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469A - 수상고속보행기구 - Google Patents

수상고속보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469A
KR20120014469A KR1020100076567A KR20100076567A KR20120014469A KR 20120014469 A KR20120014469 A KR 20120014469A KR 1020100076567 A KR1020100076567 A KR 1020100076567A KR 20100076567 A KR20100076567 A KR 20100076567A KR 20120014469 A KR20120014469 A KR 20120014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ody
buoyancy
foot
wat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순석
윤영식
Original Assignee
성지산업 주식회사
주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지산업 주식회사, 주순석 filed Critical 성지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469A/ko
Publication of KR2012001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for use in a standing position, e.g. water shoes, water walking devices or buoyant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30Water skis fastened to the user's feet;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고속보행기구에 관한 것이며, 양쪽 발에 착용된 부력체를 이용하여 물 위에서 앞으로 보행 전진시 수중의 추진체 작동에 의해 달리듯이 빠른 보행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상고속보행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의 하중에 대해서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는 부력을 가지며, 길이방향 중간부의 상부면에는 발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발 지지수단이 구비된 한 쌍의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저면에는, 전후방 관통되도록 되며 내측공간부를 갖는 브라켓이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의 상단부의 중간부위에서 상단부간을 연결한 힌지축에 회전가능하게 반력판이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의 하부 내측면에는 반력판이 전방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추진체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상고속보행기구{Apparatus for high speed Walking on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은 수상고속보행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 발에 착용된 부력체를 이용하여 물 위에서 앞으로 보행 전진시 수중의 추진체 작동에 의해 달리듯이 빠르게 보행을 행할 수 있는 수상고속보행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보행기구는 물 위를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즉 발을 결착하거나 끼워질 수 있도록 하면서 부력을 이용하여 수면 위에서 떠있는 상태로 걸어다닐 수 있도록 하는 물놀이 기구로서의 수상 이동수단이다.
이런 수상보행기구는 통상 하나의 몸체 또는 한 쌍의 몸체로 되며,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서 떠있을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부력체에 추진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오리발 또는 노 등의 추진기구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부력체는 성인이 착용 또는 올라탔을 때 그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부력을 유지하는 판재 형상으로 제작되도록 하며, 비교적 전후방으로 길이가 긴 마치 스키 장비와 유사한 길죽한 형성으로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상보행기구를 이용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사람은 떠 있을 수가 있게 되고, 수면에서 추진기구의 조작으로 전진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한 쌍의 부력체를 양발을 걷듯이 교차하면서 보행하기에는 몸의 균형을 잡기 힘들고 또 지나치게 힘이 들뿐 아니라 좌우 부력체간 벌어지려는 현상때문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며 보행하기가 난해하며, 효율적인 추진방식이 없어 속도를 내지 못해 실제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간소한 구성에 의해 실사용이 가능한 수상고속보행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얼음판위에서 피겨스케이팅을 하는 방식처럼 한쪽발에 저항을 걸고 반대발이 앞으로 나아가는 원리를 적용하여 원활한 추진력과 강력한 반력에 의해 빠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추진체를 갖는 수상고속보행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위에서 걸을 때 한 쌍의 부력체를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며 걸을 수 있어 몸의 균형 잡기가 유리하며, 또 수면 상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하게 취합시킬 수 있어 뗏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된 수상고속보행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상고속보행기구는,
인체의 하중에 대해서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는 부력을 가지며, 전후방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전단부와 후단부의 저면은 일정 길이가 단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길이 중간부의 상부면에는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착지홈을 형성하며, 착지홈의 상측의 양측면간으로는 삽입된 발이 쉽게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의 밴드가 결합되도록 하여 좌우 양발에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에 형성한 한 쌍의 끼움홀에 각각 맞춤끼움되면서 부력체간 끼움홀에 끼워지도록 하는 연결고리와; 일정 높이와 길이의 양측면과 이 양측면간 하단부간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 브라켓의 양측면 상단부가 상기 부력체의 착지홈이 형성되는 위치의 저면 양측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간 상단부의 길이 중간부위에서 상단부간을 연결한 축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브라켓의 내경과 동일한 형상과 근사한 크기로서 반력판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간을 연결하는 하부면의 상기 축과 동일 수직선상에는 상기 반력판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부착되도록 하는 추진체를 결합한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부력체의 착지홈은 바닥면이 후단부에서 전단부측으로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서 상기 추진체의 후방에는 상기 부력체의 저면으로 폭간 중간 부위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갖는 방향키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한 쌍의 상기 부력체간 상호 마주보는 측면간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상기 부력체간을 일정한 폭으로 유지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수상고속보행기구는 한 쌍으로 구비되는 부력체에 각각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착지홈을 형성하면서 이 착지홈의 하부측 부력체의 저면에는 추진체가 구비되도록 하는 간소한 구성에 의해 수면 위를 안전하고 빠르게 걸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부력체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물 위에서 보행기구에 섰을 때 몸의 균형잡기가 유리하며, 또 부력체를 연결고리에 의해 뗏목형태로 상호 나란하게 취합시킬 수 있어 수면 상에서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고속보행기구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고속보행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고속보행기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부력체간을 연결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간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부력체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작동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발의 디딤시 정지되는 작동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고속보행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고속보행기구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고속보행기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고속보행기구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상고속보행기구는 부력체(10)와 추진체(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는 연결고리(30)가 취합되어 있다.
