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496A -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496A
KR20120010496A KR1020100072082A KR20100072082A KR20120010496A KR 20120010496 A KR20120010496 A KR 20120010496A KR 1020100072082 A KR1020100072082 A KR 1020100072082A KR 20100072082 A KR20100072082 A KR 20100072082A KR 20120010496 A KR20120010496 A KR 2012001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led device
light emitting
transparent glass
emit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0256B1 (ko
Inventor
강동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25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는 상측에 구비된 부재를 지지하고,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되는 기판, 기판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판 상측에 적층된 투명유리층 및 투명유리층의 측면으로 출광되는 빛을 유도하기 위하여 투명유리층의 측면부에 일정한 패턴으로 가공되는 광 가이드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OLED ELEMENT OF REAR LAMP FOR MOTOR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OLED소자의 측면에 형성된 광 가이드패턴에서 유도된 빛을 여러 형상의 반사면을 통하여 전방으로 빛이 모이도록 하므로 OLED소자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소자는 빛을 내는 발광층이 유기 화합물로 되어 있는 박막 발광 다이오드로서, 제작비용은 비싸지만 발광층이 직접 빛을 내고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며 별도의 발광원을 필요치 않기 때문에 차세대 발광장치로 개발되어져 자동차용 리어램프로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하, OLED소자를 자동차용 리어 램프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팸프의 OLED소자 발광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팸프의 OLED소자 발광 상태 단면도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팸프에 적용된 OLED소자(2)는, 미도시된 리어램프 내에 설치되고, 상측에 구비된 부재를 지지하고,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되는 기판(4)과, 기판(4)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캐소드와 애노드를 구동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6)과, 상기 발광층(6)에서 발광된 빛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판(4) 상측에 적층된 투명유리층(8)과, 투명유리층(8)의 외부에 설치되어 보호하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을 살펴보면, 외부에서 공급된 전기에 의해 굴절율이 2 정도인 발광층(6)에서 조사된 빛은 굴절율이 1.56정도인 투명유리층(8)을 거쳐 전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의 빛만이 전방으로 조사된다.
전반사(Total Reflector)는 광학적으로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빛이 진행할 때, 특정 임계각보다 큰 입사각으로 입사한 빛이 굴절하지 않고 100% 반사되는 현상을 말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램프에 적용되는 OLED소자는 투명유리층의 사방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전반사로 인하여 빛이 외부 출광되지 못하고 투명유리층 내에 갇히므로 출광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램프에 적용되는 OLED소자는 투명유리층 사방으로 보호를 위한 케이스가 구비되어져 있으므로 투명유리층 내에 갇히는 빛을 외부로 유도하여 출광 효율을 높이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OLED소자의 출광 효율은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 중에 25% 정도만 전방으로 출광되고, 나머지 75% 정도는 투명유리층에 갇히거나 케이스에 부딪치면서 소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OLED소자의 측면에 형성된 광 가이드 패턴에서 유도된 빛을 여러 형상의 반사면을 통하여 전방으로 빛이 모이도록 하므로 OLED소자의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는 상측에 구비된 부재를 지지하고,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판 상측에 적층된 투명유리층; 및 상기 투명유리층의 측면으로 출광되는 빛을 유도하기 위하여 투명유리층의 측면부에 일정한 패턴으로 가공되는 광 가이드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 가이드패턴은 구형상, 실린더형상, 프리즘형상, 및 삼각기둥형상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유리층의 4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측면으로 출광되는 빛을 반사면으로 유도하여 상측으로 빛을 모아주는 광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면은 포물면, 타원면, 및 자유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는 OLED소자의 측면에 형성된 광 가이드 패턴에서 유도된 빛을 여러 형상의 광 반사부재의 반사면을 통하여 전방으로 빛이 모이도록 하므로 자동차의 배광 법규를 만족하게 하여 OLED소자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는 종래와 달리 OLED 소자의 크기를 1/5사이즈로도 동일한 출광효율을 나타내므로 OLED 소자의 제조 원가도 낮추어주고, 광원대비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연비 향상 및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해가스 배출량도 줄여주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팸프의 OLED소자 발광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팸프의 OLED소자 발광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구성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발광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LED소자에서 광 가이드패턴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LED소자에서 광 가이드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구성 사시도.이고,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발광 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LED소자에서 광 가이드패턴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OLED소자에서 광 가이드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20)는, 기판(22), 발광층(24), 투명유리층(26) 및 광 가이드패턴(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판(22)은 상측에 구비된 부재를 지지하고,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된다.
발광층(24)은 기판(22)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한다.
발광층(24)은 높은 발광 효율을 갖는 단일 순수 물질일 수 있다.
발광층(24)은 적은 량의 도펀트라 일컫는 다른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의 기능은 EL 효율 또는 방출된 빛의 색상을 변경하는 역활을 한다.
발광층(24)에는 미도시된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발광층(24)은 빛이 조사되는 과정의 이해를 돕기 위해 기판(22)의 중심부 상측에 좁은 용역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기판(22) 상측 전체 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투명유리층(26)은 발광층(24)에서 발광된 빛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판(22) 상측에 적층된다.
여기에서, 투명이라는 용어는 빛을 80%이상 투과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 가이드패턴(28)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구형상, 실린더형상, 프리즘형상, 및 삼각기둥형상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패턴(28)은 단면이 반구 형상이고, 측면 형상은 실린더(Cylinder)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의 광 가이드패턴(28)은 피치(P1)가 0.08 ~ 0.12mm 범위를 갖으며, 특히, 약 0.1mm 정도로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패턴(28)은 측면에서 볼 때, 구형상 특히, 반구형상의 패턴을 형성한다.
도 6에서의 광 가이드패턴(28)은 피치(P2)가 0.08 ~ 0.12mm의 범위를 갖으며, 특히, 약 0.1mm 정도로 형성된다.
광 가이드패턴(28)은 투명유리층(26)의 4면 중에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4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투명유리층(8)의 4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측면으로 출광되는 빛을 반사면(32)으로 유도하여 상측으로 빛을 모아주는 광 반사부재(30)를 포함한다.
반사면(32)은 포물면, 타원면, 및 자유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반사면(32)이 포물면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포물면인 반사면(32)의 피치(P3) 간격은 0.8 ~ 1.2mm의 범위를 갖으며, 특히, 약 1mm정도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도면은 도 3 및 도 4에서 OLED 소자(20)의 발광층(24)에서 조사된 빛이 일부는 전면으로 조사되고, 일부는 투명유리층(26)에서 전 반사되거나 직접 측면으로 출광되어 4면에 형성된 광 안내패턴(28)을 거쳐 광 반사부재(30)의 난반사면(32)에서 상측으로 모여지면서 출광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OLED 소자(20)는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배광 법규를 만족하게 된다. 실험 결과 종래의 OLED 소자(2)에 비하여 500% 정도의 광 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에서 전기를 공급하여 미도시된 애노드와 캐소드에서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어 활성화되면서 발광층(24)에서 이들을 재결합하여 전기 발광된 빛을 생성하여 사방으로 비춰준다.
그리고, OLED 소자(20)의 발광층(24)에서 조사된 빛의 일부는 투명유리층(26)을 거쳐 상측으로 조사된다.
그리고, 일부는 투명유리층(26)에서 전반사되거나 측면으로 직접 출광되어 광 가이드패턴(28)으로 유도된다.
한편, 광 가이드패턴(28)으로 유도된 빛은 구형상, 실린더형상, 프리즘형상, 및 삼각기둥형상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에 의해 출광 효율을 증대시킨 상태로 출광 된다.
그리고, 광 가이드패턴(28)에서 출광된 빛은 투명유리층(28)의 4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된 광 반사부재(30)의 반사면(32)에 반사되면서 상측으로 빛이 모여진 상태로 조사된다.
이와 같이, 투명유리측(26)의 상측으로 직접 출광된 빛과 광 가이드패턴(28)과 반사면(32)으로 유도된 빛이 상측으로 모여진 상태로 조사됨으로써, 빛의 출광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 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OLED 소자(20)의 크기를 1/5사이즈로도 동일한 출광 효율을 나타내므로 OLED 소자의 제조 원가도 낮추어 주고, 광원대비 소비전력을 감소시켜 연비 향상 및 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해가스 배출량도 줄여주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20 : OLED 소자 22 : 기판
24 : 발광층 26 : 투명유리층
28 : 광 안내패턴 30 : 광 반사부재
32 : 반사면 P1,P2,P3 : 피치

