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923A -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923A
KR20120012923A KR1020100075045A KR20100075045A KR20120012923A KR 20120012923 A KR20120012923 A KR 20120012923A KR 1020100075045 A KR1020100075045 A KR 1020100075045A KR 20100075045 A KR20100075045 A KR 20100075045A KR 20120012923 A KR20120012923 A KR 20120012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ity
type
attribute
model
cli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현
안선주
윤 김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7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923A/ko
Publication of KR2012001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진료정보 관리 시스템은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상기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을 저장하는 CCM 데이터베이스;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또는 상기 설정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상기 입력 받은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상기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를 저장하는 전자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해당하는 엔티티 및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에 대한 설정 값을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CCM의 형태로 상기 전자 진료 기록부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IRMATION USING CLINICAL CONTENTS MODEL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개시된 기술은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 분야에서도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에게 체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의료 정보화가 확산되고 있다. 의료 정보화(e-Health)는 정보 기술과 전자 기술 응용 기기 등을 이용하여 환자, 의료진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의료 및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료 정보 시스템은 전자 의료 기록 시스템(또는 전자 의무 기록 시스템), 전자 건강 기록 시스템, 처방 정보 전달 시스템, 의료 영상 저장 통신 시스템(PACS) 등과 같은 의료 시스템들로 구성된다.
전자의료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시스템은 병원 진료 지원 업무 중 의료 기록 업무를 전산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전자 의료 기록 시스템은 신속한 업무 처리와 인력 및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기록의 신속한 전달과 활용이 가능하고 환자의 대기 시간 단축된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 시스템은 모든 의료 기관의 전자 의료 기록을 네트워크로 통합하여 공유하는 시스템으로, 각 의료 기관별로 개별 관리되고 있는 환자의 진료 관련 자료들을 통일하고 시스템 및 서비스의 표준화를 통해 중복 투자와 낭비를 줄이며, 임상 진료의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자 건강 기록은 환자에 대한 처방 빛 임상 실험, 진료 의사 결정뿐만 아니라 환자의 의료 정보에 대한 장기적 관리를 가능하게 해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화된 시스템은 진료 정보에 대한 저장 뿐만 아니라 원격진료, 치료, 처방, 건강 관리, 및 분석과 기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처방 정보 전달 시스템(Ordering Communication System)은 의료 기관에서 컴퓨터망을 통해 의사의 처방을 각종 진료 지원부에 전달함으로써 진료 및 처방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처방 내역을 손쉽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상술한 다양한 의료 정보 시스템은 향상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의료진 또는 의료 기관 간에 의료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한다는 점에서 의료 데이터 또는 의료 데이터가 표현하려는 임상 모델이 통일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상기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을 저장하는 CCM 데이터베이스;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또는 상기 설정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상기 입력 받은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상기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를 저장하는 전자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해당하는 엔티티 및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에 대한 설정 값을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CCM의 형태로 상기 전자 진료 기록부에 기록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2 측면은 환자의 병명, 환자의 증상, 환자에 대한 처치 또는 환자에 대한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에 정의된 엔티티(Entity) 중 어느 하나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속성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정의된 설정 값(Value)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엔티티 및 설정 값을 상기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3 측면은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상기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을 확장성 표기언어(XML) 기반으로 표현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이하, CCML)를 생성하는 CCML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CCML)를 파싱하는 CCML 파싱부; 및 상기 파싱된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CCML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4 측면은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상기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이 저장되는 CCM 데이터베이스;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또는 상기 설정 값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CCM을 구성하는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생성하여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5 측면은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델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Attribut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값(Value)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6 측면은 환자의 병명, 환자의 증상, 환자에 대한 처치 또는 환자에 대한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에 정의된 엔티티(Entity) 중 어느 하나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속성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정의된 설정 값(Value)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엔티티 및 설정 값을 상기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7 측면은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델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Attribut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값(Value)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는 임상 콘텐츠 모델은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임상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임상 콘텐츠 모델은 EMR 또는 EHR 등의 의료 정보화 시스템에 적용되어, 간결하고 통일된 형태로 임상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는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는 XML 기반으로 임상 콘텐츠 모델을 표현하므로, 별도의 파서를 개발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EMR, EHR, PHR, U-헬스 시스템 등에서 구조화된 입력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임상 콘텐츠 모델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콘텐츠모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임상 콘텐츠 모델의 모델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임상 콘텐츠 모델의 설정 값 표시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임상 콘텐츠 모델의 표준 용어 코드 매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임상 콘텐츠 모델의 데이터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M 기반의 구조화된 임상 데이터 입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CCM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하여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 및 이를 확장성 표기 언어기반으로 표현하는 CCML을 나타낸다.
도 1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CML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CCML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CCML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CCML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6의 CCML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6은 CCML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CCML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CCML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종래, 국내의 많은 대형의료기관을 중심으로 개발된 전자의료기록(EMR)이 자료 입력에 집중하여 개발 되고, 개발 당시 표준 용어 및 대표 용어 등에 대한 고려가 없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자료를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에서 의미 있게 활용 하지 못하는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의료 정보 시스템의 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본 인프라로서, 자료 분석 및 자료 교환을 위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의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은 임상 데이터 사이의 관계에 따라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구성한 것을 의미하며, 임상모델, 데이터모델, 임상데이터모델로 지칭되기도 한다. 각 국가에서는 전자건강기록(EHR) 상에서 데이터의 구조, 에디터 항목 등의 표준화, 구조화를 추진할 수 있는 CCM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임상 데이터 모델로는, 호주의 Ocean Informatics 사의 아키타입(Archetype)과 미국 인터마운틴헬스케어센터의 CEM(Clinical Element Model)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임상 데이터 모델은 직관적이지 못하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개시된 기술에서는 기존의 임상 데이터 모델과의 호환성을 배제하는 반면,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임상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임상 콘텐츠 모델(CCM)을 제안한다.
