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431A -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431A
KR20120014431A KR1020100076487A KR20100076487A KR20120014431A KR 20120014431 A KR20120014431 A KR 20120014431A KR 1020100076487 A KR1020100076487 A KR 1020100076487A KR 20100076487 A KR20100076487 A KR 20100076487A KR 20120014431 A KR20120014431 A KR 20120014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und source
album
song
sour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9649B1 (ko
Inventor
황만태
이석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6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 오디오 장치와 통신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카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 중인 음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CAR AUDIO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된 카 오디오 장치는, 차량 내에 구비되어 음원을 재생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된 카 오디오 장치의 세그먼트 타입의 디스플레이의 제약을 극복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 오디오 장치와 통신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은, 복수의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은,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통신 연결된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가 있는 경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은,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은,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통신 연결된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카 오디오 장치와 통신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카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 중인 음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카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된 카 오디오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은, 카 오디오 장치와 통신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정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신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오디오 시스템(10)은, 카 오디오 장치(100),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 서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통신부(110), 제1 입력부(120), 제1 저장부(130), 제1 제어부(140), 코덱(150), 증폭부(160), 제1 표시부(170) 및, 제1 음성 출력부(18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카 오디오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카 오디오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카 오디오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서버(3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상기 임의의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제1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패드(Key Pa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셔틀, 마우스(mouse),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터치 펜(Touch Pen)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입력부(120)는, 회전 노브(미도시)와 엔코더(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코더는, 상기 회전 노브의 조작에 따라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는 엔코딩 값(또는, 펄스열 쌍)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엔코더는, 상기 회전 노브의 진행 방향, 일 예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등과 같은 진행 방향을 감지하여 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회전 노브의 조작에 따른 펄스열의 상태 변화는, 음량의 증가 또는 감소, 채널(또는, 주파수)의 증가 또는 감소 조작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상기 펄스열의 상태 변화에 따른 음량의 증가/감소 또는, 채널의 증가/감소 조작에 대한 정의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부(130)는,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1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롬(Read-Only Memory :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장부(130)는, 복수의 음원(예를 들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음원, mp3 등 포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1 저장부(130)는, 상기 복수의 음원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음원 정보(곡 정보, 앨범 정보 등 포함)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곡명), 가수명(아티스트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트랙 번호 등을 포함하고, 상기 앨범 정보는, 배경(또는, 재킷) 사진/동영상, 음원의 재생 상태, 가사, 장르, 앨범명, 연주자, 프로듀서, 제작 회사, 사용자 선호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장부(13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 중 어느 하나(또는, 하나 이상)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상기 제1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곡명), 가수명(아티스트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트랙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음원을 소정 신호 처리한 후, 상기 신호 처리된 음원을 상기 제1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원 정보의 업데이트는, 상기 선택된 음원이 재생(또는, 출력) 중인 상태에서 백그라운드 상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에 각각 대응하는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제1 입력부(120)에 구비된 기설정된 버튼 또는 키(key)가 선택될 때,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가 있는 경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앨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임의의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추가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버튼 또는 키가 선택될 때,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임의의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는, 시각 정보 요청 메시지, 스케줄 정보 요청 메시지, 설정 정보 요청 메시지, 배경 화면 정보 요청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정보 요청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저장부(130)에 기설정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정보는, 시각 정보, 스케줄 정보, 설정 정보, 배경 화면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전용 프로그램, 전용 앱(app) 등 포함)을 이용하여 상기 기재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상기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임의의 단말에 기저장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입력부(120)로부터 출력된 회전 노브의 진행 방향 및/또는 엔코딩 값에 근거하여 볼륨의 증감 또는 채널의 증감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볼륨의 증감 또는 채널의 증감 여부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코덱(150)은, 상기 제1 제어부(14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음량을 조절한 후, 디지털 신호(또는, 디지털 음향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또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증폭부(160)는, 상기 코덱(15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제1 음성 출력부(18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코덱(150) 및 상기 증폭부(160)의 기능은, 상기 제1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표시부(17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저장부(130)에 저장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17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시각 정보, 배경 화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17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알람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170)는, 소정 크기의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17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제1 표시부(17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1 표시부(17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상기 제1 표시부(17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표시부(170)의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표시부(17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카 오디오 장치(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는,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표시부(170)가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을 입력받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음성 출력부(18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음원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음성 출력부(180)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음성 출력부(180)는, 상기 증폭부(160)로부터 증폭된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 음성 출력부(180)는, 상기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스케줄 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알람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통신부(210), 제2 입력부(220), 제2 저장부(230), 제2 제어부(240), 제2 표시부(250) 및, 제2 음성 출력부(260)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텔레비전, 3D 텔레비전,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등과 같이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 및/또는 임의의 