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081A -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081A
KR20120016081A KR1020117026058A KR20117026058A KR20120016081A KR 20120016081 A KR20120016081 A KR 20120016081A KR 1020117026058 A KR1020117026058 A KR 1020117026058A KR 20117026058 A KR20117026058 A KR 20117026058A KR 20120016081 A KR20120016081 A KR 2012001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pyrighted
embedding
work
manage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행크 리산
Original Assignee
미디어 라이츠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 라이츠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미디어 라이츠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1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ENHANCING COPYRIGHT REVENUE GENERATION FOR A COPYRIGHT PROTECTED FRAME-BASED WORK}
본 기술의 실시예는 통상 저작권 수익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미디어 다운로딩은 상당히 인기가 있다. 최종 사용자(end user)는 종종 자신의 편의상 반복하여 노래를 청취하기 위해 그가 좋아하는 노래를 다운로드한다. 최종 사용자에게 전송되는 미디어는 미국 연방법전의 타이틀 17 하에 저작권 보호를 받는다. 만약 다운로드된 미디어가 저작권 보호되면, 미디어를 전송 및 다운로드한 것에 대한 저작권 사용료가 합법적으로 요청될 것이다. 따라서, 미디어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공급자는 많은 양의 저작권 보호된 미디어를 전송하고 많은 사용료를 요청할 것이다.
더욱이, 저작권 보호 미디어의 저작권 소유자는 위조 행위로부터 저작권 보호 미디어를 보호하는데 관심을 갖고 있고, 또 저작권 보호 미디어의 사용에 대한 적절한 저작권 사용료를 받는데 관심을 갖고 있다. 또한, 저작권 소유자는 기술적인 수단에 의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 합법적인 미디어 장치 제조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저작권 관리 정보(및 선택적으로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시리얼 카피 관리 시스템(SCMS: Serial Copy Management System)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의 예를 나타낸다.
본 설명과 관련된 도면들은 특정하게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기준화된 일정한 비율로 도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 기술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참조가 이루어지며, 그러한 예는 수반되는 도면에 도시된다. 그러한 기술이 다양한 실시예(들)과 연관되어 기술되지만, 이들 실시예들로 그러한 발명의 기술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반대로, 그러한 발명의 기술은 부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대안물, 변경물 및 동등물을 커버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다수의 특정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 기술의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발명의 기술은 이러한 특정 상세한 설명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공지된 방법, 절차, 구성, 및 회로가 발명의 실시예의 형태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술되지 않는다.
17 U.S.C. 106 및 114 하에서, 사운드 레코딩의 저작권 소유자는 사운드 레코딩에 대해 독점권을 갖는다. 예컨대, 그러한 저작권 소유자는 레코딩으로 고정된 실제 사운드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리캡쳐(recapture)하는 소정 형태의 사운드 레코딩을 복제할 권리로 제한된다. 또한, 그 저작권 소유자는 사운드 레코딩에 고정된 실제 사운드를 재배열하거나, 재혼합하거나 아니면 순서 또는 속성을 변경하는 모방 행위를 할 권리로 제한된다.
그러나, 거기에는 사운드 레코딩의 권리로 소정 제한을 둔다. 특히, 사운드 레코딩의 저작권 소유자의 독점적인 권리는, 비록 그와 같은 사운드가 저작권 보호된 사운드 레코딩으로 모방되거나 흉내내더라도, 완전히 독자적인 고정의 다른 사운드로 이루어진 또 다른 사운드 레코딩을 만들거나 복제하는 것으로 확대되지 않는다. 즉, 저작권법은 모방 또는 흉내낸 사운드가 독자적으로 만들어지지 않는 한 저작권 보호된 사운드 레코딩의 모방 또는 흉내를 허용하고 있다.
