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877A -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877A
KR20120016877A KR1020100079389A KR20100079389A KR20120016877A KR 20120016877 A KR20120016877 A KR 20120016877A KR 1020100079389 A KR1020100079389 A KR 1020100079389A KR 20100079389 A KR20100079389 A KR 20100079389A KR 20120016877 A KR20120016877 A KR 20120016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gnancy
date
database
d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940B1 (ko
Inventor
문일룡
Original Assignee
어니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니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니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9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최종생리시작일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최종생리시작일 및 현재날짜로써 출산예정일, 잔여임신기간 및 임신주차를 산출하는 단계,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임신주차별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잔여임신기간에 해당하는 검진일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다이어리정보로서 체중, 체온, 사진, 몸상태정보 또는 메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받아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Medical caring system for pregnant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신기간 중 건강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 기록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임신중에는 각종 해부학적, 생리학적 변화가 있기 때문에, 임신의 전 기간에 걸쳐서 각 주차별로 예정된 검진을 받아야할 뿐 아니라 몸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뿐 아니라, 각 주차별로 태아의 발달상황, 산모의 신체변화를 잘 알고 있어야 산모가 적절한 건강관리를 할 수 있고, 배우자 또한 각 주차별로 주의하여야 할 점 및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만 산모에게 육체적 또는 심리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현재 대부분의 산부인과에서는 각 산모의 검진자료 및 진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거나, 산모는 노트의 형태로 기록된 다이어리를 들고 다니며 자신의 상태 및 검진정보를 기록하고, 여기에서 제공되고 있는 각종 어드바이스 정보를 참조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는 일일이 들고 다니며 적어야 하고, 분실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자신이 적극적으로 확인하지 않으면 깜빡하고 검진일을 지나쳐버릴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이어리에 기록된 정보를 다시 수작업을 통해 재편집하지 않는 이상, 오래 보관하거나 보기 좋은 형태로 재편집을 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으며, 응급상황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종생리시작일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임신주차별정보 및 검진일정보 등을 관리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신기간 중의 다이어리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광고상품 및 태교음악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산부가 현재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산부가 응급상황에서 가족 또는 의료진에게 쉽게 연락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최종생리시작일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최종생리시작일 및 현재날짜로써 출산예정일, 잔여임신기간 및 임신주차를 산출하는 단계,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임신주차별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잔여임신기간에 해당하는 검진일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다이어리정보로서 체중, 체온, 사진, 몸상태정보 또는 메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받아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최종생리시작일로부터 280일 이후를 출산예정일로 산출하고, 출산예정일에서 현재날짜를 뺀 값으로써 잔여임신기간을 산출하고, 현재날짜에서 최종생리시작일을 뺀 값을 7로 나눈 정수값으로써 임신주차를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임신주차별정보는 해당하는 임신주차에 나타나는 태아의 발달상황정보, 산모의 신체변화정보 및 산모어드바이스정보, 배우자어드바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광고정보를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정보에 포함된 URL주소를 브라우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태교음악정보를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태교음악정보 구매선택신호 및 결제정보를 입력받고 결제서버에 전송하여 결제처리하는 단계, 상기 결제처리된 태교음악정보에 해당하는 태교음악파일을 음악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진일정보는 해당 검진일에 받아야 하는 산전검사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위치정보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근접한 병원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응급신호를 입력받으면 기 설정된 응급전화번호로 콜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최종생리시작일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최종생리시작일 및 현재날짜로써 출산예정일, 잔여임신기간 및 임신주차를 산출하고,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임신주차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여임신기간에 해당하는 검진일정보를 추출하는 스케줄관리부, 각 임신주차에 나타나는 태아의 발달상황정보, 산모의 신체변화정보 및 산모어드바이스정보, 배우자어드바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신주차별정보 및 각 검진일에 받아야 하는 산전검사정보를 포함하는 검진일정보를 저장하는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임신주차별정보, 검진일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다이어리정보를 저장하는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다이어리정보로서 체중, 체온, 사진, 몸상태정보 또는 메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 받아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다이어리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응급신호를 입력받으면 기 설정된 응급전화번호로 콜을 발생하는 이동전화부, 병원정보를 저장하는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위치정보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근접한 병원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병원검색부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최종생리시작일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임신주차별정보 및 검진일정보 등을 관리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신기간 중의 다이어리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광고상품 및 태교음악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산부가 현재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을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산부가 응급상황에서 가족 또는 의료진에게 쉽게 연락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환경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캘린더 및 다이어리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다이어리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검진일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차별 태아의 발달상황정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차별 산모어드바이스정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차별 배우자어드바이스정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변 병원검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은 입력부(101), 표시부(102), 다이어리관리부(103), 이동전화부(104), 병원검색부(105), 스케줄관리부(106),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151),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152),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153),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154), 결제서버(155), 및 음악서버(156)를 포함한다.
