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387A -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 Google Patents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387A
KR20120017387A KR1020110039275A KR20110039275A KR20120017387A KR 20120017387 A KR20120017387 A KR 20120017387A KR 1020110039275 A KR1020110039275 A KR 1020110039275A KR 20110039275 A KR20110039275 A KR 20110039275A KR 20120017387 A KR20120017387 A KR 2012001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ttern
waveguide sheet
input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1426B1 (en
Inventor
장규연
Original Assignee
(주)하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운 filed Critical (주)하운
Publication of KR2012001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PURPOSE: An input and output device is provided to increase an area of an input and output part by forming a light source, which irradiates an end part of a light guide sheet with light, at a lower part of a PCB. CONSTITUTION: A light guide sheet(G2) includes a bent part(GB). A relay unit transfers a touch state of a light guide sheet pattern to a PCB. A selection lighting device lights a specific light source from light sources(L1,L2). Light in the selection lighting device exposes only a specific light 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in a selection exposing device. The light source is included at a lower part of the PCB to irradiate an end portion of a bent part with the light.

Description

인풋-아웃풋 디바이스{INPUT AND OUTPUT MULTI DEVICE}Input-output device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본 발명은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output device,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도파로시트의 단부가 절곡부를 형성하여 PCB 측단부를 지나 하부로 향하고 있고, 도파로시트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도파로시트 단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은 PCB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More specifically, an end portion of the waveguide sheet, in which a pattern for input or output of data is formed, forms a bent portion and is directed downward through the PCB side end, and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end of the waveguide sheet so that the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appears. The light source is located underneath the PCB,

동일한 케이스와 광원을 이용하여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경우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면적이 PCB 상부에 광원이 구비된 종래 디바이스에 비하여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고, When configuring the input-output device using the same case and the light source, the area of the input unit or output unit for input or output of data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device having a light source on the PCB.

또 복수의 도파로시트를 다층 배열하고 각 도파로시트의 패턴을 조사하는 광원들이 선택점등수단과 선별현출수단에 의하여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킬 수 있어 데이터의 입력(인풋) 또는 출력(아웃풋) 모드가 단순하면서도 다양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In addition, light sources for stacking a plurality of waveguide sheets and irradiating a pattern of each waveguide sheet can display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by means of selective lighting means and selection display means, so that input (output) or output (output) of data can be perform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simple modes

리모트콘트롤러, 조리기구의 입력부, 안내용 키오스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output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n input of a cooking utensil, a guide kiosk, and the like.

대표적인 인풋 디바이스이고 휴대전화 또는 리모트콘트롤러 등에 적용되는 키입력장치는 해당 전자기기에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A key input device which is a typical input device and applied to a mobile phone or a remote controller is a device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signal to the electronic device.

전자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다양한 전자기기가 개발 출시되고 있고, 전자기기들은 기능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released, and the electronic devices have various functions.

도 1 [A]에 도시된, 인풋 디바이스의 일종인 리모트컨트롤러(Rp)는 실용신안등록 제0438645호 "도파로시트를 이용한 변환형 키패드 패키지"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케이스(R1)에 내장된 PCB(R2)의 상부에 도파로시트(G1)(G2)가 되어 있고, PCB(R2) 상부 양측단에 구비된 광원(L1)(L2)이 도파로시트(G1)(G2)에서 빛을 조사하여 도파로시트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한다.The remote controller Rp, which is a kind of input device, shown in FIG. 1A is a simplified illustr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8645, "Convertible keypad package using waveguide sheet," which is incorporated in the case R1. The waveguide sheets G1 and G2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CB R2, and the light sources L1 and L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CB R2 are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waveguide sheets G1 and G2. Allow the pattern of waveguide sheet to emerge.

이러한 종래 리모트컨트롤러(Rp)에서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IP)로 활용할 수 없는 블랭크존(blank zone)이 존재하는데,In such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Rp) there is a blank zone (blank zone) that can not be utilized as an input unit (IP) for data input,

먼저 케이스(R1)와 오버레이시트(overlay sheet)(또는 윈도우)(R3)와의 결합을 위한 부착수단(R3a)(다양한 양면 접착 부재 사용)을 위한 면적, 즉 베젤(bezel) 영역에 해당하는 양 측단의 제1블랭크존(Z1)이 발생된다.First, both sides of the area for the attaching means R3a (using various double-sided adhesive members) for the combination of the case R1 and the overlay sheet (or window) R3 (that is, the bezel area) The first blank zone Z1 of is generated.

또 광원(L1)(L2)과 이 광원의 빛이 도파로시트(G1)(G2) 외에 다른 부분으로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제1차광브라켓(SB1)으로 인한 제2블랭크존(Z2) 또한 발생된다.A second blank zone Z2 is also generated due to the light source L1 and L2 and the first light shielding bracket SB1 that prevent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from being irradiated to other parts than the waveguide sheets G1 and G2.

이뿐 아니라 광원(L1)(L2) 인접 구역에서는 핫스팟(hot spot) 현상으로 휘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입력부(또는 키오스크 등 다양한 아웃풋 디바이스에서는 출력부)를 구성하기에는 부적절하므로 제3블랭크존(Z3)이 발생된다.In addition, the third blank zone Z3 is generated because the luminance is too high due to a hot spot phenomenon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light sources L1 and L2, and thus is not suitable to form an input unit (or an output unit in various output devices such as a kiosk). .

나아가 제3블랭크존(Z3)과 관련하여, 도 1[A]와 같이 2층(또는 3층 이상)으로 도파로시트를 도입하여 멀티 입력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파로시트(G1)(G2)의 광원 반대편 단부에서 광원의 빛이 유출,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차광브라켓(SB2)을 도입하는데, 컴팩트한 배열 구조를 위하여 각 도파로시트층의 광원은 엇갈린 위치에 배열하게 되므로, 핫스팟(hot spot) 현상을 회피하기 위한 제3블랭크존(Z3)은 제2차광브라켓(SB2)과 겹치거나 제2차광브라켓으로 인하여 영역이 더 확장된다.In addition, when the waveguide sheet is introduced into two layers (or three or more layers) with respect to the third blank zone Z3 to form a multi-input unit, the light source of the waveguide sheets G1 and G2 is formed. The second light shielding bracket SB2 is introduced to preven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from leaking out and wasting at the opposite end. Since the light source of each waveguide sheet layer is arranged in a staggered position for a compact arrangement, a hot spot The third blank zone Z3 overlaps with the second light blocking bracket SB2 or further extends due to the second light blocking bracket.

이와 같은 제1 내지 제3 블랭크존(Z1,Z2,Z3)은 그만큼 인풋 또는 아웃풋 디바이스를 구성함에 있어 유효 입력부(IP) 또는 유효 출력부의 면적을 축소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Since the first to third blank zones Z1, Z2, and Z3 are configured to reduce the area of the effective input unit IP or the effective output unit in the input or output device.

경박단소화 경향의 컴팩트한 제품을 확보하면서도 유효 입력부 또는 유효 출력부 면적을 최대화하고자 하는 제품 개발에 최대의 장애 요인 중 하나여서 시급한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As it is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to the development of products that want to maximize the area of effective input or effective output while securing compact products with a tendency to light and short, it is urgently needed to solve them.

한편, 전자기기의 키입력장치에는 다양해진 기능들만큼 키의 개수가 늘고, On the other hand, in the key input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number of keys increases by various functions,

하나의 키입력장치로 여러 전자기기를 작동(리모트컨트롤러의 경우)시키거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키를 확보하고자 키의 개수가 늘고 있다. The number of keys is increasing in order to secure input keys for operat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for a remote controller) or for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using a single key input device.

예를 들어, 휴대폰은 초기에는 단순한 음성 통화 기능만이 있었으나, 현재는 SMS 서비스, 카메라 기능, DMB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이 구비되어 각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키의 개수가 늘고 있고, 컴퓨터 자판을 작은 휴대폰에 구현한 쿼티(qwerty) 자판까지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For example, mobile phones initially had only a simple voice call function, but now have SMS services, camera functions, DMB functions, navigation functions, etc., and the number of keys is increasing to use each function. Qwerty keyboards are also being introduced into mobile phones.

또 리모트콘트롤러의 경우에도 하나로 TV, VTR, DVD, 냉장고, 에어콘 등의 여러 생활가전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키의 개수가 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remote controller, the number of keys is increasing so that one can operate various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TV, VTR, DVD, refrigerator, and air conditioner.

이처럼 다양한 입력장치에서 입력버튼(또는 입력키나 입력소자)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를 한정된 면적에 구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키입력장치의 버튼 하나에 다수의 키를 표시하고, As the number of input buttons (or input keys or input elements) increases in various input devices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keys are displayed on one button of a key input device in order to implement them in a limited area.

필요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사용하여 왔다. It has been used to change the mode as needed.

