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130A -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03130A KR20110003130A KR1020090060747A KR20090060747A KR20110003130A KR 20110003130 A KR20110003130 A KR 20110003130A KR 1020090060747 A KR1020090060747 A KR 1020090060747A KR 20090060747 A KR20090060747 A KR 20090060747A KR 20110003130 A KR20110003130 A KR 201100031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acter
- key button
- touched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문자 키버튼이 터치되면 터치된 문자 키버튼에 대응하는 그룹핑된 문자열이 표시되는 단계, 문자 키버튼이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면, 문자열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가 연동하여 드래그되는 단계, 그리고 문자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중에서, 터치 종료 시점 직전에 드래그된 문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글자 완성에 소요되는 키버튼 터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드래그를 통하여 직접 모음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가획 조합 등과 같은 모음 입력 패턴에 대하여 특별히 학습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복잡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앤드 드래그(touch and drag) 방식을 이용하므로, 한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로 할 수 있어서 문자 입력 시에 피로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when a text key button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ouched, a grouped string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text key button is displayed, and the text key button is touched. When dragged, a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tring are dragg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tring, a character dragged just before the touch end time is output to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a desired character by dragging while the user touches it,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key button touches required to complete the charact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complex vowel is input, the vowel can be directly selected by dragging, so that a complex vowel can be conveniently inputted without special learning about a vowel input pattern such as a stroke combination.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ouch and drag method is used, a character may be input using only one finger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may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fatigue during character inpu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편리하고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input characters conveniently and accurately.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핸드폰이나 PCS폰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수는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특히 편리한 한글 입력의 필요성은 증가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umber of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CS phones has been increasing rapidly. Accordingly, various services availabl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provided. Accordingly, the necessity of inputting characters, particularly Korean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ing.
특히, 음성 위주의 기존 이동통신인 2세대 이동통신(2G·셀룰러와 PCS)과 달리 차세대 이동통신 또는 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3G)이라 불리며, 음성 및 영상 데이터까지 송수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이동 통신인 IMT-2000이 상용화 된다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문자 입력 기능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In particular, unlike 2G mobile communication (2G cellular and PCS), which is voice-oriented mobile communication, it is called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or 3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3G), and is a multimedia mobile communication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voice and video data. If IMT-2000 is commercialized, character input function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come more important.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으로는 삼성의 '천지인'이나 LG의 '나랏글 2000' 등을 들 수 있다.The Korean input method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Samsung's 'Cheonjiin' or LG's 'Naratgle 2000'.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위한 휴대폰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은 종래의 삼성의 '천지인'의 한글입력 방법을 위한 휴대폰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천지인'은 모든 모음을 천(·), 지(ㅡ), 인(ㅣ)의 조합으로 구성한 것으로, 모음 'ㅏ'는 'ㅣ'와 '·'를 조합하여, 'ㅑ'는 'ㅣ', '·' 및 '·'를 조합하여 해당 모음을 입력하게 된다. 자음은 하나의 버튼에 2개의 자음을 할당하여 버튼을 한번 또는 두 번을 눌러 해당 자음을 입력하며, 'ㄲ', 'ㄸ', 'ㅃ' 등의 된소리는 연속해서 3번을 눌러 입력한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obile phone dial for a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1a is a view showing the dial of a mobile phone for the Hangul input method of the conventional 'Cheonjiin' of Samsung. 'Cheonjiin' consists of all vowels in the combination of thousand (·), ji (ㅡ), and phosphorus (ㅣ). The vowel 'ㅏ' combines 'ㅣ' and '·', and 'ㅑ' is 'ㅣ' You will enter a corresponding vowel using a combination of ',' and '·'. Consonants are assigned two consonants to a button, press the button once or twice to enter the consonants, and '된', 'ㄸ', 'ㅃ', etc., three times in a row to enter.