저작권법은 또한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사용에 대한 저작권 소유자에게 지불된 많은 저작권 사용료를 규정하고 있는데, 퍼포먼스 사용료 및 저작 사용료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한 저작권 사용 요율은 저작권 사용료 보드에 의해 설정된다. 저작권 소유자가 저작권 사용료를 주장하고 징수하기 위해서는 미국 저작권 사무소에 등록된 유효한 저작권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저작권 보호된 워크를 보호하고 저작권 사용료의 지불을 보장하기 위한 방식은 상기한 17 U.S.C. 120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효과적으로 콘트롤하는 기술적인 수단의 사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저작권 소유자는 저작권 침해의 주장을 법적으로 소추해야 한다. 배포는 타이틀 17 하에 저작권 침해를 나타내는 중요 요소이다. 예컨대,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보호를 위한 기술적인 수단(예컨대, SCMS)을 갖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가 배포될 경우, 저작권 보호된 워크를 받아 행하는 어떠한 장치 또는 기기는 그러한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효과적으로 콘트롤하고 그러한 콘트롤, 및 타이틀 17의 섹션 1201, 1202 및 1001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그러한 워크 자체에 대한 카피 관리 정보의 보전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기술적인 수단(예컨대, SCMS)을 필요로 한다.
사운드 레코딩으로 한정하지 않고, 그를 포함한 미디어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웹 브로드캐스터와 같은 미디어 공급자는 많은 양의 저작권 미디어를 전송하고 많은 양의 사용료를 지불할 것을 요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시스템(100)은 시스템(105), 장치(140) 및 저작권 사용료 지불 콘트롤러(180)를 포함한다. 시스템(105)은 프레임-기반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 저작권 및 플레이백(playback) 관리 정보 임베더(120; embedor), 고유 식별자 임베더(125) 및 인코더(130)를 포함한다.
시스템(105)은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함으로써 저작권 수익 발생을 촉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5)은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를 광범위하게 전달하는 브로드캐스터이다. 상기 멀티미디어는 프레임-기반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소정의 프레임-기반 미디어(107)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그러한 프레임-기반 미디어(107)는 MPEG-1 오디오 레이어 3(MP3) 파일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5)은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임베더(120)를 통해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기술적인 수단을 도입함으로써 저작권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5)은 고유 식별자 임베더(125)를 통해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기술적인 수단을 도입함으로써 저작권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한다. 통상의 동작 과정에서 상기 기술적인 수단이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저작권 소유자의 권한으로 정보의 제공, 제어 또는 처리를 요구하면 그 기술적인 수단은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효과적으로 콘트롤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기술적인 수단의 목적 중 하나는 위조 워크의 방지를 돕는 것이다.
이는 SCMS로 한정하지 않으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SCMS는 데이터가 반복적으로 카피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디지털 생성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스킴(scheme)이다. SCMS는 MP3 파일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카피를 형성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오디오 기기 내에 구성된다. SCMS를 구비한 오디오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레코드된 첫번째 생성 카피가 다시 카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SCMS는 두번째 또는 그 이상의 카피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SCMS는 사용자가 다수의 첫번째 생성 카피를 만드는 것을 방지하지는 못한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카피하는 장치에서의 SCMS의 실시는 그와 같은 장치의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배포되는 소정 다수의 첫번째 생성 카피를 만드는 것을 막지는 못한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임베더(120)는 프레임-기반 미디어(107) 내에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드한다. 그러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가 저작권 보호된 워크와 연관된 저작권 보호의 관리 및/또는 실시와 관련된 소정 정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가 존재하며, 미디어를 플레이하도록 허용되는 타입의 장치 및 프레임-기반 미디어의 허용된 다수의 플레이 뿐만 아니라, 프레임-기반 미디어의 허용된 다수의 카피, 프레임-기반 미디어의 버전 넘버 또는 허용된 카피 방지, 차후 카피에 대한 룰(rule) 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저작권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가 생성되는 기계, 제품 및/또는 회사를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저작권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가 플레이백되도록 허용된 기계, 제품 및/또는 회사를 나타낸다.