그러나 이처럼 단순히 버튼의 수를 늘리는 방안은 입력장치의 크기를 증대시키므로 전자제품의 휴대성 등을 위한 소형화 경향에 맞지 않으며 제조원가의 상승을 유발하게 된다. However,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buttons increases the size of the input device, which does not meet the tendency of miniaturization for portability of electronic products and causes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아울러 하나의 버튼에 다수의 입력기능을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의 조작상의 주의를 요구하며, 표시되는 키의 크기가 작아져 사용자의 인지력을 떨어뜨리고 눈의 피로감을 유발한다.
In addition, displaying a plurality of input functions on a single button requires attention of the user's operation, and the size of the displayed key decreases, reducing the user's cognition and causing eye fatigue.

이와 같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0438645호 "도파로시트를 이용한 변환형 키패드 패키지"가 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38645 "Convertible keypad package using waveguide sheet" has been presented.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도 1 [A]에 단순화시켜 표현한 바와 같이, 숫자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제1 도파로시트(G1)와, 문자 패턴이 인쇄되어 있는 제2 도파로시트(G2)를 적층하고, 제1 도파로시트와 제2 도파로시트 사이에는 숫자 또는 문자 패턴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반투명필름(T)을 개재시켜, 빛이 입사되는 도파로시트에 구비되어 있는 패턴만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In the utility model described above, the first waveguide sheet G1 on which the numeric pattern is printed and the second waveguide sheet G2 on which the character pattern is printed are laminated, as shown in FIG. Between the first waveguide sheet and the second waveguide sheet by interposing a semi-transparent film (T) to selectively block the number or letter pattern, so that only the pattern provided on the waveguide sheet to which light is incident is displayed to the outside,

사용자가 키입력장치(리모트컨트롤러(Rp))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이나 전자기기를 선택하면 특정 광원(L1)(L2)이 점등되면서 해당하는 도파로시트에 빛이 입사되어 필요한 패턴(즉, 키)만이 외부로 표시된다. When the user selects a function or an electronic device to be used in the key input device (remote controller Rp), a specific light source L1 (L2) is turned on and light is incident on the corresponding waveguide sheet so that a required pattern (ie, key) is applied. Only the outside is shown.

따라서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보다 적은 버튼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키를 보다 크게 표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tility model can display more keys larger using fewer buttons.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버튼에 표시되는 패턴이 선명하지 못하고 어둡게(또는 희미하게) 표시되는 문제와, 표시되는 패턴에 다른 패턴에 미약하게나마 중첩되어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utility model has a problem that the pattern displayed on the button is not clear and dark (or dim), and that the pattern displayed on the button is slightly overlapped with other patterns.

이러한 문제는 두 도파로시트의 적층 구조와, 적층된 도파로시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 반투명필름에 기인한다.
This problem is due to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two waveguide sheets and the translucent film used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laminated waveguide sheets.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탑(오버레이시트(R3)) 아래에, 하부에서 상부로 차례로 제1 도파로시트(G1), 반투명필름(T), 제2도파로시트(G2)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 When the first waveguide sheet G1, the translucent film T, and the second waveguide sheet G2 are stacked in or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key top (overlay sheet R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

두 도파로시트를 적층하였으므로 당연히 하나의 버튼 아래에는 제1 도파로시트의 패턴과 제2 도파로시트의 패턴이 중첩되어 배치되고, 제1 도파로시트에 입사된 빛은 패턴에서 반사되어 상부로 투과되고, 투과된 빛은 반투명필름과 제2 도파로시트를 투과하여 키탑(오버레이시트(R3))의 버튼에 표출된다.
Since the two waveguide sheets are stacked, the pattern of the first waveguide sheet and the pattern of the second waveguide sheet overlap each other under one button, and the light incident on the first waveguide sheet is reflected from the pattern and transmitted upward. The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lucent film and the second waveguide sheet and is displayed on the button of the key top (overlay sheet R3).

이때 반투명필름(T)은 제1 도파로시트(G1)에서 입사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하여 투과시키게 되므로 키탑의 버튼까지 도달되는 빛의 양이 줄어 패턴이 어둡게 표출되고, In this case, the translucent film T blocks a part of the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waveguide sheet G1 and transmits the ligh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the button of the key top, thereby darkening the pattern.

제1 도파로시트의 패턴(문자 패턴)에서 반사된 빛은 직진으로만 상부로 투과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도파로시트, 반투명필름을 통과하면서 굴절 및 확산되어 투과되므로 제2 도파로시트의 패턴(숫자 패턴)에서 제2 도파로시트의 패턴에 중첩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도 적은 양이지만 확산된 빛이 유입되므로 키탑 버튼에는 제1 도파로시트의 문자 패턴이 선명하게 표시되고, 그 위에 제2 도파로시트이 숫자 패턴이 희미하게 중첩되어 표시된다.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pattern (character pattern) of the first waveguide sheet is not transmitted only upward straight, but is refracted and diffused and transmit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waveguide sheet and the translucent film (number pattern). In the area that is not superimposed on the pattern of the second waveguide sheet in, a small amount of diffused light flows in, but the letter pattern of the first waveguide sheet is clearly displayed on the key top button, and the second waveguide sheet is faintly numbered on the second waveguide sheet. Overlaid.

그리고 제2 도파로시트에 빛이 입사되는 때에는 반투명필름에 의한 빛의 차단이 없어서 제2 도파로시트의 숫자 패턴이 키탑 버튼에 선명하게 표시되지만, 입사된 빛의 일부가 반투명필름과 제1 도파로시트를 통해 문자 패턴에 입사되어 반사되므로 키탑 버튼에 숫자 패턴 위에 문자 패턴이 희미하게 중첩되어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When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second waveguide sheet, the light is not blocked by the translucent film so that the number pattern of the second waveguide sheet is clearly displayed on the key top button, but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is applied to the translucent film and the first waveguide sheet. Since the incident light is incident on the character pattern, the key pattern has a problem in that the character pattern is overlaid on the numeric pattern.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에 기초한 제품을 상용화한 제품의 입력패턴은 적층된 도파로시트의 수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선명한 시인성 보장을 위하여 시트는 2장, 또는 잘해야 3장으로 제한되며, 이에 따라 현출되는 패턴 또한 2개 또는 3개로 제한되어,In addition, since the input pattern of the product commercialized product based o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is limited by the number of laminated waveguide sheets, the sheet is limited to two or at most three sheets to ensure clear visibility. The pattern is also limited to two or three,

좀 더 복잡하면서도 다양한 정보의 입출력을 위한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구현하는 데는 부적합하다.
More complex and unsuitable for implementing input-output devices for input and output of a variety of information.

이와 같이 적층되는 도파로시트의 수가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인풋(또는 아웃풋) 모드의 구현이 제한되는 상황은 또한 각 도파로시트(G1)(G2) 측단, 즉 PCB(R2) 상부에 구비된 광원(L1)(L2)의 높이가 도파로시트 보다는 현저히 높으므로 각 3층 이상 도입되는 경우 도파로시트 마다 광원을 배열하면 그만큼 디바이스의 높이가 증가되므로 구매력과 시장성을 갖는 제품의 개발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The number of waveguide sheets stacked in this way is limited, and thus the situation in which the implementation of more various input (or output) modes is limited is also possible in the light sourc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waveguide sheet G1 (G2), that is, on the PCB R2. Since the height of L1 and L2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waveguide sheet, when the light source is arranged for each waveguide sheet when the three or more layers are introduced, the height of the device increases accordingly, and thus development of a product having purchasing power and marketability becomes practically impossible.

이에 본 발명은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도파로시트의 단부가 절곡부를 형성하여 PCB 측단부를 지나 하부로 향하고 있고, 도파로시트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도파로시트 단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은 PCB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동일한 케이스와 광원을 이용하여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경우, 오버레이시트 부착수단, 광원 및 차광브라켓으로 인하여 블랭크존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종래 디바이스(PCB 상부에 광원이 구비됨 형태)에 비하여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면적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PCB 하부 광조사형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nd of the waveguide sheet, the pattern for the input or output of the data is formed bent toward the bottom past the PCB side end, and the light is irradiated to the end of the waveguide sheet so that the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appears Since the light source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CB, and when the input-output device is configured using the same case and the light source, a blank device inevitably occurs due to the overlay sheet attaching means,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blocking bracket (the light source on the PCB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CB lower light irradiation type input-output device in which the area of an input part or an output part for input or output of data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또 본 발명은 좀 더 복잡하면서도 다양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얻는데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rix-type multi-input-output device that is more complex and capable of inputting and receiving a variety of information, which makes it more convenient for a user to input or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나아가 본 발명은 다층을 이루는 복수의 도파로시트에 형성된 패턴을 조사하는 광원들이 선택점등수단과 선별현출수단에 의하여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킬 수 있어 데이터의 입력(인풋) 또는 출력(아웃풋)의 모드가 단순하면서도 다양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모트콘트롤러, 조리기구의 입력부, 안내용 키오스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light sources for irradiating patterns formed on a plurality of waveguide sheets forming a multi-layer can display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by a selection lighting means and a selection display means, so that input (output) or output (output) of data is possib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rix-type multi-input-output device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n input of a cooking utensil, a guide kiosk, and the like.

