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283A -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283A
KR20120010283A KR1020120004234A KR20120004234A KR20120010283A KR 20120010283 A KR20120010283 A KR 20120010283A KR 1020120004234 A KR1020120004234 A KR 1020120004234A KR 20120004234 A KR20120004234 A KR 20120004234A KR 20120010283 A KR20120010283 A KR 20120010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ouch screen
controller
key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정애
Original Assignee
(주)이컴앤드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컴앤드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컴앤드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0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283A/en
Publication of KR2012001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2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9Accessories therefor, e.g. mouse pads
    • G06F3/0393Accessories for touch pads or touch screens, e.g. mechanical guides added to touch screens for drawing straight lines, hard keys overlaying touch screens or touch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blind and a mobile driv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the blind to use a mobile device with touch screen operation by providing icons and menu on a GUI environment. CONSTITUTION: An icon reassigning module(110) reassigns icons and a menu to the position of a number key, a symbol key, and a function key on a dialing screen. A function key extracting module(130) provides data to a controller with the reassigned function key input, the scroll input and a touch on a touch screen. An icon name extracting module(150) extracts a name of the reassigned icons and menu. Text To Speech(TTS) converting module(160) outputs the data received from a text and the icon name extracting module in a voice data.

Description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으로 아이콘과 메뉴가 제공되고 터치 스크린에 의해 조작되는 모바일 기기를 시각 장애우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재배치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부가하여 음성에 의한 안내를 하며, 기능키(function key)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시각 장애우가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위한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a visually impaired and a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wherein the visually impaired can use a mobile device provided with an icon and a menu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and operated by a touch screen. It is to make it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relocates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for a dialing screen of a touch screen mobile, adds a text to speech (TTS) function, guides by voice, and performs a function of a function ke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face that enables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a touch screen mobile and a driv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에 대하여, 시각적인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배경 기술들은 전용의 모바일 기기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전용 키패드를 별개로 구비하는 구성들이 알려져 있다.
Background Art In order to overcome the visual obstacles, the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driving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are known to have a separate mobile device or a separate keypad. have.

본 발명에 대한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4-0033845호의 시각 장애인용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시각 장애인용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숫자 키버튼들 상에는 각각에 할당된 숫자를 나타내는 점자가 구현되고; 상기 각각의 숫자 키버튼 상의 점자는 해당 숫자 표기에 사용되는 국제 표준형 점자에서 숫자들 간에 상이하게 배열된 점자 패턴만을 독출하여 구현되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키 패드가 없는 일반 터치 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As a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keypad technology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33845 shown in FIG. This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a braille indicating a number assigned to each is implemented on the numeric key buttons of the keypad; The braille on each numeric key butt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implemented by reading only the braille patterns arranged differently between the numbers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braille used for the corresponding number. However, this technology has a limitation that cannot be applied to a general touch screen mobile device without a keypad.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2도의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52703호의 시각 장애자(맹인) 용의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의 4개의 각부 가운데, 1개를 다른 부분과 다른 형상(이형 각부)으로 해 상기 4개의 각부에 주요한 기능 버튼(feature button)을 배치하고, 수화(통화) 버튼은 상기 이형 각부에 배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시각 장애자에게 불필요한 기능이나 버튼, 또는 디스플레이(display unit) 등을 구성 시키지 않고, 시각 장애자가 필요한 기능 또는 장치로 한정한다. 각각의 기능 버튼(feature button)에는 점자가 표시되어 각각의 버튼은 시각 장애자에게도 누르기 쉽게, 종래의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보다도 큰 사이즈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술은 별개의 휴대 전화를 구성해야 하고 촉각에 의해 구분되는 버튼을 구비해야 하므로 키 패드가 없는 일반 터치 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As another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ortable telephone technology for the visually impaired (blind person)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8-252703 in Fig. 2. This technique arranges one of the four parts of a portable telephone into a shape (deformation part) different from another part, and arranges a main feature button in the four parts, and receives a sign language (call). A key point is to arrange | position a button at the said release corner part. In addition,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does not configure unnecessary functions, buttons, or display units, and is limited to functions or devi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visually impaired. Each feature button is displayed with braille, and each button is larger in size than a conventional portable telephone. This technology cannot be applied to a general touch screen type mobile device without a keypad because it must be configured with a separate cell phone and have a button separated by a tactile touch.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미국특허공보 US 06675028호의 시각 장애인의 사용을 위한 모바일 스테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일반적인 셀룰라 통신 시스템으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작동 가능한 이동 기지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지로 한다. 이 기술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시각적인 장애 사용자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 기지국에서 수신된 데이터가 바람직한 스크롤링 비율에 있는 점자 키패드에 걸쳐 스크롤 가능한 점자 패턴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기술은 수신된 데이터만을 점자로 제공하는 전용의 단말기일 뿐이어서 사용자가 통화를 하거나 다른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며, 키 패드가 없는 일반 터치 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As another background technology with respec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mobile station user interface and method technology for the use of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US patent publication US 06675028 shown in FIG. This technique aims at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base station that can ope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a gener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This technique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user interface and visually impaired user, data received at the mobile base station is displayed in a scrollable braille pattern across the braille keypad at the desired scrolling rate. This technology is a dedicated terminal that provides only received data in Braille, so users cannot make calls or use other additional functions, and they cannot be applied to general touch screen type mobile devices without a keypad.

(특허문헌 1) KR10-2004-0033845 A (Patent Document 1) KR10-2004-0033845 A

(특허문헌 1) JP2008-252703 A (Patent Document 1) JP2008-252703 A

(특허문헌 2) US06675028 B1
(Patent Document 2) US06675028 B1

본 발명은 키 패드가 없는 일반 터치 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mounted in a clip on method on a general touch screen type mobile device without a keypad.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재배치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부가하여 음성에 의한 안내를 하며, 기능키(function key)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시각 장애우가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위한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ocates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for the dialing screen of the touch screen mobile, adds a text to speech (TTS) function to guide by voice, and also performs a function of a function key. Therefore, to solve the problem to provide an interface and a driving method for enabling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a touch screen mobile.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은,The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모바일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 키로 제공되는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상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 키 위치에 정합되고 모바일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되는 키패드 어댑터 및 모바일 어댑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For dialing screens provided by mobile number keys 0-9 and '*', '#' keys and function keys, the number keys 0-9 and '*', '#' keys and function key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equipped with a keypad adapter and a mobile adapter that are matched to a location and mounted in a clip-on manner to the mobile device.

또한, 아이콘 재배치 모듈, 텍스트 추출 모듈, 기능키 추출 모듈, 페이지 스크롤 모듈,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 TTS(text to speech) 변환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과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와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제공한다.
In addition, a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with an icon relocation module, text extraction module, function key extraction module, page scroll modul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TTS (text to speech) conversion module And it provides a mobile driving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에 의하면, 키 패드가 없는 일반 터치 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기기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the touch screen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clip-on mounted on a general touch screen-type mobile device without a keypad. To provide a mobile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재배치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부가하여 음성에 의한 안내를 하며, 기능키(function key)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으로 아이콘과 메뉴가 제공되고 터치 스크린에 의해 조작되는 모바일 기기를 시각 장애우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ocates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for the dialing screen of the touch screen mobile, adds a text to speech (TTS) function to guide by voice, and also performs a function of a function key. Therefore, there is a technical effect of providing an icon and a menu 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and allowing a visually-impaired person to use a mobile device operated by a touch screen.