도 1은 임상 콘텐츠 모델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AbdominalPainAssert" CCM이다. 도 1의 CCM이 표현하고자 하는 임상 개념은 복통(Abdominal Pain)으로, 이와 같이, CCM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을 엔티티(entity)로 정의 한다. CCM은 엔티티가 의미하는 임상 개념(복통)을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frequency"(발생빈도), "severity"(중증정도), "bodyStructure"(통증부위), "characterOfPain"(통증특성) 등의 속성자(Attribute)를 가진다. 각각의 속성자는 그 설정 값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severity"(중증정도)는 그 정도를 표현하는 설정 값으로 "Mild", "Mild to moderate", "Moderate" 등을 가질 수 있다. 즉, CCM은 도 1과 같이, 임상 개념(entity), 속성자(attribute) 및 설정 값(value)이 계층적인 구조로 연결되는 EAV(Entity-Attribute-Value) 형식을 따른다. EAV 형식이란, 하나의 CCM 마다 CCM이 표현하고자 하는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가 존재하고,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가 그 하위에 존재하고, 각 속성자 하위에는 속성자에 설정 가능한 설정 값(Value)이 존재하는 계층적 구조를 의미한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콘텐츠모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CM 생성장치(200)는 CCM 데이터베이스(210),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제어부(230) 및 메타데이터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CCM 생성장치(200)는 EMR, EHR 등의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임상 정보를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체계의 임상콘텐츠모델을 생성한다.
CCM 데이터베이스(210)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CCM들이 저장된다. 속성자(Attribute)는,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로 세분화될 할 수 있다. CCM은 가능한 모든 임상 개념에 대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CM은 환자가 호소하는 각종 증상, 환자에게 행해지는 각종 검사, 환자에 대한 각종 처방, 환자에게 진단되는 각종 질병 등의 임상 개념을 표현할 수 있다. CCM은 이런 다양한 임상 개념을 EAV(Entity-Attribute-Value) 계층 구조로 모형화 하기 때문에, EMR, EHR, PHR 등의 시스템에서 간결하고 통일된 형태로 임상 개념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CCM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저장된 CCM의 모델 타입(Model Type), 설정 값 표시 타입(Value Representation Type), 모델 명칭(Model Name) 또는 모델 식별자(Model ID)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모델 타입은 단일 임상 콘텐츠 모델에 대한 엔티티를 가지는 기본 모델 타입 및 복수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복합 모델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임상 콘텐츠 모델의 모델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기본 모델 타입(Atomic Model 또는 Simple Statement)을 나타낸다. 기본 모델 타입의 엔티티는 단일 임상 개념을 나타내며, 해당 임상 개념에 대한 속성자와 설정값을 가진다. 도 3의 (b)는 복합 모델 타입(Compound Model)을 나타낸다. 복합 모델 타입은, 이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클러스터(Cluster) 타입과, 동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패널(Panel) 타입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복합 모델 타입은 복수의 임상 개념(예를 들어, Apgar Score at Five Minute after birth, Apgar Score at One Minute after birth)을 포괄하는 임상 개념(Apgar Score)을 나타내는 엔티티를 가지며, 개별 임상 개념(Apgar Score at Five Minute after birth, Apgar Score at One Minute after birth)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item)으로 가진다. 이러한 개별 임상 개념은 별도의 CCM으로 생성되어 있다. 즉, 복합 모델 타입은 관련성이 높은 CCM들을 하나로 묶어서 생성된 CCM이다.
도 4는 임상 콘텐츠 모델의 설정 값 표시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정 값 표시 타입은 각 CCM이 가지는 주요 속성자들의 유형, 즉, 주요 속성자의 설정 값들이 가지는 의미에 따라 구분된다. 일례로 설정 값 표시 타입은 Assert(Assertion) 타입, Eval(Evaluation) 타입, Meas(Measurement) 타입 또는 Proc(Procedure)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Assert 타입(도 4의 a)은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진다.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속성자의 예로는, "dateOfOnset", "duration", "lasting", "severity", "frequency", "bodyStructure" 등이 있다. Eval 타입(도 4의 b)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진다.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속성자의 예로는, "FindingValues", "ClinicalFinding", "Activity", "Depth" 등이 있다. Meas 타입(도 4의 c)은 환자에 대해 수행된 검사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진다. 검사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속성자의 예로는, "Number", "Diameter", "Velocity", "Height", "Weight" 등이 있다. Proc 타입(도 4의 d)은 환자가 받은 처치를 나타내는 처치명을 설정 값으로 가진다. 처치명을 설정 값으로 가지는 속성자의 예로는, "SurgicalApproach", "Priority", "MethodOfIncision" 등이 있다.
