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374A -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374A
KR20120012374A KR1020110021680A KR20110021680A KR20120012374A KR 20120012374 A KR20120012374 A KR 20120012374A KR 1020110021680 A KR1020110021680 A KR 1020110021680A KR 20110021680 A KR20110021680 A KR 20110021680A KR 20120012374 A KR20120012374 A KR 20120012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exercise
unit
main bod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592B1 (ko
Inventor
김요섭
민인기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ublication of KR2012001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 A63B22/0069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plan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a step and twist movement about an ax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e.g. steppers with an inclined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 A63B2225/68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g. phone, PDA, GPS device, noteb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용운동기구 등에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운동상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과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과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Common Sport Apparatus Installed in Park, Tourist Attractions, Amusement Park, Sports Facilities, Residential Area for Connect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소지하고 다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운동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 문화 즉, 사이버 문화의 급진적 발달에 따라 현대인들의 사회적 활동 영역이 주로 협소한 공간에서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자신들의 건강 도모에 많은 노력을 기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정 또는 가까운 피트니스클럽 등을 이용하여 자신들의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이렇게 가정 또는 피트니스클럽에는 벤치 프레스, 런닝 머신, 사이클 등의 각종 운동기구가 마련되어 운동자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있으며, 이들은 운동자가 운동하면서 자신의 운동량을 체크 및 조절할 수 있도록 운동기구 마다 운동량에 따른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어 운동자의 운동속도 또는 횟수, 시간 등을 표시함으로써 운동자가 그 날의 운동량을 단계적 체크하여 운동량을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자신의 신체조건을 스스로 인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운동자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된 자신의 신체조건을 일일이 노트 등에 기록하면서 자신의 체력을 증진시키고, 또한 메모리된 노트를 이용하여 트레이너의 지시를 받고 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특성에 맞는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근래에는 이러한 건강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관심에 대응하여 일반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에도 자유롭게 일반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야외운동기구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야외운동기구는 일반 주민들이 쉽게 접근이 가능하게 되므로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데, 야외운동기구는 혼자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피트니스클럽 등에서와는 달리 호기심의 용도로 접근이 많이 되는 실정이며, 정확하게 올바른 방법으로 이용하는 시민들의 수는 적은 것 또한 사실이었다.
특히, 야외운동기구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관계로 설치업자로서도 운동량 등의 체크를 위한 고가의 전기적 장치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기에, 야외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로서는 스스로 운동 시마다 운동량을 체크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야외에 설치된 운동기구 또한 피트니스클럽과 마찬가지로 정확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자의 입장에서도 관리를 보다 편하게 할 수 있는 야외운동기구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공용운동기구를 통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할 수 있는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공용운동기구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장착 후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운동량 및 운동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전송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키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 양측으로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양측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몸체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부 본체와 상기 거치부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측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착 후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부착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편 및 상기 거치부 본체를 상기 고정유닛에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 본체는 적어도 이단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단을 이루는 지지부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변이 착탈식으로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공공장소에 설치된 공용운동기구를 사용 시 운동량 또는 운동 상태 등을 측정 할 수 있게 되므로, 공용운동기구의 사용을 극대화하게 되며, 사용자로서도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공용운동기구에 다양한 형태의 거치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쉽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될 경우,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연결될 경우,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가 구비된 공용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구비되는 거치부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상기 도 6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본 출원인이 이미 기 출원한 출원번호 20-2003-0038849, 출원번호 20-2003-0038848, 출원번호 20-2003-0038847 등은 물론 다양한 운동기구가 실제 공원 등과 같은 야외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운동기구 중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운동기구 등은 주로 야외에 설치되지만 실내 체육관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공용운동기구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1은 다양한 공용운동기구 중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연결되도록 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100)(이하, '공용운동기구'와 혼용하여 사용함)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손잡이(120) 및 팬들럼(pendulum) 바아(131)와 회전력 조절유닛(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며, 지상 바닥면에 깊숙히 박히거나, 결합볼트 등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는 상기 본체(110)의 어느 한 면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된 후 전면을 향하여 절곡되게 연장되어 사용자가 양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상에 고정된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120) 등은 고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고정유닛을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유닛이란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고정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는 구성은 어떤 것이든 가능하며, 설명의 편의상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팬들럼 바아(131)는 일단이 상기 본체(110)의 손잡이가 형성된 면에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팬들럼 바아(131)의 하측 끝단에는 사용자가 올라설 수 있도록 발판(13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팬들럼 바아(131)의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는 일단은 후술하는 회전력 조절유닛(140)에 결합되되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은 상기 본체(110) 내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은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유닛으로서, 오일 댐퍼 방식의 조절유닛 또는 마그네틱 사이의 부하를 이용한 조절유닛 등 다양한 부하유닛이 적용 가능하다.