도면 제1도는 배경 기술로서 시각 장애인용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기술 구성
도면 제2도는 다른 배경 기술로서 시각 장애자(맹인)용의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의 구성
도면 제3도는 또 다른 배경 기술로서, 시각 장애인의 사용을 위한 모바일 스테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기술의 구성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댑터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댑터와 모바일이 결합된 상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댑터의 세부 구조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키패드 마킹(marking)의 실시예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댑터의 세부 구조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댑터와 모바일이 결합된 상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개구부(230b) 인지를 위한 마킹(marking)의 실시예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키패드 어댑터 또는 모바일 어댑터를 모바일에 장착하여 아이콘이나 메뉴 선택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일례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키패드 어댑터 또는 모바일 어댑터를 모바일에 장착하여 전화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의 일례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모바일의 구성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아이콘 메뉴 화면의 구동 흐름도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의 구동 흐름도
1 i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keypad technology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2 i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lephone for the visually impaired (blind).
3 is another background technology, the configuration of mobile station user interface and method technology for the use of the visually impaired
Figure 4 is a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keypad adap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in which the keypad adapter and the mob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7 is a detailed structure of a keypad adap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mbodiment of conductive keypad mark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etailed structure of a mobile adap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in which a mobile adapter and a mobile are coupl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n embodiment of marking for recognizing an opening 230b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to perform the icon or menu selection function by mounting the keypad adapter or mobile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bile
Figure 13 i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to perform a phone call application by mounting the keypad adapter or mobile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bile
Figure 14 is a configuration of the mobile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n icon menu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ion menu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all of the conditional terms and embodiment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intended on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any way to the specifically lis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은 도면 제4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으로 기능(fuction)이 제공되고 터치 스크린에 의해 조작되는 모바일 기기를 시각 장애우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100)은 도면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와 기능키로 제공되는 다이얼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도면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재배치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부가하여 음성에 의한 안내를 하며, 기능키(function key)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시각 장애우가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위한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4 show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with a funct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as shown in FIG. In order to enable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the mobile device operated by the. As illustrated in (b) of FIG. 2, the touch screen mobile 100 may provide a dialing screen provided with number keys 0 to 9 and keys and function keys of '*' an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ice guide by reloc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and adding a text to speech (TTS) function to the dialing screen of the touch screen mobile 10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by providing a function of the function key (function key) also provides an interface and a driving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can use the mobile screen of the touch screen method.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 인터페이스용 키패드 어댑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키패드 어댑터(200a)는 모바일(100)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 키로 제공되는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구비되며, 상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 위치에 정합되는 키패드를 구비하여 모바일(100)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5 shows a keypad adapter for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Keypad adapter 200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dialing screen provided by the number keys and '*', '#' keys and function keys of 0 to 9 of the mobile 100, the 0 to 9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 a clip-on (clip on) method to the mobile 100 by having a keypad that is matched to the number keys and '*', '#' keys and function key positions.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댑터와 모바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댑터(200a)는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구비되며, 상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각각 정합되도록 모바일(100)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키패드 어댑터(200a)는 모바일(100)의 키 위치에 보다 정확히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100)의 외형(form factor)에 맞는 부수적인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keypad adapter and the mob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keypad adapter 20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and the number keys 0 to 9 and keys of '*' and '#'. And it is mounted in a clip-on (clip on) method to the mobile 100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function key respec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keypad adapter 200a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fixing means that fits the form factor of the mobile 100 so that the keypad adapter 200a can be more accurately mounted at the key position of the mobile 100. have.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댑터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의 상단에 도시된 본 발명의 키패드 어댑터(200a)에 대해 A-A'의 단면을 하단에 도시하였으며, 키패드 어댑터(200a)가 모바일(100)의 터치 스크린과 대응하는 면에는 도전성 키패드(230a)가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키패드(230a)의 터치 스크린 측 결합부에는 절연 재질의 돌기(220)가 구비되어 도전성 키패드(230a)를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 도전성 키패드(230a)와 터치 스크린간의 절연을 유지한다. 상기 도전성 키패드(230a)는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 고무 내지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전성 키패드(230a)를 누름으로써 도전성 키패드(230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 동작을 할 수 있다. 7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a keypad adap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of A-A 'is shown at the bottom of the keypad adapter 200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t the top of the figure, and the conductive keypad 230a is provided on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100. ) Is provided, and the touch screen side coupling portion of the conductive keypad 230a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220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maintain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ive keypad 230a and the touch screen without pressing the conductive keypad 230a. do. The conductive keypad 230a may be made of a conductive rubber or a conductive polymer polymer having elasticity, and the user may contact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keypad 230a by pressing the conductive keypad 230a.

상기 도전성 키패드(230a)는 전체 키가 모두 도전성 재질로써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각각의 키별로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도전성 키패드(230a)와 터치 스크린 사이에만 도전성 고무 내지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 재질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nductive keypad 230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ll of the keys as a conductive material. If necessary, the conductive keypad 230a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for each key, and may be made of conductive rubber or a conductive polymer polymer only between the conductive keypad 230a and the touch scree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이 때 상기 키패드 어댑터(200a)는, 후술할 모바일(100)의 터치 스크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다이얼링 화면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 스크린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keypad adapter (200a), the number of the number key from 0 to 9 and '*', '#' key and the function key position of the dialing screen to use the touch screen function of the mobile 100 to be described later Except the remaining touch screen portion is configured.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댑터에 있어서 도전성 키패드(230a)의 마킹(marking)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로서의 도전성 키패드(230a)는 그 상면에 촉각에 의한 인식을 하기 위해 요철 방식으로 마킹을 구성한다. 도면의 (a)는 각각 키의 문자 표시를 점자로 0~9까지의 번호와 '*', '#' 및 기능키의 표기를 구비한 일례이다. 도면의 (b)는 번호키의 '5'의 위치에만 마킹을 하여 이를 중심으로 주변의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예이며,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각에 의해 키를 구분할 수 있는 기호를 마킹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기호의 설정은 보다 용이한 판별을 위해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8 shows embodiments of marking conductive keypad 230a in a keypad adap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ductive keypad 230a as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marking in a concave-convex manner in order to recognize by touch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of the figure is an example in which the letter display of the key is provided with the numbers 0 to 9 in Braille, the notation of '*', '#' and function keys, respectively. (B) of the figure is an example of marking only the position of '5' of the number key so that the surrounding keys can be manipulated around it. As shown in (c) and (d), keys are touched. It is also possible to mark distinguishable symbols, where the setting of the symbols can be adopted as necessary for easier identification.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댑터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의 상단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바일 어댑터(200b)에 대해 B-B'의 단면을 하단에 도시하였으며, 모바일 어댑터(200b)가 모바일(100)의 터치 스크린과 대응하는 면에는 개구부(230b)가 구비된다. 상기 모바일 어댑터(200b)는 절연성 재질로 구비되며, 사용자가 개구부(230b)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접촉 동작을 할 수 있다. 9 shows a detailed structure of a mobile adap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B-B 'is shown at the bottom for the mobile adapter 200b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t the top of the figure, and the opening 230b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bile adapter 200b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100. Is provided. The mobile adapter 200b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user may make a contact operation on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opening 230b.