'나랏글 2000'은 'ㄱ', 'ㄴ', 'ㄹ', 'ㅁ', 'ㅅ', 'ㅇ'을 기본 자음으로 하고, '덧쓰기' 기능에 의해 그 외의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예를 들어 자음 'ㄷ'은 'ㄴ'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ㅈ'은 'ㅅ'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입력한다.'Naratgle 2000' is a basic consonant of 'ㄱ', 'ㄴ', 'ㄹ', 'ㅁ', 'ㅅ' and 'ㅇ', and the 'overwrite' function allows input of other consonants. For example, the consonant 'ㄷ' is entered as a combination of 'b' and 'overwriting', and 'ㅈ' is entered as a combination of 'ㅅ' and 'overwriting'.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한글입력 방식은 '0'에서 '9'까지의 숫자 버튼을 나누어 여기에 모음과 자음을 할당하여 쓰기 때문에 한 버튼에 여러 개의 기능을 넣음으로 해서 버튼 입력 횟수와 시간에 있어서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Korean input method divides the number buttons from '0' to '9' and allocates vowels and consonants to them so that it is inconvenient in the number and time of button input by putting several functions in one button. Had a ham.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버튼 입력 횟수를 줄이고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enables a user to reduce the number of button inputs and input characters accurately.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문자 키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문자 키버튼에 대응하는 그룹핑된 문자열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문자 키버튼이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면, 상기 문자열에 포함되는 복수의 문자가 연동하여 드래그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문자열에 포함된 복수의 문자 중에서, 터치 종료 시점 직전에 드래그된 문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character key butto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is touched, the grouped string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haracter key button is In the displaying step, when the character key button is dragged in the touch state, the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tring is dragged in conjunction, and among the plurality of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string, the character dragged just before the end point of the touch Outputting the screen.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특수 키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특수 키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복수의 문자 키버튼은 특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특수 문자 키버튼으로 변환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pecial key button, and when the special key button is touched, the plurality of character key buttons may be converted into a plurality of special character key buttons for selecting a special character.
상기 특수 키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화면에 선택 바가 생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선택 바를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다음 페이지에 해당하는 복수의 특수 문자 키버튼이 나타날 수 있다. When the special key button is touched, a selection bar is generated on the screen, and when a user drags the selection bar while touching the selection bar, a plurality of special character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next page may appea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드 전환 키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 키버튼이 터치되면, 한글 모드, 영어 대문자 모드, 영어 소문자 모드 및 숫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그 버튼이 생성되며, 상기 조그 버튼을 통해 터치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mode switch key button. When the mode switch key button is touched, a jog button for selecting a Korean mode, an English uppercase mode, an English lowercase mode, and a numeric mode is generated. It can be switched to the touched mode.
상기 그룹핑된 문자열은, 상기 문자 키버튼의 일측단에 생성되며, 상기 그룹핑된 문자열의 생성 위치는 선택될 수 있다.The grouped string may be generated at one end of the character key button, and a generation position of the grouped string may be selected.
상기 그룹핑된 문자열은, 상기 터치된 문자 키버튼의 하단에 생성될 수 있다.The grouped strings may be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touched character key button.
상기 문자 키버튼 중 적어도 하나는 특수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haracter key buttons may include a special character.
상기 드래그 하는 과정에서 드래그 방향이 이탈되는 경우, 상기 문자의 출력은 취소될 수 있다.When the drag direction deviates from the dragging process, the output of the character may be cancell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자음 키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자음 키버튼을 제외한 다른 키버튼은 모음 키버튼으로 변경되는 단계, 상기 자음 키버튼이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 되면, 드래그된 지점에 위치하는 모음 키버튼이 선택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는 단계, 그리고 터치 종료 시점 직전에 터치된 모음 키버튼에 대응하는 중성과 상기 자음 키버튼에 대응하는 초성이 결합된 글자를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consonant key button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ouched, other key buttons except the touched consonant key button are changed to a vowel key button. If the consonant key button is dragged in the touched state, the vowel key button located at the dragged point is converted into a selectable state, and the neutral and the touch corresponding to the vowel key button touched immediately before the touch end point. And outputting a letter combined with a consonant corresponding to a consonant key button on a screen.
상기 초성과 중성이 결합된 글자가 화면에 출력되면, 상기 모음 키버튼은 자음 키버튼으로 변환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음 키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터치된 자음 키버튼에 대응하는 종성을 상기 글자에 결합하여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vowel key button is converted into a consonant key button when the letter combining the initial and the neutral is output on the screen, and when the consonant key button is touched, a finality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consonant key button is applied to the letter. Combined and output to the screen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를 함으로써 원하는 문자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글자 완성에 소요되는 키버튼 터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esired character can be conveniently selected by dragging while the user touches it, and the number of key button touches required for character completion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드래그를 통하여 직접 모음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가획 조합 등과 같은 모음 입력 패턴에 대하여 특별히 학습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복잡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complex vowel is input, the vowel can be directly selected by dragging, so that a complex vowel can be conveniently inputted without special learning about a vowel input pattern such as a stroke combin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앤드 드래그(touch and drag) 방식을 이용하므로, 한 손가락 만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로 할 수 있어서 문자 입력 시에 피로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ouch and drag method is used, a character may be input using only one finger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may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fatigue during character input.