회전 시 소정의 부하가 걸리도록 한 회전력 조절유닛은 이미 다양한 기술이 나와 있고 그 중 적합한 유닛이 적용가능하며,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팬들럼 바아(131)는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에 소정 부하가 걸리며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10)를 기준으로 상기 팬들럼 바아(131) 및 발판(132)을 양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에 걸리는 부하를 이용 사용자에게 소정의 운동부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를 살펴보면, 상기 팬들럼 바아(131) 및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과 같은 구성과 같은 유닛은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일으키는 부분으로서 작동유닛을 이루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작동유닛은 이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구성들을 의미한다.
상기 롤링 웨이스트형 운동기구의 경우 단순히 상기 팬들럼 바아 및 발판만으로도 운동효과가 가능하므로 작동유닛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작동유닛은 결국 회전 또는 병진 이동 등을 일으키어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구성은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일으키는 부분은 작동유닛으로 혼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거치부(2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언급한 스마트폰뿐 아니라, 종래의 모바일폰 및 PDA 등 다양한 매체를 총칭한다.
여기서, 거치부(200)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 방식에 따라 공용운동기구 내의 구성요소가 다소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거치부(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될 경우,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용운동기구는 본체(110) 내측으로 상기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2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250)는 중력센서 또는 가속도센서 등이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이와 같은 각종 센서들은 해당 공용운동기구의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적합한 종류들이 선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롤링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서는, 팬들럽 바아(131)의 왕복 회전 빈도를 감지할 수 있는 종류의 센서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 외의 다른 여러 운동기구의 경우에도, 해당 운동기구에 따라 가장 적합한 센서들이 하나 이상 선택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롤링웨이스트형 운동기구에 있어서 작동유닛(150)은 팬들럼 바아(131), 발판(132) 또는 회전력 조절유닛(140) 중 하나이나, 상기 감지센서(250)는 외부에 은폐된 형태로 상기 본체 내측으로 상기 회전력 조절유닛(14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감지센서를 은폐시킴으로써 파손 자체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며, 기타 다른 작동유닛(150)에 감지센서를 설치 시에는 별도의 보호케이스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상기 감지센서(250)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데이터화하는 제어부(26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260)를 통하여 외부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송신부(270)가 구비된다. 또한, 외부 메인서버(350)와의 데이터 교환도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신부(280)도 구비될 수 있다.
