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893A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893A
KR20120012893A KR1020100074995A KR20100074995A KR20120012893A KR 20120012893 A KR20120012893 A KR 20120012893A KR 1020100074995 A KR1020100074995 A KR 1020100074995A KR 20100074995 A KR20100074995 A KR 20100074995A KR 20120012893 A KR20120012893 A KR 20120012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ight
chip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5905B1 (ko
Inventor
장기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59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5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prismatic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8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being a simple lens adapted to cooperate with a point-like source for emitting mainly in one direction and having an axis coincident with the main light transmission direction, e.g. convergent or divergent lenses, plano-concave or plano-convex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for controlling or changing the state of polarisation, e.g. transforming one polarisation state in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동일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파장의 광과 발광 소자와 상이한 제1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 형성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R(Red), G(Green), B(Blue)의 광을 방출하는 칩, White의 광을 방출하는 칩, cyan의 광을 방출하는 칩, magenta의 광을 방출하는 칩 또는 yellow의 광을 방출하는 칩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다른 하나의 칩으로 선택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LIGHT E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안경식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발광 소자다. 최근 발광 소자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다양한 색의 발광 소자를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우수한 백색 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 소자를 이용한 발광 소자의 휘도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점등 표시기, 영상 표시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영상 표시 장치는 평평한 하나의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람이 일반적인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해 영상을 관찰하면 입체감을 느낄 수 없다. 이는 사람의 양안에 동일한 영상이 보여지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사람의 양안에 시각 차이를 갖는 서로 다른 두 영상이 각각 보여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람은 입체영상 표시 장치를 통해 실제로 물체를 관찰할 때와 유사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화면을 입체적으로 표현 가능한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동일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파장의 광과 발광 소자와 상이한 제1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 형성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R(Red), G(Green), B(Blue)의 광을 방출하는 칩, White의 광을 방출하는 칩, cyan의 광을 방출하는 칩, magenta의 광을 방출하는 칩 또는 yellow의 광을 방출하는 칩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다른 하나의 칩으로 선택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스템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된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는 패키지 몸체와, 상기 패키지 몸체에 설치된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과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동일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파장의 광과 발광 소자와 상이한 제1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 형성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R(Red), G(Green), B(Blue)의 광을 방출하는 칩, White의 광을 방출하는 칩, cyan의 광을 방출하는 칩, magenta의 광을 방출하는 칩 또는 yellow의 광을 방출하는 칩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다른 하나의 칩으로 선택된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화면을 입체적으로 표현 가능한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는 별도의 편광 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관찰자(110)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입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는 관찰자(110)가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찰자(110)의 좌안으로 인식되는 좌영상(L)과 관찰자(110)의 우안으로 인식되는 우영상(R)을 교대로 표시한다.
상기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는 영상표시패널(152)을 포함할 수 있고 좌영상(L)과 우영상(R)에 대한 시각(visual angle)을 제어하는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시각 제어 장치는 교대로 표시되는 좌영상(L)과 우영상(R)이 각각 관찰자(110)의 어느 한 쪽 눈에 의해 관찰되도록 시각을 제어한다. 시각 제어 장치의 예로서,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또는 렌티큘러 렌즈(Renticular Len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는 패럴랙스 배리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무안경식(Auto Stereoscopic)으로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찰자와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는 관찰자(111, 112, 113)에 의해 관찰되는 영상을 설명한다.