아울러 본 발명은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특정 광원이 점등되어 한 층의 도파로시트 전체 패턴이 아닌, 특정 패턴만이 현출될 수 있어 보다 다채널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 구현이 가능한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light source is turned on by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so that only a specific pattern, rather than the entire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of one layer, can be display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또 본 발명은 선택점등수단이 현 단계의 현출패턴의 특정 패턴요소를 조작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된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trix type multi-input-output device implemented in such a way that the selection lighting means operates a specific pattern element of the present pattern in the present stage so that the pattern of the next stage appea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CB 하부 광조사형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CC lower light irradiation type 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CB;PCB;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PCB 하부를 향하고 있는 절곡부를 갖는 도파로시트; A waveguide sheet in which a pattern for input or output of data is formed and an end portion of which is bent toward the bottom of the PCB;

상기 도파로시트 패턴의 터치 상태를 상기 PCB에 전달하는 중계수단; Relay means for transmitting the touch state of the waveguide sheet pattern to the PCB;

상기 도파로시트의 절곡부 단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PCB 하부에 구비된 광원; 및A light source provided under the PCB to irradiate light to an end portion of the bent portion of the waveguide sheet; And

PCB, 도파로시트, 중계수단, 광원을 수용하는 케이스;A case accommodating a PCB, a waveguide sheet, a relay means, and a light source;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또 본 발명에 따른 PCB 하부 광조사형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에서 상기 PCB의 절곡부는 PCB 측단의 수직방향 제1절곡부와, PCB 측단 내측을 향하여 굽은 수평방향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CC lower light irradiation 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of the PCB preferably includes a vertical first bent portion at the PCB side end and a horizontal second bent portion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PCB side end.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는Furthermore, the matrix type multi-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도파로시트; A plurality of waveguide sheets in which a pattern for input or output of data is formed;

상기 도파로시트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irradiating light to cause the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to appear;

상기 광원들 중 특정 광원을 점등하는 선택점등수단; 및Selection lighting means for lighting a specific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s; And

상기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의 빛이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키도록 하는 선별현출수단;Sorting and display means for ca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be turned on by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to display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made, including.

또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에서In the matrix type multi-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파로시트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복수의 광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은 한 도파로시트를 일부 패턴을 현출시키고,A part or all of the waveguide she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the light source which is turned on by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causes one waveguide sheet to exhibit some patterns,

나아가 상기 선택점등수단은 상기 광원에 의하여 현출되는 패턴 부위의 접촉에 의하여 특정 광원을 점등하고,Furthermore,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turns on a specific light source by contact of the pattern portion exhibited by the light source,

아울러 상기 선별현출수단은 각 도파로시트 상부에 배열되고, 각 도파로시트들의 패턴들이 중첩된 모양에 상응하는 모양의 투광부를 갖는 차광시트이며,In addition, the screening means is arranged on top of each waveguide sheet, the light shielding sheet having a light-transmitting portion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attern of each waveguide sheet is superimposed,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시트의 투광부는 해당 도파로시트의 제1패턴과 하부에 위치한 도파로시트의 제2패턴을 중첩한 형상의 제3패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of the light shielding sheet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preferably has a third pattern having a shape overlapping the first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and the second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한편, 상기 선별현출수단은 대안적으로 상하 도파로시트 사이에 배열되어 한 도파로시트의 조사를 위한 광원이 다른 도파로시트를 조사하지 못하도록 광량을 억제하는 확산방지시트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creening means may alternatively be a diffusion prevention sheet arrang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veguide sheets to suppress the amount of light so that th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one waveguide sheet does not irradiate the other waveguide sheet.

본 발명에 따른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는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도파로시트의 단부가 절곡부를 형성하여 PCB 측단부를 지나 하부로 향하고 있고, 도파로시트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도파로시트 단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은 PCB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동일한 케이스와 광원을 이용하여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경우, 오버레이시트 부착수단, 광원 및 차광브라켓으로 인하여 블랭크존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종래 디바이스(PCB 상부에 광원이 구비됨 형태)에 비하여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면적이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으며, 또 다층을 이루는 복수의 도파로시트에 형성된 패턴을 조사하는 광원들이 선택점등수단과 선별현출수단에 의하여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킬 수 있어 데이터의 입력(인풋) 또는 출력(아웃풋)의 모드가 단순하면서도 다양하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모트콘트롤러, 조리기구의 입력부, 안내용 키오스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나아가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특정 광원이 점등되어 한 층의 도파로시트 전체 패턴이 아닌 , 특정 패턴만이 현출될 수 있어 보다 다채널의 입력부 또는 출력부 구현이 가능하며, 아울러 선택점등수단이 현 단계의 현출패턴의 특정 패턴요소를 조작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결국 좀 더 복잡하면서도 다양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얻는데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In the 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waveguide sheet, in which a pattern for input or output of data is formed, forms a bent portion and is directed downward through the PCB side end, so that the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is exposed. Since th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light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PCB, when configuring the input-output device using the same case and the light source, the blank device inevitably occurs due to the overlay sheet attachment means,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hielding bracket Compared to the form of a light source on the upper part of the PCB, the area of an input part or an output part for input or output of data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light sources for irradiating patterns formed on a plurality of waveguide sheets forming a multilayer may be selectively turned on. Means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Since it is possible to make the input (input) or output (output) mode of data simple and variou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remote controller, cooking utensil input unit, guide kiosk, and the like. The specific light source is turned on so that only a specific pattern, rather than the entire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of one layer, can be displayed. Thus, a multi-channel input unit or output unit can be realized. By manipulating the pattern element, the pattern of the next step is realized so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a more complex and various information is possible, so that the user can input or obtain necessary information more conveniently.

도 1 [A]는 종래 PCB 상부 광조사형 인풋 디바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 [B]는 본 발명에 따른 PCB 하부 광조사형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 디바이스에 기반한 키패드타입 인풋디바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 디바이스의 적층 구조와 관련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특정 광원이 점등되어 도파로시트의 특정 패턴이 조사되어 나타나는 현출 패턴의 조합예와 관련된 멀티채널(9채널)의 매트릭스에 대한 개념도.
FIG. 1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CX top light-emitting input device, and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CC bottom light-emitting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keypad type input device based on a matrix type multi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related to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matrix type multi-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matrix of multi-channels (9 channels) related to a combination example of the present patterns in which a specific light source is illuminated by a specific light source by a selective lighting means in relation to a multi-input device of a matrix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ceptual diagram f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thus embodiments (o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each of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particular, the tens and ones digits, or the same digits, tens, ones, and alphabets refer to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ach member in the figures The member referred to by the reference numeral may be regarded as a member conforming to these criteria.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aggerated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in size (or thickness), or in a simplified form or simplified in view of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suns, aspects, and embodiments) (o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consists”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제3~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to the second, the third to the third, and the like are referred to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ed order,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es may not match in the scope.

먼저 본 발명에 따른 PCB 하부 광조사형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중 인풋 디바이스에 해당하는 리모트컨트롤러(R)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First, as can be seen in FIG. 1 [B]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ler R corresponding to an input device among the PCC lower light irradiation type input-output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케이스(R1) 내에서 PCB(R2)가 배열되고, 그 위로 패턴이 형성된 도파로시트와 오버레이시트(R3)(또는 윈도우)가 구비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CB R2 is arranged in the case R1, and a waveguide sheet and an overlay sheet R3 (or window) having a pattern formed thereon are provided.

상기 도파로시트는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다 다양한 모드의 입력부(IP)(또는 출력부) 구현을 위하여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A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when the waveguide sheet is provided in plural in order to implement an input unit (or output unit) in various modes,

광원(L1)(L2)의 선택점등수단의 조작에 따라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이 현출되도록 하면서도 While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lection lighting means of the light sources L1 and L2,

어느 한 도파로시트의 특정 패턴 현출을 위하여 점등된 광원의 빛이 의도하지 않은 다른 도파로시트 또는 동일 도파로시트의 다른 패턴의 현출에 이르지 않도록 하는 선별현출수단, 특히 차광시트와 합지된 도파로시트 복합층(GC1)(GC2)에 해당한다.Screening means, in particular a waveguide sheet composite layer laminated with screening means for preventing the light of a light source which is turned on for the appearance of a specific pattern of one waveguide sheet from reaching another waveguide sheet or an unintended appearance of the same waveguide sheet. Corresponds to GC1) (GC2).

또 상기 PCB(R2)의 상부에는 도파로시트 패턴의 터치 상태, 즉 오버레이시트(R3)의 가압 또는 접촉을 PCB(R2)로 전달하는 메탈돔 및 액추에이터(도 2 및 이와 관련된 후술 참조)나 정전용량식 감응형 또는 저항식(또는 감압식) 터치센서와 같은 중계수단을 더 포함한다(편의상 PCB만 도시하고 중계수단은 미도시함).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PCB (R2) the metal dome and actuator (see FIG. 2 and related below) or capacitance for transmitting a touch state of the waveguide sheet pattern, that is, pressurization or contact of the overlay sheet (R3) to the PCB (R2) It further includes a relay means such as an sensitized or resistive (or pressure sensitive) touch sensor (for convenience only the PCB and not the relay means).

