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289A -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289A
KR20120013289A KR1020110144012A KR20110144012A KR20120013289A KR 20120013289 A KR20120013289 A KR 20120013289A KR 1020110144012 A KR1020110144012 A KR 1020110144012A KR 20110144012 A KR20110144012 A KR 20110144012A KR 20120013289 A KR20120013289 A KR 20120013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ticket
information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1014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3289A/ko
Publication of KR2012001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2Contactless payments by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교통수단을 지정된 횟수만큼 이용 가능한 승차권이 구비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을 인증하는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승차권의 유효기간을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인증 데이터와 유효기간을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승차권의 처리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Device for Controlling Utilization of Transport Means}
본 발명은,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교통수단을 지정된 횟수만큼 이용 가능한 승차권이 구비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을 인증하는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승차권의 유효기간을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인증 데이터와 유효기간을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승차권의 처리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로운 교통카드시스템이 적용되면서, 노선의 변경, 교통카드 단말 호환문제 등, 새 교통시스템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교통카드시스템에 따른 문제들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새로운 교통카드 시스템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은 아직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유익한 형태로 교통카드 시스템은 발전해야 하며, 이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 및 시스템이 모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교통수단을 지정된 횟수만큼 이용 가능한 승차권이 구비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을 인증하는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승차권의 유효기간을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인증 데이터와 유효기간을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승차권의 처리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는,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교통수단을 지정된 횟수만큼 이용 가능한 승차권이 구비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을 인증하는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승차권의 유효기간을 독출하는 독출부와 상기 독출된 인증 데이터와 유효기간을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승차권의 처리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이 직전에 사용된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고유정보를 더 독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독출된 단말고유정보를 더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사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에 대한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이 직전에 사용된 단말장치의 위치에 대한 고유정보를 더 독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독출된 고유정보를 더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사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횟수를 독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횟수를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횟수를 갱신하여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기간동안 소정의 교통수단의 이용 가능한 카드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수단의 이용이 빈번한 고객은 소정의 금액 지불에 비하여, 일정기간 동안 보다 많이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교통수단의 고유 ID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한 교통카드 환승에 따른 카드 인식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탑재되는 카드의 기능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1)의 기능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1)을 통해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클라이언트 카드에 탑재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2)의 기능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2)을 통해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카드가 사용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를 통해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카드 사용 내역이 정산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 시스템에 관한 기능 구성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우선 각 도면 상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소정의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다만, 다른 도면상에 도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을 명기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일정기간 사용 기능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한 정산 시스템은,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 이용가능 기간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는 카드(100) 및 상기 카드(100)와 연동하여, 상기 카드 메모리에 저장된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 이용가능 기간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한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 이용가능 기간정보를 근거로, 승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2)(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소유 카드(100)로 제공하는 단말(1)(105) 및 상기 단말(1)(105) 및 단말(2)(110)로부터 소정의 카드 발급 내역 및 처리 내역을 획득하여 정산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일정기간 사용이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110)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 사용시, 상기 카드(100)로부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예컨대, 승차권 고유 ID 정보 및/또는 사용 가능한 일정 기간 정보 및/또는 발급(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 생성) 일시 정보 및/또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 등)를 독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는 무선 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1)(105)은 유인/무인 충전 단말 및/또는 CD기 및/또는 KIOSK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2)(110)은 버스, 지하철, 택시 등을 포함하는 교통수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1)(105) 및/또는 단말(2)(1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105)(또는 단말(1)(105) 관리 서버 등,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 내역(예컨대, 탑재 일시 정보, 일정기간 정보, 처리 비용 정보 등)을 수신하는 발급정보 수신부(1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2)(110)(또는 단말(2)(110) 관리 서버 등,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실시한 처리 내역을 수집하는 사용내역 수집부(125)와, 상기 수신부(120) 및 수집부(125)를 통해 획득한 소정의 정보들을 상기 서버에 구비되는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저장부(130) 및 상기 저장내역을 근거로 소정의 정산을 실시하는 정산부(1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수신부(120)를 통해 상기 단말(1)(105)(또는 서버(1))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 내역(예컨대, 탑재 일시 정보, 일정기간 정보, 처리 비용 정보 등)을 상기 단말(1)(105)(또는 서버(1)) 고유 ID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수집부(125)를 통해 상기 단말(2)(110)(또는 서버(2))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실시한 처리 내역을 상기 단말(2)(110)(또는 서버(2)) 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네트워크 상의 정산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 및/또는 카드사 서버를 포함하는 금융사 서버 및/또는 VAN사 서버 및/또는 이동통신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탑재되는 카드(100)의 기능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면2는 일정기간 사용이 가능한 승차권 정보를 구비하여, 상기 일정기간 동안 승차 결제에 구애받지 아니하도록 하는 승차권 기능의 카드(1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도시된 카드(100)는 ISO/IEC 14443(Type A, Type B) 및/또는 ISO/IEC 7816 등을 포함하는 규격을 참조하는 카드(100)임이 바람직하다.