도 2에서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는 영상 표시 패널(152), 패럴랙스 배리어(154), 렌즈(156)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는 패럴랙스 배리어(154) 또는 렌즈(156)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패널(152)은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교대로 표시한다. 도 2에서 좌영상(L)과 우영상(R)은 각각 L과 R로 표시된다. 영상 표시 패널(152)은 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 (Plasma Display Panel), FED (Field Emission Display), LD (Electro-Luminescent Display),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가 패럴랙스 배리어(154)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제2, 제3 관찰자(111, 112, 113)는 패럴랙스 배리어(154)를 통해 영상 표시 패널(152)을 관찰한다. 따라서, 관찰자는 패럴랙스 배리어(154)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에 표시되는 영상을 관찰할 수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찰자(111)의 좌안의 위치에서는 패럴랙스 배리어(154)에 의해 우영상(R)이 표시되는 부분이 가려진다. 한편, 제1 관찰자(111)의 우안의 위치에서는 패럴랙스 배리어(154)에 의해 좌영상(L)이 표시되는 부분이 가려진다. 따라서, 제1 관찰자(111)는 좌안을 통해 좌영상(L)을 관찰하고, 우안을 통해 우영상(R)을 관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관찰자(112) 및 제3 관찰자(113)도 각각 좌안으로 좌영상(L)을, 우안으로 우영상(R)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는 렌즈(156)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렌즈(156)는 좌영상(L) 및 우영상(R)에 대한 시각을 제어한다. 즉, 상기 렌즈(156)는 좌영상(L) 및 우영상(R)에 의해 표시되는 빛의 방향을 굴절시킨다. 따라서, 제1, 제2, 제3 관찰자(111, 112, 113)는 각각 좌안을 통해 좌영상(L)을 관찰하고, 우안을 통해 우영상(R)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렌즈(156)는 하나의 렌즈가 좌영상(L) 및 우영상(R)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영상(L) 및 우영상(R)은 양안의 시각(visual angle) 차이를 갖는 서로 다른 두 영상이 각각 보여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관찰자는 입체영상 표시장치(150)를 통해 실제로 물체를 육안으로 관찰할 때와 유사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좌영상(L) 및 우영상(R)의 색상을 달리하여 표현함으로써 입체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단면도로서, 기판(310) 위에 발광 소자(340, 350)를 칩 형태로 탑재하는 COB(Chip on board) 타입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310)과, 기판(310) 상에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의 안착을 위한 경사면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부(315, 317)와, 렌즈(360)를 포함하여 몸체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는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상기 기판(310)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기판(310)은 단층 PCB, 다층 PCB, FPCB, 세라믹 기판, 금속 기판 등의 다양한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31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리드 프레임 혹은 전극층이 패터닝될 수 있으며,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판(310)에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의 안착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산란 또는 집광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 중앙의 상부에 상기 렌즈(360)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360)는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Si), 유리,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156)는 사출 성형 및 몰딩의 방법으로 형성한 후 패키지 위에 접착하거나, 패키지 위에 젤을 형성하고 렌즈를 덮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렌즈(360)는 원뿔형, 다각뿔 형상으로 좌영상(L)과 우영상(R)을 굴절시켜 정면으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렌즈(360)는 좌영상(L)과 우영상(R)에 대한 시각을 제어한다. 즉 상기 렌즈(360)는 동일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파장의 광과 상이한 제2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제2 발광 소자로부터 좌영상(L)과 우영상(R)에 의해 표시되는 빛의 방향을 굴절시킨다. 따라서 관찰자는 각각 좌안을 통해 좌영상(L)을 관찰하고, 우안을 통해 우영상(R)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는 상기 기판(310) 위에 복수개가 횡 방향 또는/및 종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310)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는 상기 기판(310) 상에, 와이어, 플립 방식 또는 다이 본딩 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발광 소자(340)는 R(Red), G(Green), B(Blue)의 3개의 칩으로 형성되었고, 상기 제2 발광 소자(350)는 화이트 칩으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색상이 상이하면 되고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R, G, B 광을 방출하는 칩, White 광을 방출하는 칩, cyan 광을 방출하는 칩, magenta 광을 방출하는 칩, 또는 yellow 광을 방출하는 칩 중에서 상기 제1 발광 소자(340)가 선택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350)는 상기 제1 발광 소자(340)와 다른 색상의 광을 발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340)에 의해 우영상(R)(또는 좌영상(L))이 컬러영상을 표현할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 소자(350)에 의해 좌영상(L)(또는 우영상(R))이 흑백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340)에서 발생되는 빛은 도 2의 우영상(R)의 해당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350)에서 발생되는 빛은 도 2의 좌영상(L)의 해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가 각각 다른 색상을 표현하면 사용자는 좌안과 우안에 각각 다른 색상의 영상을 인지하게 되므로 좌영상(L) 및 우영상(R)을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느낄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5, 317)는 상기 기판(310)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의 안착을 위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를 상기 안착부(315, 317)에 실장하면, 상기 안착부(315, 317)의 경사도에 따라 발광 소자(340, 350)가 경사지게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의 실장 각도에 따라 상기 발광 소자(300)의 지향각이 변화하게 된다. 