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752A -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752A
KR20120009752A KR1020100070343A KR20100070343A KR20120009752A KR 20120009752 A KR20120009752 A KR 20120009752A KR 1020100070343 A KR1020100070343 A KR 1020100070343A KR 20100070343 A KR20100070343 A KR 20100070343A KR 20120009752 A KR20120009752 A KR 20120009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ight
desk
upper plate
cylin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3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6744B1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1020100070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744B1/en
Publication of KR2012000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7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upper plate of a desk is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or work environment. CONSTITUTION: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n upper plate of a desk comprises: a supporting plate(10) which is supported by a leg member; an upper plate(20) which is dually arranged on the top of the supporting plate; and a height adjusting unit(40) which is arranged between the supporting plate and upper plate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by being folded and unfolded. The height adjus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X-shaped crossbars(43),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moving shafts(42,41), a plurality of rotation rollers(45),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guide rails, a rotary plate(48), and a cylinder member(50).

Description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책상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p plate height adjusting device of a de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p plat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or working environment.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책상은 상판의 저부에 각각의 다리부재가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다리부재의 높이에 의해 책상의 높낮이가 결정되게 된다.As is well known, a conventional desk has a structure in which each leg member is fixed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top plate, and the height of the desk is determined by the height of the leg member.

즉, 종래 대부분의 책상은 높낮이 조절 구조를 갖추지 않고, 최초 설계 제작된 규격에 따라 고정된 높이를 갖고 있는 것이 보통이었다.That is, most desks in the related art do not have a height adjusting structure, and have a fixed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designed and manufactured standard.

그런데,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짧은 기간 내에 빨리 성장하기 때문에 이들이 이용하는 책상이 고정된 높이를 유지할 경우에는 그 성장 치수에 맞지 않아 올바른 자세로 책상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children or adolescents, because they grow quick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f the desk used by their desks to maintain a fixed height does not fit the growth dimensions had a disadvantage that you can not use the desk in the correct posture.

예를 들어, 학교 등에서 책상을 일괄적으로 구입하여 각 교실에 배치할 때, 모든 학생들 각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책상을 구입하여 보급하는 것이 아니라 각 교실에 작은 규격의 책상부터 큰 규격의 책상을 적절하게 분배하여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같은 학년생이더라도 체격이 큰 학생과 체격이 작은 학생이 똑같이 동일한 책상을 배정받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었다.For example, when a group of desks are purchased at a school and placed in each classroom, a desk from a small size to a large size is appropriate for each classroom instead of purchasing and distributing the desks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every student. In general, students with large physiques and students with small physique are all assigned the same desk.

이에 최근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각종 책상에는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데, 특히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중,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교구용 책상에는 학생들의 신체조건에 따라 책상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높낮이 조절용 책상의 보급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various types of height adjustmen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desks used in homes, schools, office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parish desks used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and high schools, etc. Increasingly, the height of the desk for adjusting the height is made to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그런데, 종래 개시된 책상에 적용되고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재의 길이를 가변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By the way, the height adjusting device applied to the desk disclosed in the prior art wa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leg member for supporting the top plate.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1850호(2001.4.16. 공고)에는 책상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하단에 높이 조절구를 설치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31079호(2001.7.19. 공고)에는 다리역할을 하는 고정부재와 이동부재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어 하나의 구동부만으로 책상 상판의 높이 조절은 물론, 상판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높낮이 및 각도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43547호(2001.10.8. 공고)에는 링크장치를 이용하여 책상의 상판과 지지대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높낮이 조절 책상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21850 (2001.4.16. Announcement) discloses a desk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by installing a height adjustment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desk top plate, ,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31079 (2001.7.19. Announcement) is installed so that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to act as a bridge overlap each other, it is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able top plate, as well as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top plate with only one drive unit Desk height and angle adjustment device is disclose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43547 (2001.10.8. Announcemen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support of the desk using a link device. The height-adjusting desk which comprises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65073호(2005.6.29. 공개)에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이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손잡이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책상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95021호(2008.1.16. 공고)에는 한 쌍의 수직부재 내에 각각 설치된 암나사부와 숫나사부, 기어박스 및 기어박스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된 연결봉을 포함하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65073 (published on May 29, 2009) using the rack gear and pinion gear and the handle used to drive i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that can simply and conveniently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top plate A desk having a device is disclosed,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795021 (August 1, 2008) discloses that both ends of the female and male threads, the gear box and the gear box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air of vertical members, respectively.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including a connecting rod is disclosed.