또한, 저작권 관리 정보는 트랙킹 정보로 한정하지 않으며, 법의학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데모(demo)가 사람 "A"에게 공개된다. 저작권 보호된 워크는 사람 "A"와 관련된 임베드된 고유번호를 갖는 데모의 컨텐츠가 다른 곳(예컨대, 사람 "A"가 아닌)에서 발견되면, 그러한 데모의 컨텐츠는 그 소스로 다시 트랙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저작권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와 연관된 만료 데이터(들)이다. 예컨대, 저작권 보호된 워크와 연관된 만료 데이터(들)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임베드되고 그 저작권 보호된 워크가 다시 플레이될 가능성이 있을 때 거의 제한된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 내에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필드는 MP3 파일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application-private bit)이다. 통상, MP3 파일은 수천 프레임으로 분할(segment)된다. 예컨대, 3 내지 5분의 노래는 약 8,000 내지 12,000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프레임은 수초 분량의 오디오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한다. 모든 데이터 프레임의 시작에는 다음의 데이터 프레임과 관련된 32비트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헤더 프레임이 있다. MP3 헤더는 11비트로 이루어진 싱크 블록(sync block)으로 시작한다. 싱크 블록은 플레이어가 유효 프레임의 첫번째 이용가능한 발생을 조사하여 락(lock)할 수 있게 한다. 싱크 블록 다음에는 MP3 파일의 적절한 디코딩 및 다음 플레잉을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다른 헤더 블록이 있다. 다른 헤더 블록들 중 하나는 어플리케이션-특정 트리거(trigger)를 허용하는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이다. 예컨대, 만약 MP3 파일에 8,000 프레임이 존재하면, 거기에는 총 8,000 프라이빗 비트를 위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라이빗 비트가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연속의 오디오 프레임에 걸친 MP3 프레임 헤더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를 이용하는 다수 비트 데이터 구조이다. 예컨대, 만약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가 32비트를 포함하면, 각 비트는 대응하는 32개의 연속 프레임의 32개 연속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로 저장된다. 특히,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제1비트는 제1오디오 프레임을 위한 헤더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로 저장된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제2비트는 제2오디오 프레임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로 저장되고 계속해서 그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가 연속 프레임에 저장될 때까지 계속된다.
더욱이,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와 관련된 비트 시퀀스는 전체 오디오 파일에 걸쳐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일단 전체 데이터 블록이 인코드되면,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제1비트는 MP3 파일 내에 다음 프레임을 위한 헤더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로 저장된다. 따라서, 플레이백 어플리케이션은 플레이백이 시작되는 파일 내에 시작 위치에 상관없이 오디오 파일을 위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MP3 파일이 8,000 프레임 및 대응하는 8,000 어플리케이션 프라이빗 비트를 가지면, 32비트의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데이터 블록은, 총 250개의 연속이면서 반복된 예시의 전체 MP3 파일에 저장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데이터 블록을 위해, 첫번째 32의 연속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로 초기에 저장되고 반복적으로 연속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로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CMI)는 다음의 포맷을 갖는 32비트 데이터 구조이다. 32비트 데이터 구조는 카피 콘트롤 정보 외에 플레이백 권한 정보를 인코드하기 위해 사용된 SCMS 데이터 구조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저작권 보유자(소유자)는 라이센스 키 또는 다른 액세스 메카니즘을 요구하기 전에 소정 다수회 자유롭게 플레이될 수 있게 허용된 특정 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32비트 데이터 구조의 요소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오프셋 설명
0 플레이백에 의한 검출을 용이하게 하고 또 카피 어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위해 고정된 값으로 설정된 제1바이트의 CMI
8 플레이백에 의한 검출을 용이하게 하고 또 카피 어플리케이션을 보호하기 위해 고정된 값으로 설정된 제2바이트의 CMI
16 CMI의 버전 넘버(3개의 2진 비트)
19 오디오 파일에 대한 카피를 허용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플레그(Flag)
20 만약 오프셋 19로 비트가 설정되지 않으면, 파일에 대해 허용된 다수의 카피(최대 15까지). 2진 값 0000은 파일이 자유롭게 카피되는 것을 나타낸다.
24 파일에 대해 허용된 다수의 플레이(최대 255까지). 만약 이 필드가 2진 00000000로 설정되면, 그 파일은 자유롭게 플레이될 수 있다.