케이스(R1)의 내장된 부품의 보호와 TV 등의 조작을 위한 리모터컨트롤러(R) 특유의 입력부(IP)를 구성하는 오버레이시트(R3)(또는 통상의 윈도우) 양단부와 케이스(R1)의 수용을 위한 상부 단턱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R3a)이 구비되어 있어 양 구성요소의 결합이 가능하다.Between the ends of the overlay sheet R3 (or the usual window) and the case R1 constituting the input unit IP unique to the remote controller R for protecting the built-in parts of the case R1 and for operation of a TV. An adhesive means R3a, such as a double-sided tap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teps for accommodating the two components so that the two components can be combined.

본 발명의 핵심 중 하나는 도파로시트가 절곡부(GB)를 구비하고 있어 단부가 상기 PCB(R2) 하부를 향하고 있다는 점과, 광원이 역시 PCB(R2) 하부에 배열되어 상기 도파로시트의 단부, 특히 절곡부 단부에 도파로시트 패턴 현출을 위한 빛이 조사된다는 점이다.One of the co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waveguide sheet has a bent portion (GB), the end of which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of the PCB (R2), the light source is also arranged below the PCB (R2) end of the waveguide sheet, In particular, the light for irradiating the waveguide sheet pattern to the bent end is irradiated.

이러한 특징은 도파로시트가 1층 또는 2층 이상 구비되는 경우 모두에 적용되는 특징이며, These features are applied to both the case where the waveguide shee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layers,

또 2층 이상 도파로시트가 도입되는 경우 어느 한 도파로시트의 패턴만 현출을 위한 선별현출수단인 차광시트가 합지된 도파로시트 복합층(GC1)(GC2) 자체가 절곡부를 구성하거나, 차광시트 외에 도파로시트만이 절곡부를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wo or more waveguide sheets are introduced, the waveguide sheet composite layer (GC1) (GC2) itself, in which a light shielding sheet, which is a screening means for exposing only the pattern of one waveguide sheet, is formed, forms a bent portion or a waveguide other than the light shielding sheet. Only the sheet can constitute the bent portion.

나아가 도 1 [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PCB(R2)의 절곡부(GB)는 PCB 측단의 수직방향 제1절곡부(GB1)와, PCB 측단 내측을 향하여 굽은 수평방향 제2절곡부(GB2)를 포함한다.Furthermore, as can be seen in FIG. 1B, the bent portion GB of the PCB R2 is a vertical first bent portion GB1 of the PCB side end and a horizontal second bend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PCB side end. It includes a part GB2.

여기서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의미는 엄밀한 수직 및 수평을 위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도파로시트 또는 도파로시트 복합층의 단부가 PCB 측단을 감싸는 형태로 1차적으로 감싸는 절곡 부위 및 광원(L1)(L2) 설치의 용이성과 상대적으로 보다 박형인 인풋 디바이스의 구현을 위하여 2차적으로 PCB 측단 내측을 향하여 굽은 절곡 부위를 간략하게 지칭하기 위하여 선택한 표현이다.Here, the meanings of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do not mean strictly vertical and horizontal, but the bent portion and the light source (L1) where the end of the waveguide sheet or the waveguide sheet composite layer wraps the PCB side ends, respectively. (L2) This is the expression chosen to simplify the bend inwardly towards the inside of the PCB side for ease of install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relatively thinner input device.

광원(L1)(L2), 특히 소형, 경량, 적은 발열, 반영구성, 고속응답특성, 펄스동작 가능특성, 전류에 의한 광출력 제어 특성과 같은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 각광 받는 LED 광원이 종류와 설계 및 설치 용이성, 방열성 등을 고려하여The light source (L1) (L2), especially small size, light weight, low heat generation, reflection configuration, high-speed response characteristics, pulse operation characteristics, light output control characteristics due to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LED light source recently received attention due to the type and design and Considering the ease of installation, heat dissipation, etc.

도파로시트 또는 도파로시트 복합층의 절곡부는 수직방향 제1절곡부(GB1)만 구비되거나(이때 광원은 케이스(R1)의 하부 단턱에 설치될 수 있다), The bent portion of the waveguide sheet or the waveguide sheet composite layer is provided with only the first vertical bending portion GB1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tep of the case R1),

PCB 측단 내측을 향하여 굽은 수평방향 제2절곡부(GB2)까지 구비되거나(이때 광원은 차광 및 고정 브라켓(SB1)에 고정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케이스(R1)의 저면판에 고정될 수 있다),(B) the light source may be fixed to the light blocking and fixing bracket SB1 or to the bottom plate of the case R1 (not shown).

다시 제2절곡부에서 연장되어 PCB 저면을 향하여 굽은 제3절곡부(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이때 광원은 PCB(R2)에 고정될 수 있다).A third bent portion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extending from the second bent portion and bent toward the bottom of the PCB (the light source may be fixed to the PCB R2).

도 1 [A]와 달리 광원(L1)(L2) 측의 차광브라켓(SB1)은 차광 기능 외에 광원의 고정을 위한지지 기능을 하며, 또 광원 반대편 차광브라켓(SB2, 도 1 [A] 참조)은 생략되거나(차광시트가 합지된 도파로시트 복합층의 차광 특성을 고려 한 것임) 차광브라켓이 아니라 도파로시트 단부를 블랙층 등으로 코팅하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Unlike FIG. 1A, the light blocking bracket SB1 on the light source L1 and L2 side supports a light source for fixing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blocking bracket SB2 opposite to the light source SB2 (see FIG. 1A). May be omitted (considering the light shielding characteristics of the waveguide sheet composite layer in which the light shielding sheet is laminated) or may be replaced by coating the end of the waveguide sheet with a black layer or the like instead of the light shielding bracket.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 1 [A]의 종래 리모트컨트롤러(Rp)는 부착수단(R3a)으로 인한 제1블랭크존(Z1), 광원으로 인한 제2블랭크존(Z2), 광원의 핫스팟(hot spot) 현상 회피 및 차광브라켓(SB2)으로 인한 제3블랭크존(Z3)이 발생되어 유효 입력부(IP) 면적 손실이 큰데 비하여,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Rp of FIG. 1A has a first blank zone Z1 due to the attachment means R3a, a second blank zone Z2 due to the light source, and a hot spot of the light source. While the third blank zone Z3 is generated due to the spot phenomenon avoidance and the shading bracket SB2, the effective input area IP loss is large.

도 1 [B]의 본 발명에서는 제1블랭크존(Z1)만이 발생되므로 리모트컨트롤러의 경우 최소 15mm에 달하는 유효 입력부(IP) 면적을 추가 확보할 수 있어 경박단소화 제품 설계의 용이성 확보 및 디자인 설계의 제한 철폐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of FIG. 1B, since only the first blank zone Z1 is generated, an effective input unit (IP) area of at least 15 mm can be additionally secured in the case of a remote controller, thereby ensuring ease and design of a light and short product. It can greatly contribute to the elimination of restric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CB 하부 광조사형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의 개념을 채용하면 오버레이시트(R3)의 형상이 평면형이 아닌 곡선형인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고,In addition, by adopting the concept of the PCC lower light irradiation type 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duct in which the shape of the overlay sheet R3 is curved rather than flat.

이를 넘어 PCB, 도파로시트, 중계수단, 광원을 수용하는 케이스(R1)도 변형하여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의 형상 자체가 단면이 사각형인 통상의 막대 타입이 아니라 타원 기둥형, 원기둥형, 반원기둥형 등의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제품의 실현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ase (R1) for accommodating the PCB, the waveguide sheet, the relay means, and the light source is also de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input-output device itself is not a regular rod ty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but an elliptical column type, a cylinder type, a semi-cylindrical type, etc. It is possible to realize a product having a variety of designs.

다음으로 도 3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풋-아웃풋 디바이스(D)와 관련하여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개념을 설명하도록 한다.3 and 2, a matrix type multi-input-output device concep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nput-output device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는 크게 복수의 도파로시트(G1)(G2)(G3)와, 도파로시트의 패턴(Gp)이 현출되도록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과, 광원들 중 특정 광원을 점등하는 선택점등수단, 상기 광원의 빛이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키도록 하는 선별현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uch a matrix type multi-input-outpu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irradiating light such that a plurality of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and a pattern Gp of the waveguide sheet are displayed, and a specific light source among the light sources. Selective lighting means for lighting the light, and the selection light emitting means for ca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display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의 개념은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이나 기타 조리기구의 조리 단계별 모드선택을 위한 입력장치를 위한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일종의 인풋 디바이스), 자판기 등의 단계적인 메뉴 선택을 위한 선택버튼 패널(인풋 디바이스), TV와 같은 각종 가정용 전자기기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인풋 디바이스), 복합쇼핑몰 등의 단계적인 건물 구역 안내를 위한 키오스크(아웃풋 디바이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ncept of the 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stepwise menu selection such as a membrane switch (a type of input device), a vending machine, etc., for an input device for selecting a cooking step mode of a microwave oven or other cooking utensils. It can be applied to a selection button panel (input device), a remote controller (input device) for various hom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TV, and a kiosk (output device) for gradual guiding a building area such as a complex shopping mall.

