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826A -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826A
KR20120009826A KR1020100070587A KR20100070587A KR20120009826A KR 20120009826 A KR20120009826 A KR 20120009826A KR 1020100070587 A KR1020100070587 A KR 1020100070587A KR 20100070587 A KR20100070587 A KR 20100070587A KR 20120009826 A KR20120009826 A KR 20120009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ource module
air
lightin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457B1 (ko
Inventor
박장익
Original Assignee
박장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익 filed Critical 박장익
Priority to KR102010007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4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9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21V29/67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the fans being used for discha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21V29/78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with helically or spirally arranged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이나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조명 장치에 분진이나 가스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밝은 조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일면에 형성된 광원이 개구부의 외측으로 배치된 광원 모듈과,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광원 모듈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장치와, 개구부를 둘러싸며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반사갓을 포함하며, 광원 모듈 및 반사갓 중 적어도 하나에 송풍구가 형성되어, 공기는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송풍구로 유출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Lighting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이나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조명 장치에 분진이나 가스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밝은 조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장의 작업 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항상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게 된다. 작업장의 환경은 크린룸 수준의 매우 청결한 작업장에서부터 각종 분진이나 가스 등으로 오염된 작업장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조명 장치는 항상 일정한 조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조명 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모든 작업장에서 항상 조명 장치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최근에는 전기 효율과 발광 특성이 매우 우수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evice, 이하 'LED' 라 함)를 이용한 조명이 증가하게 되면서, 분진이나 가스에 의한 오염 문제와 함께 방열 성능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가스는 일반적으로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함께 천장에 매달려있는 조명 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분진과 가스는 유분을 포함하고 있어, 조명 장치에 쉽게 부착되어 조명 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조명 장치의 발열 기구에 부착되어 발열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의 LED 소자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작업장에서 LED 소자를 이용한 조명 장치의 사용에 제한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분진이나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도 휘도 특성 및 냉각 특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면서, LED 소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진이나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조명 장치에 분진이나 가스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밝은 조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진이나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조명 장치에 분진이나 가스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상 밝은 조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일면에 형성된 광원이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배치된 광원 모듈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광원 모듈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며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반사갓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 모듈 및 상기 반사갓 중 적어도 하나에 송풍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는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송풍구로 유출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는, 상기 조명 장치와, 일단부가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조명 장치의 상기 흡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실외로 노출되는 환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일면에 형성된 광원이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배치된 광원 모듈과,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며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반사갓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 모듈 및 상기 반사갓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송풍구가 형성되어, 공기는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광원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송풍구로 유출되는 조명 장치와, 일단부가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흡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실외로 노출되는 환기구와, 상기 광원모듈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 및 환기 장치는 팬과 같은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조명 장치의 광원 모듈 전방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분진이나 가스와 같은 오염 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 광원모듈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에 의해 조도가 낮아지거나, 조명 모듈의 LED 소자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조명 장치 내부에 송풍장치를 포함하여, 작업장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조명 장치 내부로 송풍하여, 조명 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장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명 장치에 포함되는 히트싱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명 장치에 포함되는 히트싱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조명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의 조명 장치의 변형례이다.
도 11은 도 9의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는 작업장에 조명을 비추면서 공기를 함께 분사하여, 광원모듈(30)에 분진이나 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내부에 광원모듈(30)과 히트싱크(40)와 송풍장치(50)를 수용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결합된 반사갓(20)을 포함한다. 즉, 송풍장치(50)를 이용하여 광원모듈(30)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분진이나 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이 광원모듈(30)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광원모듈(30)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31)과 광원(31)이 배치되는 기판(32)을 포함한다. 광원(31)을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소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LED 소자를 비롯하여, 형광램프, 백열 전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광원(31)으로서 LED 소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중앙에 송풍구(23) 형성된 기판(32)의 일면에 다수 개의 광원(31)이 배열된다. 기판(32)에 배열되는 광원(31)은 필요한 휘도를 고려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송풍구(23)는 기판(32)의 중앙부가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광원모듈(30)의 배면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송풍구(23)를 통하여 광원(31)이 배치된 정면으로 배출된다. 송풍구(23)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광원모듈(30)의 오염을 방지하고, 광원모듈(30)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광원모듈(3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된다.