암호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추가의 보안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인코더는 파일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의 인코딩을 위한 키로서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바이트의 시퀀스를 생성한다. 그러한 키 시퀀스는 그 파일에 대한 데이터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취해진 암호 보안집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키 시퀀스는 각각의 오디오 파일에서 대부분 다를 것이다.
데이터 블록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암호화에 사용된 키 시퀀스는 각각의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유일하다. 그러한 키 시퀀스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로부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SCMS 데이터 블록은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무결성 및 확실성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플레이백 장치가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존재를 좀더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각각의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위한 2개의 마커 바이트가 인코드되지 않고 남겨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좀더 강한 암호화 알고리즘은 처리되는 데이터 블록이 복수의 8 바이트 또는 그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제한을 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와 같이,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플레이백 장치 내의 로직은 사실상 복잡해질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스템(105)은 고유 식별자 임베더(125)에 기술적인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하게 한다. 고유 식별자 임베더(125)는 프레임-기반 미디어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를 임베드하며, MP3 파일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가 침해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는 MP3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임베드되며, ID3V2 태그로 한정하지 않는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는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와 연관된 미국 저작권 사무소로부터의 유효한 저작권 등록번호이다. 저작권 등록은 저작권 자격의 공공 기록을 입증한다. 미국 저작권 사무소에 대한 노래의 등록은 저작권 보호된 노래와 연관된 다수의 저작권 등록번호를 가질 것이다. 예컨대, 미국 저작권 사무소에 등록된 노래는 노래의 가사에 대해 하나의 저작권 등록번호를 가지며 그 노래는 노래의 행위에 대한 다른 저작권 등록번호를 가질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저작권 등록번호는 MP3 파일의 ID3V2 태그에 임베드된다. 그러한 저작권 등록번호는 MP3 파일과 연관된 소정의 유효한 저작권 등록번호이며, 시뮬레이션, 원작자의 독자적인 워크, 가사 등과 연관된 저작권 등록번호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의 임베딩은 프레임-기반 미디어의 부당한 변경 및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이다.
시스템(105)은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임베더(120) 및/또는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를 임베딩하는 고유 식별자 임베더(125)에 따라 프레임-기반 미디어를 인코드한다.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임베드되는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인코딩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오디오 데이터를 변경하지 못하며 오리지널 워크 또는 시뮬레이션의 무결성을 손상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단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스템(105)은 인코드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9)를 미디어 장치(140)로 전송한다.
프레임리스 미디어를 생성하는 프레임-기반 미디어에 대한 트랜스코딩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MP3 파일이 또 다른 포맷(예컨대, wav, AC3)으로 트랜스코드됨으로써, 프레임, 헤더(header), 푸터(footer)가 손실되고, 결과적으로 페이로드(payload)가 남는다. 프레임리스 미디어 파일에 있어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정보는 워터마킹(watermarking) 기술을 채용하여 인코드될 수 있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정보는 보통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소정 주파수를 선택한 후 저작권 및 플레이백 정보 데이터를 리플렉트(reflect)하기 위해 그 값을 변경함으로써 프레임리스 미디어 파일로 인코드된다. 워터마킹 기술과 같은 메카니즘은 오디오 데이터를 직접 작동시킴으로써 워크의 제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제공될 때 비디오 파일은 종종 적절한 오디오 성분으로 전환된 오디오 트랙 데이터를 갖는다. 유사하게, 프레임리스 오디오 파일에 있어서, 오디오 경로의 몇몇 성분은 저작권 및 플레이백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기 위해 변경될 것이다. 만약 중요한 패턴의 보장된 매치(match)가 있는 낮은 주파수가 선택되어 샘플되면, 그 저작권 및 플레이백 정보는 저작권 및 플레이백 룰을 위해 좀더 읽혀질 수 있다.