서버(3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 및/또는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한 각종 정보를 상기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 및/또는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임의의 유/무선 단말과의 호(call)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호 기능은, 데이터 통신 기능, 음성 통신 기능, 화상/영상 회의/통화 기능, 메시지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부(220)는,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 또는 임의의 기능 선택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2 입력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며, 키패드, 터치스크린,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셔틀, 마우스, 스타일러스 펜, 터치 펜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입력부(220)는, 마이크(미도시) 및/또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 및/또는 카메라를 통해 음성 정보 및/또는 화상 정보(또는,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부(230)는, 각종 메뉴 화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 GUI)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2 저장부(23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2 저장부(2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 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롬(ROM), EEPROM, PROM, 램(RAM), SRA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저장부(230)는,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제어 정보, 음원 정보, 업데이트 정보 등 포함)를 저장한다.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를 상기 제2 표시부(250) 및/또는 상기 제2 음성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곡명), 가수명(아티스트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트랙 번호 등을 포함하고, 상기 앨범 정보는, 배경(또는, 재킷) 사진/동영상, 음원의 재생 상태, 가사, 장르, 앨범명, 연주자, 프로듀서, 제작 회사, 사용자 선호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곡 정보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의 전송 또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앨범 정보의 전송 요청 또는 상기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앨범 정보와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곡 정보를 근거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임의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정보(예를 들어,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곡 정보에 대응하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 등 포함)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앨범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의 전송 또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앨범 정보의 전송 요청 또는 상기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수신된 상기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임의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정보(예를 들어,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곡 정보에 대응하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 등 포함)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정보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는, 시각 정보 요청 메시지, 스케줄 정보 요청 메시지, 설정 정보 요청 메시지, 배경 화면 정보 요청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정보 요청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수신된 상기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저장부(230)에 기저장된 임의의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예를 들어, 시각 정보, 스케줄 정보, 설정 정보, 배경 화면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등 포함)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표시부(250)는, 상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저장부(23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250)는, 상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2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LE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상기 제2 표시부(25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복수의 표시부들이 하나의 면(동일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 표시부(25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제2 표시부(2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제2 표시부(25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상기 제2 표시부(2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이로써,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제2 표시부(250)의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표시부(25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2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 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표시부(250)가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한 버튼 조작을 입력받거나,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터치/스크롤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 출력부(260)는, 상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음원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음성 출력부(260)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음성 출력부(260)는, 음성 호 기능, 화상/영상 회의/통화 기능 등이 수행될 때, 상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 유/무선 통신 연결한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와 유/무선 통신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기지국(Base Station), 정보 제공 센터(Information Provider Center), 콜 센터(Call Ce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임의의 음원 및 상기 임의의 음원에 대응하는 최신의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곡 정보, 앨범 정보 등 포함)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또는 카 오디오 장치(100)의 정보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 및/또는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검색된 음원 정보는, 곡 정보(또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앨범 정보(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 오디오 시스템은, 카 오디오 장치와 통신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카 오디오 장치에서 출력 중인 음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카 오디오 시스템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카 오디오 시스템은, 카 오디오 장치와 통신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에게 최신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1 통신부(110)는,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AVN 단말기 등과 같이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통신부(110)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별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부(110)와 상기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paring)을 수행한다(S110).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예를 들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음원, mp3 등 포함)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송되는 음원 정보는, 곡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곡 정보와 함께 앨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제1 표시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곡명), 가수명(아티스트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트랙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곡 정보(501)를 상기 제1 표시부(170)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음원을 소정 신호 처리(예를 들어, 디코딩 및 증폭)한 후, 상기 신호 처리된 음원을 제1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전송된 음원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포함된 제2 표시부(250) 및/또는 제2 음성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앨범 정보는, 배경(또는, 재킷(jacket)) 사진/동영상, 음원의 재생 상태, 가사, 장르, 앨범명, 연주자, 프로듀서, 제작 회사, 사용자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통신부(110)로부터 전송된 음원 정보(502)를 상기 제2 표시부(250)에 표시한다(S120).
이후,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 포함) 등을 포함한다(S130).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에 곡 정보만이 저장(또는, 연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앨범 정보를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음원 정보에 곡 정보와 상기 수신한 앨범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140).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2 통신부(210)는,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통신부(210)와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가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별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부(210)와 상기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 간의 페어링(paring)을 수행한다(S210).
이후,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통신 연결된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원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음원 정보는, 곡 정보, 앨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S220).
