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712A -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712A
KR20120011712A KR1020100073775A KR20100073775A KR20120011712A KR 20120011712 A KR20120011712 A KR 20120011712A KR 1020100073775 A KR1020100073775 A KR 1020100073775A KR 20100073775 A KR20100073775 A KR 20100073775A KR 20120011712 A KR20120011712 A KR 2012001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ringtone
ambient noise
target frequency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686B1 (ko
Inventor
류종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686B1/ko
Priority to US13/194,209 priority patent/US9118292B2/en
Publication of KR2012001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2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discharge tubes
    • H03G3/24Control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주변 잡음을 입력 받고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고,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는 벨소리 출력 장치의 착신 신호의 수신 시에 주변 환경에 없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포함한 벨소리를 들음으로써 벨소리의 착신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bell sound}
아래의 실시 예들은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소리 출력 장치의 주변 잡음으로부터 추출된 주파수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벨소리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벨소리 출력 장치는 여러 종류의 벨소리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의 벨소리를 출력을 위한 벨소리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벨소리 출력 장치는 착신 신호를 수신 시에 사용자에게 착신 신호가 도착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벨소리를 출력한다. 이때 벨소리 출력 장치의 주변 잡음이 심한 경우 사용자는 사전에 설정된 벨소리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벨소리 출력 장치는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상기 제1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일정한 주기로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에 더하여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가 작은 순서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벨소리 출력 장치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벨소리 출력 장치가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2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벨소리 출력 장치가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착신 신호의 수신 시에 상기 주변 잡음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벨소리 출력 장치는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벨소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벨소리 출력 방법은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상기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일정한 주기로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에 더하여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가 작은 순서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소리 출력 방법은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이용하여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2 기준 값과 비교하여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는 착신 신호의 수신 시에 상기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벨소리 출력 방법은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벨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의 일 측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의 다른 일 측에 따른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를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를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예시적 실시 예들의 이러한 또는 다른 측면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는 벨소리 출력 장치의 주변의 환경에서 발생되는 신호인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다. 그리고 벨소리 출력 장치는 입력 받은 주변 잡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신호의 크기가 작거나 거의 없는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
벨소리 출력 장치는 추출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벨소리 출력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소리 출력 장치는 추출된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벨소리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벨소리 출력 장치는 신호의 크기가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입력부(110), 추출부(120), 제어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전화기 기능을 구비한 PC나 네비게이션, 헤드 셋, 휴대용 기기 등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입력부(110)는 마이크, 소리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벨소리 출력 장치(100)의 주변의 환경에서 발생되는 신호인 주변 잡음을 일정 시간 동안 입력 받을 수 있다. 일정 시간으로는 사용자가 벨소리 출력의 지연을 느끼기 어려우며, 주변 잡음의 주파수 특성의 분석이 가능한 약 0.5초가 적당할 수 있으나, 상술한 시간에 제한 되지는 않는다.
벨소리 출력 장치(100)가 착신 신호를 수신한 때부터 입력부(110)는 주변 잡음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110)는 착신 신호가 수신된 때부터 약 0.5초간 주변 잡음을 입력 받을 수가 있다. 또한 벨소리 출력 장치(100)가 대기 모드일 때, 입력부(110)는 소정의 주기로 또는 랜덤 하게 주변 잡음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입력 받은 주변 잡음을 추출부(120)로 전달한다.