도면2에 도시된 카드(10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일정기간 사용이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드(100)는 단말(1)(105) 또는 단말(2)(110)과 접속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00)와,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저장하는 메모리(또는 IC칩) 및 상기 카드(100) 이용시, 단말(2)(110)과 접속하여 상기 IC칩에 저장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상기 단말(2)(110)로 제공하도록 상기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운용하는 처리부(20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또는 IC칩)는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및/또는 입출력(I/O) 등과 같은 접촉점과 연결되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상기 단말(1)(105) 또는 단말(2)(110)과 통신(예컨대, 명령 또는 데이터 교환 등)하며,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및/또는 코프로세서(Coprocessor)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소자에는 상기 카드(100) 내부 자원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칩 운영 체제(Chip Operating System; COS)가 저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100)가 동작 개시하면, 상기 칩 운영 체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로딩되어 상기 메모리(또는 IC칩)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카드(100)와 상기 단말(1)(105) 또는 단말(2)(110)은 상기 클럭 신호(CLK) 접촉점의 클럭주파수(예컨대, 3.57MHz 또는 4.9MHz)를 기반으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메모리(또는 IC칩)의 메모리부(210)는 본 발명에 따라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승차권 저장정보가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의 승차권 저장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10)의 기능적 블록을 살펴보면,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되는 승차권 저장정보는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예컨대, 승하차 결제 처리 프로그램 등)에 의해 판독되어 사용되는 소정의 정보(예컨대, 승차권 카드 고유 ID 정보, 사용 가능토록 정의된 일정기간 정보 등)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25) 및 상기 메모리(또는 IC칩) 내의 프로세서의 연산 기능과 칩 운영 체제가 제공하는 소정의 명령어 셋트에 의해 구동 또는 실행되어 동작하며, 상기 단말(2)(110) 등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그램 루틴(예컨대, 자바카드(Javacard)의 경우 자바 애플릿(JAVA Applet))에 해당하는 데이터 처리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칩 운영 체제의 명령어 셋트와 상호 작용하는 명령호출코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실행코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부(205)는 상기 카드(100)가 상기 단말(2)(110)과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동작 개시하는 경우,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00)를 거쳐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을 판독하고(예컨대, 승차권 카드 고유 ID 요청, 사용 가능토록 정의된 일정기간 정보 요청 등), 상기 판독된 명령을 근거로 상기 데이터 저장부(225)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승차권 카드 고유 ID 정보, 사용 가능토록 정의된 일정기간 정보 등)를 읽고, 읽은 결과를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00)를 거쳐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예컨대, 승하차 내역 또는 시간 내역 기록 등)에 따라, 상기 단말(2)(11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승하차 내역 또는 시간 내역 기록 등)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225)에 기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메모리부(210)는 ISO/IEC 14443 및/또는 ISO/IEC 7816 규격을 참조하여,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하는 하나의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과, 상기 마스터 파일 하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정보에 대한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ATR(Answer To Reset)과, 각각의 ICC 저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그리고 상기 전용 파일 하위에 배치되며 스마트 카드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포함된 요소 파일(Element File; EF)로 이루어진 파일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승차권 저장정보는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의 하위 디렉토리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승차권 저장정보는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저장정보에 대응하는 고유 식별 정보 또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권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상기 승차권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의 하위 디렉토리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소파일(Element File; EF)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차권 저장정보는 고유 식별 정보 또는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권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상기 승차권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의 하위 디렉토리에 위치하는 요소파일(Element File; EF)은 승차권 고유 ID정보를 포함하는 요소파일(Element File; EF)(1) 및/또는 사용가능 하도록 정의된 일정기간 정보를 포함하는 요소파일(Element File; EF)(2) 및/또는 일정기간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를 포함하는 요소파일(Element File; EF)(3)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1)(105)의 기능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면3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도면2에서 제시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는 카드(100)에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하는 소정의 단말에 대한 것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도시된 단말(1)(105)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또는 추출)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도면에 따르면, 도시된 단말(1)(105)은 제어부(300)와, 메모리(330)와, 카드 인터페이스(345)와, 키 입력부(340)와, 화면 출력부(335) 및 통신부(350)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기능부(예컨대, 영수증 출력부, 전원 공급부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단말(1)(105)에 구비되는 제어부(300)는 기능 구성 상 상기 단말(105)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및 각 단말 내부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 흐름 관리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위한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생성(또는 추출) 및 이에 제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예컨대,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클라이언트 카드 탑재,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에 대한 구매처리 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기능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와 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1)(105)에 구비될 수 있는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1)(105)에 구비되는 메모리(330)는 상기 제어부(300)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서, 하드웨어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제어부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과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330)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행에 관련된 단말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말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행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인터페이스는 하기의 기능부들과 연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발행받고자 하는 승차권의 일정기간을 선택(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승차권 발행 비용 결제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05)의 카드 인터페이스부(345)는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와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하여 상기 카드(100)와 상기 단말(1)(105)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가 ISO/IEC 14443에 근거하는 비접촉 방식의 카드인 경우,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345)는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 및/또는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 등을 이용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비접촉식 카드와 비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형성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345)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카드(100)의 메모리(또는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메모리(또는 IC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가 ISO/IEC 7816 규격에 근거하는 접촉 방식의 카드인 경우,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345)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접촉식 카드에 구비된 COB(Chip On Board; COB)와 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345)는 상기 접촉점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카드(100)의 메모리(또는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메모리(또는 IC칩)로 본 발명에 따른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05)의 화면 출력부(335)는 상기 단말 프로그램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행을 위하여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화면 출력부(335)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행을 위하여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발행받고자 하는 승차권의 사용 가능한 일정기간을 선택(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승차권 발행에 대한 비용 결제 수단(예컨대, 현금, 신용카드, 계좌이체, 마일리지 등)을 선택(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상기 단말(1)(105)의 키 입력부(340)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정의 키 입력수단으로부터 단말 운영자 및/또는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클릭하여 발생하는 해당 키 데이터(Key Data)를 상기 제어부(300)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키 입력부(340)는 상기 화면 출력부(335)에 출력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행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키를 입력하는 커서(Cursor)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또는 입력)하는 승차권의 사용 가능 일정기간 키 데이터와, 상기 승차권 발행에 대한 비용 결제 수단(예컨대, 현금, 신용카드, 계좌이체, 마일리지 등) 선택(또는 입력) 및 그 처리에 대한 키 데이터를 발생한다.
