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372A -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372A
KR20120010372A KR1020100071857A KR20100071857A KR20120010372A KR 20120010372 A KR20120010372 A KR 20120010372A KR 1020100071857 A KR1020100071857 A KR 1020100071857A KR 20100071857 A KR20100071857 A KR 20100071857A KR 20120010372 A KR20120010372 A KR 2012001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llegal
international
information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372A/ko
Publication of KR2012001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4Processing captured monitoring data, e.g. for logfil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국제전화교환장치; 및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저정하고,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발신번호 조작, 해킹 등 비정상적인 호유발을 통한 국제전화 사용 후 고의적인 요금 미납을 발생시키는 국제전화 불법호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교환기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AUTO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ILLEGAL CALL}
본 발명은 국제전화 불법호 검출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번호 조작, 해킹 등 비정상적인 호유발을 통한 국제전화 사용 후 고의적인 요금 미납을 발생시키는 국제전화 불법호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교환기 로그정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검출하기 위한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전화의 불법호란 정상적인 국제전화를 사용하였으나 요금을 청구 할 수 없는 호이다. 국제전화의 특성상 발신자는 다양한 사업자를 선택하여 동시에 단기간 동안 고요율의 국제전화 호를 다량으로 유발 시킨 후 요금 청구를 할 수 없도록 미등록 폰, 명의도용, VoIP의 IP해킹 등의 방법으로 전문적인 업체 또는 개인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방법이 더욱 교묘해 지고 있다. 특정 외국 사업자와 협력한 전문 불법호 사업자는 이러한 방법으로 단기간 외국 사업자로 다량의 국제전화를 발생 시킨 후 잠적하여 국내 사업자는 외국 사업자에게 접속료 정산 등으로 1건당 많게는 1억 이상의 피해를 발생시키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특정 해외 지역의 단기 국외 거주자들의 경우 출국 전 다량의 국제전화 사용 방법으로 사업자들이 요금 청구를 못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개인 사업장의 사내에 구축 사용 중인 인터넷 전화(VoIP) 교환기가 해킹되어 막대한 전화요금이 고지되는 피해 사례도 늘고 있다. 실제로 2009년 말 몰디브와 소말리아 국제전화가 해킹으로 사용되어 1억원 이상의 요금이 명의를 빌려준 개인들에게 고지되기도 하였다. 이는 사내에 설치된 VoIP교환기의 보안관리에 소홀했기 때문에 막대한 요금을 개인이 부담해야되는 상황으로 사내 교환기의 해킹 방지에 소홀한 개인 사업자가 책임을 져야 하나 해킹 사실과 이상 호에 대한 조치 소홀 등으로 사업자와의 분쟁의 소지가 충분히 발생 가능하고 대부분 요금조정 등의 방법으로 해결되어 개인이나 통신사업자 모두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
이러한 불법호의 특성은 과거 국제전화 이력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급격히 고요율 지역으로 대량의 호가 발생 되거나, 평소 발생되는 국제전화 지역(미국, 일본 등)이 아닌 이외의 지역으로 국제호가 발생된다. 예컨대, VoIP의 경우 VoIP 교환기가 사용하는 IP를 해킹하여 패킷을 변조하여 불법 국제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모든 국제전화 호에 대해 실시간 불법호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즉, 국제전화 정상호인지 불법호인지 여부는 과거의 통화패턴을 바탕으로 그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국제전화교환장치가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불법호검출장치가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고,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저장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여 불법호를 검출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발신번호 조작, 해킹 등 비정상적인 호유발을 통한 국제전화 사용 후 고의적인 요금 미납을 발생시키는 국제전화 불법호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교환기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검출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국제전화교환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고,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저장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여 불법호를 검출하는 불법호검출장치 및 불법호검출장치의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발신번호 