이처럼, 종래에도 각종 책상의 높낮이를 보다 간단한 조작방법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빈번한 높낮이의 조절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 개발되어 제시되었고, 그 방안들은 나름의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구성요소들이 복잡하여 제작이 복잡하고, 그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methods have been researched and presented to efficiently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by allowing the height of various desks to be adjusted by a simpler operation method. And of course, in some cases, the components are complex, the production is complicated, the use of the inconvenience was disadvantageous.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대부분의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리부재의 높이를 가변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타입이 주로 제시되고 있는 바, 다리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도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desk top plate is a type of adjusting the height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leg member is mainly proposed,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leg memb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top plate The necessity of the present plan is also suggested.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같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다리부재를 이용하는 타입이 아닌 새로운 타입의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provide a height adjustment device of a new type of desk top plate rather than a type using a leg memb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top as in the prior art.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책상의 상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a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desk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leg member, to provide a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top of the desk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onditions or working environment, etc. Ther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리부재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상부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판과; 상기 지지판과 상판 사이에 배치되어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support plate is fixed and supported by the leg member; An upper plate disposed in double on the support plate so as to be movable; It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top plate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device includ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including a U-shaped crossbar to adjust the height while being pushed downward and extended upward under any driving force. Is in.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판과 상판 사이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중앙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상하 높낮이 구동하는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의 사방 끝단 부위를 통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 사이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복수의 상,하부이동축과, 상기 상,하부이동축의 각 끝단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의 회전롤러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과 상판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상,하부가이드레일과, 복수의 상부이동축 상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연결 배치되는 제1,2연결링크를 매개로 복수의 상부이동축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상판의 저면에 조립 장착되어 회동점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판의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Here, the height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a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 for driving up and down based on the hinge point of the center, and the U-shaped crossbar on all side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movable shafts for horizont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through the end portions, and a plurality of rotary rollers respectively assembled at each end of the upper and lower movable shafts,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plate.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guide rails respectively dispos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tary rollers and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ks dispos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plurality of upper moving shafts, respectively,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pper moving shafts. A rotating plate assembled and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and rotating in a zigzag manner based on the rotating point, and a sphere required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To provide the force ha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cylinder member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copper plate.

이때, 상기 회동판의 일측과 상판의 저면 사이에는 실린더부재와 상호 대향되게 반대편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회동판의 회동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between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pposite to the cylinder member and is elastically provid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while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후단에는 작동부를 매개로 사용자가 실린더부재의 피스톤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줄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rating line for the user to control the piston drive of the cylinder member through the operating unit.

또한, 상기 회전롤러는 치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은 각각 디귿자형 구조로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롤러의 치차와 맞물려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스토퍼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ry roller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oth,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are each formed in a depressed structure, and one sid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pper grooves to engage the teeth of the rotary roller to perform a stopper function,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판과 상판을 이중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을 갖춤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 환경 등에 따라 책상의 상판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support plate and the upper plate in a double and between the user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including a U-shaped crossbar to adjust the height while being pushed downwards and received upwards under any driving for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desk according to physical conditions or working environment.

특히, 본 발명은 다리부재를 이용하는 타입이 아닌 새로운 타입의 책상 상판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리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top plate of a new type other than the type using the leg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desk top plate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leg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측면을 기준으로 도시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상부 평면을 기준으로 도시된 예시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top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2 and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n on the side to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p plat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4 and 5 are each an exemplary view of the upper plate to show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op plat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거나 부분적으로 생략되어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r partially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는 다리부재(30)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 상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판(30)과,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 배치되어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44)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을 갖추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upper plat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de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late 10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leg member 30, and the upper plate is disposed in a double to move up and down on the support plate 10 Height adjustment means including a U-shaped crossbar 44,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30 and is pushed downward and stretched upward under an arbitrary driving force to act as a height adjustment. Equipped with 40.

여기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은 Ⅹ자형 크로스바(44)를 매개로 높낮이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써,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의 높낮이 조절에 필요한 임의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구동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means 40 is a device that can adjust the height via the U-shaped cross bar 44, a variety of to support the drive and transfer any driving force required for height adjustment of the U-shaped cross bar (44). Contains components.

