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906A -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906A
KR20120009906A KR1020100070952A KR20100070952A KR20120009906A KR 20120009906 A KR20120009906 A KR 20120009906A KR 1020100070952 A KR1020100070952 A KR 1020100070952A KR 20100070952 A KR20100070952 A KR 20100070952A KR 20120009906 A KR20120009906 A KR 2012000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factory
plant
deman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389B1 (ko
Inventor
이왕하
이진희
정희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3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생산 제어 방법은 수요량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고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총공급량이 수요량 보다 큰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 중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결정하고,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공급공장의 공급 마진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수요량 및 공급량의 균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및 자원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Method For Controlling Productive Capacity Based On Supply And Demand In Smart Industry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인더스트리 환경에서 생산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원 사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제조 공정은 하나의 공정에서 완제품이 생산되기 보다는 작은 단위의 제조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거나, 선행 공정에서 각 단위 공장이 단제품 또는 부품을 생산한 후 생산된 단제품 또는 부품을 이용하여 다음 공정에서 반제품을 생산하고, 이후의 공정을 진행하여 최종 완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에 포함된 각 선행 공정에서는 제조된 부품이나 반제품을 일시적으로 모아두는 저장탱크, 창고 또는 야드 등을 이용하여 공급량을 조절하고 수요의 급격한 변동에 대비하기 위한 버퍼(buffer)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공정에서 생산된 반제품이나 부품등이 버퍼에 필요이상 누적되면 버퍼에 누적된 자원을 관리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비되고 관리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매우 비효율적이고, 최악의 경우에는 재고 누적으로 인하여 생산된 자원을 폐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원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사용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원 사용 효율을 극대화하고 에너지 사용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생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산 제어 방법은, 상기 수요량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총공급량이 상기 수요량 보다 큰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 중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공급공장의 공급 마진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지 대상이 되는 공급공장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되었거나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참조하고 미리 설정된 휴지 기준에 기초하여 휴지 대상이 되는 공급공장을 선택하고, 휴지 대상으로 선택된 공급공장의 휴지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한 상기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동 공급공장별로 생산성 증감을 위한 제어변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제어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총 공급 가능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상기 공급 마진의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상기 공급 마진의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제어변수 정보를 상기 가동 공급공장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 공급공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생산 효율, 단위 시간당 생산량 및 최대 생산량 중 적어도 하나의 운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상기 운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생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으로부터 전송된 운영 정보를 수신하고 운영 제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으로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총공급량이 수요공장의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 수요량 변동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휴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휴지 대상 공급공장에 제공하는 제어부와, 상기 수요량 변동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 중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선택하는 추론 엔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공급공장의 공급 마진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공급 마진 변동 정보를 상기 추론 엔진에 제공하고, 상기 추론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제어변수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공급공장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추론 엔진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공급 마진 변동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정보 및 제어변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운영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성 증감을 위한 제어변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어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총 공급 가능량을 예측한 후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상기 공급 마진의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에 따르면, 수요량 및 공급량의 변화에 상응하여 능동적으로 생산에 참여하는 공급 공장의 수를 최적화하고, 공급 마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여 현재 가동중인 공급 공장의 제어 변수를 제어함으로써 수요량 및 공급량의 균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 및 자원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 제어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급 공장은 소정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공정에 포함되어 소정의 부품 또는 반제품을 생산한 후 이후의 공정을 수행하는 수요 공장에 제공하는 공장을 의미하고, 수요 공장은 선행 공정을 수행하는 공급 공장으로에서 생산된 부품 또는 반제품을 제공받고 다음의 공정을 수행하는 공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공급 공장 및 수요 공장에서 생산되는 부품이나 반제품 등은 고체, 액체 및 기체 중 어느 형태로도 생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상기 생산 제어 방법은 스마트 인더스트리 환경에서 생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산 제어 시스템은 먼저 수요 공장의 수요량을 모니터링하고(단계 110), 수요량의 변화율을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단계 120). 여기서, 생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수요 공장의 생산량이나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장이 상기 수요 공장으로부터 요청받는 요청량에 기초하여 수요량의 변화율을 판단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수요량의 변화율이 기준값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생산 제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장에서 공급 가능한 총공급량을 수요량과 비교하여(단계 130), 상기 총공급량이 상기 수요량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장의 운영 방식을 결정하여 공급 가능한 총공급량을 감소시킨다(단계 140).