또한 자주 사용되는 특수 문자를 문자 키버튼에 삽입시켜, 사용자는 특수 문자 모드로 전환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특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Also, by inserting frequently used special characters into the character key button, the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special characters without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무선 통신부(120), 음성 처리부(130), 키입력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한다.Firs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제어부(110)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통신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고, 음성 처리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무선 통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키 버튼 및 기 능키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The
표시부(15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키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문자 등의 입력 내용을 표시하며,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입력된 각종 메시지를 표시한다. The
도 2에서는 키입력부(140)와 표시부(150)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면 키입력부(140)와 표시부(150)를 일체화하여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패드 방식 대신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 펜을 이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통하여 직접 표시부(150)에 나타난 키버튼을 통하여 숫자키 또는 문자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50)에 지문 인식 센서와 같은 인식 장치를 부가할 수 있다. In FIG. 2,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40)와 표시부(150)가 통합된 터치스크린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표시부(150)를 통하여 직접 문자 또는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150)는 출력 영역(151), 입력 영역(153), 선택 영역(155) 및 기능 영역(157)을 포함한다. 출력 영역(151)은 입력 영역(153)을 통하여 입력되는 숫자, 문자, 특수 기호 등이 표시된다. According to FIG. 3, the
입력 영역(153)은 키패드 형식의 문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력 영역(153)에 포함되는 각각의 키버튼에는 문자, 숫자, 특수 기호가 대응된다. 도 3에 따른 입력 영역(153)은 한글 모드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모음에 대응하는 5개의 키버튼과 자음에 대응하는 7개의 키버튼으로 구성된다. The
대부분의 키버튼에는 2개의 문자를 포함하고 있지만, (ㄴ,ㄹ,.) 키버튼과 (ㅇ,ㅎ,?) 키버튼의 경우에는 주로 사용되는 특수 기호인 "."과 "?"를 문자 키버튼에 삽입시켜, 사용자는 특수 문자 모드로 전환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자주 사용되는 문자 기호인 물음표(?) 또는 마침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Most key buttons contain two characters, but in the case of the (b, ㄹ,.) And (ㅇ, ㅎ,?) Keybuttons, the special symbols "." And "?" Inserted into a key button, the user can conveniently select a frequently used character symbol, question mark (?) Or period (.), Even without switching to the special character mod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를 통하여 도 3에 따른 한글 모드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드에서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the Hangul mode according to FIG.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method in a Hangu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입력 영역(153)에 포함되는 키버튼을 터치하면(S410), 해당되는 문자가 포함되는 문자 그룹 레이어가 선택 영역(155)에 표시된다(S420). 즉, 입력 영역(153)에 포함되는 자음 키버튼 중 하나를 터치하면,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문자 그룹 레이어 중에서 터치된 자음 키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그룹 레이어가 선택 영역(155)에 일렬로 표시된다. When the user touches a key button included in the input area 153 (S410), a character group layer including the corresponding letter is displayed on the selection area 155 (S420). That is, when one of the consonant key buttons included in the
문자 그룹
레이어
Character group
Layer
또한, 입력 영역(153)에 포함되는 모음 키버튼 중 하나를 터치하면,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문자 그룹 레이어 중에서 터치된 모음 키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그룹 레이어가 선택 영역(155)에 일렬로 표시된다. In addition, when one of the vowel key buttons included in the
문자 그룹
레이어
Character group
Layer
여기서,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문자 그룹 레이어는 유사한 발음을 가지는 자음 또는 모음을 그룹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s shown in Table 1 and Table 2,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acter group layer groups consonants or vowels having similar pronunciations.
