (en) Vertical linear vibrator
KR101752718B1 (en) Linear vibrator
KR101283914B1 (en) Linear Type Vibrator
KR20110055757A (en) Slim vibrator without brush
KR101284545B1 (en) Linear Type Vib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