여기서, 생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총공급량이 상기 수요량에 공급 마진을 합한 것보다 큰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장의 운영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40에서 생산 제어 시스템은 미리 저장되었거나, 실시간으로 획득한 각 공장의 운영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고 생산 효율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급 공장 중 휴지 대상이 되는 공급 공장 및 휴지 대상으로 선택된 공급 공장의 휴지 정책(예를 들면 휴지 일정)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생산 제어 시스템은 단계 140에서 휴지 대상으로 결정된 공급 공장을 제외한 나머지 공급 공장들의 공급 가능량을 수요량과 비교하고(단계 150), 상기 공급 가능량이 수요량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동 중인 공급 공장을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정상 운영한다(단계 160). 여기서, 생산 제어 시스템은 상기 공급 가능량이 수요량과 공급 마진의 합 이상인 경우 단계 160을 실행할 수 있다. 공급 마진은 급격한 수요량의 변동에 대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여유 공급량을 의미한다.
또는, 단계 150에서 공급 가능량이 수요량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생산 제어 시스템은 단계 140의 공급 공장 운영 방식 결정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이후, 생산 제어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가동 중인 공급 공장의 공급량을 모니터링하여 공급 마진의 변화 유무를 판단하고(단계 170), 공급 마진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가동 중인 공급 공장의 생산 능력을 제어함으로써 수요량과 공급 가능량이 서로 최적의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단계 180). 예를 들어, 수요 공장의 갑작스런 운영 정지로 수요량이 급감하는 경우에는 공급 공장의 생산 능력을 제어하여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가동중인 소정 공급 공장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체 공급량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가동중인 다른 공급 공장의 생산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급과 수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공급 공장의 생산 능력 제어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 공장의 생산 능력 제어 과정을 설명하면, 생산 제어 시스템은 도 1의 단계 170에서 공급 마진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가동중인 모든 공급 공장의 운영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181).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급 공장의 운영 정보 획득을 위해 생산 제어 시스템은 가동 중인 공급 공장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 및 관리 장치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운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운영정보를 저장한 후 생산 능력의 제어가 필요한 경우 해당 공급 공장의 운영 정보를 독출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가동 중인 공급 공장의 운영 정보는 예를 들어, 생산 효율, 단위 시간당 생산량 및 최대 생산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정보들은 날씨, 온도, 요일, 계절 등의 다양한 환경 조건과 대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정보에는 각 공급 공장의 제어 가능한 변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어 가능한 변수는 예를 들어, 각 공장에 구비된 제조 장치들의 생산량을 증감시킬 수 있는 동작 시간, 출력 등의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생산 제어 시스템은 단계 181의 수행을 통해 획득한 공급 공장의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단계 182). 여기서, 상기 제어 우선 순위는 현재 가동 중인 복수의 공급 공장 중에서 생산 능력의 증가 또는 감소를 위해 제어할 순서를 의미한다.
또한, 생산 제어 시스템은 우선 순위가 설정된 각 공급 공장별로 제어 변수를 설정한다(단계 183).
이후, 생산 제어 시스템은 설정된 제어 변수에 기초하여 각 공급 공장에서 공급 가능한 총 공급 가능량을 예측하고(단계 184),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을 미리 설정된 공급 마진 범위와 비교하여(단계 185) 상기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상기 공급 마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183 내지 단계 184를 다시 수행한다. 여기서, 생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예측된 총 공급량이 수요량과 공급 마진 범위의 합을 초과하는 경우 공급 마진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단계 183 내지 단계 184를 다시 수행한다.
또는, 단계 185에서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공급 마진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생산 제어 시스템은 단계 183에서 설정된 제어 변수에 기초하여 각 공급 공장에 생산량 증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단계 186).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에서는 수요량 및 공급량의 변화에 상응하여 능동적으로 생산에 참여하는 공급 공장의 수를 최적화하고, 공급 마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하여 현재 가동중인 공급 공장의 제어 변수를 제어함으로써 수요량 및 공급량의 균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에너지 및 자원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정의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 공정에 포함된 공급공장 1(301), 공급공장 2(302) 및 공급공장 3(303)은 고체, 액체, 기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 부품 또는 반제품을 수요공장 1(311)에 제공하고, 수요공장 1(311)은 공급공장 1 내지 공급공장 3(301 내지 303)으로부터 제공된 부품 또는 반제품을 이용하여 이후의 제조 공정을 수행한 후 그 결과물을 수요공장 2(321)에 제공한다. 또한, 수요공장 1(311)은 수요공장 2(321)에 완제품이 아닌 중간 제조물을 제공하므로 수요공장 2(321)의 관점에서 볼 때 수요공장 1(311)은 공급공장에 해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 공정 환경에서 공급공장 1 내지 공급공장 3(301 내지 303)과 수요공장 1(311)의 수급 관계를 참조하여 생산 제어 시스템(4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생산 제어 시스템(400)은 수요공장 1(311)의 수요량을 모니터링하고, 수요량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수요공장 1(311)의 수요량을 공급공장 1 내지 공급공장 3(301 내지 303)의 총공급량과 비교하고, 상기 총공급량이 상기 수요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실시간 또는 미리 획득한 각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공장 1 내지 공급공장 3(301 내지 303) 중 휴지시킬 공급공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공급공장 3(303)이 휴지 대상 공급공장으로 결정되었다고 가정하면, 생산 제어 시스템(400)은 가동 중인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의 공급 가능량을 수요량과 비교하고 상기 공급 가능량이 수요량 이상인 경우에는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가 이전과 동일하게 정상 운영되도록 한다.