상기 수상고속보행기구는 도 1에서와 같은 부력체(10)를 왼발용과 오른발용으로 한 쌍으로 하여 한 조로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부력체(10)는 인체의 하중에도 충분히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는 부력을 갖는 재질로서 구비된다.
즉, 이러한 부력체(10)는 FRP 재질의 합성수지 판재나 폼(FORM) 또는 목재, 스티로폴 등의 가볍고 부력이 큰 재질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면 또는 외면에는 물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으며 또 내마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력체(10)는 폭이 발보다는 크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전후방으로 길게 마치 스키와 같은 형상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부력체(10)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전진시 물에 대한 저항력을 감쇄시키기 위해 저면의 일정길이가 단부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길이 중간부의 상부면에는 발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발 지지수단(11)이 구비된다.
상기 발 지지수단(11)은 부력체(10) 상면에 발을 결착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즉, 통상 실시되고 있는 스키나 보드에 적용되는 발 결착수단 등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예로서, 본 발명에서는 부력체(10)의 평평한 상면에 복수 개의 밴드(11a)를 설치하여 발을 결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 부력체(10)의 상면에 착지홈(11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착지홈(11b)은 일정한 깊이로서 형성하되 바닥면이 후단부에서 전단부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함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 착지홈(11b)의 상측 양측면간으로는 착지홈(11b)의 내부로 삽입된 발이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밴드(11a)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부력체(10)의 상측 양 단부쪽으로는 연결고리(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수상보행기구에서 연결고리(30)는 부력체(10)의 상부면에서 착지홈(11a)으로부터 길이방향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동일한 폭으로 한 쌍의 끼움홀(31)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끼움홀(31)에 동시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연결고리(30)는 ∩형태의 좌우 하향 절곡된 형태로 되어 상기 한 쌍의 끼움홀(31)에 결합 고정되어 있으며, 수면상에서 부력체(10)를 나란하게 붙여 정열한 상태에서 옆쪽의 끼움홀(31)에 각각 연결고리(30)의 한쪽 절곡된 부분을 각각 끼우게 되면 뗏목 형태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부력체간을 연결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0)에 형성되는 끼움홀(31)은 하나의 부력체(1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끼움홀(31)간 거리와 상호 측면간 밀착되도록 한 부력체(10) 일측의 끼움홀(31)간의 거리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끼움홀(31)은 각 끼움홀(31)에서 측단부까지의 거리가 한 쌍의 끼움홀(31)간 거리의 중간에 해당하는 거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의 끼움홀(31)은 부력체(10)를 상면에서 수직으로 관통되게 홀을 형성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수상고속보행기구에서 상기 추진체(20)는 수상고속보행기구를 사용하는 사람이 전진, 즉 물 위에서 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추진체(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양측면과 이들 양측면의 하단부간을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하부면으로 이루어지는 브라켓(21)과, 이 브라켓(21)의 상단부간 길이 중간 부위에서 이들 상단부간을 연결한 힌지축(22)과, 이 힌지축(22)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외주면은 브라켓(21)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하고 크기는 약간 작게 형성된 반력판(23)으로 구성된다.