조작, 해킹 등 비정상적인 호유발을 통한 국제전화 사용 후 고의적인 요금 미납을 발생시키는 국제전화 불법호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교환기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검출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국제전화교환장치; 및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불법호검출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국제전화교환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이력정보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는 패턴검출부; 및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저장하며,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력정보수집부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력정보수집부는,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법호검출부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여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파라미터는, 가입자유형, 단말기유형, 국제호유형, 발신번호중첩, 발신IP별 발신수, 발신IP중첩, 착신번호중첩, 사용이력, 장시간이력, 착신국유형, 고요율국가, 착신국수, 착신번호수, 동일착신번호로의 발신수, 착신번호 블랙리스트, 연속통화시간, 총통화시간, 및 휴일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국제전화교환장치가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이력정보제공단계; 불법호검출장치가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는 패턴검출단계; 상기 불법호검출장치가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저장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는 패턴비교단계; 및 상기 불법호검출장치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국제전화교환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이력정보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는 패턴검출단계;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저장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는 패턴비교단계; 및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력정보수집단계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력정보수집단계는,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턴비교단계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여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황파라미터는, 가입자유형, 단말기유형, 국제호유형, 발신번호중첩, 발신IP별 발신수, 발신IP중첩, 착신번호중첩, 사용이력, 장시간이력, 착신국유형, 고요율국가, 착신국수, 착신번호수, 동일착신번호로의 발신수, 착신번호 블랙리스트, 연속통화시간, 총통화시간, 및 휴일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발신번호 조작, 해킹 등 비정상적인 호유발을 통한 국제전화 사용 후 고의적인 요금 미납을 발생시키는 국제전화 불법호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교환기 로그정보를 분석하여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검출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으로 점차 증가되고 있는 불법호를 사전 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개인 및 통신사업자의 국제전화 요금 및 상호접속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불법호로 인한 국제전화 회선의 리소스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황파라미터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호검출장치의 계략적인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국제전화교환장치(100) 및 상기 사용이력정보와 기 지정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비교하여 불법호를 검출하는 불법호검출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한편, 국제전화 망 구성에서 호 유형을 분류하자면 망사업자의 ㉠ 사업자 내부망 가입자가 해당 망사업자의 국제전화를 사용하는 국제전화호, ㉡ 사업자 내부망 가입자가 타사업자의 국제전화를 사용하는 국제전화호 ㉢ 타사업자의 가입자가 망사업자의 국제전화 서비스를 사용하는 국제전화호로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세 가지 유형의 국제전화 호 중에 ㉡의 경우는 타사업자의 국제전화를 사용하므로 불법호에 대한 호제어가 불가능함에 따라 검출 대상에서 제외한다.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100)는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불법호검출장치(200)에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국제전화교환장치(100)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교환장치를 지칭하며, 이러한 불법호검출장치(200)는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불법호검출장치(200)에 제공한다.