각 엔티티가 가지는 속성자들은 개별적으로 결정하여 생성될 수도 있으나, 유사한 속성의 임상 개념을 나타내는 엔티티들은 유사한 패턴의 속성자들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속성자들을 편리하게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 Assert 타입의 속성자들(a)을 하나로 묶고, Eval 타입의 속성자들(b)을 하나로 묶고, Meas 타입의 속성자들(c)을 하나로 묶고, Proc 타입의 속성자들(d)을 하나로 묶어 그룹화 한다. 이후, 상기의 타입과 유사한 유형의 CCM을 생성할 때, 예컨대, Assert 타입의 속성을 가지는 CCM을 생성할 때, 해당 CCM의 설정 값 표시 타입을 "Assert"로 설정하여 미리 정해진 속성자들을 한번에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CCM의 설정 값 표시 타입을 정의하는 방법은 CCM을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일 실시예에 따른 CCM 데이터베이스(210)는 Entity 저장부(212), Attribute 저장부(214) 및 Value 저장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Entity 저장부(212)는 엔티티 명칭, 엔티티 데이터 타입, 엔티티 코드 및 엔티티 코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Attribute 저장부(214)는 속성자 명칭, 속성자 데이터 타입, 속성자 코드 및 속성자 코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Value 저장부(216)는 설정 값 그룹 명칭, 설정 값 명칭, 설정 값 데이터 타입, 설정 값 코드 및 설정 값 코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생성 또는 수정하려는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를 통하여 입력하고, 생성 또는 수정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니터 등)를 통하여 제공 받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CCM을 구성하는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생성하여 CCM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을 기반으로, 상기 생성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값을 수정, 편집 또는 조회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CCM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각각의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그에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 및 상기 표준 용어 코드가 정의된 코드 시스템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임상 콘텐츠 모델의 표준 용어 코드 매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CM에서 임상 개념을 표현하기 위한 엔티티, 속성자, 설정 값들은 복수의 시스템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용어를 매핑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Abdominal Pain(복통)이라는 증상은 '복통'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으며, 'Abdominal Pain' 또는 'A.P.'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이를 통일하여 표준 용어에 매핑할 필요가 있다. 매핑 될 수 있는 표준 용어 시스템은 제한이 없으며, 기 표준화된 용어 시스템이 아니라 장래에 표준화 되어 사용될 개연성이 있는 용어 시스템이라도 무관하다. 도 5에서는 SNOMED-CT(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Clinical Terms)용어 시스템과 LOINC(Logical Observation Identifiers Names and Codes) 용어 시스템에 매핑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일례로, 제어부(230)는 'Abdominal Pain'이라는 엔티티를 SNOMED-CT 용어 시스템에서 Abdominal Pain을 의미하는 용어 코드인 '1522001'과 매핑하여 Entity 저장부(212)에 저장한다. 또한, Entity 저장부(212)는 용어 코드와 함께, 어떠한 코드 시스템이 사용되었는지의 정보도 저장하여 해당 용어 코드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중증정도를 의미하는 'Severity'는 SNOMED-CT 코드 시스템의 '246112006'와 매핑되어 Attribute 저장부(214)에 저장된다.
도 6은 임상 콘텐츠 모델의 데이터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의료 정보화 시스템간에 CCM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용어를 표준화하여 사용하는 것 뿐 아니라 데이터 타입을 통일하는 것도 필요하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HL7 V3에서 정의된 데이터 타입이 적용되는 경우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엔티티와 속성자는 CD(Coded Descriptor) 등의 데이터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설정 값은 CO(Coded Ordinal), TS(Point in time), PQ(Physical Quantity), IVL(Interval) 및 그 외에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CD(Coded Descriptor), INT(Integer), REAL(Real), ST(String) 등의 데이터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저장부(240)는 CCM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 CCM을 생성, 수정 또는 사용하는 주체가 다양할 수 있고, 생성되는 CCM은 수천 개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CCM의 개발 이력 사항은 관리될 필요가 있다. 관리되어야 할 대상으로는, CCM의 생성자 또는 생성일과 같은 일반적인 사항들, CCM이 가지는 의미 또는 목적, CCM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또는 고려되었거나 고려되어야 할 사항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항들은 개발 이력을 훑어 보기 좋도록 버전 별로 관리될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의 CCM 생성장치(200)를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본 실시 예에 해당하므로 도 2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 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S710 단계에서, CCM 생성장치(200)는 생성하는 CCM의 모델 타입(Model Type), 설정값 표시 타입(Value Representation Type), 모델 명칭(Model Name), 또는 모델 식별자(Model ID)를 설정한다. 생성되는 CCM은 하나의 엔티티(Entity)가 그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가지고, 속성자(Attribute) 각각이 그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Value)을 가지는 EAV(Entity-Attribute-Value)의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를 가진다.
S720 단계에서, CCM 생성장치(200)는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델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를 생성한다. 엔티티가 단일의 임상 개념을 나타내는 경우, CCM은 기본 모델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엔티티가 복수의 관련성 있는 임상 개념들을 포괄하여 나타내는 경우, CCM은 복합 모델 타입(클러스터 타입 또는 패널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S730 단계에서, CCM 생성장치(200)는 S720 단계에서 생성된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Attribute)를 생성한다. 이때, 속성자(Attribute)는,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로 세분화 될 수 있다. S740 단계에서, CCM 생성장치(200)는 S730 단계에서 생성된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CCM 생성장치(200)는 S720 단계 내지 S740 단계에서 생성되는 엔티티, 속성자 및 설정 값을 표준 용어 코드와 매핑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S720 단계에서 CCM 생성장치(200)는 엔티티의 명칭에 해당하는 표준 용어 코드를 엔티티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표준 용어 코드가 정의되어 있는 코드 시스템(예를 들어, SNOMED-CT)도 엔티티와 매핑하여 저장될 수 있다.
S750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CCM 생성장치(200)는 S710 내지 S740 단계에서 생성된 CCM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CCM의 생성자 또는 사용자는 메타데이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CCM의 각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
S710 내지 S740 단계를 통하여 CCM이 생성된 이후, 요구사항이 변경되거나, 생성된 CCM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CCM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요구 사항이 변경되거나, 문제점이 발견되면, CCM 생성장치(200)는 S710 내지 S740 단계에서 생성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값을 편집한다(S760). 실시예에 따라, CCM 생성장치(200)는 편집된 내용을 메타데이터로 기록할 수 있다.