이때의 반력판(23)은 상단부를 축으로 자중에 의해 항상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며, 또한 상단부의 힌지축(22)과 동일 수직선상의 하부면에는 반력판(23)이 전방측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톱퍼(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추진체(20)의 후방측으로는 부력체(10)의 저면으로 폭간 중간 부위를 따라 일정 폭과 높이를 갖는 방향키(40)가 수직부착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간을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과 왼쪽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부력체(10)는 양쪽 발의 벌리는 힘에 의해 수면에서 서로 바깥쪽으로 벌어지려고 하므로, 한 쌍의 부력체(10)간은 상호 마주보는 측면간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부력체(10)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연결수단(50)이 구비되며, 이때의 연결수단(50)은 부력체(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핀(51)과 이들 연결핀(51)에 양단부가 각각 결속되는 로프 또는 연결바로 된 연결부재(5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전후 연결부재(52)의 양단이 각각 연결핀(51)에 결속되면 그 길이에 따라 부력체(10)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상고속보행기구는 강이나 호수 등 비교적 물결이 잔잔한 곳에서 사용되며 파고가 낮은 바다에서도 가능하도록 된 물놀이기구, 즉 물위에서 빠르게 달리듯이 보행할 수 있는 수상 이동기구이다.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나란하게 떠 있는 상태로 있게 되며, 구명조끼를 착용한 수상 보행자 즉, 사용자가 한 쌍의 부력체(10)에 자신의 오른발과 왼발을 각각의 발 지지수단(11)에 의해 결착한다. 즉, 밴드(11a)로 결착하거나 또는 착지홈(11b)에 발을 삽입한 상태에서 밴드(11a)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한 쌍의 부력체(10)를 최초 연결고리(30)로 연결하여 뗏목형태로 만든 다음, 그 상측으로 올라 발을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앞, 뒤 연결고리(30)를 해제하고 일어서면 된다. 이때 사용자의 하중이 부력체(10)에 전달되더라도 부력체(10)의 부력에 의해 사용자는 수면에 떠있는 상태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부력체를 물 위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의 작동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부력체(10)에서 저면에 구비되는 추진체(20)의 반력판(23)은 자중에 의해 항상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려 하고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오른쪽 발을 전방으로 전진하여 밀면 도시한 바와 같이 부력체(10) 저면의 추진체(20)에서 반력판(23)이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력판(23)의 회전에 의해 개방된 브라켓(21)을 통해 물이 원활하게 통과하면서 별다른 저항없이 부력체(10)가 전방으로 나아가게 된다.
즉, 반력판(23)이 회전하면서 부력체(10)의 저면측으로 밀착되면 부력체(10)의 추진력에는 전혀 반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부력체(10)가 원활하게 전방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다만 오른쪽 부력체(10)를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왼쪽 부력체(10)는 오른쪽 부력체(10)의 작용과는 반대로 반작용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왼쪽의 부력체(10)는 뒤로 밀려나가지 말아야 하며, 디딤발 역할로서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정지되는 작동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왼쪽 부력체(10)는 후방으로 밀려나려는 반작용이 작용하면서 반력판(23)에 가해지는 수압이 반력판(23)의 전방측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때의 반력판(23)은 전방측으로 회전하려고는 하나 브라켓(21)의 하부면에서 스톱퍼(24)에 의해 이를 저지시키고 있으므로 브라켓(21)의 내부를 통한 물의 유동이 차단되며, 따라서 더이상 왼발측 부력체(10)가 후방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른쪽 또는 왼쪽의 부력체(10)를 교대로 전방으로 나아가도록 하면 다른 일측의 부력체(10)는 거의 정지된 상태에서 디딤발 역할로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원활한 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오른쪽과 왼쪽의 부력체(10)를 연결수단(50)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되면 수상 보행 중 부력체(10)간 일정거리 이상으로는 벌어지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원활하게 수상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수면 상에서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에는, 부력체(10)의 연결고리(30)를 이용하여 부력체(10)간 바깥쪽 끼움홀(31)끼리 연결고리(30)를 도 4에서와 같이 연결하게 되면 복수의 부력체(10)들을 판체 형태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그 위에서 휴식을 취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방향키(40)는 부력체(10)가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보다 쉽고 용이한 보행을 가능하도록 한다.