먼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는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중앙의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상하 높낮이 구동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U-shaped cross bar 44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3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driving relative to the center hinge point 44. desirable.

즉,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는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중앙의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Ⅹ자형 구조에 따른 상하 높낮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at is, the U-shaped crossbar 4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ccording to the U-shaped structure are variable while being pushed downward and extended upward based on the hinge point 44 of the center under an arbitrary driving force.

이렇게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4)를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하는 이유는 보다 안정적인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4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30 is to provide a more stabl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이때,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는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동일하게 연동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는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사방 끝단 부위를 연결하면서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사이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복수의 상, 하부이동축(42,41)이 체결 조립된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hould be interlocked in the same wa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To this e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movable shafts 42 and 41 horizont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to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 bars 43 while connecting the four end portions of the U-shaped cross bars 43. It is fastened and assembled.

즉,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하단쪽 일측에는 수평하게 하나의 하부이동축(41)이 체결 조립되고, 반대편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하단 쪽 일측에도 다른 하나의 하부이동축(41)이 체결 조립됨으로써, 복수의 하부이동축(41)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양쪽 하단 끝단부 사이를 나란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That is, one lower movement shaft 41 is horizontally fastened and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on the opposite side is also provided. As the lower movable shaft 41 is fastened and assembled, the plurality of lower movable shafts 41 have a structure in which side-bottom ends of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re supported side by side.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이동축(41)과 동일한 형태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상단쪽 일측에는 수평하게 하나의 상부이동축(42)이 체결 조립되고, 반대편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상단쪽 일측에도 다른 하나의 상부이동축(42)이 체결 조립됨으로써, 복수의 상부이동축(42)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양쪽 상단 끝단부 사이를 나란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ame shape as the plurality of lower movable shaft 41, one upper movable shaft 42 is horizontally fastened and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nd the plurality of opposite U-shaped crossbars 43 Another upper moving shaft 42 is fastened and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upper moving shafts 42 support the side-by-side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side by side. .

따라서,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은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와 일체로 연동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movable shafts 42 and 41 will have a structure that is integral with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이때,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의 각 끝단에는 각각 회전롤러(45)가 조립 설치되게 된다.At this time, each end of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shafts (42, 41) is to be assembled to the rotary roller 45, respectively.

상기 회전롤러(45)는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이 연동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의 왕복 직선운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회전롤러(45)는 상기 지지판(10)의 상면과 상판(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 하부가이드레일(21,11)에 의해서 이동이 안내되게 된다.The rotary roller 45 has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shafts 42 and 41 interlocked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height while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re pushed downward and extended upward. By supporting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lower moving shafts 42 and 41, the rotary roller 45 has a plurality of image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respectively. The movement is guided by the lower guide rails 21 and 11.

즉, 상기 지지판(10)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하부이동축(41) 각각의 길이 폭에 맞는 폭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하부가이드레일(11)이 배치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판(20)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의 상부이동축(42) 각각의 길이 폭에 맞는 폭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상부가이드레일(21)이 배치되어 있다.That is, a plurality of lower guide rails 11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widths of the plurality of lower movement shafts 41, and similarly,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A plurality of upper guide rails 21 are arranged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wid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movable shafts 42.

이때,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은 디귿자형 단면 구조로 상기 지지판(10) 및 상판(20)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 사이에 상기 회전롤러(45)가 삽입 안착되어 왕복 직선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and 11 are disposed o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20 respectively in a recessed cross-sectional structure,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and 11 are rota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and 11. 45 is inserted and seated to guide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물론,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의 구조가 디귿자 단면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판(10) 및 상판(20) 상에 도시되지 않은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이 요홈 상에 회전롤러(45)가 끼움 삽입되어 왕복 직선이동이 안내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은 상기 회전롤러(45)의 왕복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이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Of course,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11) is not limited to hav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is formed in the groove shape (not shown) o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20 on this groove Rotating roller 45 may be inserted to be inserted to guide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As such,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and 11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guiding a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of the rotary roller 45.

그리고, 상기 회전롤러(45)가 치차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의 일측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롤러(45)의 치차와 맞물려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스토퍼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f the rotary roller 45 is formed in the form of a gear, a plurality of stoppers for engaging the teeth of the rotary roller 45 to the stopper fun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11), respectively. Preferably, the groove 12 is formed.