이 때 상기 모바일 어댑터(200b)는 전술한 키패드 어댑터(200a)와 마찬가지로, 후술할 모바일(100)의 터치 스크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다이얼링 화면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 스크린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mobile adapter 200b is similar to the keypad adapter 200a described above, in order to use the touch screen function of the mobil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uch screen portion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key and the function key of '.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댑터와 모바일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댑터(200b)는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구비되며, 상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 위치에 개구부(230b)가 각각 정합되도록 모바일(100)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모바일 어댑터(200b)는 모바일(100)의 키 위치에 보다 정확히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100)의 외형(form factor)에 맞는 부수적인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FIG. 10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obile adapter and a mobile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adapter 20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and the number keys up to 0-9 and keys of '*' and '#'. And a clip on method in the mobile 100 so that the openings 230b are respectively matched to the function key position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bile adapter 200b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fixing means that fits the form factor of the mobile 100 so that the mobile adapter 200b can be more accurately mounted at the key position of the mobile 100. have.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어댑터에 있어서 개구부(230b) 인지를 위한 마킹(marking)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로서의 모바일 어댑터(200b)는 개구부(230b)의 주변 프레임 부분에 촉각에 의한 인식을 하기 위해 요철 방식으로 마킹을 구성한다. 도면의 (a)는 각각 키의 문자 표시를 점자로 0~9까지의 번호와 '*', '#' 및 기능키의 표시를 구비한 일례이다. 도면의 (b)는 번호키의 '5'의 위치에만 마킹을 하여 이를 중심으로 주변의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예이며,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각에 의해 키를 구분할 수 있는 기호를 마킹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기호의 설정은 보다 용이한 판별을 위해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11 illustrates embodiments of marking for recognizing an opening 230b in a mobile adap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adapter 200b as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marking in a concave-convex manner in order to recognize the touched part in the peripheral frame portion of the opening 230b. (A) of the figure is an example provided with the letter display of the keys, respectively, with numbers from 0 to 9 in Braille and the display of '*', '#' and function keys. (B) of the figure is an example of marking only the position of '5' of the number key so that the surrounding keys can be manipulated around it. As shown in (c) and (d), keys are touched. It is also possible to mark distinguishable symbols, where the setting of the symbols can be adopted as necessary for easier identification.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키패드 어댑터 또는 모바일 어댑터를 모바일에 장착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아이콘이나 메뉴 선택 기능(fuction)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은 모바일(100)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재배치한다. 상기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아이콘이나 메뉴들은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구비되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된다. 도면 제12도의 (a)는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0~9까지의 번호키에 아이콘이나 메뉴를 재배치하고 이전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키, 앞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키, 음성변환의 기능키(240)를 할당한 예를 도시한다. 이 때 아이콘이나 메뉴들은 한 화면에 12개까지 배치할 수 있으나 판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이하의 개수로 재배치될 수 있다. FIG.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keypad adapter or a mobile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bile device to perform an icon or menu selection func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The touch screen-based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relocat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of the mobile 100. The icons or menus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and are rearranged in the positions of the number keys 0 to 9 and the keys and function keys of '*' and '#'. do. FIG. 12A illustrates a function key for relocating an icon or menu to a number key of 0 to 9 for a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and switching to a previous screen, a function key for switching to a previous screen, and voice conversion.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unction key 240 is assigned. At this time, up to 12 icons or menus may be arranged on one screen, but may be rearranged to a smaller number for easier reading.

또한 도면 제12도의 (b)는 본 발명의 키패드 어댑터(200a) 또는 모바일 어댑터(200b)를 모바일(100)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하고 나머지 노출된 터치 스크린 부분에 대한 구동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패드 어댑터(200a) 또는 모바일 어댑터(200b) 부분 이외의 노출된 터치 스크린은 기능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예로서 첫째, 터치 스크린을 스크롤 기능으로 사용한다. 상기 스크롤 기능은 모바일(100)의 기본 기능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터치스크린에서 접촉을 유지하며 이동함으로써 연속된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페이지 단위로 스크롤되도록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둘째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의 터치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도 구비한다. 예로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면 화면에 있는 아이콘의 이름이나 메뉴, 문자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In addition, FIG. 12B illustrates mounting of the keypad adapter 200a or the mobile adapter 200b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mobile 100 in a clip on manner, and driving of the remaining exposed touch screen parts. d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ed touch screen other than the keypad adapter 200a or the mobile adapter 200b por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a function key. As an example, first, the touch screen is used as a scroll function. The scroll function is provided as a basic function of the mobile 10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inuous scroll function by moving while maintaining a contact on the touch screen, the scroll function is to be scrolled in units of pages. Shall be. Secondly,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 voice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touch of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the name, menu, and text information of an icon on the screen is output as a voice.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키패드 어댑터 또는 모바일 어댑터를 모바일에 장착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전화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상기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아이콘들은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구비되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240)가 배치된다. 도면 제12도의 (a)는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0~9까지의 번호키와 '*'키, '#'키 및 기능키(240)에 아이콘을 재배치한 예를 도시한다. FIG. 13 show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keypad adapter or a mobile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mobile to perform a telephony application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The icons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are provided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and the number keys of 0 to 9, the keys of '*' and '#' and the function keys 240 are disposed. . FIG. 12A illustrates an example of rearranging icons on the number keys 0 to 9, the '*' key, the '#' key, and the function key 240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또한 도면 제13도의 (b)는 본 발명의 전화통화 어플리케이션에서 나머지 노출된 터치 스크린 부분에 대한 구동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전화통화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키패드 어댑터(200a) 또는 모바일 어댑터(200b) 부분 이외의 노출된 터치 스크린은 기능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예로서 터치 스크린을 통화키 기능으로도 사용한다. 상기 통화키 기능은 모바일(100)의 기본 기능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전화통화 어플리케이션에서 터치스크린을 한번 터치하면 통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며, 일정 시간 내에 연속하여 두 번 터치하면 통화를 종료하고 이전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Also, FIG. 13B shows driving of the remaining exposed touch screen portion in the telephony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lephony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osed touch screen other than the keypad adapter 200a or the mobile adapter 200b por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a function key. For example, the touch screen is also used as a call key function. The call key function is provided as a basic function of the mobile 100,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ce in the phone call application, the call function is performed. Return to the previous screen, a specific configuration for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을 위한 모바일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도면 제14도의 모바일(100)에 대해 기존의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for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a visually impaired and a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mobile 100 of FIG. 14 by dividing the existing components and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모바일(100)은 도면의 점선으로 구분된 상단부에 도시된 기존의 구성요소로서 통신부(101), 디스플레이(102), 터치스크린 제어부(103), 클럭 타이머(104), D/A 변환부(105), A/D 변환부(106), 컨트롤러(107), 어플리케이션 모듈(108)을 구비한다. Mobi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component 101, the display 102,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the clock timer 104, D / A conversion as the existing components shown in the upper portion separated by a dotted line in the figure A unit 105, an A / D converter 106, a controller 107, and an application module 108 are provided.