추출부(120)는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
추출부(120)는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120)는 주변 잡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주변 잡음의 신호 크기가 제1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진 주파수 대역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기준 값은 입력부(11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입력 받은 주변 잡음의 신호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 동안 입력부(100)를 통하여 주변 잡음의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신호의 크기의 평균 값, 메디안 값, 또는 절대 값을 제1 기준 값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제1 기준 값은 미리 결정된 값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미리 결정된 값은 사용자가 주변 잡음과 벨소리를 구별하기에 적절한 약 65dB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 값은 미리 결정된 값으로 주파수 대역마다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사람의 청각이 주파수 대역마다 반응하는 감도가 차이가 있는 점을 고려하여, 제1 기준 값은 사람의 청각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낮은 값을, 사람의 청각이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추출부(12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을 일정 단위로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추출부(120)는 사람의 청각의 특성에 따라 상기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출부(120)는 사람의 청각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100Hz ~ 1000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100Hz 단위로 제1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진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120)는 사람의 청각이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1000Hz ~ 8000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1000Hz 단위로 제1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진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의 청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파수 대역을 구분하기 위하여는 사람의 청각의 특성을 그래프로 표현한 등청감곡선(Equal-loudness contours)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주변 잡음의 크기가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이 복수 개인 경우, 추출부(120)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추출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대역의 크기에 따라 100Hz 단위 또는 1000Hz 단위의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추출부(120)는 추출된 주파수 대역이 상기 100Hz 단위 또는 1000Hz 단위보다 작을 경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 제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추출부(12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서로 일정 개수의 주파수 대역들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추출부(120)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크기가 제1 기준 값 이하인 주파수 대역들 중 일부를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의 청각에 무리가 적게 가는 100 ~ 8000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 추출부(120)는 신호의 크기가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들 중 신호의 크기가 작은 순서로 일정 개수의 주파수 대역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120)는 주변 잡음으로부터 획득한 대상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제어부(130)는 추출부(120)로부터 추출된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기 저장된 벨소리에서 대상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찾고,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를 제1 기준 값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기준 값 이상의 임의의 값은 사용자가 주변 잡음에도 불구하고 착신 신호의 인식이 가능한 신호의 크기 값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제1 기준 값에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한 소정의 증폭 계수를 곱한 값을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를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을 100Hz 단위로 획득하고, 획득된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크기의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과 이웃하는 100Hz 단위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크기의 평균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계산된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크기의 평균 값과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크기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대상 주파수 대역과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 간의 신호 크기의 비(ratio)를 계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의 크기를 제1 기준 값 이상의 임의의 값으로 변경할 경우, 변경된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크기와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 크기의 비가 상기 변경 전의 계산된 비와 동일 또는 근사하도록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를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변경 전의 비와 변경 후의 비가 동일 또는 근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변경 전의 비와 변경 후의 비의 차이가 50% 이내가 되도록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을 특정 주파수 대역, 예컨대 1000Hz ~ 8000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 추출하는 경우, 일정한 크기, 예컨대 1000Hz 단위로 대상 주파수 대역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과 이웃하는 1000Hz 단위의 주파수 대역 간의 신호 크기의 평균 값의 비를 이용하여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 및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를 함께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가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변경된 벨소리의 포락선(envelope)이 기 저장된 벨소리의 포락선(envelope)와 유사해짐으로써 잡음이 존재하는 환경에도 사용자는 자신의 벨소리를 쉽게 인식할 수가 있다.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가 이미 제1 기준 값 이상인 경우, 신호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기 저장된 벨소리를 변경된 벨소리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제1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보다 크게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변경된 주변 잡음을 기 저장된 벨소리에 더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 제1 기준 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새로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변형하거나, 또는 기 저장된 벨소리와 결합하여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주변 잡음의 크기를 변경하고,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새로운 신호들을 생성하고, 새로운 신호들을 이용하거나, 변경하거나, 또는 기 저장된 벨소리와 결합하여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크기가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 제1 기준 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새로 생성된 신호를 출력부(1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30)로부터 받은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출력부(140)는 스피커 또는 변경된 벨소리를 저장하거나 외부 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40)는 제어부(130)가 생성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착신 신호 수신 시에 벨소리 출력 장치(100)가 변경되거나 새롭게 생성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주변 환경에는 없거나 크기가 작은 소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를 포함하는 벨소리를 들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잡음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자신의 벨소리를 쉽게 인식함으로써, 착신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벨소리 출력 장치(200)는 입력부(210), 판단부(220), 추출부(230), 제어부(240), 출력부(250) 및 진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벨소리 출력 장치(200)에 포함된 입력부(210), 추출부(230), 제어부(240), 및 출력부(250) 각각은 도 1의 벨소리 출력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110), 추출부(120), 제어부(130), 및 출력부(140)와 수행하는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판단부(220)는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2 기준 값과 비교하여 벨소리 출력 장치(200)가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제2 기준 값은 벨소리 출력 장치(200)가 위치한 환경이 조용한 환경인지 또는 그렇지 않은 환경인지 인식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제2 기준 값은 추출부(230)에서 이용되는 제1 기준 값과 동일한 값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술한 값에 한정되지는 않고 주변 환경 또는 사용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값이 이용될 수 있다.
입력부(210)로부터 받은 주변 잡음의 신호의 크기가 제2 기준 값 이상이라면, 판단부(220)는 벨소리를 변경하여 출력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240)에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추출부(230)가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고,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210)로부터 받은 주변 잡음의 신호의 크기가 제2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판단부(220)는 벨소리를 변경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이를 제어부(240)에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40)는 추출부(230)가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기 저장된 벨소리를 출력부(2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벨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 대신에, 제어부(240)는 진동부(260)를 제어하여 벨소리 출력 장치(200)를 진동 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일 측에 따라,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주변 잡음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으로 그래프의Y축은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고,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점선은 제1 기준 값(310)을 나타낸다. 추출부(120, 230)는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310)과 비교하여, 제1 기준 값(3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 신호(320)가 분포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 기준 값(3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 신호(320)는 주파수 대역 B1(321)에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추출부(120, 2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대역 B1(321)을 결정하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 24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다른 일 측에 따라,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그래프는 주변 잡음이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Y축과 주파수를 나타내는 X축 상에 도시된 것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점선은 제1 기준 값(410)을 나타낸다. 추출부(120, 230)는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410)과 비교하여, 제1 기준 값(4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 복수 개의 신호들(420, 430, 440)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기준 값(4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는 복수 개의 신호들(420, 430, 440) 각각은 주파수 대역 B1(421), 주파수 대역 B2(431), 주파수 대역 B3(440)에 분포함을 알 수 있다.