도 8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M 기반의 구조화된 임상 데이터 입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CCM은 PHR(Personal Health Record), EMR, EHR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 구조화된 임상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의료진은 진료 대상인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CCM의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의료진은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흉통, Chest Pain)에 해당하는 엔티티를 제1 란(810)에 입력한다. 시스템은 엔티티가 입력되면, 입력된 엔티티(증상)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수식자들(qualifier: 예를 들어, date of onset, recurrence, durations, severities, body structure, laterality 등)을 화면(820)에 제공한다. 의료진은 화면을 통하여 속성자들을 제공받아, 각 속성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 값(예를 들어, severity의 경우, mild, mild to moderate, moderate 등 중에서 하나 선택)을 제2 란(83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항 이외의 내용을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수정자(modifier)들을 사용하여 환자의 가족력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정자는 subjectInfo, negationInd, uncertainty 등이 있을 수 있다. subjectInfo는 환자에 대하여 기술된 내용의 주체를 수정함으로써 가족력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negationInd는 기술된 내용을 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uncertainty는 기술된 내용의 불확실성을 표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CCM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900)은 도 9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CCM 기반으로 임상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의료 정보화 시스템으로, EMR, EHR, PHR, PACS 등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900)은 CCM DB(910), 사용자 인터페이스(920), 전자진료기록 DB(930), 편집부(940)를 포함한다.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900)에서 사용되는 CCM은 도 2의 CCM 생성장치(200)에서 생성되거나 도 7의 CCM 생성방법에 따라 생성된 CCM을 포함하므로, 도2 및 도7에서 설명한 부분은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CCM DB(910)는 임상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구성한 임상 콘텐츠 모델(CCM)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CCM DB(910)에는 CCM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을 나타내는 엔티티(Entity),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되어 저장된다.
이때, CCM은 주로 포함하는 속성자들의 유형, 즉 주요 속성자들이 가지는 설정 값이 나타내는 의미에 따라, Assert 타입, Eval 타입, Meas 타입 또는 Proc타입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CCM은 엔티티가 단일 임상 개념을 나타내는지 또는 복수의 관련성 있는 임상 개념을 포괄하는 개념을 나타내는지에 따라 기본 모델 타입과 복합 모델 타입(클러스터 타입 또는 패널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속성자는 엔티티, 즉, 임상 개념을 부연 설명 하기 위한 것으로,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로 세분화 될 수 있다. 일례로, 수식자는 증상의 발생양상, 발생빈도, 중증정도, 발생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수정자는 환자의 가족력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CCM DB(910)는, 엔티티, 속성자 및 설정값을 표준 용어 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여 용어를 표준화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된 CCM의 데이터는 표준화된 HL7 데이터 타입을 따르도록 하여 여러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20)는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전자진료기록 DB(930)는 EMR 또는 EHR 등의 의료 정보화 시스템에서 환자의 진료 정보를 기록, 관리하기 위한 전자진료 기록부를 저장한다. 전자진료 기록부는 환자 별로 생성되어 환자의 진료 정보가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진료 기록부가 환자 별로 관리되는 경우, 전자진료 기록부에는 환자 식별자(예컨대, 환자의 이름), 환자의 나이, 성별, 주소 등과 같은 환자 개인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편집부(940)는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엔티티 및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에 대한 설정 값을 CCM DB(910)에 저장된 CCM의 형태로 해당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기록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부(940)는 Entity 편집부(942) 및 Value 편집부(944)를 포함한다. Entity 편집부(942)는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이 CCM에 정의된 엔티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입력되면, 입력된 엔티티를 전자진료 기록부에 기록한다. Entity 편집부(942)는 입력의 편의를 위하여, CCM DB(910)로부터 저장된 CCM들의 엔티티 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된 엔티티들을 사용자 인터페이스(92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엔티티들은 콤보 박스 형태로 화면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엔티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엔티티를 여러 가지 기준에 따른 유형으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특정 유형을 선택하면, 선택된 유형에 속하는 엔티티만을 화면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Entity 편집부(942)는 엔티티 명칭, 엔티티 타입, 표준 용어 코드 등의 일부 또는 전부로 엔티티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Entity 편집부(942)는 엔티티가 입력되면, 입력된 엔티티와 연결되어 CCM DB(910)에 정의된 속성자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환자 A의 증상으로 흉통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의료진은 사용자 인터페이스(920)를 통하여 "Chest Pain"을 입력한다. Entity 편집부(942)는 입력된 엔티티(Chest Pain)를 A의 전자진료 기록부에 기록한다. A의 전자진료기록부는 다른 사람의 전자진료기록부와 함께 전자진료기록 DB(930)에 저장된다. 또한, Entity 편집부(942)는 입력된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Chest Pain"과 연결되어 미리 정의된 속성자, "dateOfOnset", "recurrence", "durations", "severity", "body structure" 또는 "laterality" 등을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Value 편집부(944)는 Entity 편집부(942)가 제공한 속성자 각각에 대한 설정 값이 입력되면, 입력된 설정 값을 전자진료 기록부에 기록한다. 예컨대, A 환자의 증상이 "Mild"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속성자 "severity"에 대한 설정 값으로 "Mild"가 입력되고, 설정값 편집부(944)는 입력된 "Mild"를 A의 전자진료 기록부에 기록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집부(940)는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에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추가하거나, 기록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가 하나 이상의 증상을 호소하거나,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과 함께, 그에 따른 처방 내용을 기록하고 싶은 경우 한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에는 엔티티가 추가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입력된 엔티티에 기본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속성자 이외의 속성자를 추가하여 해당 정보를 기록하고 싶은 경우, 편집부(940)는 속성자를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하나의 속성자에 대하여 환자를 진료하는 때마다 서로 다른 설정 값을 기록하고 싶은 경우, 편집부(940)는 설정값을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하여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의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900)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도 본 실시 예에 해당하므로 도 9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 예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S1010 단계에서, 관리 시스템(900)은 환자의 병명, 환자의 증상, 환자에 대한 처치 또는 환자에 대한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CCM에 정의된 엔티티(Entity) 중 어느 하나로 입력 받는다. S1020 단계에서, 관리 시스템(900)은 입력된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CCM에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제공한다. S1030 단계에서, 관리 시스템(900)은 제공된 속성자 각각에 대하여, 속성자가 가질 수 있도록 CCM에 미리 정의된 설정 값(Value)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다. 또한, 관리 시스템(900)은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저장된 설정 값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시스템(900)은 시간에 따른 환자의 상태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나의 속성자에 복수의 설정 값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시스템(900)은 속성자에 대하여 새로운 설정 값이 추가하여 입력 되는 경우, 새로 입력된 설정 값을 새로 입력된 시간 정보와 함께 전자진료 기록부에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040 단계에서, 관리 시스템(900)은 S1010 단계 및 S1030 단계에서 입력된 엔티티 및 설정 값을 해당하는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에 저장한다.