그리고, 사용자가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드래그되는 방향에 따라서 문자 그룹 레이어에 포함된 문자 중에서 선택 가능한 상태의 문자가 변경된다(S430). 여기서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의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선택 영역(155)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킬 필요없이, 터치한 위치에서 그대로 상하로 드래그하면, 선택 영역(155)에 포함된 문자 그룹 레이어와 연동되어 선택 가능한 상태의 문자가 변경된다. When the user drags while the user touches the key button, the character in the selectable state is changed among the characters included in the character group layer according to the dragging direction (S430). Here, the user does not need to move a finger to the
도 3에서는 사용자가 (ㅗ, ㅛ) 키버튼을 터치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이때 선택 영역(155)에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ㅗ, ㅛ, ㅘ, ㅚ, ㅙ"가 일렬로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도 3와 같이 "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In FIG. 3, it is assumed that the user has touched the (ㅗ, ㅛ) key button, and in this case, “ㅗ, ㅗ, ㅘ, ㅚ, ㅙ” is displayed in a line in the
이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까지 드래그를 한 뒤,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선택 영역(155)에서 떼게 되면, 뗀 당시에 선택된 문자가 출력 영역(151)에 표시된다(S440). 즉, 사용자는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선택 영역(155)에 나타난 문자 그룹 레이어 중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way, if the user drags to a state where a desired character can be selected, and then removes a finger or a stylus pen from the
한편, 기능 영역(157)에는 특수 키버튼, 모드 키버튼, 엔터() 키버튼, 스페이스() 키버튼 및 삭제(←) 키버튼을 포함한다. In the
먼저, 특수 키버튼은 특수 기호 또는 이모티콘 등 특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키버튼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사용자가 특수 키버튼을 이용하여 특수 문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rst, the special key button is a key button for selecting a special character such as a special symbol or an emoticon.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a special character by using a special key button.
도 3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수 키버튼을 터치하면, 입력 영역(153)은 일반 문자 모드에서 특수 문자 모드로 전환된다. 즉, 도 5a와 같이 출력 영역(151)의 하단에는 선택 바가 표시되며, 입력 영역(153)은 다양한 형태의 특수 기호 또는 이모티콘이 표시된다. 도 5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특수 기호 " ^ "를 터치하면 출력 영역(151)에는 선택된 특수 기호인 " ^ "가 표시된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special key butto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 바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입력 영역(153)에는 도 5b와 같이 다음 페이지의 특수 문자가 표시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선택 바를 터치한 상태에서 왼쪽으로 드래그하면 입력 영역(153)에는 도 5a와 같이 이전 페이지의 특수 문자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특수 문자를 입력하고 난 후, 특수 키버튼을 터치하면 입력 영역(153)은 도 5c와 같이 특수 문자 모드에서 일반 문자 모드로 전환된다. When the user drags the selection bar to the right while touching the selection bar, the special characters of the next page are displayed in the
다음으로, 모드 키버튼은 일반 문자 모드 중에서 한글 모드, 영어 대문자 모드, 영어 소문자 모드, 숫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버튼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사용자가 모드 키버튼을 이용하여 일반 문자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the mode key button is a key button for selecting the Hangul mode, the English uppercase mode, the English lowercase mode, the number mode among the normal text mode. 6A to 6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general text modes by using a mode key button.
사용자가 메시지 작성 중에 모드 키버튼을 터치하면, 도 6a와 같이 한글, 영어 대문자, 영어 소문자, 숫자를 선택할 수 있는 4방향 조그 버튼이 팝 업 형태로 생성된다. 즉, 4방향 조그 버튼은 상하좌우를 나타내는 화살표로 표시되며, 상방향 화살표는 한글 모드를, 하방향 화살표는 숫자 모드를, 왼쪽 방향 화살표는 영어 대문자 모드를, 오른쪽 방향 화살표는 영어 소문자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버튼이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mode key button while composing a message, a four-way jog button for selecting Korean, English uppercase letters,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numbers is generated in a popup form as shown in FIG. 6A. In other words, the 4-way jog button is indicated by arrows indicating up, down, left and right, the up arrow selects the Hangul mode, the down arrow selects the number mode, the left arrow selects the English uppercase mode, and the right arrow selects the English lowercase mode. This is a key button to do this.
따라서, 사용자가 모드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3와 같이 한글 모드로 변환되고, 사용자가 모드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6b와 같이 숫자 모드로 변환된다. 또한, 사용자가 모드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도 6c와 같이 영어 소문자 모드로 변환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가 모드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왼쪽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영어 대문자 모드로 변환된다.Therefore, if the user drags upward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mode key button, it is converted into Korean mode as shown in FIG. 3, and if the user drags downward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mode key button, the mode is converted to numeric mode as shown in FIG. do. 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the mode key button and drags in the right direction, the mode is converted to the lowercase English mode as shown in FIG. 6C.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f the user touches the mode key button and drags to the left, it is converted to the uppercase English mode.