또한, 생산 제어 시스템(400)은 상기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의 공급 마진을 모니터링하고, 공급 마진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의 생산 효율, 단위 시간당 생산량, 최대 생산량 등의 운영 정보 및 제어변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획득하고, 획득한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에 대해 제어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생산 제어 시스템(400)은 상기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공장 1(301)을 공급공장 2(302) 보다 우선순위를 더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생산 제어 시스템(400)은 우선순위가 설정된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에 대해 제어변수를 설정하고, 제어변수가 설정된 환경에서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의 총 공급 가능량을 예측한다.
이후, 생산 제어 시스템(400)은 예측한 총 공급 가능량을 미리 설정된 공급 마진량과 비교하여 공급 마진량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정된 제어변수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에 제공함으로써,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공급공장 1(301) 및 공급공장 2(302)가 운영됨으로써 공급 마진이 미리 설정된 범위에 포함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생산 제어 시스템(400)은 통신부(410), 제어부(420), 추론엔진(430) 및 데이터베이스(4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공급공장 또는 수요공장으로부터 전송된 수요량, 운영정보 또는 제어변수 등의 정보를 통신 규격에 따라 처리한 후 제어부(420)에 제공한다.
또한, 통신부(410)는 제어부(420)로부터 제공된 운영 제어신호 등의 정보를 통신 규격에 따라 처리한 후 해당 공장에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410)는 공급공장 또는 수요공장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나 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 또는 수요공장으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요공장의 수요량을 모니터링하고, 수요량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수요공장의 수요량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총공급량과 비교하고, 상기 총공급량이 상기 수요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수요량 변동 정보를 추론엔진(430)에 제공함으로써, 추론엔진(430)이 휴지 대상이 되는 공급공장을 결정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20)는 상기 추론엔진(430)으로부터 휴지 대상 공급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통신부(410)를 통해 상기 휴지 대상 공급공장에 휴지 관련 정보(예를 들면, 휴지 정책, 휴지 일정)를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420)는 현재 가동 중인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으로부터 전송된 공급량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 마진을 모니터링하고, 공급 마진의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공급 마진 변동 정보를 추론엔진(430)에 제공한다. 이후, 제어부(420)는 추론엔진(430)으로부터 제어변수 설정 정보를 제공받고 이를 통신부(410)를 통해 해당 공급공장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420)는 생산 제어 시스템(400)이 활성화된 이후, 공급공장 또는 수요공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된 정보들을 통신부(410)를 통해 제공받고 이를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한다.