상기 불법호검출장치(200)는 국제전화호 이용 시 불법호 검출을 위해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지정하여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법호검출장치(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각각 지정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도 2에 일례로 개시된 상황파라미터 각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황파라미터 1"의 가입자 유형은 기업형과 개인형으로 분리할 수 있는데, 개인형의 경우 1인 하나의 발신번호로 동일시간 동안의 발신번호의 중첩이 불법호임을 확신할 수 있는 단서로 구분할 수 있는 반면, 기업형의 경우 PBX(private branch exchange) 등의 사용으로 대표 번호가 중첩 가능하므로 개인/기업형을 구분하여 타 조건과의 결합으로 불법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적인 분류로 사용한다. 이 정보는 가입자의 고객정보(청약, 개통, 해지 등 포함)에서 CDR의 발신번호를 조회하여 추출한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1-1"의 단말유형은 단말에 따라 타 조건과 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VoIP의 경우 발신 IP의 중첩 여부를, PSTN은 발신 번호 중첩여부와 조합하여 불법호 검출이 가능하다. 이 정보는 CDR의 발신번호 유형에서 추출 가능하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1-2"는 국제전화 서비스의 유형에 따른 분류로 CDR의 착신번호에서 추출한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2"는 개인 고객의 경우 동일시간에 발신번호 중첩이 통신규격상 불가능하므로 중첩 시 불법호로 확인 가능하다. 이는 CDR DB의 조회에서 추출 가능하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2-1"은 발신 VoIP 전화에서 사용하는 IP의 일정 시간 동안의 발신횟수를 검사하여 특정 IP에서 대량의 국제전화 발신이 이루어질 경우 불법호를 의심할 수 있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2-2"는 "상황파라미터 2"와 동일하나 VoIP 전화에서 사용하는 IP를 대상으로 하므로 발신번호에 추가적인 IP정보까지 조회하여 검출의 정확도를 올릴 수 있다. 이는 CDR 정보에서 추출한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3"의 착신번호중첩은 착신국의 특정 착신번호에 대량의 국제호가 집중될 경우 불법호로 의심할 수 있으며 특정 착신번호에 대한 블랙리스트(Blacklist) 등록에 사용할 수 있다. 이는 CDR 정보에서 추출한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4"는 발신 가입자의 국제전화 사용이력을 0~6개월 정도 축적하여 국제전화 미사용자, 저사용자가 급격한 국제전화 통화량 증가 시 불법호 의심호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CDR의 6개월 이상 저장과 발신번호와 가입자 정보를 DB화하여 인덱싱 작업으로 저장 후 사용한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4-1"의 장시간 이력의 경우는 1시간 이상 통화한 장시간 통화 대상 호에 대해 불법호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으로 사용한다. 이는 국제전화교환장치의 로그정보를 가공하여 추출한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5" 및 "상황파라미터 5-1"은 착신국의 특성에 따른 분류로 국제전화가 많이 사용되는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제전화 상대국과 평균 접속량이 많지않은 국가로 분류하여 접속량이 많지 않은 국가에 접속하거나 고요율 국제전화요금 대상국에 접속 시 다른 조건과의 조합으로 불법호 검출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6", "상황파라미터 7"은 국제전화 시도 가입자가 과도한 착신국수 또는 착신번호수에 다량의 국제전화를 시도할 경우 불법호를 감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8"은 발신가입자가 동일 착신번호로 다량의 국제전화를 시도할 경우에 대한 조건이다. 이러한 "상황파라미터 6,7,8"의 경우는 CDR의 분석 DB에서 추출 가능하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9"의 착신번호 블랙리스트(Blacklist)의 경우는 기존 불법호 의심 착신번호에 대한 검출 조건이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10"의 연속통화는 30초 이상 유지한 국제전화의 1시간 동안의 총 통화시간의 합으로 이전 1시간 또는 전주요일 평균 등의 기준 시간과 비교를 통해 불법호의 가능성을 분석한다. 또한, "상황파라미터 11"의 총통화의 경우는 "상황파라미터 10"과 유사하나 6시간 기준 총통화시간의 합으로 장시간 비교 분석 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상황파라미터 12"의 경우는 기업형 고객의 휴일 국제전화 이용 패턴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조건으로 휴일 불법호 발생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를 기반으로, 불법호검출장치(200)는 국제전화교환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이력정보와 상기 저장된 상황파라미터 각각을 비교하여 불법호를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법호검출장치(200)는 국제전화교환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패턴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한다. 즉, 불법호검출장치(200)는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기 위해 도 2의 각 상황파라미터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불법호 여부를 판단하고, 국제전화 관련 운용자에게 불법 의심호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어 사전에 차단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불법호 검출을 위한 조건들을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①,②,③,④). ①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2(발신번호) 시 블랙리스트 등록 후 자동차단, ②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2-2(발신IP중첩) 시 블랙리스트 등록 후 자동차단, ③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1-1(휴대폰), 상황파라미터 4(사용이력-1개월내 이력없음), 상황파라미터 5(착신국 유형-기타), 상황파라미터 7(착번수-4이상), 상황파라미터 10(연속통화 5회이상), ④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1-1(휴대폰), 상황파라미터 4(사용이력-1개월내 이력없음), 상황파라미터 5(착신국 유형-mixed), 상황파라미터 6(착신국수-4이상), 상황파라미터 10(연속통화-5이상), 상황파라미터 11(총통화시간-40분이상). 