추출부(120, 230)는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주파수 대역 B1(421), 주파수 대역 B2(431), 주파수 대역 B3(441)을 결정하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 24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일 측에 따라,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를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벨소리 출력 장치(100, 200)에 기 저장된 벨소리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으로, 기 저장된 벨소리는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Y축과 주파수를 나타내는 X축 상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점선은 제1 기준 값(510)을 나타낸다. 제어부(130, 240)는 추출부(120, 230)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받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대역 B1(521)인 경우, 제어부(130, 240)는 주파수 대역 B1(521)에 분포하는 기 저장된 벨소리의 신호(530)의 크기를 제1 기준 값(510) 이상의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520)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 240)는 신호의 크기가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부(140, 25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다른 일 측에 따라,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를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벨소리 출력 장치(100, 200)에 기 저장된 벨소리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 저장된 벨소리는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는 Y축과 주파수를 나타내는 X축 상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점선은 제1 기준 값(610)을 나타낸다. 제어부(130, 240)는 추출부(120, 230)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받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주파수 대역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 240)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 분포하는 기 저장된 벨소리의 신호의 크기를 제1 기준 값(610) 이상의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서 대상 주파수 대역이 B1(621), B2(641), B3(661)인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30, 240)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 중 주파수 대역 B1(621)에 분포하는 기 저장된 벨소리의 신호(630)의 크기를 제1 기준 값(610) 이상의 신호(620)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대역 B2(641)에 분포하는 기 저장된 벨소리의 신호(650)의 크기를 제1 기준 값(610) 이상의 신호(640)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 240)는 주파수 대역 B3(661)에 분포하는 기 저장된 벨소리의 신호(670)를 제1 기준 값 이상의 신호(660)로 변경할 수 있으나, 기 저장된 벨소리의 신호(670)의 크기가 이미 제1 기준 값 이상이기 때문에 반드시 변경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제어부(130, 240)는 신호의 크기가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부(140, 25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일 측에 따라,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Y축은 신호의 크기를 나타내고, X축은 주파수를 나타낸다. 점선은 제1 기준 값(710)을 도시한다. 제어부(130, 240)는 추출부(120, 230)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를 받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 제1 기준 값(710) 이상의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주파수 대역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임의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를 새롭게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들을 결합하여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대역 B1(721), 주파수 대역 B2(731), 주파수 대역 B3(741)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 240)는 각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1 기준 값 이상의 크기를 갖는 신호들(720, 730, 740)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 240)는 생성된 신호들(720, 730, 740)을 결합하거나 변형하여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하고, 생성된 벨소리를 출력부(140, 25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다(단계 810).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의 환경에서 발생되는 신호인 주변 잡음을 일정 시간 동안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을 벨소리 출력 장치(100)의 착신 신호의 수신 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입력 받은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단계 820).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주변 잡음과 관련된 신호의 크기가 제1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진 주파수 대역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의 크기가 제1 기준 값보다 작은 주파수 대역에서 크기가 작은 순서로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제1 기준 값과 상관 없이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주변 잡음의 크기가 작은 순서로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대상 주파수 대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추출한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단계 830). 예를 들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기 저장된 벨소리에서 대상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의 크기를 제1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제1 기준 값에 소정의 증폭 계수를 곱한 값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변 잡음의 크기를 변경하고,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변경된 주변 잡음을 기 저장된 벨소리에 소정의 주기로 또는 랜덤 하게 더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각각의 주변 잡음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 200)는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84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다(단계 910).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의 환경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주변 잡음을 일정 시간 동안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입력 받은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한다(단계 920).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1 기준 값과 비교하여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주변 잡음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주변 잡음과 관련된 신호의 크기가 제1 기준 값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진 주파수 대역을 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추출한 대상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930). 예를 들면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의 크기가 제1 기준 값 이상인 새로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대상 주파수 대역이 복수 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주파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새로운 벨소리를 변형하거나 기 저장된 벨소리에 더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벨소리 출력 장치(100)는 벨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단계 940).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벨소리 출력 장치
110, 210 … 입력부
120, 230 … 추출부
130, 240 … 제어부
140, 250 … 출력부
220 … 판단부
260 … 진동부

Claims (20)

  1. 벨소리 출력 장치에 있어서,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가 제1 기준 값 이하의 주파수 대역인 벨소리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값은 일정 시간 동안의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획득한 값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인 벨소리 출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상기 제1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의 크기 및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과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이용하여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2 기준 값과 비교하여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착신 신호의 수신 시에 상기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벨소리 출력 장치.