통신부(101)는 컨트롤러(107)의 제어에 따라 모바일의 음성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102)는 컨트롤러(107)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02)는 컨트롤러(107)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 컨트롤러(107)는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별도의 기억장소에 저장한다. 터치스크린 제어부(103)는 상기 디스플레이(102)와 중첩하여 구비된 터치스크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컨트롤러(107)에 제공한다. 클럭 타이머(104)는 컨트롤러(107)의 제어에 따라 시간을 설정하거나 타이머의 기능을 수행하며, 컨트롤러(107)는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고 다음 터치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한 번 터치한 것인지 두 번 터치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D/A 변환부(105)는 통신부(101)로 수신된 음성이나 오디오 정보를 변환하여 모바일(100)에 내장된 스피커나 오디오 잭을 통해 외부 이어폰 잭(160)으로 제공한다. A/D 변환부(106)는 모바일(100)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이나 외부 마이크로폰 잭(170)을 통해 제공되는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컨트롤러(107)에 제공하고 상기 컨트롤러(107)는 어플리케이션 모듈(108)의 수행에 따라 A/D 변환부(106)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통신부(101)로 전송하거나 또는 내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08)은 상기 모바일(100)을 이용하는 응용(application) 기능을 컨트롤러(107)를 통해 수행하며 복수의 기능을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의 어플리케이션도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108)에 구비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01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and data of the mobi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7, and the display 102 displays information and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0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102 may not directly display information and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107, an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07 stores the displayed data in a separate storage location.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detects a signal input from a touch screen sensor provided to overlap the display 102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ler 107. The clock timer 104 sets a tim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7 or performs a function of a timer, and the controller 107 measures the time until the next touch after touching the touch screen, based on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ouched once or twice. The D / A converter 105 converts voice or audio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01 and provides the external earphone jack 160 through a speaker or an audio jack built in the mobile 100. The A / D converter 106 converts a signal provided through a microphone or an external microphone jack 170 embedded in the mobile 100 into digital data and provides the converted data to the controller 107, and the controller 107 is an appl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108, data provided from the A / D conversion unit 106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01 or internal processing is performed. The application module 108 performs an application function using the mobile 100 through the controller 107 and stores a plurality of functions and is selected by a user, and the touch screen method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interface and the method for driving the mobile for the same is provided in the application module (108).

본 발명의 모바일(100)은 도면의 점선으로 구분된 하단부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로서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 텍스트 추출 모듈(120), 기능키 추출 모듈(130), 페이지 스크롤 모듈(140),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150), TTS(text to speech) 변환 모듈(160)을 구비한다. Mobi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con rearrangement module 110, text extraction module 120, function key extraction module 130, page scroll module as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lower portion separated by a dotted line of the drawing 140, an icon name extraction module 150, and a text to speech (TTS) conversion module 160.

-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Icon relocation module (110)

상기 컨트롤러(107)는 어플리케이션 모듈(108) 을 수행하여 디스플레  The controller 107 performs an application module 108 to display

이(102)에 표시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Icons and menus displayed on the 102 may be transferred through the icon relocation module 110.

재배치한다.   Relocate.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2)를 구동할 필요는 없으며, 컨트롤러 (107)는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drive the display 102 and the controller 107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아이콘이나 메뉴들을 모바일(100)의   Icon relocation module 110 through the icon or menu of the mobile 100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Based on the dialing screen, numbers from 0 to 9, keys of '*' and '#' and function keys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의 감지 영역이   Repositioning to the position and corresponding detection area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다이얼링 화면과 일치하도록 구동한다.  Drive to match the dialing screen.

- 텍스트 추출 모듈(120)Text Extraction Module 120

텍스트 추출 모듈(120)은 컨트롤러(107)에 의해 디스플레이(102)에 제공되  The text extraction module 120 is provided to the display 102 by the controller 107.

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텍스트 데이터는 TTS 변환 모  Extracts text data. The extracted text data is a TTS conversion module.

듈(160)을 통해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105)를 통해 출력된다.   The module 160 outputs the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105.

- 기능키 추출 모듈(130)Function key extraction module 130

컨트롤러(107)가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아이콘 재  Re-icon the icons and menus that the controller 107 shows on the display 102.

배치 모듈(110)을 통해 재배치한 '*', '#'의 키 및 기능키의 입력과,   Input of '*', '#' keys and function keys rearranged through the batch module 110,

터치 스크린의 스크롤 입력, 한 번 터치 및 두 번 터치를 터치 스크린   Scroll input of touch screen, one touch and two touch touch screen

제어부(103)를 통해 제공받고 '*', '#'의 키 및 기능키의 입력과,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103 and input of '*' and '#' keys and function keys;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기능키의 정보를 컨트롤러(107)에 제공한다.   The controller 107 provides information of the function key input to the touch screen.

- 페이지 스크롤 모듈(140)-Page scroll module 140

전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7)는 어플리케이션 모듈(108)을 수행하여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7 performs the application module 108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The icon relocation module 110 may be assigned to icons and menus tha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102.

통해 재배치한다. 이때 페이지 스크롤 모듈(140)은 어플리케이션   To relocate. At this time, the page scroll module 140 is an application

모듈(108)로부터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한 화면   One screen with icons and menus to display on display 102 from module 108

단위, 즉 한 페이지 단위로 상기 컨트롤러(107)에 제공하며,   The controller 107 in units of one page,

컨트롤러(107)는 기능키 추출 모듈(130)로부터 스크롤 입력이 제공되면   When the controller 107 is provided with a scroll input from the function key extraction module 130

페이지 스크롤 모듈(140)을 통해 페이지 단위로 스크롤된 아이콘 및 메  Icons and menus scrolled by page through page scroll module 140

뉴를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재배치한다.  New is relocated via the icon relocation module 110.

-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150)Icon Name Extraction Module 150

컨트롤러(107)가 어플리케이션 모듈(108)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102)에  Controller 107 performs application module 108 to display 102.

표시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재배치하면,  When the icons and menus to be displayed are rearranged through the icon relocation module 110,

화면 상에는 GUI 형태의 아이콘과 메뉴만이 있을 뿐이다. 아이콘 명칭 추  There are only GUI icons and menus on the screen. Icon Name Additional

출 모듈(150)은 상기 재배치된 아이콘 및 메뉴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The exit module 150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an application for the rearranged icons and menus.

모듈(108)을 참조하여 화면에 배치되는 아이콘 및 메뉴의 명칭을 추출하고  Refer to module 108 to extract the names of icons and menus placed on the screen,

컨트롤러(107)에 제공한다.  To the controller 107.