S1050 단계에서, 관리 시스템(900)은 상기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에 엔티티를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엔티티가 추가 되거나 수정된 경우, 관리 시스템(900)은 S1020 단계에서와 같이, 추가 또는 수정된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Attribute)를 제공한다. 이후, 관리 시스템(900)은 S1030 내지 S1040 단계에서와 같이, 제공된 속성자 각각에 대한 설정값을 입력 받아 상기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에 저장 한다.
도 1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 및 이를 확장성 표기 언어기반으로 표현하는 CCML을 나타낸다. 확장성 표기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이하, XML)란 확장 가능한 마크업 언어를 의미한다. 마크업이란 문서 처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문서에 추가되는 정보로, 문서의 논리적 구성이나 체계와 같은 문서의 포맷을 지정하거나, 문서 내용의 찾아보기 또는 찾아보기 작업(indexing)을 지정할 수 있다. CCM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활용하기 위해 CCM의 내용과 구조를 반영한 모델 표현 언어로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인,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CCML)가 개시된다. CCML은 XML 기반으로 CCML의 생성, 파싱 및 처리에 대하여 기술 중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즉, CCML은 XML 생성, 처리, 파싱, 저장에 대한 어떤 기술을 사용하여 무관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CCM이 가지는 EAV(Entity-Attribute-Value) 형태의 계층적 구조가 CCML에도 반영되어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의 CCML 처리 장치(1200)는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CCM을 XML 기반의 마크업 언어로 처리하는 장치이다. CCML 처리 장치(1200)는 CCM DB(1210), 전자진료기록 DB(1220),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 CCM 편집부(1240), 전자진료기록 편집부(1250), CCML 생성부(1260), CCML 파싱부(1270) 및 제어부(1280)를 포함한다.
CCM DB(1210)는 임상 데이터를 논리적으로 구성한 임상 콘텐츠 모델(CCM)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CCM DB(1210)에는 CCM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을 나타내는 엔티티(Entity),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되어 저장된다.
전자진료기록 DB(1220)는 EMR 또는 EHR 등의 의료 정보화 시스템에서 환자의 진료 정보를 기록, 관리하기 위한 전자진료 기록부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30)는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CCM 편집부(1240)는 새로운 CCM의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생성하거나, 미리 생성된 CCM의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수정 또는 삭제한다. 일례로, CCM 편집부(1240)는, 상기 생성되거나 수정되는 CCM의 모델 타입(Model Type), 설정값 표시 타입(Value Representation Type), 모델 명칭(Model Name), 또는 모델 식별자(Model ID)를 설정한다. 이 때, 모델 타입은, 단일 임상 콘텐츠 모델에 대한 엔티티를 가지는 모델인 기본 모델 타입 및 복수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모델인 복합 모델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값 표시 타입은 각 CCM이 가지는 주요 속성자들의 유형, 즉, 주요 속성자의 설정 값들이 가지는 의미에 따라, Assert(Assertion) 타입, Eval(Evaluation) 타입, Meas(Measurement) 타입 및 Proc(Procedure) 타입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CCM 편집부(1340)는, 모델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생성,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CCM 편집부(1240)는, 엔티티, 속성자 및 설정값을 표준 용어 코드와 매핑하여 CCM DB(1210)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진료기록 편집부(1250)는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해당하는 엔티티 및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에 대한 설정 값이 CCM의 형태로 기록되는 전자 진료 기록부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한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진료기록 편집부(1250)는,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추가하거나, 기록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
CCML 생성부(1260)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확장성 표기언어(XML) 기반으로 표현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이하, CCML)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CCML 생성부(1260)는 CCM 편집부(1240)에서 생성되거나 수정되는 CCM을 XML 기반으로 표현하는 CCML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CCML 생성부(1260)는 전자진료기록 편집부(1250)에서 생성되거나 수정되는 전자진료 기록을 XML 기반으로 표현하는 CCML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CCML 생성부(1260)은 생성된 CCML을 수정하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CCML 생성부(1260)는 CCML 저장부(1262)를 더 포함하여, CCML 생성부(1260)에서 생성된 CCML을 저장할 수 있다.