상기 단말(1)(105)의 통신부(350)는 상기 단말(1)(105)과 네트워크 상의 서버(115)(예컨대, 정산 서버 등)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소정의 통신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VAN(Value Added Network), 금융공동망 또는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네트워크와 이동 통신망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 상의 서버(115)와 트랜잭션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및/또는 소정의 케이블 통신포트(예컨대, RS-232c, USB(Universal Serial Bus) 등)를 통해 외부 통신장치와 트랜잭션 통신을 제공하는 케이블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350)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역을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115)로 주기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생성부(305)는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될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단말(1)(105)에 구비되는 소정의 저장매체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생성부(305)가 생성(또는 추출)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는 APDU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는 승차권 고유 ID 정보 및/또는 사용 가능한 일정 기간 정보 및/또는 발급(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 생성) 일시 정보 및/또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탑재부(310)는 상기 생성부(305)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될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생성(또는 추출)되는 경우,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345)를 통해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로 탑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저장부(315)는 상기 탑재부(310)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본 발명에 따른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탑재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내역을 상기 단말(1)(105)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전송부(320)는 상기 생성부(305)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처리 내역(예컨대, 탑재 일시 정보, 일정기간 정보, 처리 비용 정보 등)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115)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송부(320)는 상기 저장부(130)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내역을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부(350)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115)로 전송하거나, 및/또는 상기 탑재부(310)를 통하여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시, 실시간으로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115)로 상기 탑재 내역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결제부(325)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클라이언트 소유 카드(100)로 본 발명에 따른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제공받기 위하여, 지불해야 하는 소정의 비용을 결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결제부(325)는 상기 통신부(350)를 통하여 결제 네트워크(예컨대, VAN, 금융공동망 등)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 또는 서버(115)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부(325)를 통하여 처리되는 클라이언트의 지급 결제 수단은 현금 및/또는 카드 및/또는 마일리지 및/또는 계좌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1)(105)을 통해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탑재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105)에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요청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00).
그러면, 상기 단말(1)(105)은 상기 단말(1)(105)에 구비된 화면 출력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급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405). 이 때, 상기 클라이언트는 발급 받고자 하는 승차권의 사용 가능 일정기간을 입력(또는 선택)하거나 및/또는, 상기 승차권 발급에 대한 요금 지불 수단을 선택(또는 입력)할 수 있다(410).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급받고자 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정보가 입력 또는 선택되면, 상기 단말(1)(105)은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단말(1)(105)에 구비되는 카드 인터페이스에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할 클라이언트 카드(100)를 접근하도록 요청한다(415).
상기 단말(1)(105)의 카드 인터페이스에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가 인식 가능한 범위 내로 접근하면,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대한 유효성 인증을 실시한다(420). 여기서,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가 본 발명에 따라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기능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실행될 수 있는 카드(100)인지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카드(100)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기능의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탑재될 충분한 저장 공간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대한 유효성 인증이 완료되면(425),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결제부(325)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 또는 입력한 결제수단을 통하여,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비용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430).
여기서, 상기 결제수단은 현금 및/또는 카드 및/또는 마일리지 및/또는 계좌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비용 처리 작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단말(1)(105)의 제어부(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할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 또는 추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435).
보다 상세하게,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 또는 추출 과정은 상기 제어부(300)의 생성부(305)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생성부(305)는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생성 또는 추출 과정에서,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는 승차권 고유 ID 정보 및/또는 사용 가능한 일정 기간 정보 및/또는 발급(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 생성) 일시 정보 및/또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를 포함시킨다.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할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생성 또는 추출되면, 상기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탑재부(310)는 상기 카드 인터페이스부(345)를 통해 상기 생성(또는 추출)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를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로 탑재시킨다(440).