- TTS(text to speech) 변환 모듈(160)Text to speech (TTS) conversion module 160

컨트롤러(107)가 텍스트 추출 모듈(120)과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150)  The controller 107 extracts the text extraction module 120 and th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150.

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TTS(text to speech) 변환 모듈(160)에 공급하  Data from the data to speech conversion module (TST) 160.

면 상기 TTS(text to speech) 변환 모듈(160)은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If so, the text to speech (TTS) conversion module 160 converts the data into speech data.

변환부(105)를 통해 출력한다.
Output through the conversion unit 105.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으로서 아이콘 메뉴 화면의 구동 흐름도이다. 이를 작용 관계의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n icon menu screen as a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is is described in the order of the working relationship as follows.

a) 아이콘 화면이 시작되면 모바일(100)의 컨트롤러(107)는 디스플레이(102)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를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 모드로 전환한다. (S100)a) When the icon screen is started, the controller 107 of the mobile 100 controls the display 102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to number keys 0 to 9 and '*'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Switch to keypad mode consisting of '#' key and function keys. (S100)

b) 이어 컨트롤러(107)는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아이콘이나 메뉴들을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100)을 구동한다.(S110)b) Then, the controller 107 uses the icon rearrangement module 110 to display icons or menus with number keys of 0 to 9 and keys of '*' and '#' and function keys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The mobile device 100 is rearranged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so that the sensing area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corresponds to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c) 다음으로 컨트롤러(107)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c) Next,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S120).

d) 상기 단계(S120)에서 기능키가 터치되지 않으면 컨트롤러(107)는 재배치된 아이콘이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0)d) If the function key is not touched in the step S120,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rearranged icon is touched (S130).

e) 상기 단계(S130)에서 재배치된 아이콘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107)는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150)을 통해 터치된 아이콘의 명칭을 추출한다. (S140)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30 that the rearranged icon is touched, the controller 107 extracts the name of the touched icon through th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150. (S140)

f) 이어 컨트롤러(107)는 추출된 아이콘의 명칭을 TTS 변환 모듈(160)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105)를 통해 출력한다.(S150)f) Then, the controller 107 provides the name of the extracted ico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160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sion unit 105 (S150).

g) 다음으로 컨트롤러(107)는 출력 타이머(104)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60)g) Next,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same icon is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104 (S160).

h) 상기 단계(S15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107)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수행한다.(S170)
h)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icon is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in the step S150, the controller 107 calls and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S170).

i) 상기 (S120)단계에서 기능키가 터치되면 컨트롤러(107)는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인지를 판단한다.(S200)i) When the function key is touched in the step S120,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touched function key is a scroll function key.

j) 상기 (S200)단계에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가 아니면 컨트롤러(107)는 현재 화면이 아이콘 화면인지를 판단한다.(S210)j) If the function key touched in step S200 is not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creen is an icon screen.

k) 상기 (S210)단계에서 현재 화면이 아이콘 화면이면 컨트롤러(107)는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150)을 통해 화면의 아이콘의 명칭을 모두 추출한다. (S220)k) If the current screen is an icon screen in step S210, the controller 107 extracts all the names of the icons of the screen through th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150. (S220)

l) 이어 컨트롤러(107)는 추출된 화면의 아이콘의 명칭을 TTS 변환 모듈(160)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105)를 통해 출력하고(S230), 다음으로 컨트롤러(107)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부터 다시 수행한다.
l) Then, the controller 107 provides the name of the icon of the extracted scree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160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105 (S230), and then the controller 107. ) Is performed again from step S120 of determining whether a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m) 상기 (210)단계에서 현재 화면이 아이콘 화면이 아니면 컨트롤러(107)는 텍스트 추출 모듈(120)을 통해 현재 화면 명칭과 화면상의 텍스트를 모두 추출한다.(S250) m) If the current screen is not an icon screen in step 210, the controller 107 extracts both the current screen name and the text on the screen through the text extraction module 120 (S250).

n) 이어 컨트롤러(107)는 추출된 현재 화면 명칭과 화면상의 텍스트를 TTS 변환 모듈(160)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105)를 통해 출력하고(S230), 다음으로 컨트롤러(107)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부터 다시 수행한다.
n) Then, the controller 107 provides the extracted current screen name and the text on the scree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160, and outputs them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105 (S230). Operation 107 is performed again from the step S120 of determining whether a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o) 상기 (S200)단계에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이면 컨트롤러(107)는 페이지 스크롤 모듈(140)을 통해 화면의 페이지를 스크롤하고(S240),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아이콘이나 메뉴들을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100)을 구동하는 단계(S110)부터 다시 수행을 반복한다.
o) If the function key touched in the step (S200) is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107 scrolls the page of the screen through the page scroll module 140 (S240), and the icon or the icon through the icon rearrangement module 110 The menus are rearranged to the positions of the number keys 0 to 9 and the positions of the keys and function keys of '*' and '#'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and the sensing area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corresponding thereto is The operation is repeated again from the step S110 of driving the mobile 100 to match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p) 상기 단계(S130)에서 재배치된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S160)에서 출력 타이머(104)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S170)에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수행이 완료된 경우;에 컨트롤러(107)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부터 다시 수행한다.
p) when the icon relocated in step S130 is not touched; When the same icon is not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104 in step S160; When the execution is completed by calling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in step S170;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S120). To perform.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으로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의 구동 흐름도이다. 이를 작용 관계의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n application menu screen as a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is is described in the order of the working relationship as follows.

a')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시작되면 모바일(100)의 컨트롤러(107)는 디스플레이(102)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를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 모드로 전환한다. (S300)a ') When the application screen is started, the controller 107 of the mobile 100 sets the display 102 and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to a number key of 0 to 9 and' *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Switch to keypad mode consisting of ',' # 'key and function keys. (S300)

b') 이어 컨트롤러(107)는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명칭들을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100)을 구동한다.(S310)b ') Then, the controller 107 uses the icon rearrangement module 110 to display the application menu key names with the number keys 0 to 9 and the keys' *', '#', and the like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The mobile device 100 is rearranged to the position of the function key and the mobile device 100 is driven so that the sensing area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corresponds to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S310).

c') 다음으로 컨트롤러(107)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20)c ') Next,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S320).

d') 상기 단계(S320)에서 기능키가 터치되지 않으면 컨트롤러(107)는 재배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30)d ') If the function key is not touched in the step S320,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rearranged application menu key is touched (S330).

e') 상기 단계(S330)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107)는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150)을 통해 터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의 명칭을 추출한다.(S340)e ')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0 that the application menu key is touched, the controller 107 extracts the name of the touched application menu key through th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150 (S340).

f') 이어 컨트롤러(107)는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의 명칭을 저장한다.(S350)f ') Then, the controller 107 stores the name of the extracted application menu key (S350).

g') 다음으로 컨트롤러(107)는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의 명칭을 TTS 변환 모듈(160)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105)를 통해 출력한다.(S360)g ') Next, the controller 107 provides the name of the extracted application menu key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160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sion unit 105 (S360).