CCML 파싱부(1270)는 생성된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CCML)를 파싱한다. CCML 파싱부(1270)는 생성된 CCML을 분석하여, CCML로부터 엔티티 명칭, 엔티티 데이터 타입, 엔티티 코드, 엔티티 코드 시스템, 속성자 명칭, 속성자 데이터 타입 등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제어부(1380)는 파싱된 데이터를 출력 화면에 맞게 랜더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13은 도 12의 CCML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CCML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CCML은 CCM을 표현하는 콘텐츠 부분(Contents Part, 1310)과 CCM 또는 CCML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 등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부분(Metadata Part, 1320)을 포함한다. 하나의 CCM을 나타내는 CCML(1330)은 하나의 엔티티(1340)를 가지고, 하나의 엔티티(1340)는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1350), 즉 수식자(Qualifier) 또는 수정자(Modifier)를 가진다. 또한, 하나의 속성자(예를 들어 수식자)는 해당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들의 집합(1360)을 가지게 된다.
도 14는 CCML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CCML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4는 "AbdominalPainAssert"라는 CCM의 콘텐츠 부분에 해당하는 CCML을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콘텐츠 부분은 CCM을 정의하고 있는 제1 구역(1410), 엔티티를 정의하고 있는 제2 구역(1420), 속성자(수식자 또는 수정자)를 정의하고 있는 제3 구역(1430) 및 설정 값을 정의하고 있는 제4 구역(14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구역(1410)은 CCM의 모델의 명칭(AbdominalPainAssert), 모델 타입(Simple Statement) 등이 정의된다. 제2 구역(1420)은 엔티티의 명칭(Abdominal Pain), 데이터 타입(HL7의 CD), 해당 엔티티에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21522001), 표준용어 코드 시스템(SNOMED-CT 2008) 등이 정의된다. 제3 구역(1430)은 수식자의 명칭(periodOfOnset), 데이터 타입(HL7의 CD), 해당 수식자에 해당하는 표준 용어 코드(278924003), 표준 용어 코드 시스템(SNOMED-CT 2008) 등이 정의된다. 제4 구역(1440)은 수식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들(Value Set)의 명칭(periodOfOnsets), 각 설정 값의 명칭(Acute, Subacute, Chronic), 해당 설정 값에 해당하는 표준 용어 코드(373933003, 373935005, 90734009), 표준 용어 코드 시스템(SNOMED-CT 2008) 등이 정의된다.
도 15는 도 16의 CCML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CCML 생성부(1260)에서 생성된 CCML은 CCML 파싱부(1270)에서 파싱되고, 제어부(1280)에서 출력 수단에 맞게 랜더링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4에서 설명한 CCML의 제1 내지 제4 구역(1410, 1420, 1430, 1440)은 도 15의 화면 제1 내지 제4 구역(1510, 1520, 1530, 1540)으로 랜더링 되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은 CCML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CCML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6은 "AbdominalPainAssert"라는 CCM의 메타데이터 부분에 해당하는 CCML을 예를 들어 나타내고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콘텐츠 부분은 해당 CCM의 버전(v 0.7), 생성자(2세부), 생성일(20080905 20090617), CCM의 목적, 버전 별 수정 사항(modificationInformation) 또는 검토 사항(relatedIssues)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통하여 해당 CCM의 기본적인 정보, 해당 CCM이 생성 또는 수정 이력 사항 등을 손쉽게 알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도 16의 CCML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콘텐츠 부분과 마찬가지로, 메타데이터 부분도, CCML 생성부(1260)에서 생성된 CCML이 CCML 파싱부(1270)에서 파싱되고, 제어부(1280)에서 출력 수단에 맞게 랜더링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다.
도 7 및 도10에서 설명한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시스템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5)

  1.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상기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을 저장하는 CCM 데이터베이스;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또는 상기 설정 값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상기 입력 받은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자의 진료 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상기 환자의 전자진료 기록부를 저장하는 전자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 및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해당하는 엔티티 및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에 대한 설정 값을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CCM의 형태로 상기 전자 진료 기록부에 기록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이 상기 CCM에 정의된 엔티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엔티티를 상기 전자 진료 기록부에 기록하고, 상기 엔티티와 연결되어 상기 CCM에 정의된 속성자를 제공하는 엔티티 편집부; 및
    상기 제공된 속성자 각각에 대한 설정 값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설정 값을 상기 전자 진료 기록부에 기록하는 설정값 편집부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은,
    단일 임상 콘텐츠 모델에 대한 엔티티를 가지는 기본 모델 타입 또는 복수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복합 모델 타입으로 분류되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모델 타입은,
    이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클러스터(Cluster) 타입 및 동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패널(Panel) 타입으로 세분화되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은,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이 나타내는 의미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Assert(Assertion) 타입,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Eval(Evaluation) 타입, 환자에 대해 수행된 검사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Meas(Measurement) 타입 및 환자가 받은 처치를 나타내는 처치명을 설정 값으로 가지는 Proc(Procedure)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은,
    상기 모델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자(Attribute)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로 세분화되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자는,
    상기 환자의 가족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거나, 기술된 내용의 일부를 부정하거나 불확실성을 표현할 수 있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부는,
    상기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값을 추가하거나, 상기 기록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값을 수정 또는 삭제하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및 상기 설정값을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CCM의 데이터는 HL7(Health Level seven) 데이터 타입을 따르는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11. 환자의 병명, 환자의 증상, 환자에 대한 처치 또는 환자에 대한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에 정의된 엔티티(Entity) 중 어느 하나로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속성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정의된 설정 값(Value)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엔티티 및 설정 값을 상기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은,
    하나의 엔티티(Entity)가 그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가지고, 상기 속성자(Attribute) 각각이 그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Value)을 가지는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인 EAV(Entity-Attribute-Value) 형식으로 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은,
    단일 임상 콘텐츠 모델에 대한 엔티티를 가지는 기본 모델 타입 및 복수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복합 모델 타입으로 분류되는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모델 타입은,
    이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클러스터(Cluster) 타입 및 동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패널(Panel) 타입으로 세분화되는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은,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이 나타내는 의미에 따라,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Assert(Assertion) 타입,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Eval(Evaluation) 타입, 환자에 대해 수행된 검사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는 Meas(Measurement) 타입 및 환자가 받은 처치를 나타내는 처치명을 설정 값으로 가지는 Proc(Procedure) 타입 중 어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되는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은,