한편, 상기와 같은 상황파라미터의 비교를 통한 불법호의 확률이 100%인 경우에는 교환기나 장비에 블랙리스트를 등록하여 해당 호를 자동으로 종료시키고, 반면, 불법호로 의심이 되는 호의 경우 상담원의 발신 가입자와의 상담 등을 통해 운용자가 수동으로 차단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불법호검출장치(200)는 검출된 불법호에 관한 정보를 국제전화교환장치(100)에 전송하여 블랙리스트에 자동등록시킴으로써,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100)를 통해 이후 호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불법호검출장치(200)는 국제전화 관련 운용자에게 불법 의심호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사전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호검출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불법호검출장치(200)는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이력정보수집부(210), 사용이력정보를 토대로 통화패턴을 파악하는 패턴검출부(220) 및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과 기 저장된 상황파라미터 각각을 비교하여 불법호를 검출하는 불법호검출부(2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이력정보수집부(210)는 국제전화교환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력정보수집부(210)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100)로부터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패턴검출부(220)는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한다.
상기 불법호검출부(230)는 국제전화호 이용 시 불법호 검출을 위해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지정하여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법호검추부(230)는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각각 지정하여 저장한다.
또한, 불법호검출부(230)는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상기 지정된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법호검출부(230)는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한다. 즉, 불법호검출부(230)는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기 위해 지정된 각각의 상황파라미터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불법호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불법호검출부(230)는 검출된 불법호에 관한 정보를 국제전화교환장치(100)에 전송하여 블랙리스트에 자동등록시킴으로써,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100)를 통해 이후 호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불법호검출부(230)는 국제전화 관련 운용자에게 불법 의심호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사전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에 따르면, 발신번호 조작, 해킹 등 비정상적인 호유발을 통한 국제전화 사용 후 고의적인 요금 미납을 발생시키는 국제전화 불법호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교환기 로그정보를 이용하여 국제전화 사용자의 통화 패턴을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조합, 분석하여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선별함으로써, 시스템 자동 차단 또는 검증 후 수동 차단을 통해 국제전화 불법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제전화교환장치(100)가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한다(S110-S120). 바람직하게는. 국제전화교환장치(100)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교환장치를 지칭하며, 이러한 불법호검출장치(200)는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불법호검출장치(200)에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불법호검출장치(200)가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한다(S130).
그런 다음, 불법호검출장치(200)가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지정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한다(S140). 바람직하게는, 불법호검출장치(200)는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한다. 예컨대, 도 2의 각 상황파라미터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불법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들을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①,②,③,④). ①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2(발신번호) 시 블랙리스트 등록 후 자동차단, ②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2-2(발신IP중첩) 시 블랙리스트 등록 후 자동차단, ③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1-1(휴대폰), 상황파라미터 4(사용이력-1개월내 이력없음), 상황파라미터 5(착신국 유형-기타), 상황파라미터 7(착번수-4이상), 상황파라미터 10(연속통화 5회이상), ④ 상황파라미터 1(개인), 상황파라미터 1-1(휴대폰), 상황파라미터 4(사용이력-1개월내 이력없음), 상황파라미터 5(착신국 유형-mixed), 상황파라미터 6(착신국수-4이상), 상황파라미터 10(연속통화-5이상), 상황파라미터 11(총통화시간-40분이상).