입력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버튼장치, 터치패드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02)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다이어리관리부(103)는 사용자로부터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다이어리정보로서 체중, 체온, 사진, 몸상태정보, 메모 등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아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동전화부(104)는 통상의 이동전화시스템을 통해 다른 이동전화 또는 유선전화에 대하여 콜을 발생하고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병원검색부(105)는 위치정보위성으로부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신호를 위치정보로서 수신하여, 상기 위치정보로써 그에 가장 가까운 지역에 위치한 병원정보를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102)에 출력함으로써, 임산부가 현재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스케줄관리부(106)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한 최종생리시작일과 현재날짜를 통해 잔여임신기간 및 임신주차를 산출하고,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임신주차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여임신기간에 해당하는 검진일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입력부(101), 표시부(102), 다이어리관리부(103), 이동전화부(104), 병원검색부(105)는 각각 별개의 장치 또는 모듈로써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임산부가 항상 휴대 및 관리하기 편리한 시스템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151),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152),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153),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154)는 메모리를 구비한 저장장치로서 임신주차별정보, 검진일정보, 다이어리정보, 광고정보 및 태교음악정보, 병원정보를 각각 저장하고 또 읽어들일 수 있는 장치로 상기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상기 각 모듈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들은 통상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서버로서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의 각 모듈이 무선인터넷을 통한 통신, 또는 3G, 4G 등의 이동통신망과 IMS(IP Multimedia System)을 통해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별도의 서버를 구성하여야 하고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이 통신을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데이터를 대용량으로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의 중앙집중관리가 용이하며, 데이터유실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결제서버(155)는 인터넷망에 연결되어 있는 서버로서 PG(Payment Gateway) 또는 VAN(Value Added Network)사의 결제시스템을 뜻한다.
상기 음악서버(156)는 음악파일을 저장하고 송신하는 서버로서 상기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상기 결제서버를 통해서 태교음악을 결제하면 해당하는 태교음악파일을 상기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입력부(101)를 통해 최종생리시작일(Last Menstrual Period)을 입력한다(S201). 스케줄관리부(106)는 상기 최종생리시작일에서 280일을 더한 값을 출산예정일로 산출한다. 실제로 수정일로부터 출산까지의 기간은 대개 267일인데, 생리가 시작되고 2주(생리기간+배란기간)정도 지나야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마지막 생리가 시작된 날로부터 280일 이후가 출산예정일(Expected Due Date)이 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 최종생리시작일의 달수가 3보다 큰 경우에는 달수에서 3을 빼고, 3보다 작은 경우에는 9를 더한 후, 날짜에 7을 더한다. 즉, 최종생리시작일이 2009년 2월 9일인 경우 출산예정일은 2009년 11월 16일이 되고, 최종생리시작일이 2009년 9월 25일인 경우 출산예정일은 2010년 7월 2일이 된다. 그리고, 임신주차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현재날짜에서 최종생리시작일을 뺀 값을 7로 나눈 정수값을 구한다.(S211)
상기 스케줄관리부(106)는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151)에서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임신주차별정보를 추출하고,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잔여임신기간에 해당하는 검진일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102)에 표시한다.(S221) 이 때, 상기 임신주차별정보는 해당하는 임신주차에 나타나는 태아의 발달상황정보로서 현재 크기는 어느 정도이고, 몸무게는 어떻게 되며, 장기의 형성정도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산모어드바이스정보로서 현재는 어떤 사항에 주의하여야 하고, 산모의 몸상태는 어떤 것이 일반적인지, 어떤 음식을 섭취하고 수면시의 자세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배우자어드바이스정보로서 현재 산모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이고 배우자로서 어떻게 산모를 도와야 하는지, 출산준비를 위해 배우자가 할 일은 무엇인지, 산모의 심리상태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검진일정보는 해당 검진일에 받아야 하는 산전검사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검진일이 다가올 때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직전 1~2일 동안 사용자에게 모달창 또는 푸쉬메시지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알림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표시부(102)에 상기와 같은 정보가 표시됨과 동시에 캘린더 형식으로 출산예정일, 잔여임신기간 