즉, 치차 형태로 형성된 회전롤러(45)의 치차가 상기 스토퍼홈(12)에 끼워져 상기 회전롤러(45)가 회전 이동하지 않는 동안은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상기 스토퍼홈(12)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 의한 높낮이 조절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That is, while the gear of the rotary roller 45 formed in the form of a tooth is fitted into the stopper groove 12 and the rotary roller 45 does not rotate, the upper and lower parts do not slip on the guide rails 21 and 11. It will be desirable to be stably fixed by the stopper groove 12,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state by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can be stably maintained.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가 눌려졌다가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요소로써,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회동점(49)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회동판(48)을 갖추고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re pushed and unfolded while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can rotate about the pivot point 49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It is equipped with a rotating plate 48 that is assembled.

상기 회동판(48)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를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부이동축(42)상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연결 배치되는 제1,2연결링크(46,47)를 매개로 복수의 상부이동축(42)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조립 장착되어 회동점(49)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회동하도록 배치 조립되어 있다.The rotating plate 48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ks 46 and 47 which are arrang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plurality of upper movable shafts 42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U-shaped crossbar 43 therebetween. It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pper moving shafts 42 and assemb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and arranged to zigzag to rotate based on the pivot point 49.

즉, 상기 회동판(48)의 일측은 제1연결링크(46)를 통해 일측의 상부이동축(42, 도 1의 도면상 앞쪽)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48)의 타측은 제2연결링크(47)를 통해 반대편에 배치된 타측의 상부이동축(42, 도 1의 도면상 뒤쪽)에 연결되어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48 is connected to the upper moving shaft 42 of one side (the front in the drawing of Figure 1)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link 46,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48 is secon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upper movement shaft 42, which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via the link 47 (rear view in FIG. 1).

여기서, 상기 제1,2연결링크(46,47)는 상기 회동판(48)의 중심점인 회동점(49)을 기준으로 각각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회동판(48)에 연결되어 회동판(48)의 회동 방향에 맞춰 상호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연동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Her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46 and 47 are connected to the pivoting plate 48 so as to be located at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pivoting point 49 which is the center point of the pivoting plate 48 and the pivoting plate 48.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orce is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mutually arranged in a structure that is interlocked.

이와 같은 상기 회동판(48)과 복수의 상부이동축(42) 사이의 연결구조를 통해서 상기 회동판(48)의 회동에 따른 구동력이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 그대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rough such a connecting structure between the rotating plate 48 and the plurality of upper movable shafts 42, the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48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s they are. It is.

이때, 상기 회동판(48)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판(48)의 일측에는 주지 관용의 실린더부재(50)가 연결 배치되어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the driving force necessary for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48,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48, the cylinder member 50 for the common pipe is disposed.

즉, 상기 실린더부재(50)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수단(40)에서 임의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장치로써, 상기 실린더부재(50)는 피스톤 운동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cylinder member 50 is a power generator for providing any driving force i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er member 50 is to provide a driving force through the piston movement.

여기서, 피스톤 구동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부재(50)는 이미 지주 관용되는 보편적 기술에 불과함으로, 그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관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ylinder member 50 that provides power through the piston drive is merely a universal technique that is commonly used for holding,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후단에는 작동부(51)를 매개로 사용자가 실린더부재(50)의 피스톤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줄(5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member 50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n operating string 52 that allows the user to control the piston drive of the cylinder member 50 via the operating unit 51.

즉, 상기 작동줄(52)은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작동줄(52)을 당김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50)를 구동시켜 회동판(48)이 회동에 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부이동축(42)이 구동력을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에 전달하여 안쪽으로 당김에 따라 상판(20)의 높이를 상승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need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peration line 52, the user pulls the operation line 52, driving the cylinder member 50 to rotate the upper plate sequentially as the rotation plate 48 is rotated As the coaxial 42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and pulls them inward,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20 is adjusted upward.

물론, 상기 작동줄(52)은 단순히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는 줄 형태 외에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 전원에 의해 소형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실린더부재(50)에 매개된 작동부(51)를 작동시킬 수 있는 형태로 설계 변경이 충분히 가능하다.Of course, the operation line 52 is simply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form of the line that can be pulled by the user, but not shown, the user presses a button to drive the small motor by the power source operating unit 51 mediated to the cylinder member 5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in a form that can operate.