이후, 불법호검출장치(200)가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한다(S150-S160). 바람직하게는, 불법호검출장치(200)는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고, 해당 정보를 국제전화교환장치(100)에 전송하여 블랙리스트에 자동등록시킴으로써,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100)를 통해 이후 호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불법호검출장치(200)는 국제전화 관련 운용자에게 불법 의심호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사전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법호검출장치(200)의 구동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국제전화교환장치(10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한다(S210-S220). 바람직하게는, 이력정보수집부(210)가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100)로부터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한다.
그런 다음, 패턴검출부(220)가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한다(S230-S240).
그리고 나서,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지정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한다(S250). 바람직하게는, 불법호검출부(230)는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한다. 예컨대, 도 2의 각 상황파라미터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불법호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들을 도 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①,②,③,④). 즉, ①의 경우 먼저, "상황파라미터 1"의 가입자 유형에 해당하는 상황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개인형 발신자임을 확인함으로써, 하나의 발신번호로 동일시간 동안의 발신번호의 중첩이 불법호임을 확신할 수 있는 단서로 활용한다(S251). 이후, 개인 고객의 경우 동일시간에 발신번호 중첩은 통신규격상 불가능하므로 "상황파라미터 2"를 조합함으로써 동일시간에 발신번호 중첩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S252). 다음, ②의 경우, 먼저, "상황파라미터 1"의 가입자 유형에 해당하는 상황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개인형 발신자임을 확인함으로써, 하나의 발신번호로 동일시간 동안의 발신번호의 중첩이 불법호임을 확신할 수 있는 단서로 활용한다(S251). 이후, 개인 고객의 경우 동일시간에 발신번호 중첩은 통신규격상 불가능하므로 "상황파라미터 2-2"를 조합하여 VoIP 전화에서 사용하는 IP를 대상으로 동일시간에 발신번호 중첩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한다(S252). 다음, ③의 경우, 먼저, "상황파라미터 1"의 가입자 유형에 해당하는 상황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개인형 발신자임을 확인함으로써, 하나의 발신번호로 동일시간 동안의 발신번호의 중첩이 불법호임을 확신할 수 있는 단서로 활용한다(S251). 그리고 나서, "상황파라미터 1-1"을 적용하여 발신자가 휴대폰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S252). 그런 다음. "상황파라미터 4"를 적용하여, 발신 가입자의 국제전화 사용이력이 예컨대, 1개월내 존재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국제전화 미사용자, 저사용자가 급격한 국제전화 통화량 증가 시 불법호 의심호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한다(S253). 다음으로,"상황파라미터 5"를 적용하여 착신국의 특성에 따른 분류로 국제전화가 많이 사용되는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제전화 상대국과 평균 접속량이 많지않은 국가로 분류하여 접속량이 많지 않은 국가에 접속하거나 고요율 국제전화요금 대상국에 접속 시 다른 조건과의 조합으로 불법호 검출 확률을 높인다(S254). 그리고 나서, "상황파라미터 7"을 적용함으로써, 국제전화 시도 가입자가 과도한 착신국수 또는 착신번호수에 다량의 국제전화를 시도하는지를 확인하다(S255). 이후, "상황파라미터 10"을 적용하여 연속통화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예컨대 30초 이상 유지한 국제전화의 1시간 동안의 총 통화시간의 합으로 이전 1시간 또는 전주요일 평균 등의 기준 시간과 비교를 통해 불법호의 가능성을 분석한다(S256). 마지막으로, ④의 경우, 먼저, 먼저, "상황파라미터 1"의 가입자 유형에 해당하는 상황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개인형 발신자임을 확인함으로써, 하나의 발신번호로 동일시간 동안의 발신번호의 중첩이 불법호임을 확신할 수 있는 단서로 활용한다(S251). 그리고 나서, "상황파라미터 1-1"을 적용하여 발신자가 휴대폰 사용자인지를 확인한다(S252). 그런 다음. "상황파라미터 4"를 적용하여, 발신 가입자의 국제전화 사용이력이 예컨대, 1개월내 존재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국제전화 미사용자, 저사용자가 급격한 국제전화 통화량 증가 시 불법호 의심호로 분류될 수 있도록 한다(S253). 다음으로,"상황파라미터 5"를 적용하여 착신국의 특성에 따른 분류로 국제전화가 많이 사용되는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제전화 상대국과 평균 접속량이 많지않은 국가로 분류하여 접속량이 많지 않은 국가에 접속하거나 고요율 국제전화요금 대상국에 접속 시 다른 조건과의 조합으로 불법호 검출 확률을 높인다(S254). 그리고 나서, "상황파라미터 7"을 적용함으로써, 국제전화 시도 가입자가 과도한 착신국수 또는 착신번호수에 다량의 국제전화를 시도하는지를 확인하다(S255). 그럼 다음, "상황파라미터 10"을 적용하여 연속통화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예컨대 30초 이상 유지한 국제전화의 1시간 동안의 총 통화시간의 합으로 이전 1시간 또는 전주요일 평균 등의 기준 시간과 비교를 통해 불법호의 가능성을 분석한다(S256). 이후, "상황파라미터 11"을 적용함으로써, "상황파라미터 10"과 유사하나 6시간 기준 총통화시간의 합을 전주요일 평균 등의 기준 시간과 비교를 통해 불법호의 가능성을 분석하여 불법호 검출의 정확도를 높인다(S257).