상기 단말(1)(105)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상기 생성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성공적으로 탑재되면(445), 상기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저장부(315)는 상기 탑재부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에 탑재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내역을 상기 단말(1)(105)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한다(450).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에 구비되는 전송부(320)는 상기 저장부(130)를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 내역 및/또는 처리 내역을 주기적으로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115)로 전송한다(455).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320)는 상기 탑재부(310)가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탑재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115)로 상기 탑재 내역을 전송할 수도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2)(110)의 기능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면5는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도면2에서 제시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는 카드(100)를 사용하는 소정의 단말(2)(110)에 대한 것으로써, 버스, 전철, 택시 등의 교통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드(100)로부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예컨대, 승차권 고유 ID 정보 및/또는 사용 가능한 일정 기간 정보 및/또는 발급(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 생성) 일시 정보 및/또는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플래그(Flag)) 등)를 독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면, 도시된 단말(2)(110)은 제어부(500)와 메모리부(540)와 카드 리더부(530)와 화면 출력부(520)와 키 입력부(525)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기능 구성 상 상기 단말(2)(11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및 각 단말(2)(110) 내부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 흐름 관리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로부터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한 승차권 정보에 대한 인증 및 요금 지불 처리 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500)는 단말(2)(110)에 구비되는 상기 카드 리더부(530)를 통하여, 상기 카드(100)에 저장된 소정의 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505)와, 상기 독출부(505)를 통하여 독출된 카드 정보에 대한 인증 및 처리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510)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카드 처리 내역을 상기 단말(2)(110)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부(5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독출부(505)는 상기 단말(2)(110)의 상기 도면2에서 도시된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가 접근하면, 카드 리더부(530)를 통해 상기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로부터 승차권 고유 ID 정보 및/또는 사용 가능한 일정 기간 정보 및/또는 발급(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 생성) 일시 정보 및/또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데이터(또는 플래그(Flag)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를 독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500)의 판단부(510)는 상기 독출부(505)를 통하여 상기 카드(100)로부터 독출된 참조하여, 상기 카드(100)가 본 발명에 따른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카드(100)인지 판단하는 기능과, 일정기간 사용 카드(100)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기능과, 상기 카드(100)가 일정기간 사용 카드(100)인 경우 사용 가능한 일정기간을 확인하는 기능 및, 상기 카드(100)로 상기 단말장치 고유 정보(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교통수단 고유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판단부(510)는 상기 카드(100)로부터 독출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카드(100)가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인지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카드(100)로부터 독출되는 승차권 고유 ID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카드(100)에 대한 유효성 인증을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 판단부(510)는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 가능한 B/L 정보 등을 더 참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판단부(510)는 상기 카드(100)로부터 독출되는 일정 기간 정보를 확인하여, 카드 오류 발생 없이 상기 카드 소지 클라이언트가 버스, 전철, 택시 등의 교통수단에 승차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500)의 저장부(515)는 상기 독출부(505) 및 판단부(510)의 처리 과정에 따라 성공적으로 처리되는 상기 카드(100)에 대한 처리 내역을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540)에 저장되는 카드 처리 내역은 추후 요금 정산을 위한 중요한 근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515)는 상기 판단부(510)의 판단 결과, 승차 가능시, 상기 독출부(505)가 독출한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를 소정의 메모리(540)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독출부(505)가 독출한 카드 고유정보를 상기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540)에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메모리부(540)는 상기 제어부(500)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서, 상기 단말(2)(110) 내부에 구비되거나 및/또는 이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메모리부(540)는 하드웨어적으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HDD(Hard Disk Drive)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가 소정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과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540)는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2)(110)에 접근하는 상기 카드(100)로부터 상기 카드(100)에 탑재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단말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540)는 상기 카드 인증에 필요한 소정의 코드(예컨대,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카드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응 코드 및/또는 상기 카드에 탑재되는 플래그(Flag)에 대응하는 코드 등) 및 B/L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5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실시한 처리 내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2)(110)의 카드 리더부(530)는 상기 일정기간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해 상기 단말(2)(110)과 카드(1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리더부(530)는 ISO/IEC 14443 규격에 기반하는 비접촉식 카드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비접촉식 IC 리더부 및/또는 ISO/IEC 7810 규격에 기반하는 MS 카드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MS 리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단말(2)(110)이 ISO/IEC 7816 규격에 기반하는 접촉식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접촉식 카드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접촉식 IC 리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2)(110)의 화면 출력부(520)는 상기 단말(2)(110)에서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를 포함하는 소정의 화면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520)는 상기 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카드(100)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해당 처리 내역을 출력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화면 출력부(520)는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카드(100)의 처리 승인 여부 또는 오류 코드 정보 등을 소정의 화면 출력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단말(2)(110)의 키 입력부(52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정의 키 입력수단으로부터 단말 운영자(예컨대, 교통수단 운전자 또는 요금 단말 관리자 등) 및/또는 사용자(카드 사용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키를 클릭하여 발생하는 해당 키 데이터(Key Data)를 상기 제어부(500)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키 입력부(525)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판독 및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상기 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 및/또는 미리 정의된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110)은 소정의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15)로 상기 메모리(540)에 저장된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또는 카드 고유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5에 도시되는 단말(2)(110)은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 이용가능 기간정보를 구비하는 카드(100)와 연동하여, 상기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 이용가능 기간정보를 상기 카드(100)로부터 독출하는 기능과, 상기 독출한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또는 이용가능 기간정보를 근거로, 승차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 및 상기 판단 결과, 승차 가능시, 상기 독출한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카드(100)로부터 카드 고유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및 상기 독출한 카드 고유정보를 상기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와 연계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소정의 단말 또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115)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일정기간 이용 가능 인증 데이터(또는 Flag) 및/또는 카드 고유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카드(100)로 상기 단말장치 고유 정보(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교통수단 고유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는 버스, 지하철, 택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교통수단 이용시, 승차권 확인 단말장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2)(110)을 통해 일정기간 사용 기능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가 사용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면2에서 제시되는 일정기간 사용 기능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소정의 단말(2)(110)을 통하여 사용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도로써, 여기서, 상기 단말(2)(110)은 버스, 전철, 택시 등의 교통수단에 구비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6은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는 카드(100)를 소지한 클라이언트가 상기 단말(2)(110)이 구비된 소정의 교통수단에 승차하는 경우에, 승차 요금 지불을 위하여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는 카드(100)를 상기 단말(2)(110)에 접근시키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600).