미디어 장치(140)는 인코드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9)를 디코드하는 디코더(150),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매니저(160), 고유 식별자 검증기(165) 및 사용료 지불 보장기(170)를 포함한다. 미디어 장치(140)는 인코드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9)를 읽어 미디어 장치(140)의 사용자가 전송된 프레임-기반 미디어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소정의 미디어 장치이며, MP3 플레이어로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미디어 장치(140)는 기술적인 수단을 회피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기술적인 수단을 회피한다는 것은 암호화된 워크를 기술하기 위해 스크램블(scramble)된 워크를 디스크램블하거나, 아니면 저작권 소유자의 권한 없이 기술적인 수단을 피하거나, 바이패스하거나, 제거하거나, 비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손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매니저(160)는 프레임-기반 미디어에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정보에 따라 프레임-기반 미디어(107)를 관리한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매니저(160)는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와 연관된 저작권 보호의 관리 및/또는 시행과 관련된 소정 정보에 따라 프레임-기반 미디어(107)를 관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가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맷을 갖는 32비트 데이터 구조이면,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매니저(160)는 표 1에 기술된 룰에 따라 프레임-기반 미디어(107)를 관리할 것이다.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매니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SCMS로 한정하지 않으며,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임베드된 SCMS 스킴에 따라 프레임-기반 미디어(107)를 관리한다.
고유 식별자 검증기(165)는 디코드된 프레임-기반 미디어에 임베드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가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임베드된 그 동일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인지를 검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유 식별자 검증기(165)는 MP3 파일의 ID3V2 태그에 임베드된 MP3와 연관된 2개의 저작권 등록번호가 장치(140)에서 다음 디코딩되는 MP3 파일의 ID3V2 태그에 임베드된 MP3 파일과 연관된 그 동일한 2개의 저작권 등록번호인지를 검증한다. 만약 장치(140)에서 디코드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가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에 임베드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와 동일한 것으로 고유 식별자 검증기(165)가 결정하면, 이는 디코드된 프레임-기반 미디어(107)가 위조품으로 변경되지 않고 위조품이 아니라는 것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D3V2 태그가 상술한 바와 같이 MP3 프레임 헤더에 메타데이터인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료 지불 보장기(170)는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107)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한다. 통상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저작권 소유자는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의 전송에 대한 저작권 사용료의 권리를 갖는다. 저작권 관리 정보 매니저(160) 및 고유 식별자 검증기(166)의 출력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프레임-기반 미디어의 저작권 소유자는 권리화된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한다. 예컨대, 만약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매니저(160)가 프레임-기반 미디어(107)의 전송이 단지 3회 카피만 허용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매니저(160)는 그 프레임-기반 미디어의 3회 카피만을 허용하고 사용료 지불 보장기(170)는 권리화된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결과의 카피를 트랙(track)한다.
더욱이, 사용료 지불 보장기(170)는 임베드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107)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한다. 예컨대, 만약 프레임-기반 워크(107)가 위조의 프레임-기반 워크이면,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저작권 소유자는 프레임-기반 워크의 전송, 사용 및 카피에 대한 권리화된 사용료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만약 고유 식별자 검증기(165)가 프레임-기반 워크(107)가 위조품으로 변경되지 않고 위조품이 아니라는 것을 검증하면, 사용료 지불 보장기(170)는 그에 따라 비위조 프레임-기반 워크(107)의 사용을 트랙한 후에 저작권 소유자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사용에 대한 적절한 권리화된 사용료를 확보한다.
일반적으로, 만약 저작권 보호된 사운드 레코딩이 사용자에게 전송되면, 그 저작권 보호된 사운드 레코딩 전송자는 그 전송된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사용료 지불을 요청한다.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는 퍼포먼스 사용료 및 저작 사용료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퍼포먼스 사용료는 사운드 레코딩의 행위자에게 지불된다. 저작 사용료는 노래 가사 작사(작곡)가에게 지불된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만약 관련자가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를 전송하면, 그리고 관련자가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의 저작권을 소유하면, 관련자는 저작권 보호된 미디어 레코딩의 저작권의 이전 소유자에게 달리 지불되고 있는 퍼포먼스 사용료를 지불할 것을 요구하지 못한다. 그러나,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의 저작권 소유자는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가사를 쓴 사운드 레코딩의 작사가에게 저작 사용료를 지불할 것을 요청하고 행해진 모방 또는 흉내에 대한 퍼포먼스 사용료의 권리가 있다. 따라서,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를 전송하는 관련자가 저작권 보호된 미디어 레코딩의 저작권의 소유자에게 달리 지불되고 있는 저작권 사용료(예컨대, 퍼포먼스 사용료)에 대한 권리가 있기 때문에 저작권 수익 발생이 높아진다. 추가로,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가 사용료를 발생시키게 할 뿐만 아니라 저작권을 보호하게 한다.