이와 같은 실린더부재(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설계 변경은 여러 분야에서 이미 주지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편화된 기술인 관계로, 그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Such a design change for operating the cylinder member 50 is a generalized technique that is already commonly used in various fields, and details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재(50)와 연결된 회동판(48)의 반대편 쪽에는 상기 회동판(48)의 회동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member 53 is further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otation plate 48 connected to the cylinder member 50 to provide elastic resilience while being stretched and contract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plate 48.

즉, 상기 탄성부재(53)는 일측이 상판(20)의 저면쪽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부재(50)와 상호 대향되게 회동판(48)의 반대편에 연결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작동에 의해 회동판(48)이 회동하는 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elastic member 53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upper plate 20,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rotating plate 48 to face the cylinder member 50, mutually,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member 50 will be stretch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ng plate 48 is rotated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수단(40)의 작동 상태에 대해서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s follows.

도 2에는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아래쪽으로 눌려진 상태로 상기 상판의 높이가 대략 최저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2 shows the state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is maintained at the lowest s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U-shaped crossbar 43 is pressed downward.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를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위쪽으로 펼쳐서 상판(20)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면,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킴으로써 가능하게 된다.In such a state,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haped crossbar 43 is extend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point 44,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20 is increased, as shown in FIGS. 4 and 5. It becomes possible by rotating the said rotation board by the same structure.

즉, 도 4에 도시된 형태가 상판의 높이가 최저와 최상의 중간쯤에 위치할 수도 있는 상태로 설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판의 높이가 최저 상태에 놓인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 내에서 회전롤러가 이동 가능한 길이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제작자의 선태사항에 불과하다.That is, the shape shown in FIG. 4 may be designed in such a state that the height of the top plate may be located between the minimum and the best middle, and in some cases, the height of the top plate may be designed to be in the lowest state. This may vary depending on how to set the length that the rotary roller can move within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여기서는 도 4에 도시된 형태가 상판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에서 중간쯤에 위치하는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shape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is located about halfway from the set height.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이 중간쯤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판의 높이를 좀 더 상승시키고자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줄(52)을 잡고 당겨 상기 실린더부재(50)를 구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피스톤이 늘어나면서 상기 회동판(48)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if the top plate is about to be raised in a state in which the top plate is positioned about halfway, as shown in FIG. 5, the user grasps the operation line 52 and pulls the cylinder member. When driving the 50, the piston of the cylinder member 50 is extended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48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재(50)와 동일 방향으로 회동판(48)에 연결 배치되어 있는 제2연결링크(47)가 상부이동축(42)을 안쪽으로 당겨주고, 마찬가지로 상기 실린더부재(50)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판(48)에 연결 배치되어 있는 제1연결링크(46)가 반대편의 상부이동축(42)을 안쪽으로 당겨주게 됨으로써, 상기 상부이동축(42)에 각각 그 끝단이 연결된 Ⅹ자형 크로스바(43)가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안쪽으로 당겨지고, 결과적으로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상판(20)을 위쪽으로 상승시켜 높이를 상승 조절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ng link 47, which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pivot plate 48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ylinder member 50, pulls the upper movement shaft 42 inwards, and is similarly opposite to the cylinder member 50. The first connecting link 46, which is arranged to be connected to the pivot plate 48 in the direction, pulls the upper movable shaft 42 on the opposite side inward, so that each end of the U-shaped crossbar is connected to the upper movable shaft 42. 43 is pull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hinge point 44, and as a result, the U-shaped crossbar 43 raises the upper plate 20 upwards to adjust the height thereof.

이때, 상기 상부이동축(42)의 양끝단에 위치한 회전롤러(45)가 연동되어 상부가이드레일(21)을 따라 안내되어 상판(20)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otary rollers 45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moving shaft 42 are guided along the upper guide rail 21 to move toward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20.

더불어,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의 X자형 구동에 따라 하단쪽에 일체로 연결된 하부이동축(41)도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부이동축(41)의 이동은 회전롤러(45)를 통해서 상기 하부가이드레일(11)을 따라 안내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X-shaped drive of the U-shaped crossbar 43, the lower movement shaft 41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side is also moved inward, and the movement of the lower movement shaft 41 is lowered through the rotation roller 45. It will be guided along the guide rail (11).