h') 상기 단계(S360)에 이어 컨트롤러(107)는 출력 타이머(104)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재 터치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70)h ') Following step S360,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same application menu key is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104 (S370).

i') 상기 단계(S37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107)는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입력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으로 링크한다.(S380)
i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icon is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in the step S370, the controller 107 links the application menu key input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S380).

j') 상기 (S320)단계에서 기능키가 터치되면 컨트롤러(107)는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인지를 판단한다.(S400)j ') If the function key is touched in the step S320,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touched function key is a scroll function key.

k') 상기 (S400)단계에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가 아니면 컨트롤러(107)는 텍스트 추출 모듈(120)을 통해 화면상의 텍스트를 추출한다.(S420)k ') If the function key touched in step S400 is not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107 extracts the text on the screen through the text extraction module 120 (S420).

l') 이어 컨트롤러(107)는 추출된 화면상의 텍스트를 TTS 변환 모듈(160)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105)를 통해 출력하고(S430), 다음으로 컨트롤러(107)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로부터 터치된 기능키가 출력 타이머(104)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한 번 터치되었는지, 두 번 터치되었는지를 추출(S440)하여 그 횟수를 어플리케이션으로 링크(S380)한다.
l ') Then, the controller 107 provides the extracted text on the scree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160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105 (S430), and then the controller 107. Extracts whether the function key touch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is touched once or twice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104 (S440) and links the number of times to the application (S380).

m') 상기 (S400)단계에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이면 컨트롤러(107)는 페이지 스크롤 모듈(140)을 통해 화면의 페이지를 스크롤하고(S240),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명칭들을 모바일(100)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100)을 구동하는 단계(S310);부터 다시 수행한다.
m ') If the function key touched in the step (S400) is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107 scrolls the page of the screen through the page scroll module 140 (S240) and the application through the icon rearrangement module 110. Menu key names are rearranged to the positions of the number keys 0 to 9 and the positions of the keys and function keys of '*' and '#'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100 and the corresponding detection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Driving the mobile 100 so that the area matches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S310);

n') 상기 단계(S330)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단계(S37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입력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으로 링크(S380)되어 수행된 경우;에는 컨트롤러(107)가 터치 스크린 제어부(103)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20)부터 다시 수행한다.
n ')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330 that the application menu key is not touch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icon is not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in the step S370; If the application menu key input information is linked to the application (S380), the controller 107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ler 103 (S320). .

이상과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은 터치스크린 방식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을 재배치하고 TTS(text to speech) 기능을 부가하여 음성에 의한 안내를 하며, 기능키(function key)의 기능도 수행함으로써 시각 장애우가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를 위한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콘과 메뉴가 제공되고 터치 스크린에 의해 조작되는 모바일 기기를 시각 장애우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driving method therefor relocat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to a dialing screen of a touch screen mobile and provide text to speech (TTS). By adding a function to guide the voice and functioning as a function key, a menu and an icon are provided by providing an interface that enables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a touch screen mobile and a driving method therefor.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a mobile device operated by a touch scree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모바일 101 : 통신부
102 : 디스플레이 103 : 터치 스크린 제어부
104 : 클럭 타이머 105 : D/A 변환부
106 : A/D 변환부 107 : 컨트롤러
108 : 어플리케이션 모듈 110 : 아이콘 재배치 모듈
120 : 텍스트 추출 모듈 130 : 기능키 추출 모듈
140 : 페이지 스크롤 모듈 150 :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
160 : TTS(text to speech)모듈 200a : 키패드 어댑터
200b : 모바일 어댑터 220 : 돌기
230a : 도전성 키패드 230b : 개구부
240 : 기능키
100: mobile 101: communication unit
102 display 103 touch screen control
104: clock timer 105: D / A converter
106: A / D converter 107: controller
108: application module 110: icon relocation module
120: text extraction module 130: function key extraction module
140: page scroll module 150: icon name extraction module
160: TTS (text to speech) module 200a: keypad adapter
200b: mobile adapter 220: protrusion
230a: conductive keypad 230b: opening
240: function keys