한글 모드로 변환된 상태에서 한글 입력 방법은 도 3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영어 대/소문자 입력 방법도 한글 입력 방법과 동일하다. 즉, 도 6c와 같이 영어 소문자 모드인 경우를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 영역(153)에 포함되는 키버튼 중 하나를 터치하면,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문자 그룹 레이어 중에서 터치된 키버튼에 대응하는 문자 그룹 레이어가 선택 영역(155)에 일렬로 표시된다. The Hangul input method in the state converted to the Hangul mode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e English case input method is the same as the Korean input method. That is, in the case of the English lowercase mode as shown in FIG. 6C, when a user touches one of the key buttons included in the
문자그룹
레이어
Character group
Layer
사용자는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원하는 문자까지 드래그를 한 뒤,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선택 영역(155)에서 떼게 되면, 뗀 당시에 선택된 영어 소문자가 출력 영역(151)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선택 영역(155)에 나타난 문자 그룹 레이어 중에서 원하는 영어 소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When the user drags a desired character while touching a key button, and then removes a finger or a stylus pen from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앤드 드래그(touch and drag)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기존에 사용 중인 터치 앤드 터치(touch and touch) 문자 입력 방법에 비하여 글자 완성에 소요되는 키버튼 터치 횟수가 줄어든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touch and drag method, the number of key button touches required for character completion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touch and touch character input method currently used. Decreases.
설명의 편의상, "윷"이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of inputting the letter "윷" will be described with an example.
먼저 도 1a에서 설명한 가획 조합 방식을 이용하는 '천지인' 입력 방식에 따르면, ① 자음 'ㅇ' 키버튼 터치, ② 모음 'ㅡ' 키버튼 터치, ③ 가획 '·' 키버튼을 두 번 연속 터치, ④ 자음 'ㅊ' 입력을 위하여 'ㅈ' 키버튼 2번 터치(ㅈ→ㅊ)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윷"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두 6번의 키버튼을 터치해야 한다. First, according to the 'Cheonjiin' input method using the catch combination method described in Figure 1a, ① consonant 'ㅇ' key button touch, ② vowel 'ㅡ' key button touch, ③ capture '·' key button twice in a row, ④ In order to input the consonant 'vo', touch the 'j' key button twice. Therefore, in order to enter the letter "윷", all six key buttons must be touched.
또한 도 1b에서 설명한 '나랏글 2000' 입력 방식에 따르면, ① 자음 'o' 키버튼 터치, ② 모음 'ㅠ' 입력을 위하여 'ㅗ, ㅜ' 키버튼 2번 터치 후 '*' 가획 키버튼 터치(ㅗ→ㅜ→ㅠ), ③ 자음 'ㅊ' 입력을 위하여 'ㅅ' 키버튼 터치 후 '*' 가획 키버튼을 2번 터치(ㅅ→ㅈ→ㅊ)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윷"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두 7번의 키버튼을 터치해야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aratgle 2000' input method described in Figure 1b, ① touch the consonant 'o' key button, ② touch the 'ㅗ, TT'
현재 사용 중인 또 다른 터치 앤드 터치 문자 입력에 의하면, "윷"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① 자음 'ㅇ' 키버튼 터치, ② 모음 'ㅠ' 입력을 위하여 'ㅜ' 키버튼 2번 터치(ㅜ→ㅠ), ③ 자음 'ㅊ' 입력을 위하여 'ㅈ' 키버튼 2번 터치(ㅈ→ㅊ)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윷"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두 5번의 키버튼을 터치해야 한다. According to another touch and touch character input currently being used, ① touch the consonant 'ㅇ' key button to input the letter "윷", ② touch the 'TT'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윷"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① 자음 'ㅇ' 키버튼 터치, ② 모음 'ㅜ, ㅠ'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모음 'ㅠ' 선택, ③ 자음 'ㅈ, ㅊ'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자음 'ㅊ' 선택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윷"이라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모두 3번의 키버튼 터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터치 앤드 터치(touch and touch) 문자 입력 방법에 비하여 글자 완성에 소요되는 키버튼 터치 횟수가 최소 2회 이상 줄어든다. 