도 2에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개념을 적용하여 구성한 키패드타입 인풋디바이스(D)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keypad-type input device D construct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a matrix-type multi-input-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키패드타입 인풋디바이스(1)는 프레임(6)과,In FIG. 2, the keypad type input device 1 includes a frame 6,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압하여 누르는 버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스에 결합되는 키탑(2)과, 접점(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는 PCB(5)와, A key top 2 coupled to the case so that a button pressed by a user with a finger is exposed to the outside, a PCB 5 provided with a contact point (not shown),

상기 접점 상부에 배치되도록 PCB(5)에 결합되고, 탄성을 갖는 메탈돔(3)과, A metal dome (3) coupled to the PCB (5) to be disposed above the contact point and having elasticity;

메탈돔(3)과 키탑(2) 사이에 개재되는, 본 발명의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인, [도파로시트+선별현출수단+광원(미도시 됨) 적층 어셈블리(D)]와,[The waveguide sheet + sorting means + light source (not shown) stacked assembly (D)], which is a multi-input-out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posed between the metal dome (3) and the key top (2),

키패드타입 인풋디바이스(1) 메탈돔(3) 상부면에 구비되는 액추에이터(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Keypad type input device (1) It comprises an actuator (4)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dome (3).

이와 같이 구성되는 키패드타입 인풋디바이스(1)는 사용자가 키탑(2)의 버튼을 누르면 그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어셈블리인 디바이스(D)가 하강하여 액추에이터(4)를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하강하는 액추에이터(4)에 의해 메탈돔(3)이 하강하여 PCB(5)의 접점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입력된다. In the keypad type input devic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of the keytop 2, the device D, which is a laminated assembly disposed below the device, descends, presses and lowers the actuator 4, The metal dome 3 descends by the actuator 4 and contacts the contacts of the PCB 5 to input a user's operation signal.

그리고 사용자가 누르는 외력이 소멸되면 메탈돔(3)과 디바이스(D)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When the external force that the user presses disappears, the metal dome 3 and the device D are returned to their initi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풋-아웃풋 디바이스(D) 중 키패드타입 인풋디바이스를 위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Hereinafter, the keypad-type input device of the input-output device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ption. Can not be don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상세하게는 인풋 디바이스, 보다 상세하게는 키패드타입의 인풋 디바이스는 복수(도 2 및 도 3에는 멀티채널(9채널) 구현을 위하여 3장이 구비됨)의 도파로시트(G1,G2,G3)와, 각 도파로시트 상부의 선별현출수단(S)이 구비되고, 최하부에는 블랙시트(B)가 적층 조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an input-output device, in particular an inpu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a keypad-typ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ultiple (multichannel (9 channel) implementations in FIGS. 2 and 3).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of three sheets), and the sorting and display means S on the upper portion of each waveguide sheet are provided, and the black sheet B is laminated and combined at the lowermost portion.

또 도파로시트(G1,G2,G3)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형성된 패턴(Gp) 조사 현출을 위한 복수의 광원이 구비되는데((도 3에서는 도파로시트 마다 복수의 광원이 구비됨), In addition, some or all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emitting the formed pattern Gp (in FIG. 3,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re provided for each waveguide sheet).

상세하게는 소형, 경량, 적은 발열, 반영구성, 고속응답특성, 펄스동작 가능특성, 전류에 의한 광출력 제어 특성이 우수한 LED, 보다상세하게는 각 도파시시트 마다 복수의 LED(전자제품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맞게 각 도파시시트 마다 엇갈린 위치에 2개씩 구비된 것으로 도시함)(L1a,L1b)(L2a,L2b)(L12,L2b)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편의상 광원인 LED가 도파로시트의 측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다.In detail, the LED is excellent in small size, light weight, low heat generation, reflection configuration, high-speed response characteristic, pulse operable characteristic, light output control characteristic by current,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LEDs for each waveguide sheet. Each of the waveguide sheets (shown as provided in two staggered positions) (L1a, L1b) (L2a, L2b) (L12, L2b)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hortening tendency. In FIG. 3, for convenience, an LED, which is a light source,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waveguide sheet.

상기 도파로시트(G1,G2,G3)는 PC, PE, PET, PU, PMMA, 유리 등과 같이 투과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광원인 측광형 LED(L1a,L1b)(L2a,L2b)(L12,L2b)에서 발산되어 입사되는 빛을 반대측 측면까지 투과시킨다. 이러한 도파로시트(G1,G2,G3)는 후술하는 선별현출수단인 차광시트(S)와 함께 도파로시트 복합층(GC1,GC2,GC3)를 형성하게 된다.The waveguide sheet (G1, G2, G3) i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transparency such as PC, PE, PET, PU, PMMA, glass, etc., the light source metering type LED (L1a, L1b) (L2a, L2b) (L12, L2b The light emitted from the beam is transmitted to the opposite side.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form the waveguide sheet composite layers GC1, GC2, and GC3 together with the light shielding sheet S, which is a selective display means described later.

또 상기 광원의 일부 또는 모두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산하는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some or all of the light sources may be shaped to emit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그리고 키탑(2)(도 1에서는 오버레이시트(R3)로 지칭함)을 통해 사용자가 누르는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가압력이 소멸한 후에는 초기 상태로 복원이 되도록 연성과 탄성을 갖는다(또는 터치패드 방식인 경우는 정전용량식 감응형 또는 저항식(또는 감압식) 터치센서를 도입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여 신호를 전달함, 그 외 도파로시트 패턴에 대한 터치 상태를 PCB에 전달하는 공지의 다양한 신호 전달 중계수단이 도입될 수 있다). The key top 2 (referred to as the overlay sheet R3 in FIG. 1) is lowered by the pressing force pressed by the user, and has a ductility and elasticity so as to be restored to an initial state after the pressing force disappears (or a touch pad method). In the case of introducing a capacitive sensitive or resistive (or pressure sensitive) touch sensor, the signal is transmitted in response to the user's touch, and various other known signals for transmitting the touch state of the waveguide sheet pattern to the PCB. Delivery relay means may be introduced).

나아가 각 도파로시트(G1,G2,G3)의 일면에는 패턴(Gp)이 구비된다. 상기 패턴(Gp)은 숫자, 문자, 기호 등을 의미하는데,Further, the pattern Gp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each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The pattern Gp means numbers, letters, symbols, etc.

상기 패턴(Gp)이 표시하는 기호는 문자, 아라비아 숫자(0~9), 아라비아 숫자를 문자화시킨 것(예: 일, 이, 삼, …)(예: 一, 二, 三, …)(예: one, two, three, …), 기타 관습에 따르거나 개별 목적에 따라 약속한 상징 기호,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형태의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Symbols displayed by the pattern Gp are letters, Arabic numerals (0 to 9), and Arabic numerals (eg, one, two, three,…) (for example, one, two, three,…) one, two, three,…), or other forms of symbolic symbols, numbers or letters, or a combination thereof, as promised in accordance with custom or individual purpose.

상기 패턴(Gp)은 확산형 반사 특성을 갖는 소재의 잉크를 도파로시트(G1,G2,G3) 일면에 인쇄, 특히 스크린 인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pattern Gp may be formed by printing, in particular, screen printing ink on a surface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having diffusion type reflective properties.

상기 패턴(Gp)은 스크린 인쇄 방식 이외에, 도파로시트(G1,G2,G3) 표면을 식각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파로시트(G1,G2,G3) 표면에 다양한 방식으로 도트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The pattern Gp may be formed by etching the surface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in addition to the screen printing method, or by forming dots on the surface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in various ways. It may be formed.

이처럼 패턴(Gp)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키탑(2) 표면에 표출되어 사용자에게 인식될 때 패턴(Gp)들이 유사한 기능을 표시하는 패턴(Gp)들과 다른 기능을 표시하는 패턴(Gp)들이 구분되어 사용자의 패턴(Gp) 인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패턴(Gp)들은 기능별로 특정 파장의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의 잉크를 스크린 인쇄하여 투명 패턴과 칼라 패턴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방안을 취할 수 있다.
As such, the pattern Gp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he patterns Gp, which ar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key top 2 and recognized by the user, may be different from the patterns Gp, which display similar functions, with the patterns Gp.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recognition of the pattern (Gp), the patterns (Gp) can be screen-printed with ink of a material that reflects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for each function so that the transparent pattern and color pattern can be implemented. have.