바람직하게, 원활한 요금 처리를 위하여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는 카드(100)는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카드 리더부(530)에 접근시키며, 이 때,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기능을 구비하는 카드(100)는 상기 단말(2)(110)로부터 카드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개시되며, 상기 단말(2)(110)의 제어부(500)에 포함되는 독출부(505)는 카드 리더부(530)를 통해 상기 일정기간 사용 기능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로부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를 독출한다(605).
여기서, 상기 독출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는 승차권 고유 ID 정보 및/또는 사용 가능한 일정 기간 정보 및/또는 발급(데이터 또는 애플리케이션 생성) 일시 정보 및/또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출부(505)를 통해, 상기 카드(100)로부터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가 독출되면, 상기 제어부(500)에 구비되는 판단부(510)는 상기 독출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중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610).
여기서, 상기 단말(2)(110)은 상기 카드(100)의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대응 코드(또는 플래그)를 메모리에 기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대응 코드(또는 플래그)와 상기 독출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를 비교 및/또는 연산함으로써,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100)가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인증 플래그(Flag)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기능의 카드(100)라고 판단되면(615), 상기 제어부(500)의 판단부(510)는 상기 독출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중 상기 카드(100)의 사용 가능 일정기간 정보를 확인한다(620).
상기 확인결과, 상기 카드(100)의 사용 가능 일정기간 정보가 유효하지 않다면(625)(예컨대, 일주일 유효기간은 승차권인데, 일주일이 지난 경우 등), 상기 판단부(510)는 유효기간 경과에 대응하는 오류 메시지 및 요금 지불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화면 출력부(520)를 통해 출력시킨다(630).
*반면에, 상기 카드(100)의 사용 가능 일정기간 정보가 유효하다면(635), 상기 판단부(510)는 별도의 요금 체크 및/또는 요금 지불 과정 없이, 정상적인 카드 처리 메시지를 상기 화면 출력부(520)를 통해 출력시킨다(640).
상기 과정을 통해,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기능의 카드 처리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저장부(515)는 상기 독출부(505) 및 판단부(510)의 처리 과정에 따라 성공적으로 처리되는 상기 카드(100)에 대한 처리 내역을 상기 단말(2)(110)에 구비되는 소정의 메모리(540)에 저장하도록 한다(645).
도면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상의 정산 서버(115)를 통해 일정기간 사용 가능한 승차권 카드(100) 사용 내역이 정산 처리되는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단말(1)(105)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가 제공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700).
그러면, 서버(115)에 구비되는 수신부(120)는 상기 단말(1)(105)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카드(100)로 제공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데이터(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내역을 수신하고(705), 상기 서버(115)에 구비되는 저장부(130)는 상기 단말(1)(105) 정보와 연계하여 소정의 저장매체에 저장한다(710).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2)(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사용 기능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이 실시되면(715), 상기 서버(115)의 수집부(125)는 상기 단말(2)(110)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사용 기능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실시한 처리 내역을 수집한다(720).
그리고, 상기 서버(115)의 저장부(130)는 상기 단말(2)(110)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일정기간 사용 기능을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 카드(1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실시한 처리 내역을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한다(725).
그러면, 상기 서버(115)의 정산부(135)는 소정의 정산 시기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단말(1)(105)의 발급 내역과 상기 단말(2)(110)의 처리 내역을 근거로 정산을 실시한다(730).
예컨대, 상기 정산부(135)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105)을 통해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급에 따라 결제된 비용 등을 총 합산하고, 상기 단말(1)(105)의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급 회수 등에 근거하여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산부(135)는 상기 단말(2)(110)을 통해 처리된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처리 내역중 처리 횟수 등을 합산하여, 상기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발급에 따라 결제된 비용의 총 합산 금액에서 상기 처리 횟수 등에 기인한 정산 비용을 산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8 내지는 도면10을 통해 제시되는 실시예는 교통수단의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카드(800) 및 단말(820)에 관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면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 시스템에 관한 기능 구성도이다.