이후, 상기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한다(S260-S270). 바람직하게는, 불법호검출부(230)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고, 해당 정보를 국제전화교환장치(100)에 전송하여 블랙리스트에 자동등록시킴으로써,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100)를 통해 이후 호에 대한 접속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불법호검출부(230)는 국제전화 관련 운용자에게 불법 의심호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사전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에 따르면, 발신번호 조작, 해킹 등 비정상적인 호유발을 통한 국제전화 사용 후 고의적인 요금 미납을 발생시키는 국제전화 불법호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교환기 로그정보를 이용하여 국제전화 사용자의 통화 패턴을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조합, 분석하여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선별함으로써, 시스템 자동 차단 또는 검증 후 수동 차단을 통해 국제전화 불법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국제전화에 대해 CDR(Call Detail Record) 및 교환기 로그를 분석하여 불법호 가능성이 있는 호를 검출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국제전화교환장치
200: 불법호검출장치
210: 이력정보수집부 220: 패턴검출부
230: 불법호검출부

Claims (12)

  1.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국제전화교환장치; 및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저장하고,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에 해당하는 통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2. 국제전화교환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이력정보수집부;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는 패턴검출부; 및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를 저장하며,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호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정보수집부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호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정보수집부는,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호검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호검출부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여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호검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파라미터는,
    가입자유형, 단말기유형, 국제호유형, 발신번호중첩, 발신IP별 발신수, 발신IP중첩, 착신번호중첩, 사용이력, 장시간이력, 착신국유형, 고요율국가, 착신국수, 착신번호수, 동일착신번호로의 발신수, 착신번호 블랙리스트, 연속통화시간, 총통화시간, 및 휴일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법호검출장치.
  7. 국제전화교환장치가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이력정보제공단계;
    불법호검출장치가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는 패턴검출단계;
    상기 불법호검출장치가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저장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는 패턴비교단계; 및
    상기 불법호검출장치가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
  8. 국제전화교환장치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이력정보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사용이력정보에 포함된 발착신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파악하는 패턴검출단계;
    국제전화호 이용 시 발착신 정보에 기반한 통화패턴을 기초로 불법호 검출을 위해 저장된 복수의 상황파라미터와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는 패턴비교단계; 및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이 상기 저장된 상황파라미터에 대응될 경우 해당 국제전화호를 불법호로 검출하는 불법호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정보수집단계는,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VoIP)망, 및 공중 전화 교환망(PSTN)을 각각 운용하는 상기 국제전화교환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정보수집단계는,
    국제전화호 이용에 따른 CDR(Call Detail Record)정보 및 로그(Log)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이력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비교단계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황파라미터가 조합된 상황과 상기 파악된 통화패턴을 비교하여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파라미터는,
    가입자유형, 단말기유형, 국제호유형, 발신번호중첩, 발신IP별 발신수, 발신IP중첩, 착신번호중첩, 사용이력, 장시간이력, 착신국유형, 고요율국가, 착신국수, 착신번호수, 동일착신번호로의 발신수, 착신번호 블랙리스트, 연속통화시간, 총통화시간, 및 휴일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방법.