하우징(10)은 광원모듈(30), 히트싱크(40) 및 송풍장치(50)를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흡기구(12)가 형성된다. 광원모듈(30)은 광원(31)이 개구부(11)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빛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발산되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일단부에는 히트싱크(40)를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13)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12)는 통상 하우징(10)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기구(13)는 하우징(10)의 둘레를 따라 흡기구(12) 보다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와 '하부'란 상대적인 용어로서, 조명 장치(1)가 천장에 매달리는 방향이 상부이고 아래로 빛을 비추는 방향이 하부가 된다.
한편, 배기구(13)는 히트싱크(40)의 방열핀(42)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도록 하우징(10)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히트싱크(40)의 형상 및 공기의 흐름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반사갓(20)은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콘형상으로 형성되며, 내경이 작은 쪽이 하우징(10)의 개구부(11)에 연결된다. 반사갓(20)는 빛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광원모듈(30)에서 발생시키는 빛을 일정한 부분으로 반사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반사갓(20)은 광원모듈(30)과 서로 연결되어 있어, 광원모듈(3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반사갓(20)을 통하여 방출될 수 있다. 반사갓(20)은 일종의 방열핀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또한, 반사갓(20)은 송풍장치(50)에서 분사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히트싱크(4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조명 장치에 포함되는 히트싱크의 평면도이다.
히트싱크(40)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일면이 광원모듈(30)의 배면부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히트싱크(40)는 광원모듈(30)에 밀착된 플레이트(41)와 플레이트(41)의 상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방열핀(42)을 포함하고 있다.
플레이트(41)는 광원모듈(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핀(42)으로 전달한다. 플레이트(41)와 방열핀(42)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41)는 광원모듈(30)의 기판(32)과 같이 중앙부에 송풍구(23)가 형성된 도넛형의 원반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개구부(도 2의 11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플레이트(41)의 두께는 열전달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방열핀(42)은 플레이트(41)의 열을 공기중으로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플레이트(41)에 수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열핀(42)은 열확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선 구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싱크(40)의 상면을 향하여 분사된 공기는 방열핀(42)의 형상을 따라나선 형태로 외측으로 이동한다. 즉, 회전하는 냉각팬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장치(50)를 사용하는 경우, 방열핀(42)을 나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촉진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송풍장치(50)는 히트싱크(40) 상부에 배치되어, 흡기구(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 공기를 히트싱크(40)와 광원모듈(30)을 향하여 분사하는 냉각팬일 수 있다. 송풍장치(50)는 1차적으로 히트싱크(40)에 공기를 분사하고, 2차적으로 송풍구(23)를 통해서 광원모듈(30)에도 공기를 분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송풍장치(50)는 히트싱크(4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광원모듈(30)의 광원(31)과는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송풍장치(50)를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는 광원(31)에 직접 분사되지 않는다. 즉, 송풍장치(50)는 공기의 흐름이 광원모듈(30)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분진, 연기 등의 오염물질이 직접 광원(31)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송풍장치(50)는 반드시 회전하는 팬 형태일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압축 탱크 또는 압축 콤프레셔와 같은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의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조명 장치(1)는 분진, 가스 등의 오염물질이 부유하는 작업장 내에 설치된다. 분진, 가스 등의 오염 물질은 작업장의 열기와 함께 통상 상승 기류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분진, 가스 등의 오염 물질은 천장에 매달린 조명 장치(1)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조명 장치(1)는 송풍장치(50)를 이용하여, 광원모듈(30)의 전면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 내부의 송풍장치(50)는 공기의 흐름을 일으키게 되며, 공기는 흡입구(1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흡입되어 송풍구(23)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송풍장치(5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일부가 히트싱크(40)의 방열핀(42)을 냉각시키면서, 방열핀(42)을 따라 나선형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배기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나머지 공기는 히트싱크(40)와 광원모듈(30)을 관통하여 형성된 송풍구(23)를 통하여 반사갓(20)으로 분사된다.