그리고, 상기 상판(20)을 상승시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판(2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때에는 상기 실린더부재(50)의 작동 방향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면 되는바,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상판(20)을 사용자가 힘껏 눌러줌으로써,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가 아래쪽으로 눌려지면서 실린더부재(50)가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nd, if you want to lower the height of the top plate 20 in the state in which the height is adjusted by raising the top plate 20,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cylinder member 50 is to ope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bar,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by pressing the upper plate 20 forcibly by the user, the U-shaped crossbar 43 can be configured to be pressed down while restoring the cylinder member 50 to its original state.

이때, 상기 실린더부재(50)와 반대편에서 신축하는 탄성부재(53)는 탄성복원력을 통해 좀 더 원활하게 초기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53, which is stretched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cylinder member 50 serves to assist in returning to the initial state more smoothly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물론, 사용자가 눌러주는 방식이 아닌 기구적으로 상기 실린더부재(50)가 원상태가 복원될 수 있도록 임의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it is natural that the cylinder member 5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an arbitrary power so that the original state can be restored, rather than being pushed by the user.

그리고, 첨부도면 상에서는 상기 상판(20)의 높이를 높여주는 방향이 상기 회동판(4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경우로 설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린더부재(50)과 회동판(48)의 연결 상태 및 상기 제1,2연결링크(46,47), 상부이동축(42), 회동판(48)의 연결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회동판(48)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상판(20)의 높이가 상승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20 is designed to rotate when the rotating plate 48 counterclockwi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ylinder member 50 and the By chang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pper plate 48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46 and 47, the upper movable shaft 42, and the rotary plate 48, the rotary plate 48 rotates clockwise. Of course, when the height of the top plate 20 can be configured to rise.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 지지판 11 : 하부가이드레일
12 : 스토퍼홈 20 : 상판
21 : 상부가이드레일 30 : 다리부재
40 : 높낮이조절수단 41 : 하부이동축
42 : 상부이동축 43 : 크로스바
44 : 힌지점 45 : 회전롤러
46 : 제1연결링크 47 : 제2연결링크
48 : 회동판 49 : 회동점
50 : 실린더부재 51 : 작동부
52 : 작동줄 53 : 탄성부재
10: support plate 11: lower guide rail
12: stopper groove 20: top plate
21: upper guide rail 30: leg member
40: height adjustment means 41: lower moving shaft
42: upper moving shaft 43: crossbar
44: hinge point 45: rotating roller
46: first connection link 47: second connection link
48: meeting board 49: meeting point
50: cylinder member 51: operating part
52: operating line 53: elastic member

Claims (5)