Claims (21)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모바일(100)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기능키로 제공되는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상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기능키의 위치에 정합되고 모바일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되는 키패드 어댑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In the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For the dialing screens provided by the number keys up to 0-9 and '*', '#' keys, and function keys of the mobile 100, the number keys up to 0-9 and '*', '#' keys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keypad adapter that is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function key and is mounted on the mobile clip on (clip 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어댑터는,
상기 키패드 어댑터가 모바일의 터치 스크린과 대응하는 면에는 도전성 키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도전성 키패드의 터치 스크린 측 결합부에는 절연 재질의 돌기가 구비되어 도전성 키패드를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 도전성 키패드와 터치 스크린간의 절연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keypad adapter of claim 1, wherein
A conductive keypad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keypad adapter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of the mobile device.
The touch screen side coupling portion of the conductive keypad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ive keypad and the touch screen without pressing the conductive keyp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키패드는,
탄성을 가지는 도전성 고무 또는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도전성 키패드를 누름으로써 도전성 키패드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ductive keypad,
A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is made of a conductive rubber or a conductive polymer polymer having elasticity, and the user presses the conductive keypad so that a contact operation is made on the touch screen corresponding to the conductive keyp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키패드는,
전체 키가 모두 도전성 재질로써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ductive keypad,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all the keys are integrally made of conductive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키패드는,
각각의 키별로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도전성 키패드와 터치 스크린 사이에만 도전성 고무 내지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 재질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ductive keypad,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each key is electrically insulated and configured to have a conductive rubber or a conductive polymer polymer material only between the conductive keypad and the touch scr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어댑터는,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 스크린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keypad adapter of claim 1, wherein
Touch screen type mobil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of the touch screen except for the position of the number keys of 0-9 and '*', '#' keys and function keys of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is exposed. inte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키패드는,
상면에 촉각에 의한 인식을 하기 위해 요철 방식으로 마킹을 구성하고,
상기 마킹은 점자로 0~9까지의 번호와 '*', '#', 및 기능키의 표시를 구비하거나,
번호키의 '5'의 위치에만 마킹을 하여 이를 중심으로 주변의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촉각에 의해 각각의 키를 구분할 수 있는 기호를 마킹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ductive keypad,
In order to recognize by touch on the upper surface, the marking is constructed in an uneven manner,
The marking has a number 0 to 9 in Braille and '*', '#', and the display of the function keys, or
Mark only the '5' position of the number key so that you can operate the surrounding keys around it,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by marking a symbol that can distinguish each key by tactile sense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모바일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와 기능키로 제공되는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상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와 기능키의 위치에 정합되고 모바일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되는 모바일 어댑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In the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For dialing screens provided by mobile number keys 0-9 and '*', '#' keys and function keys, the number keys up to 0-9 and '*', '#' keys and function keys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obile adapter that is matched to the position of the clip mounted on the mobile (clip on) metho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댑터는,
절연성 재질로 구비되며,
모바일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와 기능키로 제공되는 다이얼링 화면에 대해, 상기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정합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모바일에 클립온(clip on) 방식으로 장착되는 모바일 어댑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bile adapter,
It is made of insulating material,
For the dialing screens provided by the mobile number keys 0 to 9 and the '*', '#' keys and function keys, the number keys up to 0-9 and the '*' and '#' keys and function keys It has an opening that is matched to the position of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obile adapter that is mounted on the mobile clip on (clip on)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댑터는,
개구부의 주변 프레임 부분에 촉각에 의한 인식을 하기 위해 요철 방식으로 마킹을 구성하고,
상기 마킹은 점자로 0~9까지의 번호와 '*', '#', 와 기능키의 표시를 구비거나,
번호키의 '5'의 프레임에만 마킹을 하여 이를 중심으로 주변의 키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촉각에 의해 각각의 키를 구분할 수 있는 기호를 마킹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mobile adapter of claim 9, wherein
In order to recognize by the tactile sensation to the peripheral frame part of the opening, the marking is constructed in an uneven manner.
The marking has a number between 0 and 9 in Braille and '*', '#', and a function key,
Mark only the '5' frame of the number key so that the surrounding keys can be operated around it.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by marking a symbol that can distinguish each key by tactile sense
제8항에서 상기 모바일 어댑터는,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의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기능키의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터치 스크린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The mobile adapter of claim 8,
Touch screen type mobil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 of the touch screen except for the number keys of '0' to '9', '*', '#' keys, and function keys of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is exposed. interface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에서 통신부,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제어부, 클럭 타이머, D/A 변환부, A/D 변환부, 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구비한 모바일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는 아이콘 재배치 모듈;과
컨트롤러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텍스트 추출 모듈;과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모듈을 통해 재배치한 기능키의 입력과, 터치 스크린의 스크롤 입력, 한 번 터치 및 두 번 터치를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통해 제공받고 기능키의 입력과,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기능키의 정보를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기능키 추출 모듈;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디스플레이에 재배치하여 표시하는 아이콘 및 메뉴를 한 화면 단위, 즉 한 페이지 단위로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페이지 스크롤 모듈;
재배치된 아이콘 및 메뉴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모듈을 참조하여 화면에 배치되는 아이콘 및 메뉴의 명칭을 추출하고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
컨트롤러가 텍스트 추출 모듈과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를 통해 출력하는 TTS(text to speech) 변환 모듈;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In the mobil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a touch screen controller, a clock timer, a D / A converter, an A / D converter, a controller, and an application module in a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 icon rearrangement module for rearranging icons and menus displayed on a display by a controller to positions of number keys 0 to 9 and positions of '*' and '#' keys and function keys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A text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text data provided to the display by the controller; and
Input of the function keys rearranged through the icon relocation module, scroll input of the touch screen, single touch and double touch are provided through the touch screen controller, input of the function keys, and information of the function keys input to the touch screen. A function key extraction module for providing a controller to the controller;
A page scroll module that provides icons and menus rearranged and displayed on an display from an application module to the controller in one screen unit, that is, one page unit;
An icon name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names of icons and menus disposed on the screen with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module with respect to the rearranged icons and menus and providing them to the controller;
A text-to-speech (TTS) conversion module for outputting data provided from the text extraction module and th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to the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에서 아이콘 메뉴 화면의 구동 방법으로서,
a) 아이콘 화면이 시작되면 모바일의 컨트롤러가 디스플레이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S100);
b) 이어 컨트롤러가 아이콘 재배치 모듈을 통해 아이콘이나 메뉴들을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을 구동하는 단계 (S110);
c) 다음으로 컨트롤러가 터치 스크린 제어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120);
d) 상기 단계(S120)에서 기능키가 터치되지 않으면 컨트롤러는 재배치된 아이콘이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130);를 수행하고,
e) 상기 단계(S130)에서 재배치된 아이콘이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가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을 통해 터치된 아이콘의 명칭을 추출하는 단계 (S140);를 수행하며,
f) 이어 컨트롤러는 추출된 아이콘의 명칭을 TTS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S150);를 수행하고,
g) 다음으로 컨트롤러가 출력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160);
h) 상기 단계(S15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는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수행하는 단계 (S17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As a method of driving an icon menu screen in a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based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 When the icon screen starts,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switches the display and touch screen controller to the keypad mode consisting of the number keys 0-9 and the keys and function keys of '*' and '#'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Step (S100);
b) The controller then rearranges the icons or menus through the icon relocation module to the positions of the number keys 0-9 and the keys and function keys of '*' and '#'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Driving the mobile so that the sensing area of the screen controller matches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S110);
c) Nex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is touch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S120);
d) if the function key is not touched at step S12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rearranged icon is touched at step S130;
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ocated icon is touched in the step S130, the controller extracts the name of the touched icon through th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S140);
f) the controller then provides the name of the extracted ico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sion unit (S150);
g) nex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ame icon is retouched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S160);
h)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icon is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in step S150, the controller calls and execute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S170);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3항의 상기 (S120)단계에 있어서,
i) 상기 (S120)단계에서 기능키가 터치되면 컨트롤러가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200);
j) 상기 (S200)단계에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가 아니면 컨트롤러는 현재 화면이 아이콘 화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210);를 수행하고,
k) 상기 (S210)단계에서 현재 화면이 아이콘 화면이면 컨트롤러는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을 통해 화면의 아이콘의 명칭을 모두 추출하는 단계 (S220);를수행하며,
l) 이어 컨트롤러는 추출된 화면의 아이콘의 명칭을 TTS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S230); 를 거쳐,
다음으로 컨트롤러가 터치 스크린 제어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부터 다시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In the step (S120) of claim 13,
i) if the function key is touched in step S120, determining whether the function key touched by the controller is a scroll function key (S200);
j) if the touched function key in step S200 is not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creen is an icon screen (S210);
k) if the current screen is an icon screen in step S210, the controller extracts all names of icons of the screen through an icon name extraction module (S220);
l) the controller provides the name of the icon of the extracted scree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S230); Via
Nex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controller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S120). The mobile driving method for the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may be performed.
제14항의 상기 (S210)단계에 있어서,
m) 상기 (210)단계에서 현재 화면이 아이콘 화면이 아니면 컨트롤러가 텍스트 추출 모듈을 통해 현재 화면 명칭과 화면상의 텍스트를 모두 추출하는 단계 (S250);
n) 이어 컨트롤러가 추출된 현재 화면 명칭과 화면상의 텍스트를 TTS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230);를 수행하고,
다음으로 컨트롤러가 터치 스크린 제어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부터 다시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In the step (S210) of claim 14,
m) if the current screen is not an icon screen in step 210, the controller extracts both the current screen name and the text on the screen through the text extraction module (S250);
n) then providing the extracted current screen name and the text on the scree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and outputting them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S230).
Nex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controller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S120). The mobile driving method for the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may be performed.
제14항의 상기 (S200)단계에 있어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이면 컨트롤러는 페이지 스크롤 모듈을 통해 화면의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단계 (S240);를 수행하고,
아이콘 재배치 모듈로써 아이콘이나 메뉴들을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며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을 구동하는 단계(S110)부터 다시 수행을 반복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In the step (S200) of claim 14,
If the touched function key is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scrolls a page of the screen through the page scroll module (S240);
As the icon relocation module, icons or menus are relocated to the position of the number keys 0-9 and the keys and function keys of '*' and '#'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repeating the operation from the step of driving the mobile to match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S110) agai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30)에서 재배치된 아이콘이 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S160)에서 출력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계(S170)에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수행이 완료된 경우;에
컨트롤러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20)부터 다시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If the icon rearranged in the step (S130) is not touched;
When the same icon is not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in step S160;
When the execution is completed by calling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in the step (S170);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process again from the step S120 of determining whether a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ler.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화면의 구동 방법으로서,
a')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시작되면 모바일의 컨트롤러가 디스플레이와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S300);
b') 이어 컨트롤러가 아이콘 재배치 모듈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명칭들을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을 구동하는 단계 (S310);
c') 다음으로 컨트롤러가 터치 스크린 제어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320);를 수행하고,
d') 상기 단계(S320)에서 기능키가 터치되지 않으면 컨트롤러가 재배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30);를 수행하며,
e') 상기 단계(S330)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는 아이콘 명칭 추출 모듈을 통해 터치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의 명칭을 추출하는 단계 (S340);를 수행하고,
f') 이어 컨트롤러는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의 명칭을 저장하는 단계 (S350);를 거쳐,
g') 다음으로 컨트롤러가 추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의 명칭을 TTS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S360);
h') 상기 단계(S360)에 이어 컨트롤러가 출력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재 터치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370);
i') 상기 단계(S37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가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입력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으로 링크하는 단계 (S38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As a method of driving an application menu screen in a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based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 ') When the application screen starts, the controller of the mobile enters the keypad mode consisting of the number keys of 0-9,' * ','#'keys and function keys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Switching step (S300);
b ') The controller then relocates the application menu key names to the number keys 0-9 and the positions of the' * 'and'#'keys and function keys based on the mobile dialing screen. Driving the mobile so that the sensing area of the touch screen controller matches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S310);
c ') nex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a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by the touch screen controller (S320);
d ') if the function key is not touched in the step S32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rearranged application menu key is touched (S330);
e ')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0 that the application menu key is touched, the controller extracts the name of the touched application menu key through the icon name extraction module (S340);
f ') Then, the controller stores the name of the extracted application menu key (S350);
g ') Next, the controller provides the name of the extracted application menu key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S360);
h ') following the step S36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ame application menu key is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S370);
i ')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icon is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in the step S370, the controller links the application menu key input information to the application (S380);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8항의 상기 (S320) 단계는,
j') 상기 (S320)단계에서 기능키가 터치되면 컨트롤러가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00);를 수행하고,
k') 상기 (S400)단계에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가 아니면 컨트롤러는 텍스트 추출 모듈을 통해 화면상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S420);를 수행하며,
l') 이어 컨트롤러가 추출된 화면상의 텍스트를 TTS 변환 모듈에 제공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로 D/A 변환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S430);를 거쳐,
다음으로 컨트롤러가 터치 스크린 제어부로부터 터치된 기능키가 출력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한 번 터치되었는지, 두 번 터치되었는지를 추출하는 단계 (S440);를 거쳐
그 횟수를 어플리케이션으로 링크하는 단계 (S38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The step (S320) of claim 18,
j ') when the function key is touched in the step S320,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touched function key is a scroll function key (S400);
k ') If the touched function key in step S400 is not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extracts text on the screen through the text extraction module (S420).
l ') Then, the controller provides the extracted text on the screen to the TTS conversion module and outputs it as voice data through the D / A converter (S430).
Next, the controller extracts whether the function key touched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is touched once or twice within the time set by the output timer (S440).
Linking the number of times to the application (S380); Mobile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제19항이 있어서,
상기 (S400)단계에서 터치된 기능키가 스크롤 기능키이면 컨트롤러가 페이지 스크롤 모듈을 통해 화면의 페이지를 스크롤하는 단계 (S240);를 수행하고,
아이콘 재배치 모듈(110)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명칭들을 모바일의 다이얼링 화면을 기준으로 0~9까지의 번호키와 '*', '#'의 키 및 기능키의 위치에 재배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제어부의 감지 영역이 다이얼링 화면의 키들과 일치하도록 모바일을 구동하는 단계(S310);부터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If the touched function key in step S400 is a scroll function key, the controller scrolls a page of a screen through the page scroll module (S240);
Through the icon relocation module 110, the application menu key names are rearranged to the positions of the number keys 0 to 9, the keys of the '*' and '#' keys and the function keys based on the dialing screen of the mobile, and corresponding touch screens. And driving the mobile so that the sensing area of the control unit matches the keys of the dialing screen (S310). The mobile driving method for the touch screen 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may be performed again.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30)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단계(S37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같은 아이콘이 재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메뉴 키 입력 정보가 어플리케이션으로 링크(S380)되어 수행된 경우;에는
컨트롤러가 터치 스크린 제어부로부터 터치 스크린의 기능키가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20)부터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The method of claim 18,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30 that the application menu key is not touch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icon is not touched again within the time set in the step S370;
And when the application menu key input information is performed by linking to the application (S380);
The method of driving the mobile screen for the touch screen-type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from the touch screen controller to determine whether the function key of the touch screen is touched (S320).
KR1020120004234A 2012-01-13 2012-01-13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200102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34A KR20120010283A (en) 2012-01-13 2012-01-13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234A KR20120010283A (en) 2012-01-13 2012-01-13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283A true KR20120010283A (en) 2012-02-02