  10. 벨소리 출력 장치에 있어서,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벨소리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11.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벨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가 제1 기준 값 이하의 주파수 대역인 벨소리 출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값은 일정 시간 동안의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획득한 값 또는 미리 설정된 값인 벨소리 출력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상기 제1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의 크기 및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과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벨소리 출력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주변 잡음을 이용하여 상기 기 저장된 벨소리의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이용하여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잡음의 크기를 제2 기준 값과 비교하여 벨소리를 출력할 것인지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는
    착신 신호의 수신 시에 상기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20. 주변 잡음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주변 잡음으로부터 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주파수 대역에서의 새로운 벨소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새로운 벨소리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벨소리 출력 방법.
KR1020100073775A 2010-07-30 2010-07-30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722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75A KR101722686B1 (ko) 2010-07-30 2010-07-30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
US13/194,209 US9118292B2 (en) 2010-07-30 2011-07-29 Bell sound outpu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775A KR101722686B1 (ko) 2010-07-30 2010-07-30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712A true KR20120011712A (ko) 2012-02-08
KR101722686B1 KR101722686B1 (ko) 2017-04-03

Family

ID=4552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775A KR101722686B1 (ko) 2010-07-30 2010-07-30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18292B2 (ko)
KR (1) KR101722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692A1 (ko) * 2016-03-24 2017-09-28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및 정보 출력 방법
CN109155807A (zh) * 2016-05-03 2019-01-04 萨罗尼科斯贸易与服务人有限公司 用于调节声信号的装置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281B1 (ko) * 2013-06-04 2019-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832830B (zh) * 2018-03-22 2021-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调节音量的方法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4983A (en) * 1997-07-10 1998-12-01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lephone ring signal
JPH1168491A (ja) * 1997-08-08 1999-03-09 Kokusai Electric Co Ltd オーディオアンプ装置
KR200172860Y1 (ko) * 1999-10-01 2000-03-15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지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024B1 (ko) 1994-07-30 1998-04-10 배순훈 Osd(on screen display) 신호 발생장치
US6363265B1 (en) * 1999-04-19 2002-03-26 Lucent Technologies, Inc. Volume control for an alert generator
KR100548408B1 (ko) 2003-09-20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벨소리 출력 방법
US7903825B1 (en) * 2006-03-03 2011-03-08 Cirrus Logic, Inc. Personal audio playback device having gain control responsive to environmental sou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4983A (en) * 1997-07-10 1998-12-01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lephone ring signal
JPH1168491A (ja) * 1997-08-08 1999-03-09 Kokusai Electric Co Ltd オーディオアンプ装置
KR200172860Y1 (ko) * 1999-10-01 2000-03-15 주식회사명진공업 파라솔 지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4692A1 (ko) * 2016-03-24 2017-09-28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및 정보 출력 방법
CN109155807A (zh) * 2016-05-03 2019-01-04 萨罗尼科斯贸易与服务人有限公司 用于调节声信号的装置和方法
CN109155807B (zh) * 2016-05-03 2021-10-26 萨罗尼科斯贸易与服务一人有限公司 用于调节声信号的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27225A1 (en) 2012-02-02
US9118292B2 (en) 2015-08-25
KR101722686B1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9563B2 (ja) 音量調節方法、システム、デバイス及びプログラム
US20170126192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djusting volume
CN107509153B (zh) 声音播放器件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2124758B (zh) 助听器、助听系统、步行检测方法和助听方法
KR20200021093A (ko) 리플레이 공격의 검출
WO2019002833A1 (en) MAGNETIC DETECTION OF ATTACK BY REJECTION
JP6497986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オーディオ信号制御方法
KR101956577B1 (ko)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384597B (zh) 一种音频数据处理方法、及设备
JP2019128586A (ja) 音声処理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08886653A (zh) 一种耳机声道控制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94390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testing
CN108172237B (zh) 语音通话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8449503B (zh) 语音通话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20190355380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KR101722686B1 (ko) 벨소리 출력 장치 및 방법
CN103929692B (zh) 一种音频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20180099721A (ko) 소리 식별을 위한 크라우드 소스 데이터베이스
US201701396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CN104217728A (zh) 一种音频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0603804A (zh) 干扰生成
CN108418982B (zh) 语音通话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EP2887698B1 (en) Hearing aid for playing audible advertisement
CN108605067B (zh) 播放音频的方法和移动终端
WO2015030642A1 (en) Volume reduc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