또한 종래 기술은 하나의 키버튼에 여러 문자를 매핑하여 여러 번 터치해야 하는 모호성이 있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한 번의 터치를 통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윷" ① consonant 'ㅇ' key button touch, ② vowel 'TT, ㅠ' key button in the state of touching the drag 'vo' selection, ③ consonant Touch the 'ㅈ, ㅋ' key button and drag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onsonant. Therefore, in order to input the letter "모두", all three key buttons are touched. Therefore, the number of key button touches required for character completion is reduced by at least two times compared to the touch and touch character input method described above. In addition, while the prior art has a ambiguity to touch a number of times by mapping a number of characters to one key butt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 character to be input through a single touch to input characters more accurately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ㅞ', 'ㅙ', 'ㅒ' 등과 같이 복잡한 모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드래그를 통하여 직접 모음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가획 조합 등과 같은 모음 입력 패턴에 대하여 특별히 학습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복잡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complex vowel such as 'ㅞ', 'ㅙ', 'ㅒ', etc. is inputted, the vowel can be directly selected by dragging, so that the vowel input pattern such as a combination of combinations is specifically learned. You can conveniently enter complex vowels without having to.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앤드 드래그(touch and drag) 방식을 이용하므로, 한 손가락 만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로 할 수 있어서 문자 입력 시에 피로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선택 영역(155)의 배치를 좌우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 여부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에 따르면 선택 영역(155)이 오른쪽에 배치되어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선택 영역(155)을 왼손으로 가리지 않고 편리하게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ouch and drag method is used, a character can be input using only one finger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fatigue during character input. have.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of the
도 7은 도 3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나타난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선택 영역이 왼쪽에 배치되어 오른손잡이인 사용자가 선택 영역을 오른손으로 가리지 않고 편리하게 원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FIG. 7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text inpu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According to FIG. 7, the selection area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so that a user who is right-handed can conveniently select a desired character without covering the selection area with his right hand.
그리고, 기능 영역(157)에는 특수 키버튼이 포함되어 있어서, 문자 입력 중에 사용자가 특수 키버튼을 터치하면 특수 문자 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일반 문자 입력 시 특수 기호 또는 이모티콘 등과 같은 특수 문자를 사용하기 위하여 별도의 옵션을 탐색하거나, 모드 전환 키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또한 자주 사용되는 특수 문자인 물음표(?) 또는 마침표(.)를 문자 키버튼에 삽입시켜, 사용자는 특수 문자 모드로 전환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문자 모드 변환시 한글, 영어 대문자, 영어 소문자, 숫자를 선택할 수 있는 4방향 조그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4방향 조그 버튼 터치 후 한번의 드래그 만으로 원하는 문자 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래그를 통한 문자 선택 시, 드래그 하는 과정에서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 좌우로 비껴 나갈 경우에는 문자 입력을 취소하여, 정확하게 문자가 입력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그룹 레이어에 취소를 나타내는 X표를 하단에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키버튼을 실수로 잘못 터치했을 경우, 드래그 중에 키버튼 입력을 취소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3의 경우 선택 영역(155)에 표시되는 문자 그룹 레이어는 "ㅗ, ㅛ, ㅘ, ㅚ, ㅙ, X"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four-way jog button that selects Korean, English uppercase letters, English lowercase letters, and numbers when the character mode is converted, the user can switch to the desired character mode with a single drag after touching the four-way jog button.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racter is selected by dragging, if the finger or the stylus pen is deflected from side to side in the dragging process, the character input is canceled so that the character can be accurately input.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group layer further includes an X mark indicating cancellation in the bottom, so that when a user accidentally touches a key button by mistake, the key button input is canceled during dragging. Accordingly, in the case of FIG. 3, the character group layer displayed in the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2c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hrough 12C.