추론엔진(inference engine)(430)은 제어부(420)로부터 제공된 수요량 변동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해당 공급공장들의 운영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휴지 대상이 되는 공급공장 및 휴지 대상 공급공장의 휴지 정책을 결정하고, 결정된 휴지 대상 공급공장 및 휴지 정잭 등의 정보를 제어부(420)에 제공한다. 여기서, 추론엔진(430)는 각 공급공장의 운영효율이나 생산효율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추론엔진(430)는 제어부(430)로부터 공급 마진 변동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현재 가동중인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생산 효율, 단위 시간당 생산량, 최대 생산량 등의 운영 정보 및 제어변수를 데이터베이스(440)에서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가동중인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들에 대해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또한, 추론엔진(430)은 우선순위가 설정된 각 공급공장에 대해 생산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변수를 설정하고, 제어변수가 설정된 환경에서 공급공장들의 총 공급 가능량을 예측하여,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미리 설정된 공급 마진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어변수 설정 정보를 제어부(420)에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440)는 공급공장 또는 수요공장으로부터 미리 제공되거나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운영 정보나 제어변수 등의 정보를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00 : 생산 제어 시스템 410 : 통신부
420 : 제어부 430 : 추론엔진
440 :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수요공장의 수요량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생산을 제어하는 생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요량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총공급량이 상기 수요량 보다 큰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 중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공급공장의 공급 마진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대상이 되는 공급공장을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되었거나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참조하고 미리 설정된 휴지 기준에 기초하여 휴지 대상이 되는 공급공장을 선택하고, 휴지 대상으로 선택된 공급공장의 휴지 정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상기 운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동 공급공장별로 생산성 증감을 위한 제어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제어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총 공급 가능량을 예측하는 단계; 및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상기 공급 마진의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 능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상기 공급 마진의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제어변수 정보를 상기 가동 공급공장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가동 공급공장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생산 효율, 단위 시간당 생산량 및 최대 생산량 중 적어도 하나의 운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상기 운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정보는 날씨, 온도, 요일, 계절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제어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으로부터 전송된 운영 정보를 수신하고, 운영 제어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으로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총공급량이 수요공장의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 수요량 변동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휴지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휴지 대상 공급공장에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수요량 변동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 중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선택하는 추론 엔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공장의 운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생산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지 대상 공급공장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가동 공급공장의 공급 마진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공급 마진 변동 정보를 상기 추론 엔진에 제공하고, 상기 추론 엔진으로부터 제공된 제어변수 설정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해당 공급공장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엔진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공급 마진 변동 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운영정보 및 제어변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고, 독출된 상기 운영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생산성 증감을 위한 제어변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제어변수에 기초하여 상기 가동 공급공장의 총 공급 가능량을 예측한 후 예측된 총 공급 가능량이 상기 공급 마진의 미리 설정된 범위를 만족하는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제어 시스템.
KR1020100070952A 2010-07-22 2010-07-22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101674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52A KR101674389B1 (ko) 2010-07-22 2010-07-22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952A KR101674389B1 (ko) 2010-07-22 2010-07-22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906A true KR20120009906A (ko) 2012-02-02
KR101674389B1 KR101674389B1 (ko) 2016-11-09

Family

ID=4583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952A KR101674389B1 (ko) 2010-07-22 2010-07-22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3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518A (ja) * 2001-12-14 2003-07-04 Kirin Brewery Co Ltd 製造計画演算システム
KR20050025953A (ko) * 2002-07-09 2005-03-14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생산 계획 작성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60019931A (ko) * 2004-08-30 2006-03-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강산업에서의 협업적 수요계획의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059476A (ja) * 2006-09-01 2008-03-13 Takenaka Komuten Co Ltd 輸送計画策定装置、輸送計画策定方法及び輸送計画策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6518A (ja) * 2001-12-14 2003-07-04 Kirin Brewery Co Ltd 製造計画演算システム
KR20050025953A (ko) * 2002-07-09 2005-03-14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생산 계획 작성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60019931A (ko) * 2004-08-30 2006-03-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철강산업에서의 협업적 수요계획의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8059476A (ja) * 2006-09-01 2008-03-13 Takenaka Komuten Co Ltd 輸送計画策定装置、輸送計画策定方法及び輸送計画策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389B1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1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demand side resources to provide frequency regulation using a dynamic allocation of energy resources
US1118187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central plant
US8635338B2 (en) Log collection data harvester for use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8494685B2 (en) System for utilizing predictive energy consumption
EP2408082B1 (en) Integrated demand response for energy utilization
US73497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tility consumption
US20080238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mand dispatch and load management
US20120296480A1 (en) System and method to predict optimized energy consumption
EP3009899B1 (en) Allocation of energy production changes to meet demand changes
US20160313749A1 (en) Geo-fencing with advanced intelligent recovery
EP34007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ing the battery life of a wireless sensor in a building control system
JP2011254582A (ja) 電力需要管理装置、および電力需要管理システム
CN104049571A (zh) 现场设备中的资源优化
Zhou et al. A dynamic water-filling method for real-time HVAC load control based on model predictive control
CN105048447A (zh) 统合需求控制方法和统合需求控制装置
FI128279B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grouping a group of power units to produce frequency control for a power system
JP5826714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電力監視装置
WO2018029871A1 (ja) 電力需要制御システム、電力需要制御方法、アグリゲータシステム、需要家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3058206A (ja) 触媒利用支援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7474368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サーバ、制御装置、及び電力管理方法
KR20120009906A (ko) 스마트 인더스트리에서 수급을 고려한 생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US9727930B2 (en) Real-time dem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20206474A1 (e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equipment with optimization modification
US20230132477A1 (en) Building equipment selection using soft constraints
CN113359649B (zh) 一种发电侧的多模式能源调度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