즉, 공용운동기구에는 작동유닛(15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0)만이 구비되며, 감지된 신호를 처리, 가공하는 일련의 작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공용운동기구의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용 운동기구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가입된 회원들에게만 제공되는 피트니스 클럽 등에 구비된 운동기구의 경우, 마모, 고장 및 파손 빈도가 공용운동기구에 비해 현저히 적으며, 이에 따라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부(260), 송신부(270), 수신부(280) 등이 운동기구 자체에 모두 내장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반면, 공용운동기구의 경우, 남녀노소의 다양한 사용자층이 모두 사용하게 되며, 야외 등의 환경에 그대로 노출되므로 마모, 고장 및 파손이 빈번히 일어날 수 있다. 즉, 제어부(260), 송신부(270) 및 수신부(280)와 같은 전자적인 구성요소는 내구성이 비교적 약하므로, 물리적 충격, 습기, 수분 등에 의해 잦은 고장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공용운동기구 내에는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감지센서(250)의 경우에는 공용운동기구 측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하며, 이는 공용운동기구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공용운동기구의 종류에 따라 각 작동유닛(150)은 다양한 구동 방식을 가지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0)의 종류 역시 다양할 것이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 중 최근 많이 보급된 스마트폰의 경우에도, 몇 종류의 센서가 내장되어 있기는 하나, 이를 모든 공용운동기구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결과적으로, 감지센서(250)는 각 공용운동기구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선택되어 공용운동기구 측에 구비되어야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공용운동기구에는 감지센서(250)만이 구비되며, 감지된 신호를 처리, 가공하는 모든 구성은 모바일 디바이스 측에 구비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2a에서는 거치부(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유선 연결됨은 전술하였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거치부(200)와 유선 연결될 경우, 공용운동기구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공용운동기구 내에 구비되는 감지센서(25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전력이 요구되며, 이와 같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유닛이 더 구비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가 거치부(200)와 유선 연결될 경우, 감지센서(25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별도의 전력 공급유닛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2b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2b의 경우, 거치부(200) 및 모바일 디바이스가 무선 연결될 경우의 주요 구성 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공용운동기구 측에 자가발전부(252), 및 전송부(254)가 더 구비된다.
즉, 무선 연결의 경우, 도 2a의 유선 연결과는 달리, 감지센서(2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감지된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요구된다. 따라서, 감지센서(250)에 전력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252) 및 감지된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달하는 전송부(254)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송부(254)는 거치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유선 연결 시와 같이 제어부(260), 송신부(270) 및 수신부(280)는 모바일 디바이스 측에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자가발전부(252)는 작동유닛(150)의 작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자가발전부(252) 대신 별도의 전원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하나, 감지센서(250)는 소량의 전력만으로 충분히 구동될 수 있으며, 전술한 공용운동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자가발전 방식이 더욱 적합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 및 거치부(200)가 유/무선 연결 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거치부(2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구비된 거치부(200)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구비되는 거치부(200)는 본체(110)에 형성된 수용홈(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210) 형상으로 구성되는 거치부(200)는 내측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본체(110) 내 적절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가 안정적으로 설치됨은 물론 운동 중인 사용자의 편리한 시야각 확보에도 유리하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10) 내측의 제어부(260)와 케이블(221)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잭(220)이 별도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잭(220)에 연결 시 공용운동기구의 감지센서(250)가 제어부(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하며, 외부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운동 상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공용운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시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등과 같은 실외공간에 설치되는데, 비나 눈 등이 상기 수용홈(210) 내부로 침투하거나 사용자가 오물 등을 투척함으로써 오작동의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로 상기 수용홈(210)을 개폐시킬 수 있는 커버부(2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 양측으로는 상기 커버부(230) 양측이 끼워져 삽입되는 슬라이딩홈(24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230) 양측이 상기 슬라이딩홈(24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중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230)가 자동적으로 하향하여 수용홈(210)이 은폐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230)가 열리어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 거치부 내부로 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커버부(230)는 전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손잡이부(231)가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며, 자중에 의하여 자유 낙하가 되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본체(1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운동기구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거치부(200)도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 대칭으로 구비될 것이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250)와 상기 거치부(200)에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연결잭(220)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작동유닛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단거리 통신방식에 의한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유/무선 연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먼저, 상기 커버부(230)를 개방한 후, 수용홈(210) 내측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거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잭(220)에 연결되도록 거치시킬 수도 있으며, 연결잭(22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홈(210) 내부에 단순히 수용시킨 형태로 설치하고 단거리 통신을 통하여 작동유닛의 상태 즉 운동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최근 많이 사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는 운영체제(OS)가 탑재되어 일반 PC의 운영체제와 같은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우, MP3를 재생하거나 메일 송수신이 가능하며, PC 사용환경과 같이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특히, 이러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는 개방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위 