등이 표시되면서 사용자가 다이어리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이어리정보로서 체중, 체온, 사진, 몸상태정보, 메모 등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이를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추후에 적당하게 편집 내지 가공하여 인쇄함으로써 임신기간동안의 심리변화, 신체변화 등에 대한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에서는 표시부(102)에 상기와 같은 정보가 표시됨과 동시에 스케줄관리부(106)가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153)에서 추출한 광고정보 및 태교음악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S231) 광고정보라 함은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광고상품에 대한 광고문구, 사진, 쇼핑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임산부는 상기 광고정보를 클릭하여 상기 URL주소를 브라우징하여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10주차에는 초기 임산부에 필요한 철분제, 엽산 등에 대한 광고 또는 산부인과 광고가 표시될 수 있고, 20~30주차에는 산후조리원에 대한 광고, 30~40주차에는 출산준비물에 대한 광고가 표시되어 산모는 필요한 상품 내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고, 광고주는 산모에 대한 타켓팅광고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태교음악정보 역시 각 주차에 적절한 태교음악을 제시할 수 있는데, 임신초기에는 주로 클래식이나 조용한 발라드류의 음악을 제공하고, 임신후기에는 영어가사가 있는 음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산모가 태교음악을 선택하여 구매선택신호 및 결제정보를 입력하면 이로써 결제서버에서 결제처리가 완료되고, 음악서버는 상기 태교음악파일을 송신하여, 산모는 태교음악을 각 곡별로 취향에 따라 구매할 수 있고, 음원제공자는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S24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임산부의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은 핸드폰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환경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최종생리시작일을 설정할 수 있는 최종생리시작일설정창(401)이 제공되고, 산모의 체중과 체온을 설정할 수 있는 체중체온설정창(411)이 제공되며, 응급상황이 되어 사용자가 응급신호를 입력하였을 때 이동전화부(104)가 설정된 전화번호로 콜을 발생할 수 있도록 응급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응급전화번호설정창(421)이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캘린더 및 다이어리초기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4의 환경설정창에서 설정된 정보를 통해 출산예정일, 잔여임신기간, 임신주차 등이 산출되고, 캘린더창(501)에 현재날짜와 함께 표시된다. 또한, 다이어리버튼(511)이 제공되어 사용자는 다이어리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다이어리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산모가 상기 다이어리버튼(511)을 눌러 다이어리정보를 입력하는 도면이다. 환경설정창에서 설정한 산모의 몸무게, 체온이 표시되고, 산모가 직접 찍은 사진을 선택하여 표시한다(602). 또한, 산모가 기록하고 싶은 메모나 몸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기록하여둘 수 있다. 이렇게 기록된 정보는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152)에 저장되고, 추후에 편집 및 출력하여 자신만의 산모일기를 간직할 수도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검진일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면의 상단에는 잔여임신기간이 표시(701)되고, 현재날짜와 함께 검진일정보가 표시(711)된다. 이로써 현재는 몇 번째 검진이며 앞으로 몇 번의 검진이 더 남았는지, 언제 검진을 받아야 하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해당 검진일에 어떤 산전검사가 예정되어 있는지 그 리스트와 함께 상세한 정보(721)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차별 태아의 발달상황정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현재는 23주차로서 태아의 현재상태로서“입 속에 어른보다 더 많은 미각 봉우리가 있어 맛에 반응하기 시작한다. 쓴 맛이 양수 속으로 들어가면 거의 마시지 않는 반면, 단 맛에는 반응이 빨리 2배 이상 빨리 마신다.”와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물론 각 주차의 정보는 사용자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 주차의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차별 산모어드바이스정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현재는 23주차로서 산모에 대한 어드바이스로서 “평소보다 갑상선 기능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땀을 많이 흘린다. 자궁이 커지면서 폐를 압박해 조금만 가파른 길을 걸어도 숨이 찬다. 체중 관리를 잘해야 숨가쁨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 (수영, 걷기나 요가와 같은 강도가 낮은 운동이 위의 증상을 완화하고 체중을 관리하는 데 적합하다.)”와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차별 배우자어드바이스정보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현재는 23주차로서 배우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로서 “여러 가지 출산 방법에 대해 계속 알아보고 그녀와 함께 상의한다. 하지만 출산의 당사자는 그녀이므로 결정할 때에는 그녀의 의사를 존중해준다.”와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의 주변 병원검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병원검색부는 GPS위성수신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위치정보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154)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근접한 병원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표시할 때에는 리스트형식으로 거리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도 있지만, 지도정보와 함께 각 병원정보를 표시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산모가 강남역 주변 CGV강남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남역 사거리 근방에 2군데, 교보강남타워쪽으로 2군데 산부인과병원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지하철역2호선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A 또는 B의 병원을 선택할 수 있고, 7호선 접근성을 고려한다면 E의 병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입력부 102 : 표시부