현재, 예컨대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cuppertino)의 애플 인코포레이티드는 아이튠 스토어, 온라인 디지털 미디어 스토어에서 구매되고, 아이튠에서 플레이되는 저작권 보호된 노래,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있다. 초기에 애플 인코포레이티드는 아이튠 스토어에서 구매 및 다운로드를 위해 제공되는 노래에 대한 충분한 권리를 얻고 있다. 단부 사용자에 대한 그러한 노래의 구매 및 다운로드에 따라, 애플 인코포레이티드는 퍼포먼스 및 저작 사용료로 한정하지 않고 전송된 저작권 보호된 노래의 저작권 사용료를 지불할 것을 요청했다. 만약 애플 인코포레이티드가 단부 사용자에게 하나의 저작권 보호된 노래를 $1에 팔면, 애플 인코포레이티드는 현재 약 $0.70 퍼포먼스 사용료 및 $0.09 저작 사용료를 지불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튠 스토어와 같은 온라인 디지털 스토어가 시뮬레이션으로 한정하지 않고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를 창출하면, 그리고 그러한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에 대한 저작권을 보유하면, 애플 인코포레이티드는 저작권 보호된 노래의 퍼포먼스 사용료(예컨대, $0.70)를 지불할 것을 요청하지 못하지만 대신 애플 인코포레이티드의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는 퍼포먼스 사용료를 부과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플 인코포레이티드는 저작권 보호된 미디어 레코딩으로부터 저작자의 독자적인 워크를 창출하지 못하고 현재 단부 사용자에게 전송된 각각의 노래에 대한 적어도 퍼포먼스 및 저작 사용료를 지불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저작권 사용료 지불 콘트롤러(180)는 장치(14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사용에 대한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저작권 소유자에게 사용료를 지불한다. 저작권 사용료 지불 콘트롤러(180)는 행위 권리 기구(예컨대, 미국 작곡가 협회, 작가 및 출판사, Broadcast Music, Inc, SESAC Inc. 및 SoundExchange) 및/또는 기계적 저작권 기관(예컨대, Harry Fox Agency 및 Canadian Mechanical Rights Reproduction Agency)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200)를 기술하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200)는 컴퓨터 판독가능 및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의 콘트롤 하에 프로세서 및 전기적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및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예컨대 컴퓨터 사용가능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저장 매체에 존재한다. 그러나, 컴퓨터 판독가능 및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소정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존재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200)는 도 1의 적어도 시스템(105)에 의해 수행된다. 시스템(105)은 적어도 프레임-기반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임베더(120), 고유 식별자 임베더(125) 및 인코더(130)를 포함하는 기계 또는 컴퓨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2의 블록 210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드된다. 그러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211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212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213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반복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임베드된다.
블록 214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그 워크의 버전 넘버이다. 블록 215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워크의 허용된 카피 방지이다. 블록 216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워크에 대해 허용된 다수의 카피이다. 블록 217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워크에 대해 허용된 다수의 플레이이다.
블록 220에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인코드된다. 블록 230에서, 그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235에서, 그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장치로 전송된다. 그 장치는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하기 위해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디코드한다. 블록 240에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은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보장된다.