이후,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와 앨범 정보를 제2 표시부(250) 및/또는 제2 음성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곡명), 가수명(아티스트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트랙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앨범 정보는, 배경 사진/동영상, 음원의 재생 상태, 가사, 장르, 앨범명, 연주자, 프로듀서, 제작 회사, 사용자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곡 정보와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와 앨범 정보(502)를 상기 제2 표시부(250)에 표시한다(S240).
또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즉,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곡 정보만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임의의 서버(300)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에 대응하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다(S250).
이후,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앨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S260).
이후,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와 상기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와 상기 곡 정보를 상기 제2 표시부(250) 및/또는 상기 제2 음성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S270).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카 오디오 장치(100)는,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 유/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유/무선 통신은, 무선 인터넷 기술(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 근거리 통신 기술(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 유선 통신 기술(USB 통신 등을 포함)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 임의의 서버(300) 간에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300)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 등일 수 있다(SP31).
이후,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는, 곡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곡 정보와 앨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음원을 소정 신호 처리한 후, 상기 신호 처리된 음원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곡명), 가수명(아티스트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트랙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SP32).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유/무선 통신 연결된 상기 서버(300)에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서버(300)에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SP33).
이후,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정보(예를 들어, 앨범 정보 포함)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원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 포함)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SP34).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음원 정보(예를 들어, 앨범 정보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음원 정보(예를 들어, 앨범 정보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앨범 정보와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곡 정보를 근거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업데이트 음원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 포함)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P35).
이후,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예를 들어,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앨범 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예를 들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업데이트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P36).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1 제어부(140)는,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예를 들어, DAB 음원, mp3 등 포함)에 각각 대응하는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확인 과정은, 기설정된 버튼/키가 선택될 때, 수행될 수도 있다(S410).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가 있는 경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 연결된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앨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예를 들어, 곡 정보만 포함되고 앨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포함한다(S420).
이후,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추가된 앨범 정보 포함) 등을 포함한다(S430).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한 업데이트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를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해당 음원 정보에 곡 정보와 상기 수신한 앨범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440).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2 통신부(210)는,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통신부(210)와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가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별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부(210)와 상기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 간의 페어링(paring)을 수행한다(S510).
이후,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통신 연결된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앨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예를 들어, 곡 정보만 포함되고 앨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포함한다(S520).
이후,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임의의 서버(300)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S530).
이후,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앨범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앨범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S540).
이후,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수신된 앨범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와 상기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와 상기 곡 정보를 상기 제2 표시부(250) 및/또는 상기 제2 음성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S550).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카 오디오 장치(100)는,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 유/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유/무선 통신은, 무선 인터넷 기술(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 근거리 통신 기술(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 유선 통신 기술(USB 통신 등을 포함)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 임의의 서버(300) 간에도, 유/무선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300)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 등일 수 있다(SP61).
이후,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에 각각 대응하는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앨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예를 들어, 곡 정보만 포함되고 앨범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포함한다(SP62).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유/무선 통신 연결된 상기 서버(300)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SP63).
이후,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앨범 정보 또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에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앨범 정보 또는 최신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음원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예를 들어,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앨범 정보 포함)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SP64).
이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앨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와 상기 카 오디도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곡 정보를 근거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P65).
이후,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앨범 정보와 상기 기저장된 곡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음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P66).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1 통신부(110)는, 제1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와이브로 단말기, IPTV 단말기, PMP, 내비게이션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AVN 단말기 등과 같이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통신부(110)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가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별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부(110)와 상기 임의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 간의 페어링(paring)을 수행한다(S710).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는, 시각 정보 요청 메시지, 스케줄 정보 요청 메시지, 설정 정보 요청 메시지, 배경 화면 정보 요청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정보 요청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의 생성은, 기설정된 버튼/키가 선택될 때, 수행될 수도 있다(S720).
이후,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시각 정보, 스케줄 정보, 설정 정보, 배경 화면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S730).
이후,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카 오디오 장치(100)에 기설정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시각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시각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기설정된 시각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스케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스케줄 정보를 제1 저장부(13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스케줄 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이 되면 알람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람 정보를 제1 표시부(170) 및/또는 제1 음성 출력부(180)를 통해 출력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설정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설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기설정된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이때, 상기 설정 정보는, 언어 설정 정보, 볼륨 레벨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배경 화면 정보(임의의 배경 화면 파일 포함)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된 배경 화면 설정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기설정된 배경 화면을 업데이트한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응용 프로그램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수신된 응용 프로그램 정보를 근거로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기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한다. 이때,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전용 앱(app)일 수 있다(S740).
또한, 상기 제1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특정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전용 프로그램, 전용 앱)을 이용하여, 상기 단계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2 통신부(210)는,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은, 무선랜(WLAN), 와이 파이, 와이브로, 와이맥스, HSDPA,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MBS)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선 통신 기술은, USB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 통신부(210)와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가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개별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부(210)와 상기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 간의 페어링(paring)을 수행한다(S810).