다리부재(30)로 지지 고정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 상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이중으로 배치되는 상판(30)과;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 배치되어 임의의 구동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눌려졌다 위쪽으로 펴졌다 하면서 높낮이 조절 작용을 하는 Ⅹ자형 크로스바(44)를 포함하는 높낮이조절수단(4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A support plate 10 supported and fixed by the leg member 30;
An upper plate 30 disposed to be dually movable upward and dow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0;
It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30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means 40 including a U-shaped crossbar 44, which is pressed down and received upwards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and serves to adjust the height.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top of the desk,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40)은 상기 지지판(10)과 상판(30) 사이에서 서로 대향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중앙의 힌지점(44)을 기준으로 상하 높낮이 구동하는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와, 상기 Ⅹ자형 크로스바(43)의 사방 끝단 부위를 통해 복수의 Ⅹ자형 크로스바(43) 사이를 각각 수평 연결하는 복수의 상, 하부이동축(42,41)과, 상기 상,하부이동축(42,41)의 각 끝단에 각각 조립되는 다수의 회전롤러(45)와, 상기 지지판(10)의 상면과 상판(20)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전롤러(45)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의 상, 하부가이드레일(21,11)과, 복수의 상부이동축(42) 상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연결 배치되는 제1,2연결링크(46,47)를 매개로 복수의 상부이동축(42)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상판(20)의 저면에 조립 장착되어 회동점(49)을 기준으로 지그재그 회동하는 회동판(48)과, 상기 회동판(48)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회동판(48)의 일측에 연결되는 실린더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ing means 40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upper plate 3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ace each other, a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 43 to drive up and down relative to the hinge point 44 of the center ),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movable shafts 42 and 41 for horizont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shaped crossbars 43 through four-way end portions of the U-shaped crossbar 43, and the upper and lower movable shafts 42. And a plurality of rotary rollers 45 respectively assembled at each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nds of the support plate 10 and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tary rollers 45.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and 11 and the plurality of upper moving shafts 4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ks 46 and 47 arrang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plurality of upper moving shafts 42, respectively. Connected and assembled at the same time on the bottom of the top plate 20 is rotated zigzag based on the pivot point 49 Copper plate 48 and the top plate adjuster des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times the cylinder member 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ng copper plate 48 to provide a driving force required for the rotation of the copper plate (4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판(48)의 일측과 상판(20)의 저면 사이에는 실린더부재(50)와 상호 대향되게 반대편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회동판(48)의 회동방향에 따라 신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The method of claim 2,
Between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48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20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pposite to the cylinder member 50 and elastic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plate 48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 53 is further provided.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50)의 후단에는 작동부(51)를 매개로 사용자가 실린더부재(50)의 피스톤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줄(5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member 5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rating line 52 for the user to control the piston drive of the cylinder member 50 via the operating unit 51. Devi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45)는 치차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가이드레일(21,11)은 각각 디귿자형 구조로 형성되며 그 일측면에는 각각 상기 회전롤러(45)의 치차와 맞물려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스토퍼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상판 높낮이 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otary roller 45 is formed in the form of gears,
The upper and lower guide rails 21 and 11 are each formed in a depressed shape, and a plurality of stopper grooves 12 are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engage a gear of the rotary roller 45 to perform a stopper function. Height adjustment device of the top of the desk characterized by.
KR1020100070343A 2010-07-21 2010-07-21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KR101216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3A KR101216744B1 (en) 2010-07-21 2010-07-21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343A KR101216744B1 (en) 2010-07-21 2010-07-21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52A true KR20120009752A (en) 2012-02-02
KR101216744B1 KR101216744B1 (en) 2012-12-28

Family

ID=45834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343A KR101216744B1 (en) 2010-07-21 2010-07-21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7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552A (en) 2015-06-01 2016-12-09 황대권 Table adjustable its height
US10499730B2 (en) 2015-02-13 2019-12-10 Samhongsa Co., Ltd. Height-adjustable des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651B1 (en) 2014-11-28 2016-06-15 박봉식 Lift for desk
KR101565307B1 (en) * 2015-06-26 2015-11-04 주식회사 네오퍼스 A table having pithc control punction of upper par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618Y1 (en) 2001-11-01 2002-02-09 성낙영 Adjustable Height Desk with Armres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9730B2 (en) 2015-02-13 2019-12-10 Samhongsa Co., Ltd. Height-adjustable desk
KR20160141552A (en) 2015-06-01 2016-12-09 황대권 Table adjustable its h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744B1 (en) 201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136B1 (en) Desk possible height-adjustment
KR101216744B1 (en) Height adjustable apparatus of a desk
CN107019334B (en) Ergonomic functional table with adjustable height and angle
CN202739201U (en) Hand-operated lifting table for calligraphy
WO2015070969A1 (en) Thermotherapy device for new-born and premature babies
CN103960877B (en) Telescopic type rotation combination discusses tables and chairs
CN202775011U (en) Lift type desk
KR100795021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desk
CN107657869A (en) A kind of Teaching on English Translation plate
KR101385575B1 (en) High and low control apparatus of upper plate for furniture
KR20220159242A (en) Adjusting structure for lumbar pillow supporting force and chair
CN108903242A (en) A kind of same table
CN112369816A (en) Lifting type desk with adjustable length for teaching
TWM531185U (en) Improved structure of adjustable lifting table
CN204218300U (en) A kind of dual-purpose novel above-knee table
CN108887869A (en) A kind of same table
KR200466038Y1 (en) Variable shape chair by sitting posture
CN201194648Y (en) Elevation and subsidence controlling mechanism of desk
EP3282893A2 (en) Rectangular frame with height adjustment for a first and/or second device for coupling to the frame
KR20200002033U (en) Stretch device of leg massaging apparatus
KR20180047873A (en) vibrate frame comprising a length adjusting link
CN202980801U (en) Device for supporting height-adjustable surface
CN205306354U (en) Conveniently adjust write -table
KR200463183Y1 (en) Height adjustable desk
CN206026625U (en) Knee joint rehabilitation trains sub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