도면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카드(800)를 소지한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교통수단(예컨대, 버스 등)에 승차할 때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소지한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되는 승차 단말에 인식시켜 정상 요금 처리를 한 후, 하차 시에 환승을 원하는 클라이언트만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되는 하차 단말에 상기 카드(800)를 접촉시켜, 상기 교통수단에 대한 고유 ID 및/또는 시간정보를 부여받아 상기 카드(800)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환승시 환승한 교통수단에 구비된 단말이 상기 카드(800) 소지자의 환승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차 단말 및 하차 단말은 하나의 단말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도시된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는 ISO/IEC 14443(Type A, Type B) 및/또는 ISO/IEC 7816 등을 포함하는 규격을 참조하는 카드(800)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드(800)는 MS(Magnetic Stripe) 카드, IC카드, 무선 단말기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시된 카드(80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820)로 소정의 카드(800)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단말(820)로부터 소정의 단말 정보(예컨대, 단말/교통수단 ID 및/또는 시간정보 등)를 제공받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기 위하여, 버스, 지하철, 택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교통수단의 승차 및/또는 하차단말과 데이터 입출력을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와, 상기 승차 및/또는 하차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05)를 통해 상기 교통수단의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수신한 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제어하는 처리부(810) 및 상기 교통수단의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8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800)의 처리부(810)는 상기 승차 및/또는 하차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05)를 통해 상기 교통수단 승차 및/또는 하차 시간 정보를 수신한 후, 소정의 메모리(815)에 저장하는 것을 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800)의 메모리(815)는 상기 교통수단 승차 및/또는 하차 시간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또는 IC칩)(815)는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및/또는 입출력(I/O) 등과 같은 접촉점과 연결되는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05)를 통해 상기 단말(820)로 소정의 카드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단말(820)로부터 상기 교통수단 승차 및/또는 하차 시간 정보와, 상기 교통수단의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및/또는 코프로세서(Coprocessor)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소자에는 상기 카드 내부 자원 관리 및 운영을 담당하는 칩 운영 체제(Chip Operating System; COS)가 저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800)가 동작 개시하면, 상기 칩 운영 체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로딩되어 상기 메모리(또는 IC칩)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 상기 카드(800)와 상기 승차 및/또는 하차단말 상기 클럭 신호(CLK) 접촉점의 클럭주파수(예컨대, 3.57MHz 또는 4.9MHz)를 기반으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메모리(815)는 ISO/IEC 14443 및/또는 ISO/IEC 7816 규격을 참조하여, 루트 파일(Root File)에 해당하는 하나의 마스터 파일(Master File; MF)과, 상기 마스터 파일 하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정보에 대한 기능 정보를 포함하는 ATR(Answer To Reset)과, 각각의 ICC 저장 정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용 파일(Dedicate File; DF)과, 그리고 상기 전용 파일 하위에 배치되며 스마트 카드 서비스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 및/또는 데이터가 포함된 요소 파일(Element File; EF)로 이루어진 파일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처리부(810)는 상기 카드(800)가 상기 단말(820)과 접촉하여 동작 개시하는 경우,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05)를 거쳐 상기 단말(820)에 구비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을 판독하고(예컨대, 카드 고유 ID 요청, 잔액 정보 요청, 유효기간 정보 요청 등), 상기 판독된 명령을 근거로 상기 메모리(815)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카드 고유 ID 정보, 잔액 정보 등)를 읽고, 읽은 결과를 APDU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805)를 거쳐 상기 단말(82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부(810)는 상기 단말(820)에 구비되는 소정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예컨대, 단말/교통수단 ID 정보 및/또는 시간정보 기록 명령 등)에 따라, 상기 단말(8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단말/교통수단 ID 정보 및/또는 시간정보 등)를 상기 메모리(815)에 기록할 수 있다.
도면8을 참조하면, 도시된 단말(820)은 승차 및/또는 하차 단말이 될 수 있으며, 승차 및 하차 단말의 기능을 통합하는 단말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말(820)은 버스, 지하철, 택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교통수단 이용시, 승차권 확인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820)은 전술한 상기 카드(800)로부터 소정의 카드(800) 정보를 읽어오거나, 또는 상기 단말(820)에 저장된 소정의 단말 정보를 상기 카드(800)로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소정의 교통수단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840) 및 고객의 승차 또는 하차시, 상기 메모리(840)에 저장된 상기 교통수단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상기 교통 카드(800)로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8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820)에 구비되는 제어부(825)는 기능 구성 상 상기 단말(820)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및 각 단말(820) 내부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 흐름 관리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고객의 교통수단 승차 및/또는 하차 시간 정보를 상기 교통 카드(800)로 제공하는 기능 및/또는 상기 단말(820)의 메모리(840)에 저장된 상기 교통수단 고유정보를 상기 교통 카드(800)로 제공하는 기능 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820)에 구비되는 메모리(840)는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이용하여 소정의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820)로 접근하는 상기 카드(800)로부터 상기 카드(800)에 탑재된 카드(800) 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또는 상기 카드(800)로 상기 단말(820)의 고유 정보를 탑재시키기 위한 단말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840)는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 인증에 필요한 소정의 코드(예컨대, 일정기간 사용 가능 승차권 카드(800)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응 코드 및/또는 상기 카드(800)에 탑재되는 플래그(Flag)에 대응하는 코드 등) 및 