10 : 부력체 11 : 발 지지수단
11a : 밴드 11b : 착지홈
20 : 추진체
21 : 브라켓 22 : 힌지축
23 : 반력판 24 : 스토퍼
30 : 연결고리 31 : 끼움홀
40 : 방향키 50 : 연결수단
51 : 연결핀 52 : 연결부재
60 : 손잡이

Claims (5)

  1. 인체의 하중에 대해서 수면에 떠 있을 수 있는 부력을 가지며, 길이방향 중간부의 상부면에는 발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발 지지수단(11)이 구비된 한 쌍의 부력체(10)와;
    상기 부력체(10)의 저면에는, 전후방 관통되도록 되며 내측공간부를 갖는 브라켓(21)이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브라켓(21)의 상단부의 중간부위에서 상단부간을 연결한 힌지축(32)에 회전가능하게 반력판(23)이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21)의 하부 내측면에는 반력판(23)이 전방쪽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톱퍼(24)가 형성된 추진체(20);
    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고속보행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 지지수단(11)은, 부력체(10)의 상부면에 발이 상향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해 주는 복수의 밴드(11a)를 설치하여 구성하거나, 복수의 밴드(11a)의 아래쪽으로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착지홈(11b)을 형성하되 착지홈의 바닥면은 후단부에서 전단부측으로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고속보행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의 상부면 전방과 후방측에는 한 쌍의 끼움홀(31)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홀(31)에는 ∩형태로 좌우가 하향절곡된 연결고리(3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고속보행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10)의 저면으로 상기 추진체(20)의 후방에는 폭간 중간 부위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방향키(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고속보행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부력체(10)의 양 측면부에는 부력체(10)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해주는 연결수단(50)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수단(50)은 상기 부력체(10)의 측면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로프 또는 연결바로 된 연결부재(52)의 양단을 결속할 수 있는 연결핀(5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고속보행기구.
KR1020100076567A 2010-08-09 2010-08-09 수상고속보행기구 KR20120014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567A KR20120014469A (ko) 2010-08-09 2010-08-09 수상고속보행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567A KR20120014469A (ko) 2010-08-09 2010-08-09 수상고속보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469A true KR20120014469A (ko) 2012-02-17

Family

ID=4583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567A KR20120014469A (ko) 2010-08-09 2010-08-09 수상고속보행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4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23B1 (ko) 2020-08-26 2020-12-09 안진우 수상 보행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623B1 (ko) 2020-08-26 2020-12-09 안진우 수상 보행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4363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US11926401B2 (en) Personal watercraft
US8388402B2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 of use
US6855024B2 (en) Skis to walk on water
US7121910B2 (en) Upright human floatation apparatus and propulsion mechanism therefor
US7926437B2 (en) Water sports equipment
KR20120014469A (ko) 수상고속보행기구
EP2868358B1 (fr) Dispositif de génération d'au moins une vague artificielle
KR101268567B1 (ko) 수상 스키
US9611019B2 (en) Water walker
US9376178B2 (en) Cross-water skis
US20120302116A1 (en) Buoyant Apparatus for Use on a Wearer's Foot
US20180215448A1 (en) Water Running Tunnel Hull Ski
KR102094409B1 (ko) 물수제비 효과를 이용한 친환경 해상 이송 기구
KR20100123953A (ko) 수상이동기구
KR20130002133U (ko) 서프보드
KR200374506Y1 (ko) 무동력 수상스키
US11014636B1 (en) User propelled flotation and transportation system
KR100616319B1 (ko) 수상용 보행기구
CN1232764A (zh) 一种可使人做“水上滑雪”运动的器具
KR100590997B1 (ko) 무동력 수상스키
KR200184289Y1 (ko) 수상 스키용 기구
AU2004229412A1 (en) Submersible water toy and related method of use
JP6741376B2 (ja) 人力推進ボート
KR100657170B1 (ko) 수상스키용 출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