다음으로 선택점등수단은 광원들 중 특정 광원을 점등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 2에는 키패드타입의 인풋 디바이스(1)에서는 프레임(6) 측면에 구비된 스위치(SW)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selection lighting means is to turn on a specific light source among the light sources, and in FIG. 2, the keypad type input device 1 includes a switch SW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ame 6.

나아가 상기 선택점등수단은 광원에 의하여 현출되는 패턴 부위의 접촉에 의하여 특정 광원을 점등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urther,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turning on a specific light source by the contact of the pattern portion exhibited by the light source.

즉, 선택점등수단은 현 단계의 현출패턴의 특정 패턴요소를 조작(가압 또는 터치 등)함으로써 다음 단계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at is, the selection lighting means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attern of the next step is revealed by manipulating (pressing or touching) a specific pattern element of the present pattern of the present step.

이러한 선택점등수단의 구현예를 설명하면,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요리 메뉴 선택 버튼을 본 발명에 기초하여 구성할 경우, 최종적으로 떡구이 메뉴를 선택함에 있어 냉동된 가래떡을 이용한다면When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such a selection lighting means, if the cooking menu selection button of the microwave oven is configured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frozen rice cake is used to finally select the rice cake menu

최초 도 2의 프레임(6) 측면에 구비된 스위치(SW)를 이용하여 최초 제1채널에 해당하는 메뉴버튼집합부를 현출시키고,First, by using the switch SW provided on the side of the frame 6 of FIG.

제1채널의 해동버튼을 누르면, 다른 광원이 점등되어When the thawing button of the first channel is pressed, another light source is turned on

제2채널에 해당하는 메뉴버튼집합부가 발광 현출되면서 되며, 이 제2채널의 떡요리버튼을 누르면, 또 다른 광원이 점등되어When the menu button se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hannel emits light, pressing the rice cake button of the second channel causes another light source to light up.

제3채널에 해당하는 메뉴버튼집합부가 발광 현출되고, 이 제3채널의 떡구이버튼을 누르면, 또 다른 광원이 점등되어The menu button set corresponding to the third channel emits light, and when the rice cake button of the third channel is pressed, another light source is turned on.

제4채널에 해당하는 메뉴버튼집합부가 발광 현출되면서 되며, 이 제4채널의 (떡구이-익힘정도-)바삭함(그 외 구이 정도에 따라 노릇노릇, 김이 모락모락 등으로 구이정도를 상중하로 나눠 선택하도록 구성 가능) 버튼을 누르면The menu button set corresponding to the fourth channel is emitted, and the crispness of the fourth channel (grilled rice cake-cooking degree-) is crispy (grill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roasting) Configurable to make a split selection)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이 작동되도록 하는 매트릭스 타입의 멀티 멤브레인 스위치 구현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matrix-type multi-membrane switch that allows the microwave oven to operate.

다음으로 선별현출수단은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의 빛이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selective display means serves to caus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be turned on by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to display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선별현출수단은 제1층의 도파로시트(G1)와 제2층의 도파로시트(G2) 사이, 그리고 제2층의 도파로시트(G2)와 제3층의 도파로시트(G3) 사이에 구비된 차광시트(S) 형태로 구비되어,The selective display means shown in FIGS. 2 and 3 is provided between the waveguide sheet G1 of the first layer and the waveguide sheet G2 of the second layer, and the waveguide sheet G2 of the second layer and the waveguide sheet of the third layer.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light shielding sheet (S) provided between (G3),

각 도파로시트를 위한 광원(L1a,L1b)(L2a,L2b)(L12,L2b)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점등되면 광원의 빛이 다른 도파로시트의 패턴(Gp)이 현출되지 않도록 광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When some or all of the light sources L1a, L1b, L2a, L2b, L12, L2b for each waveguide sheet are turned on,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serves to reduce the amount of light so that the pattern Gp of the other waveguide sheet does not appear. .

이를 위하여 각 도파로시트(G1)(G2)(G3)들의 패턴(Gp)에 상응하도록 차광시트(S)에는 각 도파로시트들의 패턴들이 중첩된 모양에 상응하는 모양의 투광부(S1c)(S2c)(S3c)를 갖는다.To this end, the light shielding sheet S corresponds to the pattern Gp of each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and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s S1c and S2c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patterns of the waveguide sheets. (S3c).

또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도파로시트(G1(G2)(G3)들의 패턴(Gp)은 서로 다르고, 이에 따라 각 차광시트(S)의 투광부(S1c)(S2c)(S3c) 형상 역시 다르다.As can be seen in FIG. 3, the patterns Gp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ccordingly,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s S1c, S2c, and S3c of the light blocking sheets S are different. The shape is also different.

다만, 다른 제2층 차광시트(S)의 투광부(S2c)는 제2 도파로시트(G2)의 패턴(Gp)과 달리 However, unlike the pattern Gp of the second waveguide sheet G2,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S2c of the second light blocking sheet S is different.

제1 및 제2 도파로시트(G1)(G2)의 패턴(Gp)을 중첩한 형상이며,It is a shape which overlapped the pattern Gp of the 1st and 2nd waveguide sheet G1 (G2),

제3층 차광시트(S)의 투광부(S3c)는 제3 도파로시트(G3)의 패턴(Gp)과 달리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S3c of the third light blocking sheet S is different from the pattern Gp of the third waveguide sheet G3.

제1, 제2 및 제3 도파로시트(G1)(G2)(G3)의 패턴(Gp)을 중첩한 형상을 갖는다.The pattern Gp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is superimposed.

대안적으로 각 광원(L1a,L1b)(L2a,L2b)(L12,L2b)의 빛이 해당 도파로시트(G1)(G2)(G3) 외에 다른 도파로시트의 패턴(Gp)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선별현출수단은Alternatively, the light of each light source L1a, L1b, L2a, L2b, L12, L2b does not affect the pattern Gp of the waveguide sheet other than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Screening means

도 3의 좌측 일점쇄선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the left dashed line circle in FIG.

제1 및 제2 도파로시트(G1)(G2) 사이 및 제2 및 제3 도파로시트(G2)(G3)에 구비된 확산방지시트(Sp)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It may be implemented by the diffusion barrier sheet Sp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waveguide sheets G1 and G2 and in the second and third waveguide sheets G2 and G3.

이러한 확산방지시트(Sp)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이거나 특정 파장대의 빛만을 투과시키도록 가공되어 있어 한 도파로시트를 위한 광원의 빛이 다른 도파로시트의 패턴(Gp)을 현출시키지 않도록 광량을 줄이거나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The diffusion prevention sheet Sp is opaque or translucent or is processed to transmit only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band so as to reduce or shield the amount of light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for one waveguide sheet does not exhibit the pattern Gp of the other waveguide sheet. Play a role.

더 나아가 상기 선별현출수단은 한 도파로시트(G1)(G2)(G3)에 구비된 복수의 광원의 하나 또는 일부의 빛이 일정 영역의 패턴만을 발광 현출시키도록 각 도파로시트의 영역을 구획하는 격벽일 수 있다.Furthermore, the selective display means partitions partitioning an area of each waveguide sheet so that light of one or a part of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provided in one waveguide sheet G1, G2, or G3 emits only a pattern of a predetermined area. Can be.

이러한 격벽은 각 도파로시트에 자체에 구비된 인쇄층(예: 한 층에 배열되는 도파로시트를 자르고, 그 절단면에 인쇄층 도입)이나 가공부 등(수직방향으로 형성)이거나 Such a partition is a printed layer (e.g., cuts the waveguide sheet arranged in one layer and introduces the printed layer on its cut surface), a processed portion, etc.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provided in each waveguide sheet.

도파로시트 상부에 구비된 격벽이거나,It is a partition provided on the top of the waveguide sheet,

해당 도파로시트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된 필름에 도입된 인쇄층이나 가공부 등 일 수 있다.It may be a printed layer or a processing unit introduced into the film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waveguide sheet, or both.

또한 대안적으로 상기 선별현출수단은 특정 파장대의 빛을 조사하는 광원과, 이 특정 파장대의 광원 빛에 반응하도록 하는 잉크로 이루어진 패턴일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elective display means may be a pattern consisting of a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an ink for reacting to light of the light source of the specific wavelength band.

다시 도 2 및 도 3에서 선별현출수단을 이루는 차광시트(S)를 설명하면,2 and 3 again, the light blocking sheet S constituting the selective display means will be described.

차광시트(S)는 그 하부에 구비된 도파로시트(G1)(G2)(G3)에서 차광시트로 유입되는 빛이 투광부(25)를 통해서만 상부로 투과되고, 투광부(25) 이외의 영역으로 유입되는 빛은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In the light shielding sheet S, light flowing into the light shielding sheet from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transmitted upward only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25, and a region other tha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25. Light entering into the building blocks the

도 2 및 도 3에서, 적층된 세 층의 도파로시트(G1)(G2)(G3) 각각의 상부에는 세 차광시트(S)가 배열되어 있으며, 또 최하부의 제1 도파로시트(G1) 하부면에는 블랙시트(B)가 구비되어 있다.2 and 3, three light blocking sheets S are arranged on each of the three stacked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waveguide sheet G1 at the lowermost portion. The black sheet B is provided.