KR1020100071857A 2010-07-26 2010-07-26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0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857A KR20120010372A (ko) 2010-07-26 2010-07-26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857A KR20120010372A (ko) 2010-07-26 2010-07-26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372A true KR20120010372A (ko) 2012-02-03

Family

ID=4583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857A KR20120010372A (ko) 2010-07-26 2010-07-26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3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48B1 (ko) * 2012-12-03 2014-10-06 한국인터넷진흥원 행위 기반 비정상 음성 및 sms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06982B1 (ko) * 2013-12-11 2015-03-30 (주)엔컴 데이터망에서의 불법 호 검출 및 차단 시스템 및 방법
WO2019245131A1 (ko) * 2018-06-20 2019-12-26 주식회사 케이티 불법 전화 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03350A (ko) * 2018-06-20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 불법 전화 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48B1 (ko) * 2012-12-03 2014-10-06 한국인터넷진흥원 행위 기반 비정상 음성 및 sms 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506982B1 (ko) * 2013-12-11 2015-03-30 (주)엔컴 데이터망에서의 불법 호 검출 및 차단 시스템 및 방법
WO2019245131A1 (ko) * 2018-06-20 2019-12-26 주식회사 케이티 불법 전화 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03350A (ko) * 2018-06-20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 불법 전화 검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323560B2 (en) 2018-06-20 2022-05-03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illegal c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4810A (en) Telecommunications fraud detection scheme
US8238532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iscovering and reporting trustworthiness and credibility of calling party number information
US20120099711A1 (en) Telecommunication frau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EP32265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interconnect bypass using test calls to real subscribers
CA3052149C (e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unwanted call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570968B1 (en) Alert suppre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fraud control system
US6556669B2 (en) International origination to domestic termination call blocking
US66365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bad billed number records to prevent fraud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20010372A (ko) 국제전화 불법호 자동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66289B2 (en) Domestic origination to international termination country set logic
US6404871B1 (en) Termination number screening
JP2004527185A (ja) 共通の請求番号を使用して不正呼び出しを防ぐ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MXPA02005701A (es) Interfase de programacion de aplicacion de servidor de protocolo de iniciacion de sesion.
US79450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all forward detection using signaling
JPH10285307A (ja) 宛先への通話の数を減少させる方法
CN112019688B (zh) 检测盗打固定电话的方法及装置
KR20150047378A (ko) 보이스 피싱 방지 장치
US6782083B2 (en) ISN call interrupt
CN102572840B (zh) 一种利用信令监测技术鉴别新型恶意回拨业务的方法
JP2004533770A (ja) 可変長の呼ばれた番号スクリーニング
TR201610574A2 (tr) Çağri merkezi̇ ve telesatiş davranişlari sergi̇leyen simbox dolandiriciliği tespi̇ti̇ i̇çi̇n bi̇r mobi̇l haberleşme yöntemi̇
TR201612555A1 (tr) Yurti̇çi̇ arama kayitlarinin anali̇zi̇yle uluslararasi telekom çağrilarinda dolandiricilik tespi̇t edi̇lmesi̇ i̇çi̇n bi̇r yöntem
IE20100402U1 (en) Telecommunication fraud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