103 : 다이어리관리부 104 : 이동전화부
105 : 병원검색부 106 : 스케줄관리부
151 :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 152 :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
153 :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 154 :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
155 : 결제서버 156 : 음악서버
401 : 최종생리시작일설정창
411 : 체중체온설정창 421 : 응급전화번호설정창
501 : 캘린더창 511 : 다이어리버튼
601 : 체중체온표시창 602 : 사진표시창
603 : 메모입력창 701 : 잔여임신기간표시창
711 : 검진일정보표시창 721 : 산전검사정보표시창

Claims (11)

  1. (a) 사용자로부터 최종생리시작일을 입력 받는 단계;
    (b) 상기 최종생리시작일 및 현재날짜로써 잔여임신기간 및 임신주차를 산출하는 단계;
    (c)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임신주차별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d)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잔여임신기간에 해당하는 검진일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e) 사용자로부터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다이어리정보로서 체중, 체온, 사진, 몸상태정보 또는 메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 받아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최종생리시작일로부터 280일 이후를 출산예정일로 산출하고, 출산예정일에서 현재날짜를 뺀 값으로써 잔여임신기간을 산출하고, 현재날짜에서 최종생리시작일을 뺀 값을 7로 나눈 정수값으로써 임신주차를 산출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신주차별정보는 해당하는 임신주차에 나타나는 태아의 발달상황정보, 산모의 신체변화정보 및 산모어드바이스정보, 배우자어드바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광고정보를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2) 사용자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선택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광고정보에 포함된 URL주소를 브라우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3)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태교음악정보를 부가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4) 사용자로부터 상기 태교음악정보 구매선택신호 및 결제정보를 입력받고 결제서버에 전송하여 결제처리하는 단계;
    (c-5) 상기 결제처리된 태교음악정보에 해당하는 태교음악파일을 음악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진일정보는 해당 검진일에 받아야 하는 산전검사정보를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f) 위치정보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근접한 병원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g) 사용자로부터 응급신호를 입력받으면 기 설정된 응급전화번호로 콜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11. 사용자로부터 최종생리시작일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최종생리시작일 및 현재날짜로써 출산예정일, 잔여임신기간 및 임신주차를 산출하고,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임신주차에 해당하는 임신주차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잔여임신기간에 해당하는 검진일정보를 추출하는 스케줄관리부;
    각 임신주차에 나타나는 태아의 발달상황정보, 산모의 신체변화정보 및 산모어드바이스정보, 배우자어드바이스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임신주차별정보 및 각 검진일에 받아야 하는 산전검사정보를 포함하는 검진일정보를 저장하는 임신정보데이터베이스;
    상기 임신주차별정보, 검진일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다이어리정보를 저장하는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
    사용자로부터 현재날짜에 해당하는 다이어리정보로서 체중, 체온, 사진, 몸상태정보 또는 메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부를 통해 입력 받아 다이어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다이어리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해 응급신호를 입력받으면 기 설정된 응급전화번호로 콜을 발생하는 이동전화부;
    병원정보를 저장하는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 및
    위치정보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병원정보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위치정보에 근접한 병원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병원검색부;를 포함하는,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00079389A 2010-08-17 2010-08-17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6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89A KR101164940B1 (ko) 2010-08-17 2010-08-17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389A KR101164940B1 (ko) 2010-08-17 2010-08-17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877A true KR20120016877A (ko) 2012-02-27