    상기 모델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자(Attribute)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를 세부 항목으로 포함하는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자는,
    상기 환자의 가족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거나, 기술된 내용의 일부를 부정하거나 불확실성을 표현할 수 있는 진료 정보 관리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엔티티를 추가 또는 수정하는 단계;
    상기 추가 또는 수정된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미리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자 각각에 대하여,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에 정의된 설정 값(Value) 중 어느 하나를 입력 받아 상기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정보 관리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저장된 설정 값을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료정보 관리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자는, 시간에 따른 환자의 경과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의 설정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속성자에 대하여 새로운 설정 값이 추가하여 입력 되는 경우, 상기 새로 입력된 설정 값을 상기 새로 입력된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전자 진료 기록부에 추가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진료 정보 관리방법.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및 상기 설정값은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와 매핑 되어 저장되고, 상기 임상 콘텐츠 모델의 데이터는 HL7 데이터 타입을 타르는 진료 정보 관리 방법.
  23.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상기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을 확장성 표기언어(XML) 기반으로 표현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이하, CCML)를 생성하는 CCML 생성부;
    상기 생성된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Clinical Contents Model Mark-up Language, CCML)를 파싱하는 CCML 파싱부; 및
    상기 파싱된 데이터를 랜더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CCML 처리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새로운 CCM의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생성하거나, 미리 생성된 CCM의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수정 또는 삭제하는 CCM 편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CML 생성부는 상기 CCM 편집부에서 생성되거나 수정되는 CCM을 XML 기반으로 표현하는 CCML을 생성하는 CCML 처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CM 편집부는,
    상기 생성되거나 수정되는 CCM의 모델 타입(Model Type), 설정값 표시 타입(Value Representation Type), 모델 명칭(Model Name), 또는 모델 식별자(Model ID)를 설정하는 CCML 처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타입은,
    단일 임상 콘텐츠 모델에 대한 엔티티를 가지는 모델인 기본 모델 타입 및 복수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모델인 복합 모델 타입을 포함하는 CCML 처리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표시 타입은 Assert(Assertion) 타입, Eval(Evaluation) 타입, Meas(Measurement) 타입 및 Proc(Procedure)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Assert 타입은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값으로 가지고, 상기 Eval 타입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명사를 설정값으로 가지고, 상기 Meas 타입은 환자에 대해 수행된 검사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값으로 가지고, Proc 타입은 환자가 받은 처치를 나타내는 처치명을 설정값으로 가지는 CCML 처리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CM 편집부는,
    상기 모델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CCML 처리 장치.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CCM 편집부는,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및 상기 설정값을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와 매핑되도록 생성하는 CCML 처리 장치.
  30. 제23항에 있어서,
    환자의 진료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병명, 증상, 처치 또는 처방을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해당하는 엔티티 및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에 대한 설정 값이 상기 CCM의 형태로 기록되는 전자 진료 기록부를 생성, 수정 또는 삭제하는 전자진료기록 편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CCML 생성부는 상기 전자 기록 편집부에서 생성되거나 수정되는 CCM 형태의 전지 진료 기록을 XML 기반으로 표현하는 CCML을 생성하는 CCML 처리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자(Attribute)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로 세분화되는 CCML 처리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자는,
    상기 환자의 가족력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거나, 기술된 내용의 일부를 부정하거나 불확실성을 표현할 수 있는 CCML 처리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진료기록 편집부는,
    상기 환자의 전자 진료 기록부에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추가하거나, 상기 기록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수정 또는 삭제하는 CCML 처리 장치.
  34.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 및 상기 각각의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 값(Value)이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 이하, CCM)이 저장되는 CCM 데이터베이스;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또는 상기 설정 값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CCM을 구성하는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 값을 생성하여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엔티티를 구성하는 엔티티 명칭, 엔티티 데이터 타입, 엔티티 코드 및 엔티티 코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엔티티 저장부;
    상기 속성자를 구성하는 속성자 명칭, 속성자 데이터 타입, 속성자 코드 및 속성자 코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속성자 저장부; 및
    상기 설정 값을 구성하는 설정 값 그룹 명칭, 설정 값 명칭, 설정 값 데이터 타입, 설정 값 코드 및 설정 값 코드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설정 값 저장부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CCM의 모델 타입(Model Type), 설정 값 표시 타입(Value Representation Type), 모델 명칭(Model Name) 또는 모델 식별자(Model ID)가 더 저장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타입은,
    단일 임상 콘텐츠 모델에 대한 엔티티를 가지는 모델인 기본 모델 타입 및 복수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모델인 복합 모델 타입을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모델 타입은,
    이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클러스터(Cluster) 타입 및 동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패널(Panel) 타입을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 표시 타입은 Assert(Assertion) 타입, Eval(Evaluation) 타입, Meas(Measurement) 타입 및 Proc(Procedure)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Assert 타입은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고, 상기 Eval 타입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고, 상기 Meas 타입은 환자에 대해 수행된 검사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 값으로 가지고, Proc 타입은 환자가 받은 처치를 나타내는 처치명을 설정 값으로 가지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자(Attribute)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로 세분화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CCM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생성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값을 수정, 편집 또는 조회할 수 있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CM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각각의 엔티티에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 및 상기 엔티티에 상응하는 코드가 정의된 코드 시스템, 상기 각각의 속성자에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 및 상기 속성자에 상응하는 코드가 정의된 코드 시스템, 상기 각각의 설정 값에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 및 상기 설정 값에 상응하는 코드가 정의된 코드 시스템을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제어 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장치.