단거리 통신이 가능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전용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거나 직접 제작하여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와의 연동을 통해 보다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공용운동기구를 설치하는 설치업체 측에서는 미리 각각의 운동기구에 맞는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을 전용 스토어 등에 올린 후에, 사용자가 앱스토어에서 해당 운동기구와 대응하는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다운 받은 후에 운동기구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공용운동기구의 거치부에 거치시키기 전에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을 다운받은 후에, 공용운동기구에 장착 시 자동적으로 운동프로그램이나 각각의 공용운동기구에 맞는 개별적인 프로그램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운동기구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에, 작동유닛의 작동 시에 상기 감지센서(250)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260)를 통해 가공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운동량 등을 직접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 중에도 적당한 운동량 및 운동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게 되며, 하루나 일정 기간에 걸쳐 정하여진 운동 및 계획적인 운동이 가능함은 체크된 운동량을 데이타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운동량 등의 체크 및 조절이 가능한 피트니스 클럽에 구비된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외부에 설치된 공용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로서는 모바일 디바이스 하나만으로도 여러 개의 다양한 공용운동기구를 각각의 운동기구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구비된 거치부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301)는 본체(110)가 아닌 다른 고정유닛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며, 도 4에서는 손잡이(12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301)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설치되는 거치부 본체(330)와 연결프레임(3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120)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타단은 상기 거치부 본체(330)에 틸팅유닛(320)에 의하여 힌지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거치부 본체(330)는 사용자가 상기 틸팅유닛(320)을 이용 보기에 편한 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일단에는 결합브라켓(311)이 구비되어, 상기 결합브라켓(311)을 이용 손잡이(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틸팅유닛(320)은 공지된 다양한 힌지유닛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거치부 본체(330) 양측으로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측을 가압하여 고정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되, 소정 외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착탈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편(33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거치부 본체(330) 하부에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잭(34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잭(340)은 본체 내부의 감지센서와도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6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30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몸체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부 본체(390)와 상기 거치부 본체(390)를 상기 고정유닛(120)에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3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120) 등과 같은 고정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10)의 타단은 상기 거치부 본체(330)에 자유로운 회전각도를 가지는 볼힌지유닛(351)에 힌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에 설치되는 거치부(30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본체(390)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적어도 이단의 지지부(371, 381)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내측 지지부(371)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부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변이 착탈식으로 끼워지되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편(372,3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거치부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공용운동기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잭(317,31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거치부(302)는 그 설계에 따라서 크기가 다른 종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공용운동기구의 경우에도 고정유닛에 구비된 거치부(301, 302)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운동량 등을 체크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 헬스 및 다이어트에 유용한 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수신부(280)를 이용 외부 메인서버(350: 도 2a참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게 운동기구를 활용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 공공장소에 설치된 공용운동기구를 사용 시 운동량 또는 운동 상태 등을 측정 할 수 있게 되므로, 공용운동기구의 사용을 극대화하게 되며, 사용자로서도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운동기구 110: 본체
120: 손잡이 131: 팬들럼 바아
132: 발판 140: 회전력 조절유닛
200: 거치부 210: 수용홈
220: 연결잭 230: 커버부
240: 슬라이딩홈 250: 감지센서
252: 자가발전부 254: 전송부
260: 제어부 270: 송신부
280: 수신부 310: 연결프레임
320: 틸팅유닛 330: 거치부 본체

Claims (12)

  1. 지면 상에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
    상기 본체에 연결 구비되고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운동효과를 부여하는 작동유닛;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제어부가 포함된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하는 거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유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작동유닛의 작동에 의해 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전송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자가발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을 개폐시키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 양측으로는 슬라이딩홈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의 양측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용홈을 개폐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몸체가 밀착되어 지지되는 거치부 본체;
    상기 거치부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측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착 후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부착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편; 및
    상기 거치부 본체를 상기 고정유닛에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 본체는,
    적어도 이단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단을 이루는 지지부마다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양변이 착탈식으로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착탈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소정 각도로 틸팅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틸팅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거치부 본체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볼힌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공용운동기구.