Family

ID=4583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234A KR20120010283A (en) 2012-01-13 2012-01-13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28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064B1 (en) * 2013-07-25 2015-03-12 박종실 Touch Inpu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20210135143A (en) * 2020-05-04 2021-11-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Braille keypad for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with braille keypad attached to scre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064B1 (en) * 2013-07-25 2015-03-12 박종실 Touch Inpu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588584B2 (en) 2013-07-25 2017-03-07 Chong-Sil PARK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KR20210135143A (en) * 2020-05-04 2021-11-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Braille keypad for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 with braille keypad attached to 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776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sambiguated keypad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CN103902181A (en)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7084078A1 (en)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O2010089918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KR201401068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service in terminal for visually disabled peoples
JP200830529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full keyboard and full keyboard display method
KR20120010283A (en) Touch screen mobile interfac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mobile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10003130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a mobile phone
KR200600629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using touch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925628B2 (en) Mobile ph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device
KR101046660B1 (en)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KR10122935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panel and touch key pa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50121608A (en) Key interface apparatus capable easily inputting key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 same
KR100690841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braille in a mobile terminal with a proximity switch
KR20060109578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verting its qwerty keypad character input mode
KR1011223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terminal
JP2013229062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13168762A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JP57165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control program
KR2006001151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ouch sensor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3683195B2 (en) Mobile phone capable of expressing braille and braille expression method in mobile phone
KR2007008277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having character input function
KR20080099107A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optimizing touch sensitivity
KR20010008200A (en) Butto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cellul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