상기 안착부(315, 317)의 경사도를 조절함으로써 광 지향각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5, 317)는 기판(310) 자체를 가공하여 실장영역이 경사면을 갖도록 돌출시키거나, 혹은,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의 접속이 가능한 소정 구조물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착부(315, 317)는 실장하고자 하는 발광 소자의 개수에 따라 둘 이상 복수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발광 소자의 지향각 및 방열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발광 장치의 경우, 안착부(315, 317)의 경사면이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에, 안착부(315, 317)에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를 안착시키면, 제1 발광 소자(340)와 제2 발광 소자(350)의 광 조사방향이 중심선으로 상호 집광된다. 상기 안착부(315, 317)의 경사도가 커질수록 광 지향각은 중심선 쪽으로 집광될 수 있고, 상기 안착부(315, 317)의 경사도를 조정함으로써 광 지향각의 집광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5, 317)의 경사각은 발광 소자의 광 지향각을 고려하여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기판(310)의 수평 방향에 대하여 0˚ 내지 60˚의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장치는, 기판(310)과, 기판(310) 상에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의 안착을 위한 복수개의 경사면을 제공하는 하나의 안착부(316)와, 렌즈(15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는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상기 기판(310)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16)의 경사면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에서 발생되는 광을 집광하기 위한 렌즈(15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156)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발광 장치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156)는 상기 발광 장치에서 제1 발광 소자 및 이와 인접한 발광 장치의 제2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빛을 집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340)는 R(Red), G(Green), B(Blue)의 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 소자(350)는 상기 제1 발광 소자(340)와 상이한 화이트 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렌즈(156)가 하나의 발광 장치 및 이와 인접하는 발광 장치의 사이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350)가 하나의 안착부(316) 상에서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실장되므로 비용면에서 경제적이고 패키지의 제작이 간편해질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발광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장치는, 기판(310)과, 기판(310) 상에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의 안착을 위한 경사면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안착부(315, 317)와, 렌즈(156)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 350)는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상기 기판(310) 상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렌즈(156)의 상면에 광 추출부(158)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광 추출부(158)는 볼록한 반구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되었으나 형태 및 크기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340,350)에서 생성된 빛이 상기 렌즈(156)에 입사하고 상기 광 추출부(158)를 통해 외부로 반사될 때 상기 광 추출부(158)가 볼록한 구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되므로 상기 좌영상(L) 및 우영상(R)이 상대적으로 여러 위치에서 관찰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발광 소자(340)에서 좌영상(L)(345)이 관찰되고, 제2 발광 소자(350)에서 우영상(R)(355)이 관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340)는 예를 들어, R, G, B광을 방출하는 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 소자(350)는 상기 제1 발광 소자(340)와 상이한, 예를 들어 White 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340)는 RGB 칩으로 형성되므로, 관찰자(110)의 좌안에는 컬러 영상의 화면이 관찰될 수 있고, 상기 제2 발광 소자(350)는 White 칩으로 형성되므로, 관찰자(110)의 우안에는 흑백 영상의 화면이 관찰될 수 있다. 관찰자(110)는 좌영상(L)과 우영상(R)의 색상이 상이하므로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영상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입체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발광 소자(340)와 제2 발광 소자(350)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이나 색상이 상이하여, 상기 렌즈(156)에 의해 제어된 좌영상(L) 및 우영상(R)에 의해 화면의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동일한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이한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의 상부에 형성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R(Red), G(Green), B(Blue)의 광을 방출하는 칩, White의 광을 방출하는 칩, cyan의 광을 방출하는 칩, magenta의 광을 방출하는 칩 또는 yellow의 광을 방출하는 칩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다른 하나의 칩으로 선택되는 발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원뿔 또는 다각뿔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뿔 또는 다각뿔의 꼭지점은 상기 발광 소자를 향하고 밑면은 상기 발광 장치의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발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상기 각각의 발광 소자가 설치되는 복수의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안착부는 상기 제1 발광 소자가 장착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장착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는 마주보는 발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부는 수평면에 대해 0°보다 크고 60°보다 작거나 같은 복수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발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발광 장치의 상부에 형성되는 발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는 R(red), G(green), B(blue)의 칩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발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상부에 복수의 광추출부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추출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발광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폴리카보네이트, 실리콘(Si), 유리, 플라스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발광 장치.