B/L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840)는 상기 클라이언트 카드(800)로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통하여 상기 교통수단에 대한 요금 지불을 실시한 처리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820)의 카드 리더부(845)는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예컨대, 카드 고유 ID 및/또는 잔액 정보 등)를 읽어오기 위해 상기 단말(820)과 카드(8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드 리더부(845)는 ISO/IEC 14443 규격에 기반하는 비접촉식 카드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비접촉식 IC 리더부 및/또는 ISO/IEC 7810 규격에 기반하는 MS 카드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MS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110)이 ISO/IEC 7816 규격에 기반하는 접촉식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지원하는 단말인 경우, 상기 접촉식 카드와 인터페이싱 하기 위한 접촉식 IC 리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820)의 화면 출력부(830)는 상기 단말(820)에 구비되는 제어부(825)에 의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또는 CRT(Cathode Ray Tube)를 포함하는 소정의 화면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도록 미리 정의되거나 또는 실시간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830)는 상기 제어부(825)를 통해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해당 처리 내역을 출력하여 상기 클라이언트가 유관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화면 출력부(830)는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의 처리 승인 여부 또는 오류 코드 정보 또는 잔액 정보 또는 환승 여부 등을 소정의 화면 출력수단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상기 단말(820)에 구비되는 키 입력부(835)는 다수의 숫자키(Number Key)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Character Key), 그리고 기능키(Function Ke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소정의 키 입력수단으로부터 단말 운영자(예컨대, 교통수단 운전자 또는 요금 단말 관리자 등) 및/또는 사용자(카드 사용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키를 클릭하여 발생하는 해당 키 데이터(Key Data)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제어부(825)는 키 입력부(835)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판독 및 상기 단말(8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상기 키 데이터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 및/또는 미리 정의된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820)은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820)에 기록되는 기록매체는 버스, 지하철, 택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교통수단 이용시, 승차권 확인 단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정의 교통수단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 및 고객의 승차 또는 하차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교통수단 고유정보(또는 단말 고유정보)를 상기 교통 카드(8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고객의 교통수단 승차 및/또는 하차 시간 정보를 상기 교통 카드(800)로 제공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9를 참조하면, 소정의 교통수단(2)에 승차하는 클라이언트는 승차시에 소지한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이용하여 정상요금을 지불하는데, 이 때, 상기 교통수단(2)에 구비된 승차 단말은 상기 카드(800)의 메모리에 이전 승차한 교통수단(1)에 대한 고유 ID 및 시간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는 경우, 할인된 요금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유 ID 및 시간정보는 교통수단의 하차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9에 도시된 실시예는 바람직하게, 소정의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소지한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교통수단에 승차시, 승차 요금 지불을 위해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되는 승차 단말에 접근시키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900).
상기 승차 단말에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가 동작 개시 가능한 범위 내로 접근하면, 상기 승차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승차 단말에 구비된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카드(800)에 이전 교통수단 단말로부터 기록된 시간정보 및 이전 교통수단 ID를 확인한다(905).
만약, 상기 카드(800)에 기록된 시간정보 및 이전 교통수단 ID가 존재하지 않거나, 및/또는 기록된 시간정보가 소정의 유효시간을 초과하는 경우(910), 상기 승차 단말은 할인 없이 정상적인 요금을 적용한다(915).
반면에, 상기 카드(800)에 이전 교통수단으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ID가 기록되어 있다면, 또한, 상기 시간정보가 유효하다면(920), 상기 승차 단말은 소정의 할인된 요금을 적용할 수 있다(925).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타 교통수단으로 별도의 환승을 하지 않는다면(930), 상기 클라이언트는 하차 단말에 상기 카드(800)의 접촉 없이 하차한다(935).
그러나, 상기 클라이언트가 타 교통수단으로 별도의 환승을 하고자 한다면(940),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하차 단말에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접근시킨다(945).
그러면, 상기 하차 단말은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카드(800)에 교통수단 ID 및 시간정보를 탑재시키고(950), 하차후, 30분 이내에 타 교통수단으로의 환승이 없다면(955), 상기 교통수단 ID는 소멸되어 본 실시예는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하차후, 30분이내에 타 교통수단으로 환승한다면(960),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플로어는 반복적으로 수행된다(900~950).
바람직하게, 상기 하차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800)로 제공되는 교통수단 ID 및 시간정보는 타 교통수단으로의 환승시에, 소정의 할인 요금을 적용하도록 하는 근거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교통수단 이용 과정에 대한 간단한 흐름도이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소정의 교통수단에 승차하는 클라이언트는 승차시에 소지한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이용하여 정상요금을 지불하는데, 이 때,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승차 단말은 상기 카드(800)의 메모리에 고유 ID 및 시간정보를 탑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환승을 요하는 경우, 하차시에 하차 단말이 상기 카드(800)의 상기 고유 ID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여, ID 및 시간정보를 상기 카드(800)에 재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드(800)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이전에 승차한 교통수단 ID 및 시간정보가 있다면, 상기 하차 단말은 상기 ID 및 시간정보를 상기 카드(800)에 재저장하는 과정에서, 동일하지 않은 고유 ID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10에 따르면, 소정의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소지한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교통수단에 승차시, 승차 요금 지불을 위해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되는 승차 단말에 접근시키는 과정으로부터 도시된 실시예는 개시될 수 있다(1000).