KR101164940B1 KR101164940B1 (ko) 2012-07-12

Family

ID=4583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389A KR101164940B1 (ko) 2010-08-17 2010-08-17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9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58B1 (ko) * 2012-05-10 2013-01-21 이한승 임산부용 검진 키트를 이용한 검진 시스템 및 검진방법
WO2016032032A1 (ko) * 2014-08-28 2016-03-03 주식회사 엄마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육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1029A1 (ko) * 2022-10-28 2024-05-0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임신 및 출산 관리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58B1 (ko) * 2012-05-10 2013-01-21 이한승 임산부용 검진 키트를 이용한 검진 시스템 및 검진방법
WO2016032032A1 (ko) * 2014-08-28 2016-03-03 주식회사 엄마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육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160027297A (ko) * 2014-08-28 2016-03-10 주식회사 엄마와 이동통신 단말기에 육아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91190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14738B2 (en) 2020-07-20 2022-11-29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14737B2 (en) 2020-07-20 2022-11-29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74514B2 (en) 2020-07-20 2023-02-0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940B1 (ko)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Institutional factors in cesarean delivery rates: policy and research implications
Paul et al. Screen‐and‐treat approach to cervical cancer prevention using visual inspection with acetic acid and cryotherapy: experiences, perceptions, and beliefs from demonstration projects in Peru, Uganda, and Vietnam
ESHRE Task Force on Ethics and Law 6. Ethical issues related to multiple pregnancies in medically assisted procreation
TW200948337A (en) Mobile- and web-based 12-lead ECG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KR101164940B1 (ko) 임산부 건강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Edwards et al. Miscarriage in Australia: The geographical inequity of healthcare services
Musiimenta et al. A mobile phone-based multimedia intervention to support maternal health is acceptable and feasible among illiterate pregnant women in Uganda: Qualitative findings from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S20200113506A1 (en) Health monitoring method, wearable device,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tu Geographical access to healthcare services in Nigeria–a review
TWM564220U (zh) 智慧型用藥資訊服務系統
Tumuhimbise et al. Maternal health-related barriers and the potentials of mobile health technologies: qualitative findings from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rural southwestern Uganda
Noursi et al. Maternal morbidity and mortality
Westwood Telehealth and maternity
Hall et al. Age, pattern of consulta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elderly patients in one general practice.
Mookherjee Available motherhood: legal technologies,state of exception'and the dekinning ofwar-babies' in Bangladesh
JP5132173B2 (ja) 医療費控除申請支援プログラム、該装置、該方法
Murray et al. Who can afford a Mirena® for contraception?
Van Eerd et al. Adverse perinatal outcome and maternal risk factors in population versus customized defined SGA babies
Roy Corporate hospitals in India and representation of women’s medical care
Hadland et al. Women identify benefits with the use of electronic maternity records
Beatty et al. Impact of the Choose Well Initiative on Contraceptive Access at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s in South Carolina: A Midline Evaluation
Avasarala et al. A survey of women's experiences following instrumental vaginal delivery
DR More health workers needed for universal health coverage
Wang et al. A170 A NOVEL DECISION AID IMPROVES KNOWLEDGE AND QUALITY OF PREGNANCY-RELATED DECISION-MAKING IN IBD
Tantchou Medical disposals and problem solving: About high blood pressure in Moroc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