이후,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통신 연결된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는, 시각 정보 요청 메시지, 스케줄 정보 요청 메시지, 설정 정보 요청 메시지, 배경 화면 정보 요청 메시지, 응용 프로그램 정보 요청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S820).
이후,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메시지를 근거로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300)에 상기 수신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임의의 서버(300)는, 기지국,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 등일 수 있다(S830).
이후,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상기 정보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시각 정보, 스케줄 정보, 설정 정보, 배경 화면 정보, 응용 프로그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S840).
이후, 상기 제2 제어부(240)는, 상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제2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카 오디오 장치(100)에 전송한다(S8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카 오디오 시스템 100: 카 오디오 장치
200: 이동 통신 단말기 300: 서버
110: 제1 통신부 120: 제1 입력부
130: 제1 저장부 140: 제1 제어부
150: 코덱 160: 증폭부
170: 제1 표시부 180: 제1 음성 출력부
210: 제2 통신부 220: 제2 입력부
230: 제2 저장부 240: 제2 제어부
250: 제2 표시부 260: 제2 음성 출력부

Claims (29)

  1. 복수의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는,
    곡 정보 또는, 곡 정보와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 가수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및, 트랙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정보는,
    재킷 사진, 재킷 동영상, 음원의 재생 상태, 가사, 장르, 앨범명, 연주자, 프로듀서, 제작 회사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복수의 음원 중 어느 하나의 음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여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음원 정보는,
    곡 정보 또는, 곡 정보와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 정보는,
    노래명, 가수명, 고유 식별 번호, 재생 시간 및, 트랙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앨범 정보는,
    재킷 사진, 재킷 동영상, 음원의 재생 상태, 가사, 장르, 앨범명, 연주자, 프로듀서, 제작 회사 및, 사용자 선호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선택된 음원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11.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는,
    곡 정보 또는, 곡 정보와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수신된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통신 연결된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16.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가 있는 경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 연결된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버튼 또는 키(key)가 선택될 때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임의의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임의의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복수의 음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음원 정보 중에서, 상기 복수의 음원 정보에 앨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포함된 곡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24. 임의의 카 오디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를 근거로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상기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곡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수신된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곡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의 전송을 통신 연결된 임의의 서버에 요청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를 통신 연결된 카 오디오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정보 요청 메시지는,
    곡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앨범 정보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된 곡 정보 및/또는 업데이트된 앨범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된 음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 오디오 시스템.
KR1020100076487A 2010-08-09 2010-08-09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49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487A KR101649649B1 (ko) 2010-08-09 2010-08-09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487A KR101649649B1 (ko) 2010-08-09 2010-08-09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431A true KR20120014431A (ko) 2012-02-17
KR101649649B1 KR101649649B1 (ko) 2016-08-19

Family

ID=4583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487A KR101649649B1 (ko) 2010-08-09 2010-08-09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8776A (zh) * 2020-12-08 2021-04-30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获取音乐信息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759A (ko) * 2005-04-25 2006-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펌웨어 업데이트가 용이한 텔레메틱스 단말기 및텔레메틱스 단말기 상에서 오디오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방법
KR20070096324A (ko) * 2006-03-23 2007-10-0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음원 공유 시스템의 음원정보 공유 방법
KR20080004882A (ko)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mp3미디어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759A (ko) * 2005-04-25 2006-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펌웨어 업데이트가 용이한 텔레메틱스 단말기 및텔레메틱스 단말기 상에서 오디오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방법
KR20070096324A (ko) * 2006-03-23 2007-10-02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음원 공유 시스템의 음원정보 공유 방법
KR20080004882A (ko) * 2006-07-07 2008-01-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mp3미디어 재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8776A (zh) * 2020-12-08 2021-04-30 上海博泰悦臻电子设备制造有限公司 获取音乐信息的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649B1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223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635379B2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between devices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522150B1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13306539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150193036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391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an application
US9826026B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uses the same
KR20150007760A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US1105114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KR102004986B1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시스템, 단말과 그 기록 매체
KR20130106684A (ko) 홈 스크린 공유 방법
JP2016504671A (ja) 移動端末リソースの処理方法、装置、クライアント側のコンピュータ、サーバ、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5014138A1 (zh) 一种显示框显示的方法、装置和设备
KR101649649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12810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277961B2 (en) Electronic device, compan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2092023B1 (ko) 라디오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CN107667342B (zh) 电子装置和用于控制电子装置的声音的方法
KR101755374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6095384A (zh) 一种多媒体播放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50007569A (ko) 동적 위젯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39689A (ko) 단말 간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