각 차광시트(S)는 자신의 도파로시트(G1)(G2)(G3)가 구비하고 있는 패턴(Gp)뿐만 아니라, 그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다른 도파로시트에 구비되어 있는 패턴(Gp)에서 반사되는 빛도 투광부(S1c)(S2c)(S3c)를 통해 상부로 유출시키고, 투광부(S1c)(S2c)(S3c)를 벗어난 영역으로 입사되는 빛은 차단하여 최종적으로 키탑(2)의 버튼으로 유출되어 Each light shielding sheet S reflects not only the pattern Gp provided by its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but also the pattern Gp provided in the other waveguide sheets disposed below it. The light is also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S1c, S2c, and S3c, and the light incident to the area outside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S1c, S2c, and S3c is blocked, and finally the button of the key top 2 is closed. Leaked into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현출패턴(P1a,P1b)(P2a,P2b)(P3a,P3b)이 선명하게 표시되고 변형이 없도록 한다. Appearance patterns (P1a, P1b) (P2a, P2b) (P3a, P3b) displayed to the user are clearly displayed and there is no deformation.

또한 차광시트(S)는 그 상부의 도파로시트(G3)(G2)에 입사된 빛이 하부의 도파로시트(G2)(G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키탑(2) 버튼에 해당 패턴(Gp) 외의 다른 패턴(Gp)이 중첩되어 표출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light shielding sheet S prevents light incident on the waveguide sheets G3 and G2 of the upper portion from flowing into the lower waveguide sheets G2 and G1 of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pattern Gp is applied to the button of the key top 2. Do not overlap other patterns Gp.

예를 들어 차광시트(S)가 없으면, 상부 도파로시트(G3)(G2 측면에 배치된 광원(L3a,L3b)(L2a,L2b)이 점등되면, (L3a,L3b)(L2a,L2b)의 빛은 상부 도파로시트(G3)(G2)로 대부분 입사되지만, 일부의 빛은 하부 도파로시트(G2)(G1)로 직접 유입되거나 상부 도파로시트(G3)(G2)에서 굴절, 확산 작용을 통해 하부 도파로시트(G2)(G1)로 유입될 수 있고, 일부나마 하부 도파로시트(G2)(G1)로 유입된 빛은 하부 도파로시트(G2)(G1)의 패턴(Gp)에서 반사되어 상부로 투과될 수 있다. 그러나 차광시트(S)가 있으면 광원(L3a,L3b)(L2a,L2b)의 빛은 상부 도파로시트(G3)(G2)로만 유입될 수 있고 하부 도파로시트(G2)(G1)에는 직접 유입되지 못한다. For example, without the light shielding sheet S, when the light source L3a, L3b (L2a, L2b)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pper waveguide sheet G3 is turned on, the light of (L3a, L3b) (L2a, L2b) is turned on. Is mostly incident on the upper waveguide sheet (G3) (G2), but some light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lower waveguide sheet (G2) (G1) or the lower waveguide through the refracting, diffusion action in the upper waveguide sheet (G3) (G2). The light may flow into the sheets G2 and G1, and the light flowing into the lower waveguide sheets G2 and G1 may be reflected by the pattern Gp of the lower waveguide sheets G2 and G1 to be transmitted upward. However, with the light shielding sheet S, light from the light sources L3a and L3b (L2a and L2b) can only flow into the upper waveguide sheets G3 and G2 and directly into the lower waveguide sheets G2 and G1. Can't flow in.

또한 상부 도파로시트(G3)(G2)로 유입된 빛은 굴절, 확산 작용을 하더라도 선별현출수단(S)에 의해 차단 및 소멸되어 하부 도파로시트(G2)(G1)로 거의 유입되지 않고, 극히 일부가 투광부(S2c)(S1c)를 통해 하부 도파로시트(G2)(G1)로 유입될 수 있으나, 유입된 빛도 유입방향을 고려하면 패턴(Gp)에 도달하기 어렵고 패턴(Gp)에 도달하더라도 반사되어 다시 해당 투광부(S2c)(S1c)로 투과되기 어렵다.
In addition, the light introduced into the upper waveguide sheet (G3) (G2) is blocked and extinguished by the selective display means (S), even if refracting or diffusing action, hardly flows into the lower waveguide sheet (G2) (G1), very part Although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lower waveguide sheet (G2) (G1)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S2c) (S1c), even if the incoming light is difficult to reach the pattern (Gp) considering the inflow direction, even if the pattern (Gp) It is hard to be ref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S2c and S1c again.

한편, 상기 차광시트(S)는 각각 투명층(S1b)(S2b)(S3b)과 인쇄층(S1a)(S2a)(S3a)을 갖는데,On the other hand, the light shielding sheet (S) has a transparent layer (S1b) (S2b) (S3b) and a printed layer (S1a) (S2a) (S3a), respectively,

투명층(S1b)(S2b)(S3b)은 입사되는 빛을 상부로 투과시킬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투명한 재질로는 PC, PE, PET, PU, PMMA,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transparent layers S1b, S2b, and S3b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as to transmit incident light thereon, and the transparent material may be PC, PE, PET, PU, PMMA, glass, or the like.

상기 투명층(S1b)(S2b)(S3b)은 투명한 재질의 투명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액상의 투명 합성수지를 도파로시트(G1)(G2)(G3) 표면에 UV 몰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The transparent layers S1b, S2b, and S3b may be transparent film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may be formed by UV molding a liquid transparent synthetic resin on the surface of the waveguide sheets G1, G2, and G3.

상기 인쇄층(S1a)(S2a)(S3a)은 투광부(25)를 제외한 상기 투명층(S1b)의 일면 전체에 인쇄되고, 인쇄되지 않는 투광부(S1c)(S2c)(S3c)를 제외한 영역의 빛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도록 검은색 또는 무채색으로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inted layers S1a, S2a, and S3a are prin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arent layer S1b except for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25, and the printed layers S1a, S2c, and S3c are excluded. It is desirable to print in black or achromatic color to completely block the light.

투광부(S1c)(S2c)(S3c)가 투명층(S1b)(S2b)(S3b) 표면의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데 인쇄방식(반전인쇄)이 유리하여 인쇄층(S1a)(S2a)(S3a)이라고 하였으나, 투광부(25)를 구비되어 있는 검은색 필름을 투명층(S1b)(S2b)(S3b)이 접착시켜 인쇄층(S1a)(S2a)(S3a)을 형성할 수도 있고, 코팅 방식으로 인쇄층(S1a)(S2a)(S3a)을 형성할 수도 잇다. 즉, 인쇄층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하여 반드시 인쇄하는 방식으로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The light transmitting parts S1c, S2c, and S3c are formed at the correct positions on the surfaces of the transparent layers S1b, S2b, and S3b. However, the transparent layers S1b, S2b, and S3b adhere the black film provided with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25 to form the printed layers S1a, S2a, and S3a. The layers S1a, S2a and S3a may be formed. In other words, the print layer may not be necessarily formed in a printing manner by being named as the print layer.

최상부에 배치되는 선별현출수단(S)은 노출되어 키탑(2)과 접촉되므로 보호층으로서의 역할도 겸한다. The sorting and display means S disposed at the top thereof is expose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key top 2, which also serves as a protective layer.

따라서 최상부에 배치되는 선별현출수단(S)는 투명층(S3b)이 상부에 배치되고 인쇄층(S3a)이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인쇄층(S3a)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키탑(2)과 접촉하여 긁히거나 투광부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sorting and display means (S) disposed at the uppermos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key top (2) by placing the transparent layer (S3b)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printing layer (S3a) on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printing layer (S3a) is not exposed. It is desirable not to scratch or deform the shape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상기 블랙시트(B)는 제1 도파로시트(G1) 하부에 배치되어 있되어, 광원에서 발산되어 도파로시트(G1)에 유입된 빛이 도파로시트(G1) 하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다른 부품(예; PCB에 실장된 전자소자)으로 빛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패턴(Gp)들과 투광부의 형상이 보다 선명하게 보여지도록 한다. The black sheet B is disposed under the first waveguide sheet G1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introduced into the waveguide sheet G1 does not flow ou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veguide sheet G1. Th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PCB prevents light from being irradiated, and the patterns Gp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d the shap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can be more clearly seen.

상기 블랙시트(B) 역시 투광시트와 같이 투명층(B2)과 인쇄층(B1)으로 구성되되, 인쇄층에는 투광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투명층(B2) 일면 전체가 검은색으로 인쇄된다. The black sheet (B) is also composed of a transparent layer (B2) and a printing layer (B1), like a light transmitting sheet,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not provided. In other words, the entirety of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layer B2 is printed in black.