KR1020110021680A 2010-07-30 2011-03-11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거치대를 이용한 운동 상태 측정 기능을 갖는 공용운동기구 KR101254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369 2010-07-30
KR20100074369 2010-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374A true KR20120012374A (ko) 2012-02-09
KR101254592B1 KR101254592B1 (ko) 2013-04-15

Family

ID=4583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680A KR101254592B1 (ko) 2010-07-30 2011-03-11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거치대를 이용한 운동 상태 측정 기능을 갖는 공용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5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548B1 (ko) * 2016-05-02 2016-11-14 (주)스페이스톡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방법
EP3231487A1 (fr) * 2016-04-14 2017-10-18 Yves Auderset Dispositif d'exercice physique, 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d'exercice physique et procédé d'exercice physique
CN108926804A (zh) * 2017-05-22 2018-12-04 斯贝斯拓株式会社 可测量运动量的无电源运动器材及运动量测量方法
KR102087580B1 (ko) 2018-09-13 2020-03-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조절 가능한 야외용 운동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운동 처방 시스템
KR20210003504A (ko) * 2019-07-02 2021-01-12 조규식 옥외용 매입형 중량조절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3903A (ja) * 1984-02-02 1985-08-26 Mitsubishi Chem Ind Ltd 架橋共重合体の多孔化方法
JP2000308697A (ja) * 1999-04-27 2000-11-07 Kazumasa Sawada 蓄電装置とゲームを兼ね備えたフィットネス器具
KR20080102756A (ko) * 2007-05-22 2008-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용 게임장치
KR20090027390A (ko) * 2007-09-12 2009-03-17 이영우 휴대 및 착용이 가능한 운동부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1487A1 (fr) * 2016-04-14 2017-10-18 Yves Auderset Dispositif d'exercice physique, 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d'exercice physique et procédé d'exercice physique
KR101675548B1 (ko) * 2016-05-02 2016-11-14 (주)스페이스톡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방법
CN108926804A (zh) * 2017-05-22 2018-12-04 斯贝斯拓株式会社 可测量运动量的无电源运动器材及运动量测量方法
KR102087580B1 (ko) 2018-09-13 2020-03-12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강도 조절 가능한 야외용 운동 장비 및 이를 활용한 운동 처방 시스템
KR20210003504A (ko) * 2019-07-02 2021-01-12 조규식 옥외용 매입형 중량조절가능한 웨이트 트레이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592B1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050B1 (ko)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야외 공용운동기구
US10080918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KR101254592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거치대를 이용한 운동 상태 측정 기능을 갖는 공용운동기구
US20140221160A1 (en) Sensor Device and System for Fitness Equipment
TWI776250B (zh) 模組化運動裝置
US10569124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resistance band extension, and transport mechanism
US20210205660A1 (en) Outdoor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signing, monitoring and providing feedback of training
EP3628378A1 (en) Multifunctional balance exercise machine
US20120083348A1 (en) Playground Device with Motion Dependent Sound Feedback
US10252102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resistance band extension, and transport mechanism
CN107530573A (zh) 倾斜表面应用控制器
JP2019516438A (ja) エクセサイズマシーンで用いられる測定システム
JP2008284320A (ja) バランス運動トレーナー
CN105493447A (zh) 首次使用电子装置的无线初始化
EP1810721A1 (en) Golf diagnosis apparatus, golf equipment device, golf diagnosis system, and method of mounting a golf diagnosis apparatus
KR101675548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방법
CA3162738A1 (en) Tilt-enabled bike with tilt-disabling mechanism
JP2019509794A (ja) 回転方向及び運動量の測定装置を備えたフラフープを用いた運動管理装置
US11305153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and transport mechanism
CN103638642B (zh) 带有信息反馈的平衡训练装置
WO2007068908A1 (en) Skipping simulator
US9098615B1 (en) Methods for providing authenticated, interactive feedback-driven exercise
CN207456466U (zh) 运动检测设备
US9098614B1 (en) Systems and devices for interactive, feedback-driven exercise
KR101341678B1 (ko) 가상체험이 가능한 실내 운동기구용 구동 변환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