상기 승차 단말에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가 동작 개시 가능한 범위 내로 접근하면, 상기 승차 단말의 제어부는 상기 승차 단말에 구비된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카드(800)에 이전 교통수단 단말로부터 기록된 시간정보 및 이전 교통수단 ID를 확인한다(1005).
만약, 상기 카드(800)에 기록된 시간정보 및 이전 교통수단 ID가 존재하지 않거나, 및/또는 기록된 시간정보가 소정의 유효시간을 초과하는 경우(1010), 상기 승차 단말은 할인 없이 정상적인 요금을 적용한다(1015).
반면에, 상기 카드(800)에 이전 교통수단으로부터의 시간정보 및 ID가 기록되어 있다면, 또한, 상기 시간정보가 유효하다면(920), 상기 승차 단말은 소정의 할인된 요금을 적용한다(925). 그리고, 상기 상기 승차 단말의 제어부는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카드(800)에 교통수단 ID 및 시간정보를 탑재한다(1030).
그 후, 상기 클라이언트가 타 교통수단으로 별도의 환승을 하지 않는다면(1035), 상기 클라이언트는 하차 단말에 상기 카드(800)의 접촉 없이 하차한다(1040). 그러나, 상기 클라이언트가 타 교통수단으로 별도의 환승을 하고자 한다면(1045),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하차 단말에 상기 교통수단 이용 카드(800)를 접근시킨다(1050).
그러면, 상기 하차 단말은 상기 카드(800)에 상기 승차 단말이 탑재한 고유 ID를 확인하고(1055), 또한, 상기 카드(800)에 상기 승차 단말이 탑재한 ID와 동일하지 않은 ID는 삭제시킨다(1060). 그리고, 상기 하차 단말은 카드 리더부를 통해 상기 카드(800)에 환승(고유) ID 및 시간정보를 재저장한다(1065).
그리고, 하차후, 30분 이내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타 교통수단으로의 환승하지 않는면(1070), 본 실시예는 종료된다. 반면에 상기 클라이언트가 하차후, 30분이내에 타 교통수단으로 환승한다면(1075),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플로어는 반복적으로 수행된다(1000~1065).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차 단말로부터 상기 카드(800)로 제공되는 교통수단 ID 및 시간정보는 타 교통수단으로의 환승시에 환승 ID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소정의 할인 요금을 적용하도록 하는 근거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 : 클라이언트 카드 105 : 단말(1)
110 : 단말(2) 115 : 서버
120 : 수신부 125 : 수집부
130 : 저장부 135 : 정산부

Claims (7)

  1.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교통수단을 지정된 횟수만큼 이용 가능한 승차권이 구비된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을 인증하는 인증 데이터와 상기 승차권의 유효기간을 독출하는 독출부;
    상기 독출된 인증 데이터와 유효기간을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 경우에 상기 승차권의 처리 내역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시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상기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이 직전에 사용된 단말장치에 대한 단말고유정보를 더 독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독출된 단말고유정보를 더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사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에 대한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이 직전에 사용된 단말장치의 위치에 대한 고유정보를 더 독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독출된 고유정보를 더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사용 가능한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는, 상기 비접촉식 카드로부터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횟수를 독출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횟수를 판독하여 상기 승차권을 통해 상기 교통수단을 이용 가능한지 판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승차권이 사용된 횟수를 갱신하여 상기 비접촉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비접촉식 카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KR1020110144012A 2011-12-27 2011-12-27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KR20120013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012A KR20120013289A (ko) 2011-12-27 2011-12-27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012A KR20120013289A (ko) 2011-12-27 2011-12-27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590A Division KR20090133104A (ko) 2009-11-23 2009-11-23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289A true KR20120013289A (ko) 2012-02-14

Family

ID=4583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012A KR20120013289A (ko) 2011-12-27 2011-12-27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32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060B1 (ko) 광지불송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결제시스템
US20150154579A1 (en) Compact Payment Terminal
US20050182674A1 (en) Charge approval and payment system
EP1213691A2 (en) Card settl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mobile information terminal
CA2769983A1 (en) Reloading of money-storing cards in single space parking meters
KR101283992B1 (ko)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마일리지 충전 및 충전 마일리지 사용방법
KR20100003264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단말장치
KR20070027076A (ko) 구매력을 가진 바코드 이미지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180025305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KR101852455B1 (ko) 즉시충전 선불교통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 카드 결제 시스템
KR100770636B1 (ko) 교통카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33104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344509B1 (ko)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별 마일리지 충전 시스템
KR20100003263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카드
KR20180024596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CN101847232A (zh) 一种可扣除智能卡内存款的电视数据互动装置用的摇控器
KR20060057297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카드 및 단말장치와 이를 이용한교통수단 이용 방법 및 시스템, 기록매체
JP4522598B2 (ja) Icチケットを利用した管理システム
KR20120013289A (ko) 교통수단 이용을 제어하는 단말장치
KR20120013284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카드
KR20120013922A (ko) 요금 정산 방법
KR20100003265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카드
KR20100004074A (ko) 교통수단 이용을 위한 단말장치
KR20090133103A (ko) 교통수단 이용 시스템
KR20100126083A (ko) 무인 하이패스 카드 충전 및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