먼저 도 8 내지 도 10d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나타난 한글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250)는 출력 영역(251), 입력 영역(253) 및 기능 영역(257)을 포함한다. First,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D.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inpu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show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D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FIG. 9. According to FIG. 8, the display unit 2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선택 영역을 포함하지 않으며, 출력 영역(251) 및 기능 영역(257)은 제1 실시예와 그 구성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selection area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먼저, 도 8에 따르면, 한글 모드에서의 입력 영역(253)은 20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자음에 대응하는 키버튼과 자주 쓰는 특수 문자에 대응하는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입력 영역(253)이 19개의 자음에 해당하는 키버튼과 물음표(?)에 해당하는 키버튼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First, according to FIG. 8, the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d를 통하여 한글 모드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0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한글의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 키버튼을 터치하면(S910), 선택된 자음 키버튼을 제외한 모든 키버튼은 한글의 중성에 해당하는 모음 키버튼으로 변환된다(S920). 사용자는 자음 키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입력할 모음 키버튼까지 드래그를 한다(S930). 여기서, 도 10b에 따르면, 입력 영역(253)의 좌측 상단에는 터치된 자음 키버튼 "ㄱ"과 드래그된 모음 키버튼 "ㅘ"가 조합된 글자 "과"라는 글자가 표시된다.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the Hangul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0D. First, as shown in FIG. 10A, when the user touches the consonant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of Korean (S910), all key buttons except the selected consonant key button are converted into vowel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of Korean (S920). The user drags the vowel key button to input while touching the consonant key button (S930). Here, according to FIG. 10B, the letters “and”, which are a combination of the touched consonant key button “a” and the dragged vowel key button “ㅘ”, are displayed on the upper left of the
입력할 모음 키버튼까지 드래그를 한 다음,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떼면 출력 영역(251)에는 도 10c와 같이 초성과 중성이 조합된 글자 "과"가 출력된다(S940). After dragging to a vowel key button to input, and then releasing a finger or a stylus pen, as shown in FIG. 10C, the letters "and" combined with the initial and neutral are output to the output area 251 (S940).
그리고, 동시에 입력 영역(253)에는 도 10c와 같이 자음 키버튼이 표시된다(S950). 도 10c와 같은 상태에서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 키버튼 또는 특수 문자를 터치하면 도 10d와 같이 완성된 한글 또는 특수 문자가 완성 되어 표시된다(S960). 만일 종성이 "ㄺ", "ㄻ" 등과 같은 겹자음인 경우에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 키버튼을 한 번 더 터치한다. At the same time, a consonant key button is displayed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은, 한글 완성구조인 자음(초성)-모음(중성)-자음(종성)의 순서로 문자 키버튼이 전환되며 입력 시 최소 1회(초성 및 중성으로만 이루어진 글자)에서 최대 3회(종성 겹자음을 포함하는 글자)로 한글 문자 완성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key buttons are switched in the order of consonants (cho), vowels (neutral), and consonants (final), which are Korean characters. Hangul characters can be completed up to three times (characters including the final double consonants) from letters consisting of only neutral.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2c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문 입력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문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c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영문 소문자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nglish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hrough 12C.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glish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A to 12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FIG. 11. In FIG. 11 to FIG. 12C, a lowercase English lett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먼저, 도 12a에 따르면, 영문 모드에서의 입력 영역은 12개의 키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영문에 대응하는 키버튼과 자주 쓰는 특수 문자에 대응하는 키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에서는 9개의 영문에 해당하는 키버튼과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3개의 키버튼이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First, according to FIG. 12A, the input area in the English mode is composed of 12 key buttons, and may include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the English letter and a key button corresponding to a frequently used special character. In FIG. 12A, three key buttons corresponding to nine English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are illustrated.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2a를 통하여 영문 모드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2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영문 키버튼을 터치하면(S1110), 도 12b와 같이 터치된 키버튼의 하단에는 새로운 키버튼이 생성되고, 생성된 키버튼에는 터치된 키버튼에 포함되는 영문이 각각 매핑된다(S1120).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영문 키버튼까지 드래그를 한 다음(S1130),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떼면 출력 영역에는 도 12c와 같이 선택된 영문이 표시된다(S1140). 여기서, 도 12b와 같이 하나의 키버튼에 하나의 영문이 매핑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고 정확하게 원하는 영문을 입력할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of inputting a character in the English mod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hrough 12A. First, when the user touches the English key button as shown in FIG. 12A (S1110), a new key button is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touched key button as shown in FIG. 12B, and the generated key button has English characters included in the touched key button. Each is mapped (S1120). Then, the user drags to the desired English key button (S1130), and when the finger or the stylus pen is released, the selected English is displayed in the output area as shown in FIG. 12C (S1140). Here, since one English is mapped to one key button as shown in FIG. 12B, the user can conveniently and accurately input the desired English.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영문 키버튼 또는 특수 문자 키버튼을 통하여 영문 또는 특수 문자를 연속하여 입력할 수 있다. In this manner, the user can conveniently input English or special characters continuously through the English key button or the special character key button.
