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732A - 보빈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732A
KR20120009732A KR1020100070208A KR20100070208A KR20120009732A KR 20120009732 A KR20120009732 A KR 20120009732A KR 1020100070208 A KR1020100070208 A KR 1020100070208A KR 20100070208 A KR20100070208 A KR 20100070208A KR 20120009732 A KR20120009732 A KR 20120009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ing
fixing member
handle
locking protrusion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헌
Original Assignee
김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헌 filed Critical 김재헌
Priority to KR102010007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732A/ko
Publication of KR2012000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2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details or the parts to be hold by the user, e.g.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에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감기는 권선부재(100)와,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에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하로 통공(200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고정부재(200)와,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각각 체결되는 손잡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300)는, 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통공(200a)에 삽입되는 결합부(320)와, 상기 결합부(320)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3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330)는, 돌출폭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내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332)와, 돌출폭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외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상기 제2 걸림돌기(334)와,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2)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절개(335)와, 상기 제1 걸림돌기(332)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3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빈 조립체는, 보빈의 인양무게가 분산되며, 여러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인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중량의 보빈을 이동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빈 조립체{A BOBBIN ASSEMBLY}
본 발명은 보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권취하여 보관하기 위한 보빈을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보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빈은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은 회전축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관통홀이 회전축에 결합되면, 모터를 이용한 전동회전이나 보빈 일측에 형성되는 회전손잡이를 이용한 수동회전을 통해 와이어 또는 케이블을 손쉽게 권취, 권출 할 수 있다.
이러한 보빈은 필요에 따라, 회전축에 교체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케이블 및 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블 및 와이어가 권취된 보빈은 회전축으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빈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보빈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보빈의 몸체를 손으로 잡아 인양해야한다. 종래 보빈에는, 별도의 손잡이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빈이 작업자의 손에서 쉽게 이탈되므로 보빈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에 권취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는 주로 금속 소재로 이루지므로, 보빈은 고중량으로 이루어진다. 고중량의 보빈을 이동시키는 작업중에, 보빈이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되는 경우, 보빈의 중량으로 인해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중량의 보빈을 이동시키는 작업중에, 보빈이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되는 경우, 보빈의 중량으로 인해 보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빈이 고중량이므로 하나의 보빈을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인양해야 하는 경우, 보빈 주위에 여러 작업자가 함께 설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거나, 이동 방향에 제한이 생기는 등 동시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한 보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부상을 줄일 수 있는 보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빈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보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을 이동시키기 위해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 가능한 보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보빈 조립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에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감기는 권선부재와, 상기 권선부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권선부재의 내벽에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하로 통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고정부재와,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에 각각 체결되는 손잡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는, 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의 통공에 삽입되는 결합부(320)와, 상기 결합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권선부재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3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돌출폭이 상기 권선부재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의 내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와, 돌출폭이 상기 권선부재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의 외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상기 제2 걸림돌기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2 걸림돌기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절개와,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에 삽입될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의 상단에 접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에서 이탈될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의 하단에 접하는 면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의 내벽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걸림돌기는,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에 삽입시에 상기 결합부 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의 통공을 통과한 후에 원위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고정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는, 다수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빈 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는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선부재의 일측에 손잡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재는 권선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항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재를 이용하여 언제든지 보빈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가 잡기가 편리해 보빈을 이동시키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재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잡기에 편리하고, 상기 손잡이부재가 보빈에 2점 이상으로 연결되어 있어 보빈의 인양 무게가 분산된다. 따라서, 보빈이 작업자의 손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으며, 보빈이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함으로써 발생하는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빈이 작업자의 손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으므로, 보빈이 작업자의 손에서 이탈함으로써 발생하는 보빈의 파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부재가 다양한 위치에 다수개 구비되어, 중량의 보빈을 이동시키기 위해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보빈을 인양하는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권선부재 및 손잡이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권선부재 및 손잡이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고정돌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고정부재 및 손잡이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고정부재에 손잡이부재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보빈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권선부재 및 손잡이고정부재의 일실시예가 평면도 및 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부재의 일실시예가 측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일실시예가 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고정돌기의 일실시예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고정부재 및 고정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빈 조립체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감기는 권선부재(100)와, 권선부재(100)에 구비되는 손잡이고정부재(200) 및 손잡이고정부재(200)에 결합되는 손잡부재(3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권선부재(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권선부재(100)는, 외측에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감겨지며, 상기 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보관하거나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권선부재(100)에는, 와이어지지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지지부(110)는, 상기 권선부재(100)의 외주보다 큰 외주를 가지는 디스크판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와이어지지부(1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외주보다 큰 외주를 가지며, 상기 권선부재(100)의 외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지지부(110)는, 상기 권선부재(100)에 감겨지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상기 권선부재(100)의 상부 또는 하부(도 2에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권취된 와이어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에는 중심홀(120)이 구비된다. 