Claims (4)

  1. 상측에 구비된 부재를 지지하고, 전기적인 배선이 연결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빛을 발광하는 발광층;
    상기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기판 상측에 적층된 투명유리층; 및
    상기 투명유리층의 측면으로 출광되는 빛을 유도하기 위하여 투명유리층의 측면부에 일정한 패턴으로 가공되는 광 가이드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패턴은 구형상, 실린더형상, 프리즘형상, 및 삼각기둥형상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유리층의 4 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는 측면으로 출광되는 빛을 반사면으로 유도하여 상측으로 빛을 모아주는 광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은 포물면, 타원면, 및 자유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KR1020100072082A 2010-07-26 2010-07-26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KR101380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82A KR101380256B1 (ko) 2010-07-26 2010-07-26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082A KR101380256B1 (ko) 2010-07-26 2010-07-26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496A true KR20120010496A (ko) 2012-02-03
KR101380256B1 KR101380256B1 (ko) 2014-04-01

Family

ID=4583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082A KR101380256B1 (ko) 2010-07-26 2010-07-26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6025A1 (de) * 2012-07-05 2014-01-09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3370B2 (ja) * 2002-07-04 2008-09-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6025A1 (de) * 2012-07-05 2014-01-09 Hella Kgaa Hueck & Co.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256B1 (ko) 201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3734B (zh) 发光二极管模块
KR101046079B1 (ko) Led 소자 및 이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
US947277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panel and vehicle lamp
US11959613B2 (en) Light source unit of vehicle lighting system and vehicle lighting system
WO2014156668A1 (ja) 車輌用灯具
TW200746475A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having multi-stepped reflecting surface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WO2014203061A2 (en) Vehicular lamp
TWI517452B (zh) 發光晶體之多晶封裝結構
KR20120128909A (ko) 발광소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조등
JP2012129002A (ja) 車両用灯具および導光部材
KR20240012590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TW201114073A (en) Light-emitting diode structure
KR101380256B1 (ko) 자동차용 리어램프의 oled소자
KR20130070043A (ko)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5123092A (ja) Led灯具
KR102366387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WO2015084013A1 (ko) 조명용 유기발광장치
JP2004284393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JPWO2015083483A1 (ja) 面発光ユニット
KR102089571B1 (ko) 차량용 램프
KR102084703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JP5383758B2 (ja) 照明装置
WO2023145656A1 (ja) 半導体発光素子、前照灯装置、および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20160116998A (ko) 발광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10101935A (ko) 차량용 헤드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