반사갓(20)으로 분사된 공기는 분진이나 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이 광원모듈(30)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특히, 송풍장치(50)가 공기의 와류를 일으키는 팬으로 구성된 경우, 송풍구(2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도 와류를 형성하게 되면서, 오염물질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사갓(20)은 히트싱크(40) 또는 광원모듈(30)과 직접 접촉하고 있어, 반사갓(20) 자체가 히트싱크 역할을 하게 되며, 반사갓(2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반사갓(20)의 열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명 장치에 포함되는 히트싱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조명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a)는 광원모듈(30)의 가장자리부에 송풍구(34)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풍장치(50)로부터 광원모듈(30)을 향하여 분사되는 공기는 광원모듈(30)과 하우징(10) 사이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송풍구(34)로 배출된다. 여기서, '공기가 광원모듈(30)을 관통하여 분사된다' 함은 공기가 광원모듈(3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것뿐만 아니라, 광원모듈(30)과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분사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광원모듈(30)을 직접 관통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광원모듈(30)과 하우징(10) 사이의 공간을 통하는 것도 본 명세서 상에서는 관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명 장치(1a)는 방열핀(42) 사이에 형성된 송풍구(34)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히트싱크(40a)는 원반형태의 플레이트(41a)와 플레이트(41a)에 부착된 방열핀(42)을 포함한다. 방열핀(42)은 플레이트(41a)의 중앙부로부터 나선 형태로 형성되며, 플레이트(41a)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히트싱크(40a)의 플레이트(41a)와 광원모듈(30)의 기판(3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41a)와 하우징(10)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송풍구(34)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구(34)는 플레이트(41a)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송풍구(34)의 상부에는 히트싱크(40a)의 방열핀(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열핀(42) 사이의 공간은 바로 송풍구(34)의 연장이 되며, 송풍구(34)는 방열핀(42)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다. 송풍구(34)는 실질적으로 플레이트(41a) 및 기판(32)과 하우징(10) 사이의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히트싱크(40a), 광원모듈(30), 하우징(10) 전체에 대하여 공기가 반사갓(20)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히트싱크(40a)의 방열핀(42)이 나선형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방열핀(42)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송풍구(34)를 통해 배출되면서, 나선형태의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1a)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송풍장치(50)가 작동하면, 공기는 흡입구(12)를 통하여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며, 배기구(13)와 송풍구(34)를 통하여 하우징(10) 밖으로 유출된다. 구체적으로, 송풍장치(50)에 의하여 하강 기류가 발생하면, 하강하던 공기는 히트싱크(40a)의 플레이트(41a)에 막혀 방열핀(42)을 따라 유동한다. 이때, 공기는 방열핀(42)의 열을 빼앗아 일부는 배기구(13)를 통하여 하우징(10) 밖으로 유출되고, 나머지는 송풍구(34)를 통하여 반사갓(20) 내부로 분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구(34)를 통하여 분사된 공기는 강한 와류를 형성하게 되어,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오염물질이 광원(31)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송풍구(34)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는 것은 원래 회전하는 팬을 포함하는 송풍장치(5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포함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것과, 나선형으로 형성된 방열핀(42)에 의한 것이 있다. 즉, 송풍장치(50)가 압축 공기 등을 이용하여 직선 형태로 흐르는 공기를 분사하는 경우에도 방열핀(42)에 의해 송풍구(3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a는 도 9의 조명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a의 조명 장치의 변형례이고, 도 11은 도 9의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b)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된 반사갓(20a)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사갓(20a)은 내벽(21)과 외벽(22)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며, 내벽(21)과 외벽(22)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25)기 형성되어 있다.
내벽(21)은 광원(31)의 빛이 반사되어 소정의 방향을 집중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벽에는 다수의 송풍구(23)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장치(50)에 의하여 공기는 송풍구(23) 내부로 분사된다.
송풍구(23)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21)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홀로 구성될 수 있다. 작은 홀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며, 작은 홀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오염물질이 접근하지 않도록 미세한 방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송풍구(23)의 형상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다수의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즉, 송풍구(24)는 광원모듈(30)이 배치된 중앙부로부터 반사갓(20a)의 가장자리부분을 향하여 형성된 직선 슬릿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송풍구(24')의 형상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다수의 나선형 슬릿일 수 있다. 송풍구(24')의 형상이 나선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반사갓(20a)을 통하여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은 와류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조명 장치(1b)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장치(50)가 작동하면, 공기는 흡기구(12)를 통하여 유입되어, 일부는 히트싱크(40)의 방열핀(42)을 거쳐 배기구(13)로 배출되며, 나머지 공기는 반사갓(20a)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반사갓(20a)은 내벽(21)과 외벽(22) 사이에 형성된 유로(25)를 포함하고 있어, 송풍장치(5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유로(25)를 통하여 일부는 송풍구(23)로 분사되고, 일부는 반사갓(20a)의 끝단부를 통해 배출된다.