상기 중심홀(120)은, 상기 권선부재(100)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주로부터 중심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중심홀(120)은, 별도로 구비되는 회전축(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권선부재(100)가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중심홀(120)은, 상기 권선부재(100)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홀(120)의 상면은, 상기 권선부재(100)의 상면보다 하측으로 요입되고, 상기 중심홀(120)의 하면은, 상기 권선부재(100)의 하면보다 상측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권선부재(100)와 상기 중심홀(120)의 높이 차이로 인해 생기는 상기 중심홀(120) 상부의 공간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부재(300)의 몸체부(310)가 삽입되어, 상기 권선부재(100)의 상부(도 2에서)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중심홀(120)과 상기 권선부재(100)의 사이에는 연결지지대(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지지대(130)는, 상기 중심홀(120)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중심홀(120)과 상기 권선부재(100)를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중심홀(120)이 상기 회전축(미도시)의 회전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상기 연결지지대(130)를 통해 연결 고정된 상기 권선부재(1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에는 손잡이고정부재(20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도 1및 도 2에서)로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에 한 쌍이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하로 통공(200a)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부재(300)의 양단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손잡이부재(300)의 양단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면서 손잡이부재(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는 손잡이부재(300)가 체결된다. 상기 손잡이부재(3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형상의 몸체부(310)와,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결합부(320) 및 상기 결합부(3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330) 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몸체부(310)는, 밴드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1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상부로 노출되어, 작업자가 상기 권선부재(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인양부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310)는, 작업자가 잡기 편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몸체부(310)의 너비가 넓게 형성될 수 있고, 원기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에는 결합부(320)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통공(200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재(30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에 완만하게 휘어져 형성되는 결합부(320) 및 상기 결합부(32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0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3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에 수직으로 꺾여 형성되는 결합부(320) 및 상기 결합부(32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300)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20)에는, 걸림돌기(33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30)는, 상기 결합부(320)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걸림돌기(330)는,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손잡이부재(300)의 인양시에,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단에 걸린다.
상기 걸림돌기(330)는, 제1 걸림돌기(332)와, 제2 걸림돌기(334)와,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절개와,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상기 제2 걸림돌기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걸림돌기(332)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20)의 일측에서, 상기 보빈부재(1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며, 상부(도 4에서)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도록 일면이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돌기(332)의 돌출폭은,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내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걸림돌기(332)의 최대폭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내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돌기(334)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돌기(332)의 상부(도 4에서)에 형성되며, 상부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도록 일면이 경사를 이루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제2 걸림돌기(334)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삽입될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상단에 접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서 이탈될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단에 접하는 면이 상기 손잡이고정부(200)의 내벽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걸림돌기(334)의 돌출폭은,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외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걸림돌기(334)의 최대폭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외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결합부(320)를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결합할 시에,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를 통과한 후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상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사이에는 제1 절개(33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절개(335)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결합부(3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도 4에서)으로 절개된다. 상기 제1 절개(335)는,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걸림돌기(334)가 상기 결합부(320) 측으로 회전되었다가, 상기 통공(200a)을 통과한 후에 원위치 되도록 유동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걸림돌기(332)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사이에는 제2 절개(3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절개(336)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돌기(332)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절개(335)와 수직으로 절개된다. 상기 제2 절개(336)는, 상기 제2 걸림돌기(334)가 상기 결합부(320) 측으로 회전되었다 원위치 되도록 유동 공간을 제공한다.
도 6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개(335)는,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걸림돌기(334)가 상기 결합부(320) 측으로 회전하는 반경이 넓어지도록, 제2 걸림돌기(334) 측의 절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개(335)는,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걸림돌기(334)가 상기 결합부(320) 측으로 회전하는 반경이 넓어지도록, 결합부(320) 측의 절개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걸림돌기(332)는, 상기 제2 걸림돌기(334)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상부 너비와 하부 너비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330)는, 상기 제1 걸림돌기(332)의 상부에 상기 제2 걸림돌기(332)와, 상기 제1 절개(335)와, 상기 제2 절개(336)가 양쪽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320)의 하단에 견고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 및 상기 손잡이부재(300)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고정부재 및 손잡이부재의 일실시예가 평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8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는,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300)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손잡이고정부재(200)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도 8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는,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두 쌍 이상으로 구성될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300)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손잡이고정부재(200)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교차된다.
그리고, 도 8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는, 상기 권선부재(100)의 지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두 쌍 이상이 대칭되게 구성될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재(300)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손잡이고정부재(200)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평행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보빈 조립체의 작용을 도 9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보빈 조립체의 손잡이고정부재에 손잡이부재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권선부재(100)의 내벽에 구비되는, 손잡이고정부재(200)에 손잡이부재(300)를 결합시키기 위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부(320)를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결합부(32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통공(200a) 상부에 위치시키면, 도 9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20)에 형성된 제2 걸림돌기(334)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상단에 걸린다.