도 3은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300)를 기술하는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300)는 컴퓨터 판독가능 및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의 콘트롤 하에 프로세서 및 전기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및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에컨대 컴퓨터 사용가능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저장 매체에 존재한다. 그러나,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및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은 소정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스(300)는 적어도 도 1의 시스템(105)에 의해 수행된다. 시스템(105)은 적어도 프레임-기반 미디어 데이터베이스(110),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 임베더(120), 고유 식별자 임베더(125) 및 인코더(130)를 포함하는 기계 또는 컴퓨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블록 310에서,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는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드된다. 그러한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의 임베딩은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312에서,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는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ID3V2 태그에 임베드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314)에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는 프레임-기반 워크에 임베드된다. 블록 316에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는 프레임-기반 워크에 임베드된다.
블록 320에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인코드된다. 블록 330에서, 그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전송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335에서,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장치로 전송된다. 그 장치는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함으로써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비위조인지를 결정한다. 블록 340에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이 임베드된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의 일부에 기초하여 보장된다.
도 4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프로세스(400)를 기술하는 순서도이다. 블록 410에서,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보통 감지되지 않는 오디오 주파수가 선택된다. 그러한 저작권 보호된 워크는 프레임리스(frameless) 워크로 트랜스코드된 프레임-기반 워크이다. 블록 420에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는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보통 감지되지 않는 그 선택된 오디오 주파수 내에서 인코드된다. 블록 430에서, 그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가 단부 사용자로 전송된다. 블록 440에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이 인코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보장된다.
짧게 요약한 바와 같이, 본 문서는 적어도 이하의 넓은 개념들을 개시하고 있다.
개념 1.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는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2. 개념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3. 개념 2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4. 개념 2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반복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5. 개념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디코드한다.
개념 6. 개념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의 버전 넘버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7. 개념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에 허용된 카피 방지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8. 개념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카피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9. 개념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플레이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0.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발생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는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1. 개념 10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2. 개념 1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3. 개념 1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반복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4. 개념 10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디코드한다.
개념 15. 개념 10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의 버전 넘버, 상기 워크에 허용된 카피 방지,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카피, 및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플레이를 포함하는 그룹을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6.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7. 개념 16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ID3V2 태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8. 개념 16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19. 개념 16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비위조인지를 결정한다.
개념 20.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프레임리스 워크인 상기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오디오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선택된 오디오 주파수 내에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인코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21. 개념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컴퓨터 실행되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인코딩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전송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22. 개념 10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것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인코딩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전송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23. 개념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컴퓨터 실행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것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인코딩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전송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념 24.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컴퓨터에서 프레임리스 워크인 상기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오디오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에서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선택된 오디오 주파수 내에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컴퓨터에서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05 : 시스템, 110 : 프레임-기반 미디어 데이터베이스,
130 : 인코더, 140 : 장치,
150 : 디코더, 180 : 저작권 사용료 지불 콘트롤러.

Claims (24)

  1.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는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반복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의 버전 넘버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에 허용된 카피 방지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카피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플레이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10.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발생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는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시퀀스의 다수의 어플리케이션-프라이빗 비트에 반복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의 보장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임베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워크의 버전 넘버, 상기 워크에 허용된 카피 방지,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카피, 및 상기 워크에 허용된 다수의 플레이를 포함하는 그룹을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16.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베드된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MP3 파일의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프레임의 ID3V2 태그에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를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확인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가 비위조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20.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프레임리스 워크인 상기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오디오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선택된 오디오 주파수 내에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21.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컴퓨터 실행되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한 액세스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인코딩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전송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22. 청구항 10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것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인코딩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전송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23. 청구항 16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컴퓨터 실행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적어도 2개의 데이터 필드에 임베딩하는 것은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인코딩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의 전송이 상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며, 적어도 2개의 고유 식별자를 임베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24. 저작권 보호된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컴퓨터에서 프레임리스 워크인 상기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오디오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에서 저작권 보호된 워크의 청취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선택된 오디오 주파수 내에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
    컴퓨터에서 인코드된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인코드된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의 권리화된 저작권 사용료의 적절한 지불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작권 및 플레이백 관리 정보를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사운드 레코딩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리스 워크에 대응하는 언더라이닝 구성에 대한 저작권 등록번호를 임베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실행 방법.