  44. 임상 콘텐츠 모델(Clinical Contents Model)을 구성하는 각각의 모델이 표현하고자 하는 개별 임상 개념인 엔티티(Entity)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엔티티를 부연 설명하기 위한 속성자(Attribut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자가 가질 수 있는 설정값(Value)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은,
    하나의 엔티티(Entity)가 그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속성자(Attribute)를 가지고, 상기 속성자(Attribute) 각각이 그 하위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값(Value)을 가지는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인 EAV(Entity-Attribute-Value) 형식으로 된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의 모델 타입(Model Type), 설정값 표시 타입(Value Representation Type), 모델 명칭(Model Name), 또는 모델 식별자(Model ID)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타입은,
    단일 임상 콘텐츠 모델에 대한 엔티티를 가지는 모델인 기본 모델 타입 및 복수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모델인 복합 모델 타입을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모델 타입은,
    이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클러스터(Cluster) 타입 및 동질의 임상 콘텐츠 모델들을 엔티티의 하위 항목으로 가지는 패널(Panel) 타입을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49.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표시 타입은 Assert(Assertion) 타입, Eval(Evaluation) 타입, Meas(Measurement) 타입 및 Proc(Procedure)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Assert 타입은 환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값으로 가지고, 상기 Eval 타입은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는 명사를 설정값으로 가지고, 상기 Meas 타입은 환자에 대해 수행된 검사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명사를 설정값으로 가지고, Proc 타입은 환자가 받은 처치를 나타내는 처치명을 설정값으로 가지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의 생성 관련 사항, 버전 별 수정 사항 또는 검토 사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자(Attribute)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수식자(Qualifier) 또는 상기 엔티티가 나타내는 임상 개념에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하거나 일부 내용을 변경하는 수정자(Modifier)로 세분화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52.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엔티티, 속성자 또는 설정값을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53.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엔티티, 상기 속성자 및 상기 설정값은 상응하는 표준 용어 코드와 매핑 되어 생성되는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
  54. 제11항에 기재된 진료정보 관리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5. 제44항에 기재된 임상 콘텐츠 모델 생성 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075045A 2010-08-03 2010-08-03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 KR20120012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45A KR20120012923A (ko) 2010-08-03 2010-08-03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045A KR20120012923A (ko) 2010-08-03 2010-08-03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923A true KR20120012923A (ko) 2012-02-13

Family

ID=4583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045A KR20120012923A (ko) 2010-08-03 2010-08-03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9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826A1 (ko) * 2015-01-23 2016-07-28 주식회사 싸이퍼롬 진료기록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메타데이터 저장소
KR20190094729A (ko) * 2018-02-05 2019-08-14 재단법인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 사업단 임상시험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826A1 (ko) * 2015-01-23 2016-07-28 주식회사 싸이퍼롬 진료기록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메타데이터 저장소
KR20190094729A (ko) * 2018-02-05 2019-08-14 재단법인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 사업단 임상시험을 위한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ause et al. Supporting iterative cohort construction with visual temporal queries
Boussadi et al. A 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 (FHIR) layer implemented over i2b2
Wang et al. Archetype relational mapping-a practical openEHR persistence solution
US201001382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inical element extraction, holding, and transmission in a widget-based application
US9223933B2 (en) Formlets as an enabler of the clinical user experience
US8887090B2 (en) Surfacing of detailed information via formlets
US20080228522A1 (en) Enterprise medical imaging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clinical data min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use
RU2697764C1 (ru) Итерационное построение разделов истории болезни
CN110379472A (zh) 一种临床研究项目管理系统
JP2017191457A (ja) レポート作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essel et al. Review of developments in electronic, clinical data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systems over the last decade–are we ready for big data in routine health care?
Adamusiak et al. Next generation phenotyping using the unified medical language system
RU2733114C2 (ru)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описательных отчетов из исполнимых клинических протоколов
US20200089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main-specific analytics
Klann et al. Computing health quality measures using Informatics for Integrating Biology and the Bedside
Post et al. Semantic ETL into i2b2 with Eureka!
CN105474218A (zh) 用于报告多个医疗程序的系统和方法
US202001761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uideline concordance
Hsieh et al. The transformation of surgery patient care with a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ystem
Hong et al. Shiny FHIR: an integrated framework leveraging Shiny R and HL7 FHIR to empower standards-based clinical data applications
KR20120012923A (ko) 임상 콘텐츠 모델을 이용한 진료 정보 관리 시스템, 진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임상 콘텐츠 모델 마크업 언어 처리 장치
Choi et al. Modeling a nursing guideline with standard terminology and unified modeling language for a nursing decision support system: a case study
Zhou et al. A decade of experience in creating and maintaining data elements for structured clinical documentation in EHRs
Shankar et al. Use of Protégé-2000 to Encode Clinical Guidelines.
Mishra et al. Towards developing an interoperability framework for healthcare community of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