블랙시트(B)의 투명층(B2) 역시 투명 필름을 도파로시트(G1) 하부면에 접착시키거나, 액상의 투명 합성수지를 도파로시트(G1) 하부면에 UV 몰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층(B2) 역시 투명층(B1) 일면에 블랙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하거나, 검은색 필름을 투명층 일면에 접착하여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ansparent layer B2 of the black sheet B may also be formed by adhering the transparent film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veguide sheet G1 or by UV molding a liquid transparent synthetic resi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veguide sheet G1. The printing layer B2 may also be formed by printing black ink on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layer B1 or by attaching a black film to one surface of the transparent lay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D)는 다양한 형태 및 조합을 가질 수 있는데, 도 4의 개념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As described above, the multi-input-output device 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forms and combinations, as shown in the conceptual diagram of FIG. 4.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필요에 따라 단계적인 선택으로) 특정 광원이 점등되어 도파로시트의 특정 패턴이 조사되어 나타나는 현출 패턴의 매트릭스를 가질 수 있으며,By a specific lighting means (by stepwise selection as necessary), a specific light source may be turned on to have a matrix of emerging patterns that appear by irradiating a specific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도시된 형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9채널의 매트릭스를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D)의 현출패턴(P1a,P1b)(P2a,P2b)(P3a,P3b) 조합예를 확인할 수 있다.
2 and 3, examples of combinations of the present patterns P1a and P1b (P2a and P2b) (P3a and P3b) of the multi-input-output device D can be identified based on FIGS. 2 and 3. .

이상의 설명에서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s related to the multi-input-output device and the like are omitt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nfer, infer, and reproduce the same.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멀티 인풋-아웃풋 디바이스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input-output device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changed, and repla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bstitu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G1,G2,G3: 도파로시트
GC1,GC2,GC3: 도파로시트복합층 GB,GB1,GB2: 절곡부
Gp: 패턴 P1a,P1b,P2a,P2b,P3a,P3b: 현출패턴
L1,L2,L1a,L1b,L2a,L2b,L3a,L3b: 광원
SW: 선택점등수단
S: 차광시트 S1a,S2a,S3a: 차광층
S1b,S2b,S3b: 투명층 S1c,S2c,S3c: 투광부
Sp: 확산방지시트
1 : 키패드타입 인풋디바이스 2 : 키탑
3: 메탈돔 4: 액추에이터
5: PCB 6: 프레임
R: 리모트콘트롤러 R1: 케이스
R2: PCB R3: 오버레이시트
SB1,SB2: 차광브라켓 Z1,Z2,Z3: 블랭크존
D: Input-output device G1, G2, G3: Waveguide sheet
GC1, GC2, GC3: Waveguide sheet composite layer GB, GB1, GB2: Bend section
Gp: Pattern P1a, P1b, P2a, P2b, P3a, P3b: Appearance Pattern
L1, L2, L1a, L1b, L2a, L2b, L3a, L3b: light source
SW: Selective lighting means
S: Light shielding sheet S1a, S2a, S3a: Light shielding layer
S1b, S2b, S3b: Transparent layer S1c, S2c, S3c: Light transmitting part
Sp: Diffusion Prevention Sheet
1: Keypad type input device 2: Keytop
3: metal dome 4: actuator
5: PCB 6: frame
R: Remote Controller R1: Case
R2: PCB R3: Overlay Sheet
SB1, SB2: Shading bracket Z1, Z2, Z3: Blank zone

Claims (9)

PCB;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가 상기 PCB 하부를 향하고 있는 절곡부를 갖는 도파로시트;
상기 도파로시트 패턴의 터치 상태를 상기 PCB에 전달하는 중계수단;
상기 도파로시트의 절곡부 단부에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PCB 하부에 구비된 광원; 및
PCB, 도파로시트, 중계수단, 광원을 수용하는 케이스;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PCB;
A waveguide sheet in which a pattern for input or output of data is formed and an end portion of which is bent toward the bottom of the PCB;
Relay means for transmitting the touch state of the waveguide sheet pattern to the PCB;
A light source provided under the PCB to irradiate light to an end portion of the bent portion of the waveguide sheet; And
A case accommodating a PCB, a waveguide sheet, a relay means, and a light source;
Input-output device mad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CB의 절곡부는 PCB 측단의 수직방향 제1절곡부와, PCB 측단 내측을 향하여 굽은 수평방향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t portion of the PCB input-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ertical first bent portion of the PCB side end, and a horizontal second bend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PCB side en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시트와 상기 광원은 각각 복수개이고,
상기 광원들 중 특정 광원을 점등하는 선택점등수단; 및
상기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의 빛이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키도록 하는 선별현출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waveguide sheet and the light source are each plural,
Selection lighting means for lighting a specific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s; And
Sorting and display means for ca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be turned on by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to display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The input-output device made further comprising.
데이터의 인풋 또는 아웃풋을 위한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도파로시트;
상기 도파로시트의 패턴이 현출되도록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
상기 광원들 중 특정 광원을 점등하는 선택점등수단; 및
상기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의 빛이 특정 도파로시트 또는 특정 패턴만을 현출시키도록 하는 선별현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A plurality of waveguide sheets in which a pattern for input or output of data is formed;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irradiating light to cause the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to appear;
Selection lighting means for lighting a specific light source of the light sources; And
Sorting and display means for causing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to be turned on by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to display only a specific waveguide sheet or a specific pattern;
Input-output device made, including.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시트의 일부 또는 모두에는 하나의 도파로시트를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선택점등수단에 의하여 점등되는 광원은 한 도파로시트를 일부 패턴을 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Part or all of the waveguide shee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for irradiating one waveguide sheet,
And a light source which is turned on by the selection lighting means causes a portion of the waveguide sheet to exhibit a pattern.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점등수단은 상기 광원에 의하여 현출되는 패턴 부위의 접촉에 의하여 특정 광원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d the selective lighting means turns on a specific light source by contact of a pattern portion exhibited by the light sour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현출수단은
각 도파로시트 상부에 배열되고, 각 도파로시트들의 패턴들이 중첩된 모양에 상응하는 모양의 투광부를 갖는 차광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sorting display means
An input-output device arranged on top of each waveguide sheet, wherein the pattern of each waveguide sheet is a light shielding sheet having a light-transmitting sec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verlapping sh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하는 차광시트의 투광부는 해당 도파로시트의 제1패턴과 하부에 위치한 도파로시트의 제2패턴을 중첩한 형상의 제3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of the light-shielding sheet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has a third pattern of the shape overlapping the first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and the second pattern of the waveguide sheet located below.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현출수단은
상하 도파로시트 사이에 배열되어 한 도파로시트의 조사를 위한 광원이 다른 도파로시트를 조사하지 못하도록 광량을 억제하는 확산방지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sorting display means
An input-out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ion prevention sheet arrang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waveguide sheets to suppress the amount of light to prevent the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one waveguide sheet from irradiating the other waveguide sheet.
KR1020110039275A 2010-08-18 2011-04-27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KR1013914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9975 2010-08-18
KR1020100079975 2010-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87A true KR20120017387A (en) 2012-02-28
KR101391426B1 KR101391426B1 (en) 2014-05-02

Family

ID=458393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275A KR101391426B1 (en) 2010-08-18 2011-04-27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KR1020110078639A KR101391425B1 (en) 2010-08-18 2011-08-08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639A KR101391425B1 (en) 2010-08-18 2011-08-08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3914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052A (en) * 2012-07-30 201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of blocking the mois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645Y1 (en) * 2007-06-20 2008-02-28 (주) 디지로그 디스플레이 A conversional keypad package using light guiding she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6052A (en) * 2012-07-30 201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Structure of blocking the moistur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00A (en) 2012-02-28
KR101391425B1 (en) 2014-05-02
KR101391426B1 (en)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2696B2 (en) Light-emitting assembly for keyboard
JP5301118B2 (en) Key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EP2337225B1 (en) Icon illumination for capacitive touch switch
US20110253520A1 (en) Light diffuser actuator film (ldaf) keypad module
EP1918954B1 (en) Keypad Assembly
TWI454126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878080B1 (en) A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for a domestic appliance
JP2009092993A (en) Display filter and display module having display filter
US10191202B2 (en) Touch panel assembly having light guide por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5020050B2 (en) Operation switch cover member
US9496104B1 (en) Luminous keyboard
KR101391423B1 (en) Input device equipped with touch pad
CN117203766A (en) Operat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perating element
CN203377146U (en) Backlight device and illuminating keyboard using backlight device
KR101391426B1 (en)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KR101391427B1 (en)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US20110304484A1 (en) Light guide having a capacitive sensing grid and related methodology
KR101391424B1 (en) Input and output multi device
US9502191B1 (en) Luminous keyboard
CN111181542B (en) Touch human-machine interface
TW201913704A (en) Luminous keyboard
TW201312388A (en) Touch type keyboard
JP2012243509A (en) Op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956087B2 (en) Operating parts and electrical equipment on which they are installed
KR100990972B1 (en) Conversional keypad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