KR1020117026058A 2009-04-15 2010-03-31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KR20120016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24,420 2009-04-15
US12/424,420 US7720768B1 (en) 2009-04-15 2009-04-15 Enhancing copyright revenue generation for a copyright protected frame-based 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081A true KR20120016081A (ko) 2012-02-22

Family

ID=4216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058A KR20120016081A (ko) 2009-04-15 2010-03-31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720768B1 (ko)
EP (1) EP2419874A4 (ko)
JP (1) JP2012524336A (ko)
KR (1) KR20120016081A (ko)
AU (1) AU2010236863A1 (ko)
BR (1) BRPI1014655A2 (ko)
CA (1) CA2758692A1 (ko)
IL (2) IL215818A0 (ko)
RU (1) RU2011143742A (ko)
WO (1) WO20101205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91651B2 (en) * 2009-04-24 2015-11-17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0743046B1 (en) 2015-03-09 2020-08-11 Wells Fargo Bank, N.A. Bill payments from a video screen
US20210049036A1 (en) * 2019-08-13 2021-02-18 Facebook Technologies, Llc Capability Spa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6750B2 (en) * 2000-02-18 2008-09-16 Verimatrix, Inc. Network-base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7188087B1 (en) * 2000-05-15 2007-03-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use of digital content
KR20050003693A (ko) * 2003-07-04 2005-01-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Drm 시스템과 그 drm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관련유통 관리방법
US20050192815A1 (en) 2004-02-27 2005-09-01 Clyde Stuart M. Display rights management system
GB2419220B (en) * 2004-10-13 2009-06-03 Dwight Cavendish Systems Ltd Audio copy protection system
KR100802110B1 (ko) * 2005-04-23 2008-02-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방법 및 그 장치
JP4872532B2 (ja) * 2006-08-23 2012-02-08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KR20060113869A (ko) * 2006-10-16 2006-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메타데이터 포맷 및 제어방법
KR100888118B1 (ko) * 2006-11-17 2009-03-13 주식회사 케이티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1143742A (ru) 2013-05-10
AU2010236863A1 (en) 2011-11-10
JP2012524336A (ja) 2012-10-11
IL216757A0 (en) 2012-01-31
WO2010120547A3 (en) 2011-01-13
IL215818A0 (en) 2012-01-31
EP2419874A2 (en) 2012-02-22
BRPI1014655A2 (pt) 2016-04-12
US7720768B1 (en) 2010-05-18
WO2010120547A2 (en) 2010-10-21
EP2419874A4 (en) 2013-02-06
CA2758692A1 (en)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7354B2 (en) Deriving multiple fingerprints from audio or video content
JP2004515872A (ja) ディジタルメディアを保護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010778A1 (en) Standalone solution for serial copy management system (scms) compliance
US20060156003A1 (en) Watermarking digital data at a user device
EP1537575A1 (en) Watermarking digital data at a user device
US200200760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disruptions into merged digital recordings
US20100306860A1 (en) Using a custom media library to secure digital media content
US20100306859A1 (en) Secure media copying and/or playback in a usage protected frame-based work
KR20120016081A (ko) 저작권 보호된 프레임-기반의 워크에 대한 저작권 수익 발생을 높이기 위한 방법
KR20120093967A (ko) 보안된 시간 및 공간 이동형 시청각 저작물
US20030088774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eventing illicit copying of digital content
JP2006511903A (ja) ディスクを認証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2297541A (ja) 不正利用通知方法、不正利用通知装置および不正利用通知プログラム
KR20060013099A (ko) 디지털 콘텐츠의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6693A (ko) 완전한 데이터 세트의 존재의 입증에 의한 불법재생으로부터의 콘텐트의 보호
Xu et al. Content protection and usage control for digital music
NZ572902A (en) Encrypting and decrypting a memory card with supplementary encryption
Yu et al. Active data hiding for secure electronic media distribution
Schmucker Possibilities, Limitations, and the Future of Audiovisual Content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