한편 도 11 내지 도 12c를 통하여 설명한 영문 입력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한 한글 모드에서 한글 키버튼을 터치한 경우 문자 그룹 레이어가 선택 영역(155)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도 12a 내지 도 12c처럼 터치된 키버튼의 하단에 새로운 키버튼 레이어가 생성되며, 생성된 키버튼 레이어에는 터치된 키버튼의 문자 그룹 레이어에 포함되는 한글이 매핑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nglish input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hrough 12C can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Hangul key button is touched in the Hangul mode illustrated in FIG. 3, the character group layer is not displayed i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위한 휴대폰 문자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obile phone dial for a Korea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 모드에서의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put method in a Hangu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c는 사용자가 특수 키버튼을 이용하여 특수 문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A to 5C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selecting a special character by using a special key button.
도 6a 내지 도 6c는 사용자가 모드 키버튼을 이용하여 일반 문자 모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A to 6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general text modes by using a mode key button.
도 7은 도 3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나타난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FIG. 7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 text inpu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3.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나타난 한글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ngul inpu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A to 10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문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nglish input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A to 12C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FIG. 11.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0747A KR20110003130A (en) | 2009-07-03 | 2009-07-03 |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0747A KR20110003130A (en) | 2009-07-03 | 2009-07-03 |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3130A true KR20110003130A (en) | 2011-01-11 |
Family
ID=43611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0747A Ceased KR20110003130A (en) | 2009-07-03 | 2009-07-03 |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03130A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73378A3 (en) * | 2011-06-15 | 2013-04-04 | Seo Jin Ho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providing keyboard layout |
WO2013051879A3 (en) * | 2011-10-06 | 2013-06-06 | Kim Jin Su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
KR101324765B1 (en) * | 2011-03-22 | 2013-11-05 | 진용옥 | letter input-output method using inside intermediate substitution in mobile device |
KR101325653B1 (en) * | 2011-08-16 | 2013-11-11 | 전우영 | Separate Character Input Interface |
KR101339685B1 (en) * | 2011-08-16 | 2013-12-11 | 전우영 | Interface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
-
2009
- 2009-07-03 KR KR1020090060747A patent/KR20110003130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4765B1 (en) * | 2011-03-22 | 2013-11-05 | 진용옥 | letter input-output method using inside intermediate substitution in mobile device |
WO2012173378A3 (en) * | 2011-06-15 | 2013-04-04 | Seo Jin Ho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providing keyboard layout |
US9606727B2 (en) | 2011-06-15 | 2017-03-28 | Yong Chang Seo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providing keyboard layout |
KR101325653B1 (en) * | 2011-08-16 | 2013-11-11 | 전우영 | Separate Character Input Interface |
KR101339685B1 (en) * | 2011-08-16 | 2013-12-11 | 전우영 | Interface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
WO2013051879A3 (en) * | 2011-10-06 | 2013-06-06 | Kim Jin Su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96049B (en) | Virtual keyboard input method applied to embedded touch screen equipment | |
JP6038834B2 (en) | Character input system | |
US6947771B2 (en) |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EP3190482B1 (en) |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 |
JP2005301322A (en) | Input device, cellular phone,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 |
WO2010089918A1 (en) |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program | |
CN101379474A (en) | Character input device | |
JP2009181531A (en) | Character input system | |
CN106547368B (en) | Character input method and device based on game pad | |
US20100234074A1 (en) | Keypad emulation | |
KR20110003130A (en) | Character inpu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6527755A (en) | Text input method and device for a wearable device | |
CN1795661B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putting alphabets using a reduced keypad | |
JP2009169789A (en) | Character input system | |
CN101226427A (en) | Keyboard and correspond in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alm PC | |
KR10036528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 |
KR101261227B1 (en) | Virtual keyboard input device, and data input method thereof | |
KR101046660B1 (en) | Character input and output device and method | |
US2010008531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Input Text Entry | |
KR101255801B1 (en) |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hangul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thereof | |
KR100866191B1 (en) |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 |
JP2012079198A (en) | Character input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program | |
JP5716566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control program | |
KR101024848B1 (en) | Hangul input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 |
KR20110079422A (en) | Handheld terminal with motion sensor character input interf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1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1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