내벽(21)에 형성된 송풍구(23)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광원모듈(30)의 지근거리로 분사되어, 광원모듈(30)로 접근하는 오염물질을 최종 차단하게 되며, 반사갓(20a)의 끝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오염물질이 조명 장치(1b) 자체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한다. 즉, 반사갓(20a)의 유로(25)와 송풍구(23)는 오염물질을 2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다만, 반사갓(20a)의 유로(25)는 반사갓(20a)의 끝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송풍구(23)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유로(25) 중 일부는 송풍구(23)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송풍구(23)와 유로(25)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와류 형태로 분사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조명 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c)는 반사갓(20)의 개구 영역을 덮는 보호커버(60)를 포함한다. 보호커버(60)는 작업장에서 충격에 의해 광원모듈(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커버(6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광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렌즈 형상을 추가하여 빛의 집중 또는 확산 가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부분으로 빛을 포커싱하기 위해서 볼록 렌즈 형태의 보호커버(60)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보호커버(60)에는 다수의 미세한 분사공(61)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광원모듈(30)과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된 송풍구(23)를 통하여 반사갓(2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반사갓(20) 내부의 공기압은 높아지게 된다. 이때, 반사갓(20) 내부의 공기는 보호커버(60)에 형성된 미세한 분사공(61)을 통하여 미세하게 분사된다. 따라서, 분사공(61)을 통해 분사된 공기는 보호커버(60)를 둘러싸는 미세한 공기 보호층을 형성하여, 분진 또는 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명 장치(1c)에 보호커버(60)를 설치함으로써, 광원(31) 자체가 노출되어 작업 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커버(60)에 형성된 분사공(61)은 보호커버(6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명 장치(1c)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게 한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는 조명 장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과 동시에 작업장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장 내부의 공기의 오염 정도가 큰 경우, 조명 장치의 오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의 깨끗한 공기를 유입하여 조명 장치의 오염을 방지한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2)는 조명 장치(1)에 환기구(70)가 연결되어 있다. 환기구(70)는 실내에 설치된 조명 장치(1)의 흡기구(12)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실외로 노출된다. 따라서, 실외로 노출된 환기구(70)를 통하여 신선한 공기는 조명 장치(1)로 공급되어, 1차적으로 조명 장치(1)의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2차적으로는 실내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2a)는 하나의 환기구(70)에 복수의 조명 장치(1)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환기구(70)는 일단부가 실외에 배치되며, 별도의 송풍장치(72)는 환기구(70)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한다.
이때, 환기구(70) 내부의 공기는 복수의 조명 장치로 공급하게 된다. 즉, 실외에 별도의 송풍장치(72)가 구비된 환기구(70)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공간으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고, 다수의 조명 장치(1)가 환기구(7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장치(2a)는 대면적의 작업장에 유리한 구조이다.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2b)는 조명 장치(1)가 환기구(70)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전술한 환기장치의 실시예에 마찬가지로, 환기구(70)의 일단부는 실외에 위치하며, 송풍장치(72)에 의하여 강제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조명 장치(1) 주변의 환기구(70)에는 제2 송풍구(23)가 형성되어, 조명 장치(1)로 오염물질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송풍구(23)는 신선한 공기가 조명 장치(1)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실내로 분사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조명 장치(1) 내부에 별도의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조명장치(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명 장치(1)가 환기구(70) 내부로 수납되어, 작업장의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조명 장치 2: 환기 장치
10: 하우징 11: 개구부
12: 흡입구 13: 배기구
20: 반사갓 21: 내벽
22: 외벽 23, 24, 24': 송풍구
25: 유로 30: 광원 모듈
31: 광원 32: 기판
33: 송풍구 34: 송풍구
40: 히트싱크 41: 플레이트
42: 방열핀 50: 송풍장치
60: 보호커버 61: 분사공
70, 71: 환기구 72: 송풍장치
73: 제2 송풍구

Claims (16)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일면에 형성된 광원이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광원 모듈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장치; 및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며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반사갓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 모듈 및 상기 반사갓 중 적어도 하나에 송풍구가 형성되어, 상기 공기는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송풍구로 유출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다이오드(LED) 광원이며, 상기 광원모듈의 타면에 형성된 히트싱크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싱크는 나선형 구조의 방열핀을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상기 방열핀 사이에 형성된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은 상기 광원모듈 또는 상기 히트싱크와 연결된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상기 광원 모듈의 중앙부 및 상기 광원 모듈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가장자리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은 내벽과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 사이로 상기 공기가 송풍되는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상기 내벽에 형성되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좁고 길게 형성된 슬릿형상으로 형성된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직선 슬릿 또는 나선형 슬릿 중 적어도 하나인 조명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분사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갓의 개구 영역을 덮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제1항 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공기의 와류를 발생시키는 조명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조명 장치;