계속해서 상기 결합부(3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도 9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걸림돌기(334)가 일측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제2 걸림돌기(320) 사이에 형성된 제1 절개부(335)가 좁아지고, 상기 제2 걸림돌기(334)와 상기 제1 걸림돌기(332)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2 절개부(336)가 벌어진다.
상기 제2 걸림돌기(334)가 일측으로 회전하면, 도 9의 (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330)가 상기 통공(200a)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통공(200a)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통공(200a)을 완전히 통과하면, 도 9의 (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걸림돌기(334)가 원위치 된다.
상기 걸림돌기(330)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부로 삽입되고나면,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통공(200a)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돌기(330)는 상기 결합부(320)와 함께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측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권선부재(100)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권선부재(100) 상부로 노출되는 상기 손잡이부재(300)의 몸체부(310)를 상부로 인양한다.
상기 몸체부(310)를 상부로 인양함에 따라, 상기 몸체부(310)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3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결합부(320)의 걸림돌기(330)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단에 걸린다. 즉, 상기 제2 걸림돌기(334)의 상부면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면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330)는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310)를 계속해서 상측으로 인양하면, 상기 걸림돌기(330)와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걸림에 의해, 상기 권선부재(10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권선부재(1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 및 상기 손잡이부재(300)의 결합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여, 권선부재(100)의 인양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여러 작업자가 동시에 인양 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권선부재 110 : 와이어지지부
120 : 중심홀 130 : 연결지지대
200 : 손잡이고정부재 300 : 손잡이부재
310 : 몸체부 320 : 결합부
330 : 걸림돌기 332 : 제1 걸림돌기
334 : 제2 걸림돌기 335 : 제1 절개
336 : 제2 절개

Claims (4)

  1.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에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감기는 권선부재(100);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에 대칭으로 구비되며, 상하로 통공(200a)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손잡이고정부재(200); 및
    밴드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각각 체결되는 손잡이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재(300)는,
    밴드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통공(200a)에 삽입되는 결합부(320); 및
    상기 결합부(320)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권선부재(1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3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330)는,
    돌출폭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내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제1 걸림돌기(332);
    돌출폭이 상기 권선부재(100)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외벽까지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상기 결합부(320)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2)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1 절개(335); 및
    상기 제1 걸림돌기(332)와 상기 제2 걸림돌기(334) 사이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2 절개(3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돌기(334)는,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삽입될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상단에 접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서 이탈될 때,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하단에 접하는 면이 상기 손잡이고정부(200)의 내벽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돌기(334)는,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에 삽입시에 상기 결합부(320) 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의 통공(200a)을 통과한 후에 원위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고정부재(200)와 상기 손잡이부재(300)는, 다수개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조립체.
KR1020100070208A 2010-07-20 2010-07-20 보빈 조립체 KR20120009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08A KR20120009732A (ko) 2010-07-20 2010-07-20 보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08A KR20120009732A (ko) 2010-07-20 2010-07-20 보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32A true KR20120009732A (ko) 2012-02-02

Family

ID=4583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208A KR20120009732A (ko) 2010-07-20 2010-07-20 보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97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14045616A1 (ja) 掴線器
US11088524B2 (en) Power line protective apparatus having rotatable members
TWI222116B (en) Spool case for bonding wire, and method of handling spool using same
KR20120009732A (ko) 보빈 조립체
KR200484478Y1 (ko) 회전 방지장치가 구비된 케이블 릴
JP6606682B2 (ja) 長尺線材巻き取り器
EP1548225A1 (en) Lifting cable winding device of solar radiation shielding device
JP6605850B2 (ja) ガイド機構と巻き取り装置
US20150197409A1 (en) Reel/spool with handle and locating/stabilizing bump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KR102616315B1 (ko) 대형 릴
KR102207411B1 (ko) 접이식 파이프 풀림기
US20180037435A1 (en) Wire caddy
JP2007312610A (ja) 鳥害防止具
KR101554682B1 (ko) 와이어 케이스
JP7097776B2 (ja) 吊り荷装置、緩衝部材および吊り荷保護方法
KR20130006646U (ko) 와이어 풀림 보조기구
JP5074141B2 (ja) 電線保護カバー
KR101455960B1 (ko) 보빈
JP6607224B2 (ja) 起伏装置
KR101426462B1 (ko) 케이블 릴
KR101676419B1 (ko) 와이어의 미세 길이조절이 가능한 건조대용 보빈
KR102058007B1 (ko) 케이블 권취용 릴
KR20150000930U (ko) 용접 케이블 정리장치
US10214380B2 (en) Bucket reel device
KR200423758Y1 (ko) 전선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