  10. 조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명 시스템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된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는 패키지 몸체와, 상기 패키지 몸체에 설치된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과, 상기 제1 도전층 및 제2 도전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광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20100074995A 2010-08-03 2010-08-03 발광 장치 KR101765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95A KR101765905B1 (ko) 2010-08-03 2010-08-03 발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995A KR101765905B1 (ko) 2010-08-03 2010-08-03 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893A true KR20120012893A (ko) 2012-02-13
KR101765905B1 KR101765905B1 (ko) 2017-08-07

Family

ID=4583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995A KR101765905B1 (ko) 2010-08-03 2010-08-03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5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2584B2 (en) 2012-11-16 2020-07-14 Koninklijke Philip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0961B2 (ja) * 2005-10-27 2012-09-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ルチビュー表示器等の指向性光出力装置
KR100770424B1 (ko) * 2006-12-13 2007-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CN101546500B (zh) 2008-03-24 2010-11-10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发光二极管立体显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12584B2 (en) 2012-11-16 2020-07-14 Koninklijke Philip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11314103B2 (en) 2012-11-16 2022-04-26 Koninklijke Philip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5905B1 (ko) 201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1641A1 (en) Display apparatus,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CN110119031B (zh) 立体显示装置以及空中立体显示装置
US8564740B2 (en) Directional backlight with reduced crosstalk
US8337066B2 (en) Backlight module
US9135837B2 (en) Illumination assembly having multiple reflective cavities each with a single emitter
CN102456295A (zh) 夹层led显示器
TWI444088B (zh) 不具色分離現象之彩色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102556848B1 (ko) 표시 장치
WO2011124117A1 (zh) 立体显示装置
CN102446456B (zh) 分层场致发光显示屏及基于分层场致发光的立体显示器
CN112987295A (zh) 近眼显示装置和虚拟/增强现实设备
US10747017B2 (en) Autostereoscopic pixel emitting unit and 2D/3D auto-conversion display device
CN110476112A (zh) 显示装置和头戴显示器
TWI583998B (zh) 裸眼3d顯示像素單元及具有2d/3d模式同時間不同區顯示或全屏相互切換功能的顯示裝置
KR101765905B1 (ko) 발광 장치
TWM526692U (zh) 裸眼3d顯示像素單元及具有2d/3d模式同時間不同區顯示或全屏相互切換功能的顯示裝置
CN109839748B (zh) 多角度出光显示单元及具有2d或3d功能切换的设备
CN106444149B (zh) 一种亮度及均匀性可调的裸眼3d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392671B (zh) 相邻电极接地电势屏蔽显示屏
TWM557367U (zh) 多角度出光顯示單元及具有2d或3d同時間分區域顯示或全屏功能切換之顯示裝置
TWI651547B (zh) 多角度出光顯示單元及具有2d或3d同時間分區域顯示或全屏功能切換之顯示裝置
CN104409024A (zh) 分层led显示屏
CN104282233A (zh) 复合式显示装置及其应用
WO2016143151A1 (ja) 発光素子及び映像表示装置
CN104240611A (zh) 采用透明基板的显示屏及基于分层场致发光的立体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