    일단부가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조명 장치의 상기 흡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실외로 노출되는 환기구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4.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흡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며, 일면에 형성된 광원이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며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는 반사갓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 모듈 및 상기 반사갓 중 적어도 하나에 제1 송풍구가 형성되어,
    공기는 상기 흡기구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광원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송풍구로 유출되는 조명 장치;
    일단부가 실내에 위치하는 상기 흡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실외로 노출되는 환기구; 및
    상기 광원모듈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환기구 내부에 배치되는 환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광원 모듈이 상기 환기구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환기구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 장치 주변의 상기 환기구에 제2 송풍구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KR1020100070587A 2010-07-21 2010-07-21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KR101180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587A KR101180457B1 (ko) 2010-07-21 2010-07-21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587A KR101180457B1 (ko) 2010-07-21 2010-07-21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826A true KR20120009826A (ko) 2012-02-02
KR101180457B1 KR101180457B1 (ko) 2012-09-07

Family

ID=45834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587A KR101180457B1 (ko) 2010-07-21 2010-07-21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45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757B1 (ko) * 2012-08-17 2013-01-31 주식회사 비솔 이중 냉각 구조를 갖는 led 조명장치
KR101326217B1 (ko) * 2013-03-15 2013-11-11 (주) 동광라이팅 방열팬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CN104266142A (zh) * 2014-10-25 2015-01-07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灯罩
KR101601227B1 (ko) * 2015-07-16 2016-03-09 한신전자 (주) 고휘도 엘이디등기구의 방열장치
KR20220117046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티움코리아 공조등기구 전용 led면조명
KR102561882B1 (ko) * 2022-11-25 2023-08-02 주식회사 여명라이팅 살균 및 탈취기능이 있는 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610B1 (ko) * 2020-01-07 2021-01-12 주식회사 알토 조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523A (ja) 1999-11-17 2001-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光源装置
US7144135B2 (en) * 2003-11-26 2006-12-05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LED lamp heat sink
KR100900405B1 (ko) 2008-12-18 2009-06-02 류성환 조명용 엘이디 램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757B1 (ko) * 2012-08-17 2013-01-31 주식회사 비솔 이중 냉각 구조를 갖는 led 조명장치
KR101326217B1 (ko) * 2013-03-15 2013-11-11 (주) 동광라이팅 방열팬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CN104266142A (zh) * 2014-10-25 2015-01-07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灯罩
KR101601227B1 (ko) * 2015-07-16 2016-03-09 한신전자 (주) 고휘도 엘이디등기구의 방열장치
KR20220117046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티움코리아 공조등기구 전용 led면조명
KR102561882B1 (ko) * 2022-11-25 2023-08-02 주식회사 여명라이팅 살균 및 탈취기능이 있는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457B1 (ko)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457B1 (ko) 조명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환기 장치
JP5367898B2 (ja) 光半導体照明装置
JP5166580B2 (ja) 光半導体照明装置
US8974092B2 (en) Lamp with air channel
TWI394918B (zh) 照明模組與照明系統
KR101248731B1 (ko) 광반도체 조명장치
KR101216289B1 (ko) 광반도체 조명장치
RU2479786C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TW201329381A (zh) 光學半導體式發光裝置
WO2012065285A1 (zh) 防眩光led射灯
JP2014044935A (ja) 照明装置
TWI414722B (zh) 燈具
KR101297109B1 (ko) 엘이디 조명장치
TW201516329A (zh) 發光二極體燈具
CN102052613B (zh) 灯具
CN217311300U (zh) 换气式紫外线工矿灯
JP3230032U (ja) Led投光機
JP2016143573A (ja) Ledランプ及びその照明器具
CN217187132U (zh) 换气式紫外线筒灯
CN217187135U (zh) 换气式紫外线玉米灯
KR101060105B1 (ko) 환류팬 장착 조명장치
CN217187133U (zh) 筒灯
CN217286608U (zh) 换气式紫外线灯泡
KR20090051905A (ko) 조명 광원의 복사열 냉각용 에어플로우 장치
KR20190000635U (ko) 방열기능이 향상된 엘이디 조명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